기술 수용 모델 |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기술 수용 모델 –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강서대학교 빅데이터경영학과 이상철 교수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58회 및 좋아요 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기술 수용 모델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 기술 수용 모델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기술 수용 모델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TAM, 기술 수용 모델 – 브런치

정보 기술 수용 모델(TAM)은 사회심리학 분야의 합리적 행위 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를 기반하여 정보기술 이용자의 행위를 설명하고 …

+ 여기를 클릭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3/3/2022

View: 2122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

특히,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TAM)은 수용자의 정보기술수용과 사용행동을 설명하는데 간단하면서도 설명력이 매우 높은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4/20/2022

View: 2686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스마트 의류 구매의도 연구 …

This study employs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proposed by Davis(1989) as a … 혁신기술수용모델 #스마트 의류 #유행혁신성 #기술혁신성 #구매의도 …

+ 더 읽기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10/26/2021

View: 3108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 – Korea Science

연구결과 관찰가능성, 적합성, 주관적 규범은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외재적 변인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10/19/2022

View: 9900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적용한 모바일 동영상 앱의 지속적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의 지각된 유희성과 서비스 품질, 광고 등이 모바일 동영상 앱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dbpia.co.kr

Date Published: 5/15/2022

View: 5075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스마트홈 기술의 사용자 만족에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의 관점에서 스마트홈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혁신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용이성, 만족의 영향력을 …

+ 더 읽기

Source: m.earticle.net

Date Published: 5/30/2021

View: 2488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

본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Davis(1989)가 제안한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확장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설명력 있는 모형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rm.or.kr

Date Published: 10/2/2022

View: 785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기술 수용 모델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기술 수용 모델

  • Author: 강서대학교 빅데이터경영학과 이상철 교수
  • Views: 조회수 758회
  • Likes: 좋아요 8개
  • Date Published: 2019. 4.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fvzwZFoE0Y

TAM, 기술 수용 모델

1) 기술 수용 모델 (TAM, Tehcnology Acceptance Model)

1989년 프레드 디 데이비스(Fred D Davis)는 사람들이 어떤 기술을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습니다. TAM은 사람들이 신기술에 기반을 혁신제품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TAM 이론이 유명한 이유는 사람들이 신기술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이유를 잘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정보 기술 수용 모델(TAM)은 사회심리학 분야의 합리적 행위 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를 기반하여 정보기술 이용자의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델입니다.

TAM은 4 가지 변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지된 유용성(PU, Perceived Usefulness)

– 정보기술이 개인의 직무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정도

– 정보기술이 개인의 업무 수행 능력과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는 결과에 대한 평가

인지된 용이성(PEOU, Perceived Ease of Use)

–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쉽다고 믿는 정도

– 정보기술을 습득하는 개인의 정신적 또는 물리적 노력이 들지 않는 정도

이용 태도 (A, Attitude Toward Using)

– 개인의 행동에 대한 신념과 감정을 의미

– 직접적으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침

행동 (BI, Behavioral Intention to Use)

– 실제 구매 또는 사용

–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

TAM은 두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신기술에 대한 잠재적 수용자가 지닌 기존 가치관, 과거의 경험, 필요 여부로 인진되는 적합성이 빠져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너무 단순하여 외부 요인을 구체화하지 않았습니다.

2)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 (TAM2,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000년 데이비스 (Fred D Davis)와 비스와나스 벤카테시(Viswanath Venkatesh)는 기존 TAM 모델에 조직 차원의 정보기술 수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들을 포함하고 이용태도를 제회한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TAM2는 인지된 유용성의 결정 요인을 5 가지 외부요인으로 구체화하여 TAM에 추가하였습니다.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행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지에 대한 인식

사회적 이미지 (Image)

혁신을 채택하여 사회에서 자신의 이미지 또는 지위를 높일 것으로 인식하는 정도

업무관련성 (Job relevance)

정보기술을 자신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

결과품질 (Output Quality)

정보기술을 자신의 업무를 개선한다고 믿는 정도

결과 입증 가능성 (Result Demonstraility)

정보기술을 활용한 결과가 분명하고 관찰 가능하고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

그리고, 2 개의 조절 변수를 추가했습니다.

경험 (Experience)

자발성 (Coluntariness)

합리덕 행위 이론은 태도를 “특정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으로 정의하고, 조직 차원의 정보기술 수용이라는 맥락에서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좋거나 싫은 감정적 차원의 반응”으로 정의합니다. 태도는 정서적,인지적, 행동적 차원으로 이루어진 다차원적인 구성 개념이자만 태도는 단일 차원으로 측정하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에 태도를 제외하였습니다.

3) 포괄적 기술 수용 모델 (TAM2,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008년 비스와나스 벤카테시(Viswanath Venkatesh)와 히롤 발라(Hillol Bala)는 정보기술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의사결정에 관한 통합 모델인 TAM3를 제시하였습니다. 기술 수용 모델의 단점 중 하나는 조직 차원에서 업무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는 정보기술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TAM3는 인지된 용이성의 결정 요인을 6 가지 외부요인으로 구체화하여 TAM2에 추가하였습니다.

컴퓨터 자기 효능감

컴퓨터를 활용하여 특정 업무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정도

외부지원 인식

특정 시스템 이용을 지원해주는 조직 차원의 기술 지원이 있다고 믿는 정도

컴퓨터 불안

컴퓨터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느끼는 걱정이나 공포의 정도

컴퓨터 유희성

컴퓨터를 이용한 상호 작용에 대한 인지적인 자발성 정도

인지된 즐거움

특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행위 자체가 즐겁다고 인식하는 정도

개관적인 용이성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노력의 실제 수준

TAM3는 새롭게 추가된 요인들인 컴퓨터 불안, 컴퓨터 유희성, 인지된 즐거움과 객관적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경험의 조절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가정했습니다.

참고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1791&cid=42171&categoryId=42174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하이테크 제품이나 첨단기술을 수용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TAM)은 수용자의 정보기술수용과 사용행동을 설명하는데 간단하면서도 설명력이 매우 높은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TAM이 정보시스템 및 하이테크 시스템의 수용에 높은 설명력을 보임에 따라 무비판적으로 적용하는 연구가 성행하고 있다. 또한 수용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TAM을 무비판적으로 확장하여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되어온 TAM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서 문헌적 검토를 하여 향후 더 나은 연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술수용모델 연구들의 연대별 진화과정을 재검토하였고, 기술수용모델 연구들의 특징을 모델구성측면, 투입변수측면, 적용분야측면, 방법론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hightech products or advanced technologies. Especiall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1989) has been acknowledged as a simple model that has yet very high explanatory power in explaining user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ir behaviors in using it; and many follow-up researches are going on domestically and abroad.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applied TAM without criticism, because it apparently explained well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system and hightech system. They also have the problem that the extensive use of TAM without criticism an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ed products or services led to the lack of differentiation. Accordingly, in an effort to pursue better future research, the present research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of the research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bout TAM. For this purpose, a reexamination was first conducted into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research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re also examined in the aspects of model construction, input variables, application field and methodology. Then sugges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problems of those researche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논문]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스마트 의류 구매의도 연구

1. 강상임. (2005). DMB 서비스를 위한 탐색적 연구,숙명여자 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구동모. (2003).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응용한 인터넷 쇼핑행동 고찰. 경영정보학연구, 13(1),141-170 원문보기 상세보기

3. 김동원,이태민,강명수. (2003).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품질이 모바일 상거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03(2),171-193

4. 김유경. (2005). Smart Clothing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한국 디자인문화학회지, 11(3),29-36

5. 김한나. 이은영. (2001).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341-1352 원문보기 상세보기

6. 김해룡, 홍신명,이문규. (2005).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 한국마케팅저널 7(1), 1-20

7. 김호영,김진우. (2002).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12(3), 89-113 원문보기 상세보기

8. 남혜진. (2004).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인텔리전트 의류의 디자인 프로토타입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선민. (2004). 지제 장애안을 위한 디지털 의류의 디자인 모형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박선형. (2000.) 웨어러블 컴퓨터개념을 기반으로 한 의류상품 디자인의 가능성 탐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선형,이주현. (2001).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 개념을 기초로 한 디지털 패션상품의 디자인 가능성 탐구 1. 패션비지니스학회지, 5(3),111-128

12. 박해진. (2004). 소비자 혁신성이 온라인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혁신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63,79-101

13. 서윤정. (2002). 다기능성 여행용 재킷의 디자인 개발.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손미숙,박준석,한동원,조일연. (2006). 웨어러블 시스템 사용자 상호작용 시장 분석 및 기술 통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1(2),184-191 원문보기 상세보기

15. 송영화,한현수. (2005). 혁신채택 및 확산이론의 통신방송 융합(위성 DMB) 서비스 수요 추정 응용. 한국경영과학회, 22(1),179-197

16. 양은실. (2003). 사용성 및 착용성 평’가에 기초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안 프로토 타입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여인갑,이정수. (2006, 6. 28). 해외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상용화 추진 전략 분석. ITFlND 주간기술동향, 1252. 자료검색일 2006,8.26,자료출처http://kidbs.itfind.or.kr

18. 육형민. (2003). 스마트 재킷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20. 이정섭,장시영. (2003). 기술수용모텔의 확장과 사용자 정보시스템수용. 경영학연구, 32(5),1415-1451

21. 이정순. (2002). 스마트 의복의 전망 및 개발사례 연구. 충남 생활과학연구지, 15,64-75

22. 이태민. (2004). 모바일 상거래 환경에서의 기술수용모델 영향요인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7(5), 2183-2209 상세보기

23. 입는 MP3 올해 말 나온다. (2006, 8. 17).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06,8.25, 자료출처 http://www.donga.comlfbinl output?sfrm1&n200608170070

24. 장애란,현명관. (2003). 디지털 의복에 표현된 디지털 패러다임. 한국복식학회지 53(4),31-47

25.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5) 첨단신기술정보분석연구회 IT839 전략기획보고서 서울: 진한엠엔비

26. 정헌수,김우양. (2003) 소비자 혁신성과 고려제품군 형태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14(4), 45-72

27. 조길수,김주영,김화연,이명은,이선. (2000). 디지털 의복. 섬유기술과 산업 4(1/2),148-157 원문보기 상세보기

28. 조필교,구은영. (1996). 의복관여과 유행혁신성,유행의견 선도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223-233 원문보기 상세보기

29. 홍병숙,오현주 (2001) 인터넷 쇼핑의 혁신성과 위험 지각에 따른 의류 상품 구매행동.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4, 233-256

30. Agarwal, R. & Prasad, J.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Research, 9(2), 204-215 상세보기

31.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32. Bernoff, J., Morrissette, S., & Clemmer, K. (1998). Technographics service explained. Forrester Report, 1(0)

33. Chattopadhyay, A. & Basu, K. (1990).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 466-476 상세보기

34. Cho, G., Barfield, W., & Baird, K. (1998). Wearable computers.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2(4), 490-508 원문보기 상세보기

35. Citrin, A. V., Sprott, D. E., Silverman, S. N., & Stem, D. E. Jr. (2000).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00(7), 294-300 상세보기

36.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September, 319-34

37.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P. (1992).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0(2), 36139

38. Edwards, C. (2003, Oct). Wearable computing struggles for social acceptance. IEE Review, p. 24-25

39.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Forth Worth, TX: Dryden

40. Fishbein, L. P.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Boston, MA: Addison-Wesley

41. Goldsmith, R. E. (2001). Using the domain specific innovativeness scale to identify innovative Internet consumers. Internet Research, 11(2), 149-158 상세보기

42. Goldsmith, R. E. & Flynn, L. R. (1992). Identifying innova- 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6, 42-55 상세보기

43. Goldsmith, R. E. & Hofacker, C. F. (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9(3), 209-221 상세보기

44. Kilbourne, W. E. (1986). An exploratory study of sex role stereotyping on attitude toward magazine advertisemen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4(4), 43-46

45. Mann, S. (1997). The wearable computer and wearcam. Personal Technology, 1(1), 21-27

46.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 229-242 상세보기

47.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48. Saga, V. L. & Zmud, R. W. (1994).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IT acceptance, routinization and infusion. IFIP A(45), 67-86

49. Solomon, M. R. (2002). Consumer behavior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50. Straub, D., Keil, M., & Brenner, W. H. (1997). Tes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cross cultures: A three countrey study. Information and Management, 33(1), 1-11 상세보기

51.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상세보기

52. Wearable computer market to grow 500% by ’06. (2003, March 14). Venture Development Cooperation. Retrieved June 23, 2006, from http://.vdc-corp.com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적용한 모바일 동영상 앱의 지속적 이용 의도 연구

본 논문은 마치 블랙홀처럼 기존의 방송 및 영상 서비스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과 같은 모바일동영상 앱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바일 동영상 앱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 이용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의 지각된 유희성과 서비스 품질, 광고 등이 모바일 동영상 앱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궁극적으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유희성과 서비스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모두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동영상 앱 #지각된 유희성 #지속적 이용의도 #정보기술수용모형 #Mobile Video App #Perceived Enjoyment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스마트홈 기술의 사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어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의 관점에서 스마트홈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혁신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용이성, 만족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 Davis의 기술수용모델을 기초로 개인 혁신성과 사용자 만족의 새로운 변수를 보완하여 수 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0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서울, 경기, 부산, 경남 지역의 스마트홈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 기입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23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개인 혁신 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을 기각되었다. 기각된 이유는 스마트홈 기술 과 같은 IT시스템 경험이 많은 사용자는 유용성을 낮게 지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넷째,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홈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첫째, 기존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보다 포괄적이고 설명력 있는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extended TAM)으로 발전시킬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첫째, 기존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보다 포괄적이고 설명력 있는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extended TAM)으로 발전시킬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Rogers(2003)의 혁신확산이론 중 다섯 가지 혁신속성(Attributes of Innovation) 등을 바탕으로 확장된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이러한 모형화 과정은 기존의 이론을 발전시킬 것이며,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수용의 촉진 및 저해 요인을 구체화하여 주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학교에서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도를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제공하고 학교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하는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방안의 성공을 위한 추진전략을 도출한다. 20세기 초반부터 다양한 과학적 산물에 기인한 혁신을 교육마당에 도입하여 교육변화를 이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는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교과서를 상용화함으로써 학교교육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신장하고,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하는 학교의 모습으로 변화를 모색하는 현 시도에까지 미치고 있다. 단, 다양한 교육혁신의 무한한 잠재력을 새로운 교육적 가능성으로 구체화해 보려는 각개의 노력들이 ‘열광-과학적 지지-실망-비난’의 순환을 거듭했다는 주장(Cuban, 1986)은, 성공적인 교육혁신의 확산을 위해서 주지해야 할 사실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변화 노력들의 미진함은 총체적이고 근본적인 교육변화모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던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을 근간으로 총체적인 변화관리 추진전략을 제안하면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교육혁신 확산 연구와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교사집단의 혁신수용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의 혁신연구들은 혁신성(innovativeness), 즉 특정 사람 또는 다른 채택단위가 동일한 사회체계에 속한 구성원보다 상대적으로 일찍 아이디어를 채택하는 정도에 따라 그 집단유형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그 집단 간 성격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제시한 바 있음에도 대부분 연구들은 의견지도층에 속하는 조기수용자(early adopter) 집단의 수용 결정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경우, 조기수용자 집단에 속하는 교사들과 주류교사집단에 속하는 교사들의 의견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사 주류집단인 다수수용자의 반응을 바탕으로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혁신수용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활용한 연구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연구방법에 있어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혁신수용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관련 연구로부터 도출하고 도출된 독립변수 중에서 상대적 영향력이 큰 변수가 무엇인지, 또 종속변수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적합한 모형이 무엇인지 밝히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연구의 경우, 회귀식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이 어떠한가에 따라 변수들의 결정력이 상이하게 제시된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함으로써 디지털교과서 수용이라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다수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를 밝혀 교육혁신의 수용 및 확산을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함으로써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형의 변수들을 조합하여 이론적 구인을 구성한 후 이론적 구인인 잠재변수들과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우리나라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확산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방문국가인 미국의 확산연구 전통에도 일조할 것이다. 우리나라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라는 교육혁신 속성에 대한 지각과 우리나라 교육체제의 성격(예: 규범, 연결망의 상호 연관성 정도)은 미국의 경우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앙정부 주도 아래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은 권위적 혁신수용 결정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 사례는 그 규모에 있어서나 혁신수용 결정 유형에 있어서나 미국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연구사례를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상이한 문화 간의 차이점에 기반을 둔 본 연구에서 교육혁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디지털교과서에 적용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확장된 TAM 모형의 설명력을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가 될 수 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기술 수용 모델

다음은 Bing에서 기술 수용 모델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YouTube에서 기술 수용 모델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TAM01_01.Technology Acceptance Model 개론(1/2) | 기술 수용 모델,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