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지능 과 수학 |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487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인공 지능 과 수학 –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올백 수학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71회 및 좋아요 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인공지능은 수학이 발전시킨다? 수학 – naver 포스트

인공지능은 우리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술이 되었는데요. 뇌신경망네트워크를 모방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의 …

+ 더 읽기

Source: post.naver.com

Date Published: 8/8/2022

View: 3217

AI에서 수학이 중요한 이유 – Sciencetimes – 사이언스타임즈

AI 알고리즘에 적용된 수학은 부차적인 문제일 뿐이다. 왜 그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좀 더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일반 시스템과 AI 시스템의 구현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sciencetimes.co.kr

Date Published: 3/2/2022

View: 3104

16. 머신러닝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학 소개 – 브런치

인공지능 중에서 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머신러닝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머신러닝에 있어서 수학은 이론적인 배경과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7/10/2021

View: 828

[김정호의 AI시대의 전략] AI 시대, 수학 실력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행렬과 벡터는 인공지능 시대에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수학이다. 특히 행렬은 인공지능에서 데이터의 공간 변환, 인공지능망 최적 설계, 확률의 추출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chosun.com

Date Published: 8/27/2021

View: 1733

인공지능 수학 기초 (Basic Mathematics for AI) | K-MOOC

본 강좌를 통해 인공지능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수학(기초) 및 기본 알고리즘을 자세히 학습하고 코드를 … 3주차, 행렬과 행렬식, 1) 행렬과 행렬식 예습 및 실습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mooc.kr

Date Published: 10/16/2021

View: 2275

수학도가 인공지능 연구에 기여하는 방법 – 과학의 지평

당시 나는 조화해석학과 확률론을 공부하던 대학원생이었는데, 합성곱convolution 연산이 딥러닝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

+ 더 읽기

Source: horizon.kias.re.kr

Date Published: 10/6/2022

View: 1859

인공지능 AI 공부에 필요한 수학 종류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 AI 공부에 필요한 수학 종류. Artificial Intelligence Mathmatics · 선형대수학 사회의 여러 문제를 수학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 선형그래프 선 …

+ 여기에 표시

Source: lngnat.tistory.com

Date Published: 4/8/2021

View: 989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인공 지능 과 수학

  • Author: 올백 수학
  • Views: 조회수 471회
  • Likes: 좋아요 3개
  • Date Published: 2022. 2.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ONSgaW60O4

AI에서 수학이 중요한 이유 – Sciencetimes

요즘들어 인공지능(AI) 교육 관련 소식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지난 5일 전주시는 “AI 미래인재 양성과정”을 위한 학생 모집에 나섰다. 서울시 교육청은 “인공지능·창의융합교육팀”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그중 가장 반가운 소식은 2025년부터 AI 과목을 초·중·고 정규교과로 반영하는 것이다. 정부가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AI 프로그래밍, AI 원리, AI 윤리 등을 교과로 만들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AI 인력을 조금이라도 더 빨리 확대하기 위해 내년부터 AI 교과를 운영할 계획이다. 거점학교 및 선도학교 중심으로 AI 교과가 개설된다. 또한 2021년 2학기부터는 고등학교에서 진로 선택과목으로 AI 기초와 AI 수학 과목을 개설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AI는 소프트웨어 범주에 속한다. 디지털이라고 불리는 가상환경에서 동작하는데, 이러한 동작 원리는 순순히 사람의 생각에 따라서 구현된다. 성능이라는 부분을 제외하면 물질적 제약이 다른 산업과 비교해 크지 않다.

소프트웨어에서는 ‘사람이 공장이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분야를 비롯해 AI 경쟁력에서는 인력이 가장 큰 핵심이다. 사람 손에 의해서 거의 모든 것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인간사고를 본떴기 때문에 AI에 수학이 중요

그럼 AI 교육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대부분 전문가라면 “수학”을 꼽을 것이다. 필자 또한 같은 생각이다. 필자 지인 중에 25년 만에 고등학교 수학을 공부하는 개발자도 있다. 이유는 AI에 활용되는 수학적 기초지식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지난주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필자는 AI 사업 과제를 위해 지인과 함께 AI 연구실을 방문한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실에서 학생이 개발한 AI 연구 성과물의 설명을 들었다. 그런데 필자와 함께 방문한 지인이 AI 학습 과정에서 많이 토론했는데, 그 광경이 필자에게 신선했다. 이유는 지인의 전공이 컴퓨터공학이 아니라 재무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인은 30년 넘게 투자 전문가로 근무한 사람이다. 컴퓨터 개발에 관해 잘 모른다. 그런데도 전문가처럼 AI 전공 학생과 토론을 진행했다.

또 다른 사례를 들어보겠다. 또 다른 지인은 재무를 전공한 경영학 교수이다. 그런데 개발자 대상으로 AI 특강을 진행한 적이 있다. 참고로 내용이 어려웠는데, 대다수 교육생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였다.

두 지인 모두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 않았다. 특히 한 지인은 AI를 전혀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다. 그런데도 AI 전공자와 대화가 가능한 것일까? 답은 바로 수학에 있다. AI도 그렇고 재무(혹은 경제학) 또한 수학을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령 AI 강화학습에서 언급되는 몬테카를로방법(Monte Carlo Method)은 투자 방법에도 활용되고 있다.

가령 두 지인은 AI가 적용되지 않은 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을 가지고 논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해당 시스템으로 얘기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코딩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럼 AI에서 유독 수학이 활용되는 이유가 뭘까? 일부 사람은 AI 알고리즘이 미분, 행렬 등 수학적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할 것이다. 그런데 이는 원초적인 질문에 관한 답이 아니다. 가령 “AI 알고리즘을 굳이 수학으로 표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관한 질문에서는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가 답을 내리면, AI가 사람의 사고를 흉내 내는 기술이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AI 알고리즘에 적용된 수학은 부차적인 문제일 뿐이다. 왜 그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좀 더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일반 시스템과 AI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살펴보자. AI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 시스템은 사람의 코딩에 의해서 구현된다. 다시 말해 사람이 시스템 동작 규칙을 코딩으로 정의한다. 반면 AI 시스템에서는 사람이 코딩으로 동작 원리를 정의하지 않는다. 사람은 AI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과 학습하는 방법론을 정할 뿐이다. AI는 이를 기반으로 동작 규칙을 스스로 만들어낸다.

두 시스템에서 눈여겨볼 점은 “동작 규칙을 누가 만들어 내느냐”이다. 일반 시스템에서는 사람이 만들어낸다. 다시 말해 사람이 정한대로만 움직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시스템을 규칙 기반(Rule-based)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반면 AI 시스템은 스스로 동작 규칙을 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은 학습에 의해서 스스로 개선한다. 참고로 AI에서는 이러한 규칙을 생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사람처럼 학습하고 가치관을 확립하기 때문이다.

수학이라는 학문도 들여다보자. 필자가 생각하기에 수학은 세상을 숫자로 표현하는 학문이다. 그리고 숫자는 측정에 있어 정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키 큰 사람보다는 190센티미터의 키를 가진 사람이라고 표현하면서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수학은 이러한 숫자를 통해서 세상의 법칙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판단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은 가장 기초적인 합산의 법칙에서부터 물체의 운동 그리고 양자 이론의 법칙까지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학은 경제와 재무에 활용되어 사업가에게 사업의 판단 기준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오자. AI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 AI 시스템은 사람의 생각을 흉내 낸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럼 AI는 사람의 어떤 생각을 따라 해야 할까? 합리성을 따라야 한다. 그리고 AI는 사람처럼 실수하면 안 될 정도로 여러 중요 분야에 활용되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때 수학이 필요한 것이다.

사람은 일상에서 수학 공식을 활용하지 않는다. 직관이라는 것에 의존한다. 반면 AI에서는 직관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신에 사람이 수학으로 법칙을 표현하거나 수학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것에 착안해 AI에 이러한 직관 혹은 생각을 심어줄 수 있다.

수학이 AI 학습 기초체력

축구, 농구 등 운동을 잘하기 위해서는 해당 종목의 숙련도도 중요하지만 기초체력도 그만큼 중요하다. AI에서도 마찬가지로 기초체력이 중요하다. 수학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거의 모든 AI 알고리즘이 수학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를 인식해 교육기관에서는 AI 관련으로 수학을 강조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서울교육청은 AI 교과과정에 수학을 담고 있다. 충북교육청은 올해 2학기부터 “인공지능 수학” 과목을 개설한다. 웅진씽크빅은 AI 교육성 강화를 위해 영국 워릭대 수학과 교수인 김민형을 자문으로 영입하기도 했다.

(30960)

인공지능 수학 기초 (Basic Mathematics for AI)

Share with friends and family!

Tweet that you’ve enrolled in this course

트위터를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Post a Facebook message to say you’ve enrolled in this course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Email someone to say you’ve enrolled in this course

이메일을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네이버를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카카오를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Email someone to say you’ve enrolled in this course

강좌 주소를 이용하여 친구 및 가족과 공유

수학도가 인공지능 연구에 기여하는 방법

들어가며 21세기 초는 바야흐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라 부를 수 있다. 전산학이나 전자공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의학, 신소재, 생명공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제간 인공지능 연구 열풍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인공지능 열풍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15]의 눈부신 발전에서 비롯되었다. 필자가 딥러닝을 처음 접한 것은 2013년 겨울로 기억한다. 알렉스넷AlexNet이 이미지넷ImageNet 물체인식 대회에서 우승한 시점부터 이미 국내의 컴퓨터영상 연구자들은 딥러닝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당시 나는 조화해석학과 확률론을 공부하던 대학원생이었는데, 합성곱convolution 연산이 딥러닝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 요즘은 딥러닝을 공부할 수 있는 훌륭한 교재들과 강의들이 많이 있지만, 당시엔 논문으로 공부할 수밖에 없었는데, 일개 수학도가 영상처리와 머신러닝 배경지식 없이 논문만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딥러닝 연구를 쫓아가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었다. 운 좋게도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셨던 민현석 박사님(현재 토모큐브 AI 팀장)께 많은 걸 배웠고, 덕분에 인공지능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민 박사님과는 지금도 토모큐브의 홀로그램 현미경 영상 데이터에서 딥러닝으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최성준 박사(고려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 조교수)나 조형주 연구원(서울대 박사과정) 등 지인들과 같이 연구하면서 도움을 적지 않게 받았다. 당시에 필자가 진 신세를 갚고자 하는 심정으로 펜을 들었으며, 이 글은 수학도인 학부생이나 대학원생에게 앞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커리큘럼이나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자 작성하였다.

어떤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인공지능 연구는 데이터 저장장치와 컴퓨터 연산 성능 향상과 더불어 발전하고 있다. IT 산업 실무에선 대규모 연산 자원이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 소스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유입되는 상황을 다룬다. 반면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로봇 같은 하드웨어 기기상에서 제한적인 연산 자원만 가지고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제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인공지능이 적용되는 상황이 매우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과 차원이 연산자원의 한계보다 쉽게 커지므로 학습 알고리즘의 속도와 확장성이 더 중요해진다.

Gordon Johnson 과거의 필자는 수학이 딥러닝 연구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다. 왜냐하면 이전의 머신러닝 방법론들이 수학적 접근에 많이 기댔기 때문에 오히려 성능 발전의 한계를 가졌고, 현대 딥러닝 알고리즘의 특성상 양질의 데이터를 잘 축적하는 파이프라인과 병렬 연산 기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예측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는데, 현재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거대 IT기업의 인공지능 연구를 살펴보면 규모의 경제를 토대로 한 연구들이 상당수이고 점점 학계와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딥러닝의 가치가 커질수록 수학의 중요성도 동반 성장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대규모의 딥러닝 연구가 진행될수록 인공지능 연구의 난제들이 수면 위로 드러났고 그 난제들을 풀어내기 위해 다시 수학의 역할이 중요해지기 시작한 것이다. 흔히들 인공지능을 공부하려면 선형대수학, 확률론, 통계학을 잘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좀 더 깊이 들어가면 측도론measure theory과 함수해석학functional analysis도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위에서 언급한 교과목들은 분명 중요한 기초 과목들이고 우수한 학부생이라면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아도 충분히 배울 수 있는 내용들이다. 그러나 인공지능 분야는 생각보다 넓은 범위의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필자의 관점에선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경험적으로 봤을 때 현재 수학과 학생들이 요즘 유행하는 머신러닝이나 딥러닝만 공부한다고 해서 전산과나 산업공학, 통계학 전공자들만큼 인공지능 업계 취업이나 연구직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수학도들 상당수가 프로그래밍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코딩테스트에서 종종 떨어지기 때문이다. 컴퓨터공학과 학생들 이상으로 개발 능력을 쌓을 것이 아니라면, 수학도들은 나름대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지는 글에선 기초 수학 분야 중에서 현재와 미래 모두 활용 가치가 큰 분야를 소개하려고 한다. 현재 전산학과나 산업공학과에선 이미 가르치고 있는 커리큘럼들이지만, 국내 수학과에서 프로그래밍 실습과 더불어 가르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상황이라 학생들은 타학과에서 수업을 듣는 것을 추천한다. 가능하다면 수학과에 해당 과목들을 가르치는 커리큘럼이 개설되어 수학도들의 인공지능 분야 기여가 활발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비모수통계학Nonparametric Statistics 필자가 처음 발을 디딘 기업은 보험회사였다. 삼성화재 장기상품개발팀에서 근무했는데, 보험회사에서는 보험가입자들의 질병이나 상해사고 확률을 토대로 위험률risk rate을 산출하고 이를 보험료에 반영한다. 다만 보험가입 기간이 수십 년이기 때문에 가입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가 무궁무진하고, 고려해야 하는 데이터의 종류도 다양하다. 현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위험률 산출 방법은 비모수nonparametric 또는 준모수semiparametric 통계학에 토대를 두고 있다.1

1 최근에는 국내 보험사들도 머신러닝 기법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빨리 만들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히스토그램 기법이다. 히스토그램 기법을 선호하는 이유는 두 가지인데, 첫째는 검증 업무를 맡는 현업 계리사들이나 감독 업무를 맡는 사람들 중 통계적 기법을 이해하는 사람들이 드물기 때문이고, 둘째는 기존에 만들어온 위험률과 통계적 정합성을 따져야 하는데, 과거엔 사용한 기법들이 새로운 방법론의 예측 값과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규제나 검증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IT 회사들이 머신러닝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데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비모수통계학은 이름 그대로 통계학의 한 분야이다. 학부 저학년 때 접하는 확률 및 통계 수업에서 이항모형이나 정규분포들을 가지고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들은 흔히 모수적parametric 방법론에 속한다. 가령 보험가입자의 생존시간을 \(T\in[0,\infty)\) 라는 확률변수로 나타낸다고 했을 때, 이 보험가입자가 \(t\) 시간보다 오래 생존할 확률을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면,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mathbb{P}_{\theta}(T>t)=\exp(-\theta t),\quad t\geq0,\theta>0\) 여기서 \(\theta\)를 확률변수 \(T\)의 모수parameter라 부르는데, 모수가 속한 영역이 \(\mathbb{R}\)이라는 유한차원 공간이기 때문에 모수적 방법론이라 부른다. 모수적 통계모형을 사용하면 \(\theta\)만 추정하면 되므로 산출이 간단하고 해석도 쉽지만, 모든 보험가입자의 생존시간을 지수분포로 설명하는 것은 무리인 데다, 만일 지수분포를 따르지 않는 질병이나 사고 데이터를 분석할 땐 생존률을 적절하게 예측하기 어렵게 된다. 왜냐하면 모델이 관찰되는 데이터 분포보다 단순하기 때문에 과소적합underfitting 현상이 발생하여 예측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존시간 \(T\)를 지수분포가 아니라 다음과 같이 추정하는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s model[4]을 사용할 수 있다. \(\mathbb{P}(T>t|\mathbf{x})=\exp\left(-\int_{0}^{t}\lambda_{0}(s)e^{\langle\beta,\mathbf{x}\rangle}ds\right),\quad\beta,\mathbf{x}\in\mathbb{R}^{d}\) 위 식에서 \(\beta\)는 보험가입자의 여러 변수들(예: 나이, 성별, 흡연 등) \(\mathbf{x}\in\mathbb{R}^{d}\)의 영향력을 의미하며 유한차원에 속하지만, \(\lambda_{0}(s)\)는 시간에 따른 사건 발생의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로서 무한차원에 속하기 때문에 비례위험모형은 비모수적 방법론으로 분류된다. 이런 방식의 비모수적 통계 모형은 현업 및 실제 연구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보험사에서는 보험 가입 데이터를 이용해 \(\lambda_{0}(s),\beta\)를 추정해서 생존률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신규가입자의 보험료를 책정하거나 새로 개발한 담보의 위험을 계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존모형은 계리 모형뿐만 아니라, IT 업계에서 서비스 가입자의 탈퇴율이나 해약률을 예측할 때도 사용된다. 이 문제를 이탈 예측churn prediction이라 하는데, 베이지안Bayesian 기법인 디리클레 확률과정 혼합모형Dirichlet process mixture model을 이용한 군집clustering 기법을 생존분석에 이용하는 추세이다.

비모수 또는 준모수 통계학은 위와 같이 모수적 통계모형의 가정이 붕괴되거나 또는 분포 비의존적distribution-free인 방법론이 필요할 때 사용 가능하다. 비모수적 가설검정 기법들을 포함하여 머신러닝이나 데이터마이닝 수업 시간에서 가르치는 커널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웨이블렛 회귀wavelet regression,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알고리즘들이 대표적인 기법들이다. 단, 머신러닝 전공자들이 공부하듯 단순히 알고리즘 과정이나 사용 방법만 공부해서는 안 되고 예측이 얼마나 불확실해질 수 있는지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할 수 있는 부트스트랩 샘플링bootstrap sampling 기법도 같이 공부해야 한다. 필자의 주요 연구 분야도 부트스트랩 같은 통계학적 기법들을 딥러닝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22] 해당 내용을 공부하기 위한 훌륭한 교재들이 많지만 저자는 특히 프리드먼Friedman 등이 공저한 [7]이나 에프론Efron과 해스티Hastie의 책 [6]을 추천한다. 인공지능 연구에 관심 있는 확률론 전공자라면 비모수 베이지안nonparametric Bayesian 방법론을 꼭 추천하고 싶다. 고살Ghosal과 판 데르 파르트Van der Vaart의 저서 [9]이 좋은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이 분야의 진입 장벽은 측도론 기반의 확률론이기 때문에 전공자라면 이쪽 이론을 공부하는 데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 특히 마르코브 연쇄 몬테카를로 방법Markov Chain Monte Carlo, 변분추론variational inference 기법들은 밀도 추정density estimation이나 최근에 유행하는 생성모형generative model과 관련된 통계학 연구에서 자주 쓰이는 알고리즘이다. 필자와 같은 확률론 전공자라면 인공지능 연구에 첫발을 내디딜 수 있는 분야이므로 제일 먼저 추천하고 싶다.

확률적 최적화Stochastic Optimization 오늘날 머신러닝 모델들의 성공 요인은 대규모 스케일의 최적화 알고리즘에 있다. 거대 IT 기업들은 효율적인 서버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를 축적하는 용도가 아니라, 연산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스케줄링하여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자원 배분과 스케줄링 문제를 주먹구구식으로 해결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일찍이 아마존Amazon은 확률적 최적화 분야의 특급 전문가들과 엔지니어들을 대규모로 채용하여 클라우드 시장에서 앞서 있다고 평가받는다. 확률적 최적화는 수리적 최적화의 한 분야로서 확률적 탐색stochastic search, 확률적 프로그래밍stochastic programming, 확률적 최적제어stochastic optimal control를 아우르는 다소 범용적인 용어이다. 필자가 말하는 확률적 최적화는 셋 모두를 통합해서 말한다. 확률적 최적화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고려해서 순차적 의사결정sequential decision making을 적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비단 강화학습뿐만 아니라 로봇공학의 제어 문제나 산업공학에서 효율적인 실험계획을 구성할 때도 필요하다. 필자는 지도 학생들에게 확률적 최적화와 뒤에서 소개할 인과학습 분야의 결합을 연구 지도하고 있다.

이 글은 수학도인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들에게 앞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커리큘럼들이나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자 작성하였다. 최근에 유행하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은 연구자들의 접근 방법론이 다를 뿐 최적제어와 같은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통합된 시각에서 확률적 최적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엄청난 연산자원과 엔지니어링이 투입되어 수리적 모델 기반의 최적화 알고리즘들과 성능 격차를 벌리고 있다. 다만 강화학습이 모든 최적화 문제의 만능해결사가 될 수는 없다. 물류나 운송 문제처럼 수십만 차원 이상의 변수들을 제약 조건으로 다뤄야 하는 도메인에선 강화학습 알고리즘은 비효율적인 학습 방법이 되므로 다른 최적화 기법을 시도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확률적 최적화에 관심 있는 전공자는 파웰powell의 [21]을 보길 권한다.

필자는 확률론 전공자들에겐 멀티암드밴딧multi-armed bandit 분야 연구도 추천한다. 밴딧 문제는 강화학습의 한 분야로서 마코브 결정 과정Markov decision process에서 상태state가 한 개인 경우를 말한다. 상태가 하나라서 단순한 문제 같지만 그만큼 여러 가지 변형 문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활용 가치가 높은 분야이다. 또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연구할 때 최적 성능을 달성하려면 선택 가능한 행동action 가운데서 탐색exploration & 활용exploitation 딜레마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한데, 밴딧 문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범 분야로 적절하며 수학적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하다.[16] 또한 밴딧 알고리즘은 이미 추천 시스템이나 검색 엔진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현업에서 A/B 테스트의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인 실험계획을 디자인할 때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딥러닝과 밴딧 알고리즘을 결합한 딥 밴딧DeepBandit 연구도 활발하니, 확률론 전공자들에겐 래티모어Lattimor와 세페스바리Szepesvári의 책 [14]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딥러닝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모델 패러미터parameter 최적화는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같은 미분 기반 방법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신경망 층layer 숫자나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에서 필터 크기 같은 하이퍼파라미터들은 이산공간discrete space에서 최적값을 찾아내야 하므로 미분 기반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근사적인 방법을 취해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베이지안 방법론은 머신러닝에서 불확실성uncertainty 측정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를 이용해 해석적 정보를 알 수 없는 목적 함수들을 최적화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이 분야를 블랙박스 최적화black-box optimization라 하는데,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연구에서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 최적화에 많이 적용된다.[17] 이처럼 이산 최적화discrete optimization 연구는 머신러닝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당연하다시피 이산공간에선 미분을 계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경사하강법 같은 기법들을 적용하기 쉽지 않다. 산업공학과 교과목 중 조합적 최적화combinatorial optimization에서 이런 최적화 문제들의 해결 방법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중에서 서브모듈러submodular 함수의 최적화 방법론은 많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서브모듈러submodular 함수는 집합 함수set function로서 임의의 두 집합 \(X,Y\)에 대해 \(f(X)+f(Y)\geq f(X\cap Y)+f(X\cup Y)\)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서브모듈러 함수는 볼록convex 또는 오목concave 함수와 매우 비슷한 성질들을 공유하기 때문에 부분경사subgradient를 활용하여 최적화 문제를 풀 수 있다. 이런 최적화 문제는 대규모 스케일에서 군집화clustering 알고리즘, 추천시스템recommender system,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 알고리즘 같은 문제들에 적용할 수 있다. 필자가 공부한 책은 후지시게Fujishige의 [8]이며, 머신러닝 분야에 적용한 연구들은 NeurIPS, ICLR, ICML, KDD 같은 머신러닝 및 데이터마이닝 최고 학회에서 관련 논문들을 찾을 수 있으니 수학도라면 적극적으로 공부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계산기하학Computational Geometry 개인적인 경험으로 다른 인공지능 연구 분야보다 수학적 지식이 가장 요구되는 영역은 위에서 언급한 확률론적 최적화와 계산기하학이라 생각한다. 필자는 수학과를 졸업한 뒤 주로 로봇공학자들과 의료인공지능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의료 인공지능 연구 분야에선 일반 사진 영상보다 데이터 수집 및 정제가 더 어려운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학습할지 연구가 필요하다면, 로봇공학에선 로봇의 움직임 및 의사결정이 주 연구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기하적인 문제들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다른 인공지능 연구 분야보다 수학적 지식이 가장 요구되는 영역은 위에서 언급한 확률론적 최적화와 계산기하학이라 생각한다. 로봇은 주변 환경을 센서로 인식한 상황에서 어떻게 움직일지 (또는 반응할지) 효율적이면서 안전하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도 최적제어 혹은 강화학습 문제에 해당하는데, 일반 컴퓨터와 달리 로봇공학에선 실제 환경에서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상정하기 때문에 알파고가 시뮬레이션에서 반복해서 훈련하듯 로봇을 반복해서 학습시키는 것은 비용, 안전, 효율성 측면에서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탐색공간search space을 충분히 줄이고 적절한 제약조건을 걸어야 하는데, 상당수가 기하적인 문제들로 귀결되며 이를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려면 계산기하학 전공자가 큰 역할을 한다.

필자가 최근에 연구하는 분야는 기하적 환경에서 고차원 제어변수들을 가지고 계획수립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이다.[12] 또한 계산기하는 인공위성 데이터나 공간 데이터를 다룰 때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교통이나 물류 관련 머신러닝 연구를 하기 위해선 반드시 알아야 한다. 계산기하학은 전산학과에선 흔히 배우는 교과목이지만 국내 수학과에서 가르치는 경우는 카이스트나 포항공대 정도로 알고 있다. 수학 전공자에게 주로 추천하는 교재는 드 버그De Berg등이 공저한 [5]이다. 기하학적 딥러닝geometric deep learning은 주목받은 지 얼마 안 된 신생 분야이다. 아직 적절한 교재는 없지만 여러 학회에서 튜토리얼들이 공개되어 있고 활발하게 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입문자에게는 브론스타인Bronstein등의 논문들[2]을 추천한다. 기하학적 딥러닝은 크게 두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그래프 데이터를 다루는 그래프 신경망graph neural network 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3차원 다양체manifold 데이터를 다루는 3D 딥러닝이다. 다양체 데이터는 흔히 복셀voxel, 메쉬mesh, 포인트클라우드point cloud로 표현하는데, 이들 데이터에서 동작하는 딥러닝은 특히 의료와 로봇공학에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필자는 수학도들이 크게 활약할 수 있는 분야로 기대하고 있다. 계산기하와 딥러닝에 관심 있는 수학도라면 기하학적 딥러닝도 같이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인과학습Causal Learning 인과학습 또는 인과추론causal inference 분야는 본래 역학epidemology과 유전학genetics에서 독립적으로 출발했으나 통계학과 전산학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인과학습은 단순히 철학적인 주제가 아니라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 분포의 생성 과정을 유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추구한다. 인과적causal이란 용어는 확률분포를 생성하는 함수적 구조를 의미하며 모듈성modularity 가정에 의해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불변invariant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만일 \(X\)가 원인이고 \(Y\)가 결과라면, \(X\)에 변화를 가했을 때 그만큼 \(Y\)의 확률분포도 변하는 건 자명하지만, \(Y\)에 인위적인 조작intervention을 가했을 때는 인과구조의 불변성에 의해 \(X\)의 확률분포는 조작 전후로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인과학습은 두 확률변수 \(X,Y\)의 데이터를 가지고, 인과적으로 \(X\rightarrow Y\)인지 \(Y\rightarrow X\) 인지 구조적 관계를 추론하는 것이다. 변수가 두 개인 경우는 비교적 단순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문제는 함수적 구조와 확률밀도 함수로 이루어진 미분방정식의 가해성solvability과 연결되는 흥미로운 수학적 문제이다.[10] 다변수 모형에선 고려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통계적인 난제가 된다. 그러므로 인과학습의 핵심은 축적된 도메인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에서 추론할 수 있는 가능한 인과관계 구조들을 찾는 것이다.

인과학습 또는 인과추론 분야는 본래 역학과 유전학에서 독립적으로 출발했으나 통계학과 전산학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인과학습에서 다루는 문제는 예측력에 초점을 두는 머신러닝과 목적이 다르며, 단순히 데이터를 많이 모은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므로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구조를 추론할 수 있도록 메타 학습meta learning 기반 접근이 필요하다. 해당 접근에 대해 관심 있는 독자는 요슈아 벤지오Bengio, Y.의 ICLR 논문[1]을 읽어보는 걸 추천한다. 이미지나 텍스트 같은 고차원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과학습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은 새로운 방법론 연구가 필요하다. 필자는 인과학습을 인공지능 코어 분야 연구의 핵심 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학생들과 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인과학습은 의료나 공공정책 분야 외에 로봇공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에서 인과학습을 가르치는 대학교는 통계학과를 제외하면 거의 없으며, 특히 머신러닝 관점에서 연구하는 곳은 드문 편이다. 필자는 잠재 결과potential outcome 모형과 더불어 그래프 모형 기반 인과학습 방법론 및 알고리즘을 학부 과목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확률 그래프 모형에 진지하게 관심 있는 수학도들에겐 분량의 압박은 있지만 프리드만Friedman과 콜러Koller의 저서 [13]과 펄Pearl의 [18]를 일독하길 권한다. 최근 인과학습 연구 결과에 관심있는 수학도라면 피터스Peters 등이 공저한 [20]이 있으니 추천한다. 조금 더 쉬운 책을 찾는 독자라면 펄Pearl 등이 공저한 [19]을 추천한다.

그 외 위에서 소개한 분야들은 이미 수학적 기초가 확립된 분야로서 인공지능 연구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은 분야이다. 그 외 신생 분야는 유용성에 대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잠재력이 상당히 크므로 도전적인 연구 분야로 추천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미분방정식을 신경망과 결합한 뉴럴미분방정식neural differential equation 연구의 발전에 주목하고 있으며 유수의 수학자들도 이 분야에 뛰어들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는 [3][11]을 참조하길 바란다.

맺음말 필자는 현재 인공지능대학원 소속이지만 기회가 될 때마다 국내 수학과에 변화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다. 대학에서 우수한 수학자를 길러내는 것도 필요하지만, 산업에서 활약할 수 있는 소양을 가진 수학도를 양성하는 것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수학과 학생들이 업계에 적응하려면 프로그래밍 기초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실무에서 사용 가능한 기초 커리큘럼 개발도 계속되어야 한다. 오늘날 인공지능 분야는 변화가 매우 빠른 분야이다. 날마다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튀어나오고 재검증 받다보니 어떤 분야를 집중해서 공부해야 할지 결정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어떤 분야이든 탄탄한 기초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도출된다. 위에서 소개한 분야들은 최근 딥러닝의 눈부신 발전과 더불어 여러 인공지능 연구에서 중요성을 조명 받고 있는 기초 분야이다. 온라인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 아니라 실용적이고 차별화된 기초 수학 교과목을 개발하여 교육한다면, 앞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수학도들의 활약을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본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AI 공부에 필요한 수학 종류 Artificial Intelligence Mathmatics

반응형

인공지능과 같은 AI를 공부하는데 수학을 공부할 필요는 없지만 개념정도는 익혀두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인공지능의 기본은 수학이란 과목에서 시작하는 것도 있지만 AI 관련 툴을 사용함에 있어서 수학적 개념들이 나오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유리하다.

인공지능 AI 공부에 필요한 수학 종류

Artificial Intelligence Mathmatics

인공지능은 인간을 흉내내고 모방하는데에도 기본적을 축적된 데이터가 필요하고, 계산을 하고 최적의 결과를 위한 통계와 확률을 수학적으로 계산한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경험이란 데이터가 필요하고, 경험에 따른 최적의 결과를 통해 확률적으로 높은 것을 선택한다.

인공지능이나 사람이나 비슷한 측면이 있다.

그렇다고 인공지능을 위해 수학을 파고들 필요는 없지만 인공지능에 필요한 수학은 몇가지 종류가 있다.

수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코딩과 인공지능 학습에 좀 더 유리한 측면이 있는 것이 여기에 있다.

깊이 학습할 필요는 없다.

다만 개념정도는 익혀두는 것이 좋다.

깊은 학습은 자신이 인공지능에 대해 어느정도 다룰 줄 알고 필요한 추가지식이 있을 때 학습해도 된다.

어쨋든 인공지능에 필요한 수학의 종류는 몇가지가 있다.

선형대수학

사회의 여러 문제를 수학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모델링으로 얻은 선형연립방정식을 푸는 수학 이론과 방법들을 연구한다.

수학 뿐 아니라 공학, 경제, 사회학 등 거의 모든 학문에 이용된다.

사회의 여러 문제를 수학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모델링으로 얻은 선형연립방정식을 푸는 수학 이론과 방법들을 연구한다. 수학 뿐 아니라 공학, 경제, 사회학 등 거의 모든 학문에 이용된다. 선형그래프

선으로 표현되는 평균 직선

선형함수를 통해 좌표계에 분포도를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분포된 점들을 통해 통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선으로 표현되는 평균 직선 선형함수를 통해 좌표계에 분포도를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분포된 점들을 통해 통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확률

어떤 사건에 대해 가능성 여부를 수학적으로 파악한다.

0과 1사이의 값으로 확률이 높을 수록 값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사건에 대해 가능성 여부를 수학적으로 파악한다. 0과 1사이의 값으로 확률이 높을 수록 값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해석한다.

해석된 데이터는 도표로 표현할 수 있다.

어떠한 단어나 사건에 대한 값을 찾는데 사용된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해석한다. 해석된 데이터는 도표로 표현할 수 있다. 어떠한 단어나 사건에 대한 값을 찾는데 사용된다. 클러스터링

데이터들을 군집화하고 구분한다.

이미지들의 경우 비슷한 이미지들끼리 분류가 될 것이며, 키워드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거나 가장 가깝게 연관되는 단어들끼리 묶여질 것이다.

데이터들을 군집화하고 구분한다. 이미지들의 경우 비슷한 이미지들끼리 분류가 될 것이며, 키워드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거나 가장 가깝게 연관되는 단어들끼리 묶여질 것이다. 회귀분석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를 모델링한다.

선형그래프와 관계가 있고 보통 테이블 데이터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를 모델링한다. 선형그래프와 관계가 있고 보통 테이블 데이터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퍼셉트론 인공신경망

사람의 뇌가 받아들인 데이터들을 연결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처리한다.

사람의 뇌는 뉴런이란 것이 데이터들을 연결하고 처리하며 많은 결과를 예측한다.

인공신경망은 이런 뉴런의 활동을 수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사람의 뇌가 받아들인 데이터들을 연결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처리한다. 사람의 뇌는 뉴런이란 것이 데이터들을 연결하고 처리하며 많은 결과를 예측한다. 인공신경망은 이런 뉴런의 활동을 수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트레이닝

인공지능에 수많은 데이터를 주입하고 학습시킨다.

사람이 스스로 학습하거나 보충수업을 하거나 학교에서 공부를 하듯이 인공지능에서 최적의 결과를 얻어내기 위한 학습을 진행한다.

지도학습, 준지도학습, 자율학습, 강화학습 등이 여기에 속한다.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인공 지능 과 수학

다음은 Bing에서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YouTube에서 인공 지능 과 수학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공지능수학-천재교육-고등학교💖】제11강-Ⅳ.최적화┃2.인공지능과 수학 탐구┃1.인공지능과 수학 탐구(P123~130) | 인공 지능 과 수학,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의대 전망 | 부모님들 의사가 과연 20년 뒤에도 고연봉일까요? 미래유망직업에 대해서 이야기 해봅시다 상위 191개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