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혁 일 |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22333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종교 개혁 일 –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CBSJOY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001회 및 좋아요 3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종교 개혁 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 종교 개혁 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종교개혁일입니다. 종교개혁 499주년 기념일입니다.
내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한국교회를 어떻게 개혁하고 갱신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계신 교회/단체/성도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저희 CBS도 마찬가지 고민과 준비를 하고 있구요.
그런 고민에 도움이 될 프로그램 하나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독일 현지에서 제작된 좌담,’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입니다. 종교개혁에 관련된 다양한 영상, 그리고 루터교 김철환 총회장과 독일 현지 학자/목회자들이 나눈 좌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0분 내외의 조금 긴 영상입니다만, 천천히 들어보셔도 좋을 내용이라 감히 추천드립니다! (영어로 진행된 좌담은 우리말로 더빙도 되어 있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

종교 개혁 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종교 개혁 – 나무위키:대문

[3] 다만 개신교계에서는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한 1517년 10월 31일을 종교개혁 기념일[4]으로 삼고 있다. 다시 말해 지나치게 인물사적인 관점은 …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2/27/2022

View: 8054

[위클리 교회사]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 – 가스펠투데이

일반적으로 개신교는 10월 31일을 중요하게 여긴다. 왜냐하면 10월 31일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로만 가톨릭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는 95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gospeltoday.co.kr

Date Published: 2/6/2022

View: 4853

1517년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로 독일의 수도사 마르틴 …

1517년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로 독일의 수도사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1483 ~ 1546)가 95개 조항을 비텐베르크의 교회 정문에 붙이면서 종교 …

+ 여기에 보기

Source: chedulife.com.au

Date Published: 4/25/2021

View: 8170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 글쓴이, 우리, IP, 71.212.26.165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eattlewoori.org

Date Published: 11/9/2021

View: 1069

[특별기고] 10월 31일, 왜 종교개혁의 날인가? – 아이굿뉴스

세계교회가 종교개혁의 날로 지내는 10월 31일은 독일의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1483-1546)가 비텐베르크 성(城) 교회의 문에 1517년 …

+ 더 읽기

Source: www.igoodnews.net

Date Published: 9/21/2022

View: 2317

종교 개혁일

오늘날의 대부분의 교회들은 마르틴 루터가 교회의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주장한 95개 조항의 반박문을 비텐베르그 대학(Wittenberg University) 교회문에 붙인 사건이 …

+ 더 읽기

Source: jinyhome.net

Date Published: 5/1/2022

View: 3854

종교개혁의 달 10월, 루터가 남긴 10가지 신학 원리

10월에는 항상 기다려지고, 또 고대하는 날이 있다. 그것은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이다. 503년 전인 1517년부터 유럽교회는 종교개혁을 통과하면서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christiantoday.co.kr

Date Published: 9/19/2022

View: 169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종교 개혁 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종교 개혁 일

  • Author: CBSJOY
  • Views: 조회수 5,001회
  • Likes: 좋아요 31개
  • Date Published: 2016. 10.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fXgtBO55au0

[위클리 교회사]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

95개조 반박문으로부터 시작된 루터의 종교개혁

일반적으로 개신교는 10월 31일을 중요하게 여긴다. 왜냐하면 10월 31일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로만 가톨릭의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는 95개조 반박문을 사람들에게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1517년 10월 31일 독일의 마르틴 루터는 ‘면벌의 권능과 효력에 관한 논쟁’이란 제목의 95개조 반박문을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에게 보내는 편지에 동봉하여 발송했다. 같은 날 루터는 또 다른 편지를 자신이 소속된 브란덴부르크 교구의 예로니모 주교에게 보냈다. 루터는 이후 그의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성 교회당 문에 게시했다.

루터의 초상화(1529년). 위키미디어 갈무리

95개조 반박문의 첫 번째 항목은 이렇게 시작한다. “우리들은 주님이시며 선생이신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마 4:17)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신자들의 전 생애가 참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회개와 참회의 문제에서부터 시작한다. 마르틴 루터는 죄 사함의 역할을 교황이 대신할 수 없고, 돈이 연보궤 안에 떨어지면 연옥에 간 영혼이 연옥에서 벗어난다는 설교가 인간의 학설을 설교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독일 전역으로 매우 급속하게 퍼져나가 큰 방향을 일으켰고, 면벌부를 판매하던 로만 가톨릭 입장에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후 마르틴 루터는 로마 교황청과 계속 대립하다가 1521년 1월 3일 교황의 칙령 ‘로마교황은 이렇게 말한다’에 의해 파문되었다. 파문당한 루터는 1521년 보름스 의회에 소환되어 자신의 종교적 입장을 철회할 준비가 되었는지 요청받았다. 그 요청에 루터는 이렇게 응수했다. “나는 내가 인용한 성경에 묶여 있으며, 나의 양심은 하나님 말씀에 포로로 잡혀 있습니다. 나는 아무 것도 철회할 수 없고 철회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양심에 거슬러 무엇을 하는 것은 안전하지도, 옳은 일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여 저를 도우소서. 아멘.” 이처럼 루터는 자신의 모든 것을 다 걸고 오직 신앙양심에 따라 익숙한 신앙의 길이 아닌 새로운 신앙의 길을 걸었다. 종교개혁 501주년을 기념하며 세계교회는 익숙한 신앙의 길을 떠나 루터처럼 새로운 믿음의 도전을 할 각오가 있는지 스스로 자문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가스펠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스펠투데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1517년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로 독일의 수도사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1483 ~ 1546)가 95개 조항을 비텐베르크의 교회 정문에 붙이면서 종교 개혁 시작

1517년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로 독일의 수도사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1483 ~ 1546)가 95개 조항을 비텐베르크의 교회 정문에 붙이면서 종교 개혁 시작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1483년 11월 10일 ~ 1546년 2월 18일)는 독일의 종교개혁가이다. 당시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교수였으며, 훗날 종교개혁을 일으킨 역사적인 인물이다. 본래 아우구스티노회 수사였던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면죄부 판매가 회개가 없는 용서, 거짓 평안 (예레미야 예언자의 가르침을 인용함)이라고 비판했으며, 믿음을 통해 의롭다함을 얻는 (der Rechtfertigung durch den Glauben) 이신칭의를 주장했다. 칭의를 통한 개인 구원의 새 시대를 열어주었다. 면죄부 판매를 비판한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95개 논제를 게시함으로써 당시 면죄부를 대량 판매하던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설교자 요한 테첼에 맞섰다.

1520년 교황 레오 10세로부터 모든 주장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받았지만, 오직 성경의 권위를 앞세우면서 성서에 어긋나는 가르침들을 거부하였다. 1521년 보름스 회의에서도 마찬가지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카를 5세로부터 같은 요구를 받았으나 거부함으로써 결국 교황 레오 10세가 칙서 ‘로마 교황의 선언’을 반포 후 루터는 파문당했다.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회 문에 95개 논제를 게시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종교 개혁의 시작이 되었다. 루터의 종교 개혁은 당시 종교와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직위: 신성 로마 제국 추밀원 예하 기독교보좌관

.임기: 1514년 12월 1일 ~ 1515년 2월 1일

.군주: 막시밀리안 1세

.출생: 1483년 11월 10일, 독일 작센안할트주 아이슬레벤

.사망: 1546년 2월 18일 (62세), 독일 작센안할트주 아이슬레벤

.경력: 기독교 신학자 출신, 독일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수

마르틴 루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에 부패와 잘못된 교황의 권위에 항거하여,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리를 논박하고, 성서가 지니고 있는 기독교 신앙에서의 최고의 권위와 그리스도에 대한 오직 믿음과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를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 루터의 주장은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Sola scriptura, Sola fide, Sola Gratia, Solus Christus, Soli Deo Gloria)이라는 표현으로 함축할 수 있다. (다섯 솔라) 루터 본인은 자신이 ‘종교 개혁’을 일으켰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종교 개혁이 하나님에게 이끌림을 받아, 할 수 없이 한 일이기 때문이라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복음주의자’로서 복음을 전파하기를 원했고, 자신이 설교자, 박사, 교수라고 불리기를 원했다. 그러나 그의 삶 가운데 그가 행했던 일들은 엄청난 결과를 가져왔다. 개신교가 태동했을 뿐 아니라, 성서 번역, 많은 저작 활동, 작곡과 설교를 통해 사회와 역사가 크게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기독교 한국 루터회에서는 루터를 마틴 루터라고 칭한다.

– 종교 개혁의 출발점 95개 논제 (전문 하단 첨부)

비텐베르크 만성교회 (All Saints’ Church)()의 문, 원래문은 불에 탔지만 1857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다시 교체하였다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강제적인 면죄부 판매는 루터의 신앙을 근본적으로 흔들었다. ‘돈으로 구원을 살 수 있다’라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순응할 수 없었고, 나아가 침묵할 수도 없었다. 루터는 자신이 가르치고 돌보는 많은 사람에 관한 목회적 양심과 책임으로 설교 중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기 시작했고, 전혀 개선되지 않자 드디어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의 만성 교회(de) 문에 ‘95개 논제’를 게시했다고 한다. 기존 교회와 본격적인 논쟁을 시작했으며, 이것이 종교 개혁의 시발점이다. 다만 루터가 논제를 교회에 게시했는지는 확인된 바 없다. 반박문은 루터가 수기한 후 인쇄해서 사람들이 읽었으며, 책으로 발간한 후에도 교회의 문 또는 인근에 이를 게시했다는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교회 벽 게시를 최초로 거론한 사람은 필리프 멜란히톤이며, 루터 사후 자신의 저서에서 루터를 언급하며 반박문을 벽에 게시한 일에 관한 최초 기록이다.

1515년 루터는 10개의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을 감독하면서 서신 교환과 방문 등을 통하여 새로 발견한 복음의 씨앗을 전파할 위치에 서게 되었다. 그는 처음에는 자신의 깨우침이 얼마나 급진적인지 알지 못한 채 계속 성서 연구에 전념하고 있었는데, 면죄부 논쟁을 계기로 그것이 공공연히 드러나게 되었다.

면죄부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성사들 가운데 하나인 고해성사와 연관된 것이다. 사제는 통회하는 고해자의 죄고백을 듣고 죄사면을 한 뒤 죄책에 대한 보속으로 순교, 시편 낭송, 특별 기도 등의 행위를 하게 하였는데 면죄부는 이러한 보속을 면해주는 증서였다. 그런데 면죄부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요 수입원이 되면서 교회는 면죄부 영업에 열을 올렸는데, 실제로 요한 테첼은 “금화가 헌금궤에 떨어지며 소리를 내는 순간 영혼은 연옥을 벗어나 천국 향해 올라가리라”고 신자들을 기만하였던 것이다. 그는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가 작센 영내에서의 면죄부 판매를 거부하자 경계 근처에다 면죄부 판을 벌여 놓았으며, 성서도 적절히 인용하고 연옥에서 당신들의 부모가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감정에도 호소함으로써 순진한 신자들을 현혹하였다. 이러한 타락에는 교인들도 원인을 제공하였다. 실제로 중세 교회의 신자들은 하나님께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진지한 신앙생활보다는 면죄부를 구입함으로써 죄의식을 면하려는 손쉬운 신앙생활을 좋아하였으며, 구원을 돈으로 살 수 있다는 교회의 주장이 과연 성서의 가르침에 부합하는가를 생각하지 않았다.

교구민들의 영혼을 염려하는 목회적 책임감에 움직여 루터는 이미 이전에 행한 (1516년 10월 31일과 1517년 2월) 설교에서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였었다. 그러나 고해 문제의 재고 요청들이 결국 실패하자 루터는 공개 논쟁을 요청하기로 결심하여 1517년 10월 31일, 제성기념일 전야에 95개 논제를 비텐베르크의 만인 성자 교회(de)의 문에 내걸었다.

루터는 “우리의 주님이시며 선생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고 하실 때, 그는 신자들의 전 생애가 참회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셨다”라고 논제(제1조)를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복음의 재발견을 면죄부 문제에 적용하여 “교회의 참 보고가 하나님의 영광과 은혜의 거룩한 복음”(제62조)이라고 역설하면서,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나타난 자비에 비할 바가 아님을 천명하였다(제68조).

마지막 논제(제95조)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인은 면죄부와 같은 행위의 의가 아니라 ‘오히려 많은 고난을 통해 하늘나라에 들어간다’고 결론내린다.

– 로마가톨릭과의 신학논쟁

.카예탄 추기경과의 논쟁과 칭의론 주장

루터가 자신의 주장 포기를 거부하자, 교황은 그를 종교 재판에 넘기려고 로마로 소환 지시하였다. 그러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와 대학이 이것에 반대하면서 대신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추기경 토마스 카예탄 (Thomas Cajetan)이 그를 심문하도록 주선하였다. 토마스 카예탄은 1518년 10월 12일 – 15일에 소환당한 그에게 면죄부에 대한 교황의 교령 (Unigenitus. 1343년)을 가리키면서 면죄부를 승인한 교황의 권위에 순종해야 한다고 위협하였다. 루터는 교황보다 공의회가 더 높으며, 모든 인간들은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의 최종적인 권위는 교회가 아닌, 성서가 가진다고 반박하였다. 그리고 죄인이라는 신분이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보시고 그리스도인을 의로운 사람으로 인정해주신다는, 루터의 표현대로 수동적인 의인 칭의론(이신칭의)도 굽히지 않았다. 카예탄은 결국 루터로부터 ‘나는 뉘우친다’ (revoco)는 말을 얻어내지 못하자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게 편지를 써서 루터를 ‘로마로 넘기거나 영지로부터 추방’하라고 위협 섞인 강권을 하였지만, 선제후는 루터를 보호하였다.

(1519년 1월) 교황청의 특별한 호의의 징표인 황금 장미를 가진 밀티츠 (de:Karl von Miltitz)가 선제후에게 나타났다. 그는 선제후가 루터를 추방하라는 카예탄의 요구를 이미 거부한 것을 모르고 루터를 추방하거나 로마로 압송할 경우 선제후에게 있을 유익을 선전하였다. 그리고 루터를 만날 수 있도록 허용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이 요청에 따른 만남은 허락되었다. 회합을 가진 두 사람은 이제 이후로는 피차 공적으로 침묵하기로 약속을 하였다.

.라이프치히 논쟁

그러나 잉골슈타트 대학교의 교수 요한 에크가 침묵을 깨고 루터를 공격하자 루터는 동료인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와 함께 라이프치히로 따라가 그와 논쟁을 벌였다 (1519년 7월 4일 – 7월 14일). 요한 에크는 자신의 대학이 아닌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교묘하게 비텐베르크 대학의 도전자로 끌어들였다. 이 두 대학은 오랜 경쟁관계에 있던 2개의 작센(de)을 대표하는 대학교들이었던 것이다. 이 논쟁에서 루터는 구원받기 위해 교황을 인정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반박하였다. 게다가 콘스탄스 공의회 (1414년 – 1418년)가 체코슬로바키아의 종교개혁자 얀 후스를 잘못 정죄한 것을 들어 교회의 공의회조차도 과오를 범할 수 있고, 에베소서에 근거하여 교황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만이 지상에서도 교회의 머리가 되심을 주장하였다.

루터와 에크의 논쟁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교황의 기원과 권위에 관한 것. 에크는 교황권이 하느님으로부터 나온 것이므로 교황에 순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루터는 교황의 권세는 위조문서인 ‘이시도리안 교령집(de)’에 기초하여 세워졌으므로 허위라고 반박하였다.

둘째, 성경의 권위에 관한 것. 루터는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도리와 생활의 규범이 되므로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를 개혁하자고 외쳤다. 반면 에크는 ‘오직 성경’ 사상은 중세 말 현대주의 사조를 따르는 이단들의 주장이라고 지적하며 루터를 이단이라고 몰아세웠다.

셋째, 연옥에 관한 것. 에크는 연옥사상이 마카비 2서 12장 45절에 나오므로 성경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나 루터는 마카비서가 성경이 아니라 외경에 불과하다고 하므로 신적인 권위가 없고, 따라서 연옥교리는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넷째, 면죄부와 고해성사. 에크는 면죄부와 고해성사가 교회 전통에 근거한 것이므로 교회가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루터는 교회의 전통이 인간에게서 비롯된 것이므로 잘못될 수 있고, 오직 성경만이 오류가 없으며, 면죄부와 고해성사는 성경의 교훈에 배치되는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이 논쟁을 계기로 해서 루터는 작센 공국 (Herzogtum Sachsen)의 작센 공 게오르크(de)와 대립되었으나, 한편 그의 단호한 태도는 멜란히톤 같은 이를 우군으로 얻었다.

–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 선고, 파문을 당함

라이프치히 논쟁은 루터에 대한 기대도 증대시켰고 그에 대한 공격도 가속화 시켰다. 엑크는 라이프치히 논쟁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루터의 출교에 대한 교황의 교서를 이끌어냈다. 1520년 6월 24일 발표된 교서 ‘Exurge Domine’ (주여! 일어나소서!)에서 교황 레오는 뉘우칠 수 있는 60일간의 말미를 주고 이 기간 안에 루터가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으면 그와 동료들을 모두 파문할 것이라 위협하였다. 교서는 루터의 작품 중에서 41개 발언들을 열거하면서 ‘이단적이고 위법적이며 거짓’이라고 단죄하고, 루터의 모든 저서를 불태울 것을 명령하였다. 루터는 자신의 책들이 뢰번에서 불탄 사건 이후 그리고 파문 위협을 담은 교서가 아직 비텐베르크에 도착하기 전, 성(城)의 엘스터 문앞에서 학생들과 함께 교황의 교서 뿐만 아니라 로마 교회 법전의 화형식을 12월 10일 거행했다. 이로써 루터와 로마 사이의 모든 다리도 불에 타 버렸다.

교황의 화형영장은 루터를 분개하게 했다.

“나의 이 말은 진리의 말, 건실한 말이며, 인간의 능력으로 가능한 한 충실히 땅 위에 하나님의 진리를 장려하고 인간의 영혼을 구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그대는 현세에서의 하나님의 대리인이라면서 사형 집행인과 화형으로 대답하는가?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에게 전하려한 까닭으로, 나와 내 진리의 말을 화형에 처하려는 것인가? 그대는 하나님의 대리인이 아니라. 악마의 대리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대의 교서라는 것은 종이를 더럽힌 거짓말이다. 그것이나 태워버려라. 그대는 그대가 하고 싶은대로 할 것이다. 나는 이렇게 하겠다.”며 교황의 화형 영장을 태워버린다.

루터를 최종적으로 파면하는 교황의 교서 ‘Decet Romanum Pontificem’ (로마 교황은 이렇게 말한다)는 1521년 1월 3일 로마에서 공포되었다. 자신에 대한 파문은 루터의 영혼 깊숙이 상처를 내었다. 사실 루터는 면죄부 논쟁이 한창 진행 중일 때에도 교황에 전적인 충성을 바치고 있었다. 그는 면죄부의 오용들로부터 로마 교황을 보호하는 일이 바로 그 권위를 세워주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교황청이 로마교회를 적그리스도에게 넘겨주었다는 확신이 서게 되자, 그때 루터는 비로소 교황청에 반격을 결심한 것이었다. 따라서 루터가 과거와의 관계를 끊은 것은 급작스레 한 일이 아니었다. 그는 이 관계에서 돌아선 것은 자기가 아니라고 하였다. 오히려 자기는 철저히 외면을 당하였으며 세 번이나 출교를 당하였다고 하였다.

– 보름스 논쟁

교황의 파면에도 불구하고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를 필두로 독일의 영주들은 보름스 회의에서 루터가 자신을 위해 변호할 기회를 얻도록 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카를 5세 황제는 신변의 안정 보장을 약속하면서 루터에게 1521년 3월 6일, 초청장을 보냈다. 황제의 안전 보장은 믿을 바가 못되었다. 선제후의 궁전에서도 의견은 분분하였다. 결국 갈 것인지 말 것인지는 루터가 선택할 몫이었다. 루터는 주위의 우려와 권고를 물리치고 단호하게 보름스를 향했다.

“우리는 보름스에 입성할 것이다. 지옥의 모든 문들과 하늘의 모든 권세들이 막으려고 할지라도 … 거기서 우리의 사명은 마귀를 쫓아내는 것이다.”

슈팔라틴(de)도 그의 결연한 모습을 감지했다.

“그는 보름스로 가려고 한다. 그곳의 지붕위에 있는 기왓장의 수만큼이나 마귀들이 있을지라도…”

보름스에 1521년 4월 16일 도착한 루터는 다음 날 첫 번 청문회에 참석하였다. 트리어 대주교의 고문관은 루터에게 두 가지 질문에 답하도록 물었다.

“그대의 이름으로 출판된 이 책들을 그대의 것으로 인정하는가? 그대는 이 책들에서 쓴 내용을 철회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첫 번 질문에 루터는 자신의 책들이라 시인하고 자신이 쓴 책들이 더 있다고 대답했다. 두 번째 질문에 루터는 하루의 여유를 구했다.

루터는 4월 17일 저녁에 비엔나의 요하네스 쿠스피니아누스(de)에게 그날과 다음 날의 일에 대해 편지를 썼다.

“… 이 순간 나는 황제와 사절들 앞에 서서 철회할 것인가하는 질문을 받았다 … 내일 나는 철회에 대한 답변을 할 것이다. 생각할 시간을 달라는 요청은 받아들여졌지만, 이 하루 이상은 허락이 안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리스도께서 내게 은혜를 베풀어 주시는 한 영원히 한 글자도 철회하지 않을 것이다 …”

다음날 (4월 18일) 루터는 황제 앞에서 담대히 대답했다.

“성서의 증거함과 명백한 이성에 비추어 나의 유죄가 증명되지 않는 이상 나는 교황들과 교회 회의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겠습니다. 사실 이 둘은 오류를 범하여 왔고 또 서로 엇갈린 주장을 펴왔습니다. 내 양심은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철회할 수 없고 또 그럴 생각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양심에 반해서 행동하는 것은 안전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현명한 일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여, 이 몸을 도우소서, 아멘.”

영국의 역사학자 토머스 칼라일은 루터가 보름스 국회에 죽음을 무릎쓰고 출두한 일을 유럽 역사상 최대의 장면이며, 보름스 회의에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이 장면을 인류의 근대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지옥 그 자체에 정면으로 도전하고자 했던 루터의 행위는 두려움 없는 최고의 용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 루터에 대한 신변보호

.바르트부르크 성에서의 은신

카를 5세 황제는 루터에 대한 신분 안전 보장의 약속을 지키려 했다. 그래서 루터가 3주 이내로 비텐베르크로 돌아갈 것과 도중에 설교와 저술을 하지 말 것을 명령하였다. 루터는 아무도 모르게 동료들과 함께 보름스를 떠났다. 길을 가던 중 루터는 프리드리히 3세가 미리 주선한 대로 위장 납치되어 바르트부르크 성으로 갔다. 여기서 루터는 게오르크 기사 행세를 하며 10개월간 지냈다. 한편 루터가 보름스를 떠난 후 황제는 보름스 칙령을 통해서 루터를 법에서 추방된 자라고 선언하였다. 이제 법적으로는 누가 그를 살해한다고 해도 살인죄로 처벌받지 않을 것이었다. 게다가 그의 가르침은 파리, 뢰번, 쾰른 대학교 신학부로부터도 정죄당하였다.

.독일어 성서 번역

루터는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강제된 휴가’를 어떻게 지내야 할지 알았다. 그는 이 기간을 성서 주석, 로마 가톨릭 학자들과의 서면 논쟁, 논문 저술 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의 번역에 사용하였다.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는 1522년 9월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9월 성서 (Septemberbible)’로 불리게 되었다. 루터의 독일어 성서 번역은 독일 기독교인들을 교회의 권위에서 해방하고, 독일어 발전에 이바지한 신학적,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다. 독일 종교개혁 이전에 사용된 성서는 라틴어 성서였으므로 소수의 귀족과 성직자만이 읽을 수 있었는데, 성직자들은 이를 악용하여, 기독교인들을 자신들의 목회적 필요에 따라 조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루터가 고지 독일어로 성서를 번역하면서 누구나 성서를 읽을 수 있게 되어, 독일 기독교인들은 성직자들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성서를 읽고 그들의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루터가 성서 번역에 사용한 고지 독일어는 현대의 표준 독일어가 되었기 때문에, 루터의 성서 번역은 독일어와 문법이 통일되는 계기가 된 사건이기도 하다.

루터는 성서 번역을 훌륭히 수행하여 ‘독일의 나이팅게일들이 로마의 방울새들 만큼 노래를 아름답게 부를 수 있다’는 것을 만천하에 보여주고자 했다. 이것을 위해 보통 사람들의 언어를 사용하려고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는데 슈팔라틴(de)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의 성서 번역의 원칙을 알 수 있다.

“우리들은 당신에게 때때로 적합한 단어를 물어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에게 단순한 말을 가르쳐 주십시오. 궁정이나 성 안에서 쓰는 말은 사절합니다. 왜냐하면 이 책은 단순성으로 유명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루터의 독일어 성서가 구텐베르크의 인쇄술덕분에 빠르게 보급됨으로써 기독교인들은 성서를 성직자의 해석을 거치지 않고도 그들의 이성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는 성서를 축자영감설등의 경전적 해석에서 벗어나, 사회학, 수사학, 사본들과의 비교, 역사등의 학문적인 방법들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성서비평이 태동하는 거름이 되었다.

.폭력 사용 반대

루터가 바르트부르크 성에 머물고 있는 동안 비텐베르크에서는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가 교회를 무력으로 개혁하려고 하였다.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는 세 명의 ‘츠비카우의 예언자들’도 합세를 했다. 성만찬에서는 그때까지 평신도에게 거부되었던 포도주도 제공되었으며, 혁신적인 예배양식과 예복이 도입되었고, 로마 가톨릭 미사를 거행하던 수도사들은 돌에 맞았으며, 성상들은 교회에서 제거되고 불태워졌으며 소요가 일었다. 루터는 믿음의 일로서 시작한 자신의 일이 오해받고 위협당하고 있다고 느끼자, 12월 중 비텐베르크를 비밀리에 방문하여 5일간 머물다 돌아갔다. 이 때의 느낌을 슈팔라틴에게 쓴 편지에서 루터는 저들이, 복음이 주는 자유를 강제 조항으로 만들었다고 비난하였다.

“나는 어느 누구도 폭력과 피흘림을 가지고서 복음을 위해 싸우는 것을 원치 않는다. 말씀을 통해 세상은 정복되며, 말씀을 통해 교회는 구원받으며, 말씀을 통해 교회는 부흥한다.”

소요가 계속되자 루터는 자신의 망명지를 떠나 1522년 3월 6일, 비텐베르크로 돌아와 교회에서 8일간 연속으로 설교하였다. 말씀만이 일을 해야 한다는 그의 원칙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안녕과 질서가 복구되었던 것이다.

“요약하여, 나는 말씀을 설교하리라. 나는 말씀을 말하리라. 나는 말씀을 적으리라. 그러나 나는 어느 누구도 강제하거나 강요하지는 않으리라. 믿음은 자유롭게 되기를 원하지 강제되거나 강압으로 받아들여지기를 원치 않는 것이다. ”

– 개혁의 원리: 하나님의 말씀

루터의 종교개혁은 1517년-1520년 사이에,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단절 과정을 겪었으나, 한편 개혁 진영 내부 세력들과의 차별화 과정도 겪었다. 먼저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토마스 뮌처, 농민들을 중심으로 한 급진적 개혁운동과의 차별화 (1521년-1525년), 다음으로는 에라스뮈스 그리고 인문주의자들과의 차별화 (1524년-1525년)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들은 농민, 토마스 뮌처, 인문주의자들에게 루터가 외면을 받게 함으로써 종교개혁의 급속한 발전을 막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복음이 열광주의적 신비주의라든가, 인문주의적 계몽, 그리고 사회정치적 급진주의로 오해되는 것을 막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과정들에 있어서 공통점은 루터가 오로지 하나님의 말씀만을 의지하였다는 것이다. 성서가 정경화를 통해 등장하기 전에는 교회가 있었다는 이해에 따라 교회와 전통의 권위를 성서위에 올려 놓은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해 루터는 ‘성서만으로’를 주장하였고, 인간의 종교적 경험을 강조하는 열광주의자들의 주관적인 계시이해에 대해서는 성서의 객관적인 말씀을 주장하였으며, 에라스뮈스의 인문주의에 대해서는 성서가 말하는 확실성을 주장하였고, 복음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농민혁명에 대해서 복음은 오직 양심만을 상대한다고 하였다.

루터는 하나님의 말씀이 온전히 전파만 된다면 그 결과는 저절로 온다고 확신하였다.

“나는 면죄부와 모든 교황주의자들을 반대하였으나 결코 무력은 사용하지 않았다. 나는 그저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설교하고, 썼을 뿐이고 그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내가 잠을 자거나 친구 니콜라우스 폰 암스도르프(de)와 함께 비텐베르크 맥주를 마시는 동안 말씀은 교황을 철저히 무력화시켰다. 그 어떤 군주나 황제도 그 정도의 해를 입힐 수 없었을 정도로 말이다. 나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 말씀이 다 했다. ”

.결혼

루터는 42세이던 1525년 6월 13일 결혼을 했다. 신부는 16년 연하의 전직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인 카타리나 폰 보라(de)였다. 루터는 자신의 결혼의 목적이 늙은 아버지에게 자손를 안겨 주기 위해서, 또한 결혼을 머뭇거리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설교를 몸소 실천하면서 본 보이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나는 내가 가르쳐 온 것을 실천으로 확증하고 싶었다. 왜냐하면 나는 복음으로부터 오는 그렇게 커다란 빛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소심한 이들을 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이 행동을 뜻하셨고 또 일으키셨다. 왜냐하면 나는 ‘사랑에 빠졌다’거나 욕정으로 불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내 아내를 사랑한다.

그러나 루터가 결혼하겠다고 했을 때 모두 다 반대하였다. 동료들은 루터가 결혼하면 온 세상과 마귀가 웃을 것이며 그 자신이 그동안에 이루어 놓은 일을 다 헛수고로 만들 것이라고 걱정하였다. 특히 농민전쟁의 와중에서 그의 결혼선언은 놀라움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루터는 종교개혁과 함께 복음이 전파됨으로써 사탄이 마지막 공격을 하고 있다고 믿었다.

.독일 농민혁명

독일 농민들이 영주들의 착취에 저항하여 일으킨 독일 농민전쟁도 처음에는 동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나중에는 복음을 독재 체재로 왜곡시키려는 사탄의 공격이라고 주장하여 영주들에게 강경진압을 요구하였다. 지금까지 교황은 세속권력에 대한 우위권을 주장하였는데, 이제 농민들은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복음의 이름으로 칼을 손에 쥐었다는게 루터의 생각이었다.

– 죽음

자신이 태어난 아이슬레벤에서 63세로 사망하였다. 이때 그는 만스펠트(de)의 백작들 사이에 있었던 법적 논쟁을 중재하러 가 있는 중이었다. 루터가 사망하던 밤 의사와 그의 친구들이 그의 임종을 지켜보았다. 루터는 다음 성경 구절을 계속 암송하고 있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그의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든지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 요한복음 3장 16절

새벽 세 시가 가까워 요나스 박사는 마지막이 이른 것을 알고 그에게 물었다.

“선생님은 선생님께서 가르치신 교리와 그리스도 위에 굳건히 서서 돌아가시겠습니까?”

루터의 몸이 움직이면서 큰 소리로 대답하였다.

“예.”

루터의 유해는 비텐베르크로 옮겨져 만인 성자 교회(de)에 안치되었다.

○ 부록 : 루터의 95개 논제 [번역문 전문포함]

95개 논제 (95 Thesen) 또는 95개조 반박문은 성 베드로 대성당의 신축 비용 등을 확보하기 위해 로마 가톨릭 교황이 면죄부 발행을 남발하자, 이에 항의하여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그레고리력으로는 1517년 11월 10일)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회의 정문에 내붙인 것을 말한다. 이 사건은 종교 개혁의 신호탄으로 평가받고 있다.

– 배경

면죄부는 11세기 말부터 판매되기 시작했고 르네상스 시대에 극에 달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베드로 대성당을 짓기 위해 1506년 일괄 면죄부를 대량 세일에 나섰다. 1500년대 초 마인츠 대주교 알브레히트는 그의 초입세를 납부하기 위해 면죄부 판매에 열을 올렸다. 알브레히트의 면죄부 판매원인 도미니크회의 수도사 테첼을 시켜서 면죄부를 팔게했다. 테첼은 “단순히 면죄부를 산 사람만의 죄가 아니라 그의 부모 친지의 영혼조차 면죄부를 산 돈이 금고에 떨어져 짤랑거리는 소리와 함께 연옥으로부터 튀어나온다”는 식의 과대선전을 하면서 면죄부 판매에 열을 올렸다. 테첼과 같은 면죄부 판매원들은 “면죄부를 사는 순간 그만한 교회의 영적인 은혜를 얻기 때문에 자기 죄를 회개할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설교를 하였고 “이미 죽은 사람을 위해서도 면죄부를 살 수 있으며 이때도 고해성사나 회개의 필요가 없이 오직 돈만을 가지고 오면 연옥의 영혼이 구제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리하여 종교개혁 직전의 당시에 면죄부가 엄청난 숫자로 팔렸으며 이는 당시의 교인들의 신앙심과 미신적인 요소에 대해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가 되었다.

이같은 불의를 보다 못한 마르틴 루터는 이에 항의하며 95개 논조를 비덴베르크 대학 성당의 문에 내걸고 마침내 종교개혁의 불꽃을 피어 올렸다.

– 내용

95개 논제의 원제목은 “면죄부(免罪符)의 능력과 효용성에 관한토론”이다. 95개의 명제는 내용상 일반적으로 8개의 부분으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1)속죄에 대한 규정(1 – 4조)

2)교황의 사죄권의 한계(5 – 7조)

3)교회법이 부과한 속죄에 대해 언급하면서 연옥 영혼에 대한 구원문제를 취급(8 – 29조)

4)면죄와 참회 그리고 사죄문제(30 – 40조)

5)면죄부의 구입과 면죄시행의 남용(41 – 52조)

6)면죄설교와 복음설교의 가치비교, 교리의 보화, 면죄부 판매 설교의 과장등(53 -80조)

7)면죄부 남용에 따른 평신도의 산발적 질문과 면죄시행에대한 공박(81 – 91조)

8)루터의 십자가 신학에 입각한 그리스도교인의 진정한 생활 언급(92 – 95조).

– 루터의 주장 요약

1. 회개의 삶을 강조하고 고해성사 즉 사제들에 의해 집행되는 고백과 속죄는 불필요하다.

2. 면죄부는 죄책감을 결코 제거할 수 없다. 교황자신이라도 그와 같은 일을 할 수 없다. 하나님이 그 일은 자신의 수중에 보전하셨다.

3. 면죄는 죄에 대한 처벌을 교황이 사면 할 수 없다. 그 사면권은 역시 하나님에게만 있다.

4. 면죄부는 연옥에 있는 영혼에게 아무런 효력도 없다. 교회가 부과한 처벌은 오로지 산 자에게만 적용되며 사망이 그러한 처벌을 취소시킨다. 연옥에 있는 영혼에게 교황이 할 수 있는 일은 오로지 기도에 의할 뿐이지 자신의 관할권이나 열쇠의 권한에 의해서 자신의 힘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5. 참으로 회개하는 신자라면 면죄부와는 상관없이 하나님으로부터 이미 용서를 받은 것이며 면죄부는 필요치 않다. 그리스도께서 이러한 참된 회개를 요구하신다.

6. 사람을 낚는 그물인 공로의 보화는 불필요하며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로 구원을 받는다. 십자가를 외치고 하늘나라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은 고난을 받아야 한다.

– 95개조 반박문 [번역문 전문]

진리에 대한 사랑과 이를 해명하려는 열정을 근거로 비텐베르크의 신부이며, 인문학부 및 신학부 교수 겸 비텐베르크 대학 정교수인 마르틴 루터는 다음과 같은 명제에 논쟁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인은 구두로 토론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직접 찾아오지 않더라도 서신을 통해서 토론에 참여해 주기를 당부한다. 우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아멘

1. 우리들의 주님이시며 선생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 (마 4:17)고 말씀하실 때 그는 신자들의 전 생애가 참회(깊이 뉘우치는 것)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이 말씀은 하나님께 드리는 성례전적 참회 곧 사제의 직권으로 수행하는 고백과 속죄로서 이해할 수는 없다.

3. 그러나 이 말씀은 다만 내적인 회개만을 뜻한 것은 아니다. 그럴 수도 없다. 만일 그 같은 내적 회개가 육신의 정욕의 여러 가지 억제를 외부로 나오지 않게 한다면 그 회개는 무가치한 것이다.

4. 그런 고로 사람이 자기 자신을 미워하는 한에는(참 내적 참회) 형벌이 계속할 것이다. 즉 우리들이 하늘 나라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5. 교황은 그 직권 혹은 교회법의 위세로 부과된 형벌 이외의 어떤 벌이든지 용서할 힘이나 뜻(意志)을 가지지 못한다.

6. 교황은 하나님께서 죄를 사하였다는 것을 선언 혹은 시인하는 이외에 어떤 죄든지 사할 힘이 없다. 기껏해야 그 자신에게 주어진 사건들을 그가 사하는 데 불과한 것이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도 만일 그의 사죄하는 기능이 업신여김을 당하게 될 때 사함 받았다는 죄는 확실히 그대로 잔재(殘在)한 것이다.

7. 하나님께서는 그의 대행자인 사제의 권력에는 전적으로 복종하면서도 그 밖에 다른 모든 일에 대해서는 겸손할 줄 모르는 자의 죄를 결코 사하시지 않으신다.

8. 참회에 관한 교회법은 산(生存) 사람에게만 부과되는 것이며 죽은 자에게는 어떤 부담이든지 그 법(諸罰에 對한 敎會의 規定)에 의하여 부과되어서는 안 된다.

9. 그러므로 교황을 통하여 역사 하시는 성령께서는 교황이 법령에서 죽음과 필연의 경우를 예외로 취급하는 한 우리들에게 자비를 행하신다.

10. 죽은 자에 대하여 연옥을 교회법적 형벌로 유지하려는 사제들의 행위는 무지하고 사악한 짓이다.

11. 교회법 상의 형벌을 연옥의 형벌로 변경시키는 ‘가라지’[8]는 확실히 감독들이 잠자는 동안에 심겨진 것이다 (마 13:25).

12. 이전 시대에는 교회법 상의 형벌이 진실한 회개(참회)의 시험으로써 사면(赦免)의 뒤(後)가 아니라 앞(前)에 부과되었다.

13. 죽은 자들은 교회법과 관련하여 이미 죽었으며, 그로 인해 교회법으로부터 해방될 권리를 가진다. 그러므로 죽은 자들은 죽음으로 인해 모든 형벌로 자유롭다.

14. 죄로 말미암아 죽음에 이르는 사람의 심령의 불완전한 건강과 사랑은 반드시 큰 공포를 초래할 것인데 그 불완전성이 크면 클수록 더 큰 공포가 따를 것이다.

15. 이 불안 공포만으로도 (다른 것은 말하지 않는다 치고라도) 연옥의 고통을 구성한다. 그 고통은 절망의 공포에 매우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16. 지옥과 연옥과 천국의 다른 점은 절망의 상태와 절망에 이르는 상태와 구원의 확실성과의 차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17. 연옥에 가 있는 영들은 공포의 감소와 사랑의 증가를 확실히 체험할 것이다.

18. 이상의 영들이 공적의 상태나 사랑의 증가 상태 밖(外)에 있다는 것은 이성으로나 성서적 근거로 증명할 수 없는 것 같이 보인다.

19. 구원의 축복의 정확성과 확실성에 관하여서 우리들은 아무 의문을 가지지 않았다고 할 것이로되 연옥에 있는 영들의 대부분을 위하여서는 증명할 수 없는 것 같이 보인다.

20. 그런고로 교황이 “모든 죄의 완전한 사면”을 말할 때 그는 단순히 모든 죄의 용서를 뜻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그 자신에 의해서 부과된 죄의 사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21. 그러므로 교화의 면죄로써 인간은 모든 형벌로부터 해방되며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선전하는 면죄증 설교자들은 모두 오류에 빠져 있는 것이다.

22. 사실상 교황은 연옥에 있는 영혼에 대해서 어떤 형벌도 사할 수 없다. 이 형벌은 교회 법에 의하여 현세에서 받아야만 하는 것이다.

23. 만일 누구에게든지 모든 형벌의 전적 사면이 허락된다면, 그러한 사면은 확실히 가장 완전한 사람 즉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주어진다.

24.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형벌로부터 해방된다는 무제한 되고 어마어마한 약속에 의하여 드러내놓은 사기를 당하고 있는 것이다.

25. 교황이 연옥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가진 것과 같은 권위를 모든 감독과 특히 교구 목사는 자기의 감독구나 교구 안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다.

26. 교황은 열쇠 (천국)의 힘으로서가 아니고 (사실 그와 같은 힘이란 것이 당치도 않지만), 대도 (代禱)의 방법으로 영혼들에게 사죄를 허락한다 것은 아주 잘하는 일이다.

27. 연보궤 안에 던진 돈이 딸랑 소리를 내자마자 영혼은 연옥에서 벗어 나온다고 말하는 것은 인간의 학설을 설교하는 것이다.

28. 돈이 연보궤 안에서 딸랑 소리를 낼 때 이득 (利得)과 탐욕이 증가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동시에 성직자의 대도 (代禱)의 응답 여부는 하나님의 선한 뜻에만 달려 있는 것이다.

29. 마치 성 세베리누스 (St. Severin)과 파스칼리스 (Paschalis)에 관한 전설에 있는 것과 같이 연옥에 있는 모든 영혼이 그 곳으로부터 구원받기를 원하는지 어떠한지를 그 누가 알 것인가!

30. 누구든지 자기 참회의 진실성에 대해서도 확신을 못 가지는데 하물며 남의 죄가 완전한 사면을 받았는지를 어떻게 밝힐 수 있을 것인가.

31. 진실로 회개한 사람이 드문 것 같이 면죄증을 진심으로 사는 사람도 드물다. 말하자면 그러한 사람은 거의 없는 것이다.

32. 면죄증서에 의하여 자신의 구원이 확실하다고 스스로 믿는 사람은 그것을 가르치는 사람들과 함께 영원히 저주를 받을 것이다.

33. 교황의 사면을 가르쳐서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되는 측량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특별히 경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34. 왜냐하면 이 사면의 은총은 인간에 의하여 정해진 예전적인 사죄 행위의 형벌에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35. 연옥으로부터 영혼을 속량한다거나 고백장 (즉 참회師 – 고백을 받는 신부 – 를 자기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는 허가)을 사는 사람은 참회할 필요가 없다고 가르치는 자는 비 기독교적 교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다.

36. 어떠한 그리스도인이고 진심으로 자기 죄에 대하여 뉘우치고 회개하는 사람은 면죄증서 없이도 형벌과 죄책에서 완전한 사함을 받는다.

37. 참다운 그리스도인은 죽은 자나 산 자나 면죄증이 없이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모든 영적 은혜에 참여하는 것이다.

38. 그러나 교황이 주는 면죄와 그의 관여를 결코 무시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이미 말한 대로 (제6논제 참조) 그것은 하나님의 사면의 선언이기 때문이다.

39. 면죄증에 대한 관대한 생각과 참다운 회개의 필요성을 동시에 사람들에게 권장한다는 것은 박식한 신학자에게 있어서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40. 참다운 회개는 형벌을 달게 받는다. 그러나 면죄증에 대하여 관대한 것은 형벌을 등한시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며 혹은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그와 같은 기회를 주는 것이다.

41. 사도 계승의 면죄 (교황의 사면을 의미함)는 사람들이 결코 그것을 사람의 다른 선한 일(선행)보다 더 중요한 것 같이 오해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교하지 않으면 안된다.

42. 면죄증의 속죄를 자선사업과 비교하여 생각한다는 것은 교화의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그리스도인에게 가르쳐야 한다.

43.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고 필요한 사람에게 꾸어 주는 것이 면죄증을 하는 것보다도 선한 일이라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44. 왜냐하면 사랑은 사랑을 베푸는 일로써 성장하고 그 인간은 선을 행하는 사람보다 선하게 되지만, 면죄증으로써는 인간이 보다 선하게 되지 못하고 다만 형벌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되는 것뿐이다.

45. 가난한 사람을 보고도 본 체 만 체 지나버리고 (요 3:17 참조) 면죄를 위해서 돈을 바치는 사람은 교황의 면죄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진노를 자는 것이라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46. 풍부한 재산의 여유를 가지지 못한 자라면 자기 가족을 위하여 필요한 것을 저축할 의무가 있으며(딤전 5:8) 결코 면죄증 때문에 낭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47. 면죄증을 사는 것은 (사고 안 사는 것은) 자유로운 일이요 결코 그렇게 하라고 강요되어진 것이 아니하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48. 교황은 면죄증을 주는 일에 있어서 가져오는 돈보다도 오히려 자기를 위해 경오한 기도를 드리는 것을 필요로 하고 바란다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49. 교황의 면죄증은 사람들이 만일 그것에게 신뢰를 두지 않는다면, 유용하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사람들이 하나님께 대한 두려움을 잃는 일이 있다면 매우 해로운 일이라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50. 만일 교황이 면죄증 설교자들의 행상 행위를 안다면, 자기 양의 가죽과 살과 뼈로써 성 베드로 교회당이 세워지는 것보다는 차라리 이것을 불태워 재로 만드는 것을 좋아할 것이라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51. 어떤 면죄증 설교자들에게 돈을 빼앗긴 많은 사람들에게 교황은 필요하다면 성 베드로의 교회당을 팔아서까지라도 그 자신의 재산으로 갚아 주려고 (당연하기는 하나) 한다는 것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52. 면죄증서로 구원받을 것을 신뢰하는 것은 헛된 것이다. 비록 판매위탁자가, 아니, 교황 자신이 그 증서에 대해서 자기 영혼을 걸고 보증한다 하더라도 그렇다.

53. 면죄증 설교로 인하여 하나님의 말씀이 다른 교회에서 아주 잠잠하여지도록 한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교황의 적이다.

54. 설교하는 데 있어서 면죄증 때문에 하나님의 말씀과 같은 시간 또는 보다 더 긴 시간을 쓰는 것은 그 말씀에 대하여 부정을 행하는 것이다.

55. 만일 매우 적은 가치만을 지닌 면죄증이 하나의 ‘방울’과 행렬과 의식으로써 축하하게 된다면 가장 큰 가치를 지닌 복음은 백개의 방울과 백의 행렬과 의식으로써 찬양해야 된다는 것이 교황의 의사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56. 그것으로써 교황이 면죄를 주는 교회의 장보 (藏寶)는 그리스도인들 가운데서 충분히 표시되어지지도 않았고 알려지지도 않았다.

57. 그것이 현세적인 보화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왜냐하면 많은 설교자 (면죄증 판매인)들이 이와 같은 보화를 쉽사리 분여 (分與)하지 않고 도리어 쌓아 두려고만 했기 때문이다.

58. 또 그 장보 (藏寶)는 그리스도나 성자들의 공로도 아니다. 왜냐하면 이것들을 교황의 고움과 전혀 독립적으로 항상 속 사람에게는 은총을 주고 겉 사람에게는 십자가와 죽음과 지옥을 주기 때문이다.

59. 성 로렌티어스 (St. Laurentius)는 가난한 사람들은 교회의 보배라고 말했지만, 그는 그 시대 그 당시에 사용된 어의에 따라 말한 것이다.

60.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로 주어진 교회의 열쇠가 바로 그 장보 (藏寶)라고 우리가 말해도 합당할 것이다.

61. 왜냐하면 형벌의 면죄와 교황 관리의 보유사건을 위해서는 교황의 권능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명백한 일이기 때문이다.

62. 교회의 참 장보 (藏寶)는 하나님의 영광과 은총의 가장 거룩한 복음이다.

63. 그렇지만 이 장보 (藏寶)가 먼저 된 것을 나중 된 것으로 하기 때문에 매우 증오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마 19:30, 20:16 눅 13:30).

64. 그와 반대로 면죄증의 장보 (藏寶)가 나중된 것을 먼저 된 것으로 하기 때문에 매우 애호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65. 그러므로 옛날에 있어서 복음의 장보 (藏寶)는 돈 많은 사람들을 낚던 그물이었다.

66. 면죄증의 장보 (藏寶)는 오늘날도 그것을 가지고 사람의 재산을 낚는 그물이다.

67. 면죄증 설교자들이 ‘가장 큰 은총’이라고 소리 높이 부르짖는 면죄증은 이익을 증가시키는 한에서는 사실인 것처럼 보인다.

68. 그렇지만 하나님의 은총과 십자가의 경건에 비하면 그것 (면죄증)은 참으로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69. 감독들과 교구 교사들은 사도계승의 면죄의 대리자들을 전적인 경의를 가지고 받아들일 의무를 가지고 있다.

70. 그러나 일층 더 큰 의무는 눈을 활짝 뜨고 귀를 바짝 기울여서 교황의 위임한 것 대신에 자기들의 꿈을 설교하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71. 사도계승의 면죄의 진리에 반대하여 말하는 자는 추방과 저주를 받을지어다.

72. 그러나 다른 한편 면죄증 설교자들의 해롭고 뻔뻔스런 말에 대항하는 자는 복이 있을 지어다.

73. 어떤 방법으로든지 면죄증 판매를 방해하고자 하는 사람에 대해서 교황이 책망할 것은 당연하다고 하지만!

74. 면죄증을 구실 삼아 거룩한 사랑과 진리를 방해하려고 기도하는 사람에게 대해서 교황은 한층 더 심한 분노로 임할 것이다.

75. 교황의 면죄증에도 굉장한 능력이 있어 – 불가능한 말이기는 하지만 – 하나님의 어머니를 능욕한 인간까지라도 용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정신 빠진 생각이다.

76. 그와 반대로 교황의 면죄증이 가장 작은 죄라 할지라도 그 죄책에 관하여서는 없이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들은 주장한다.

77. 만일 성 베드로가 교황이었다 할지라도 면죄 이상의 큰 은총을 줄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성 베드로나 교황에 대한 모독이다.

78. 그와 반대로 현 교황이나 또는 다른 어떤 교황이라도 면죄보다 큰 은총. 즉, 고린도전서 12장에 가르치는 복음과 여러 가지 능력 또는 병 고치는 은사 등을 가지고 있다고 우리들은 주장한다.

79. 교황은 팔로 장식된 십자가상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똑같은 능력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모독이다.

80. 이와 같은 가르침이 사람들 가운데서 선포되는 것을 묵인하는 감독과 교구 목사들과 신학자들은 이에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81. 이와 같은 뻔뻔스러운 면죄 설교로 비방과 또는 일반 세인의 의심 없는 날카로운 반대로부터 교황에 대한 존경을 수호하기란 제아무리 박식한 사람에게 있어서도 쉬운 일이 아니다.

82. 예로서 만일 교황이 베드로 교회당에 소비될 썩어질 금전으로 인하여 수없이 많은 영혼을 구원한다고 할 것이면 (이것도 구실에 불과하지만) 어찌하여 가장 정당하다고 볼 수 있는 이유 즉 거룩한 사랑과 영혼들의 최고의 필요를 위하여 연옥을 비우지 않는가?

83. 또한 이미 구속받은 사람을 위한 기도는 부당한 일인데 무엇 때문에 죽은 사람의 장례식이나 연기제 (年忌祭)를 계속하는가? 또 무엇 때문에 교황은 그런 목적으로 교회에 바친 기부금을 돌려주지 않으며 혹은 그것 (기부금)의 취소를 허락하지 않는가?

84. 또한 돈 때문에 불 경건한 자와 하나님의 원수들로 하여금 그의 사랑을 받는 경건한 영혼을 구하도록 허락하면서, 그 경건한 영혼 자신의 필요를 위하여서는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를 구해내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님과 교황의 어떤 새로운 신성함인가?

85. 또한 참회에 관한 교회의 법규는 사실상 오랫동안 사용치 않았기 때문에 폐지되고 사문화되었는데 왜 아직 돈으로 인한 면죄증 부여를 통하여 구속해 내는 것 같이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

86. 또한 오늘날 제일 부자의 재산보다도 더 많은 재산을 가진 교황이 가난한 신자의 돈으로 행하는 대신 차라리 자기의 돈으로 성베드로 교회당쯤은 세울 수 있지 않는가?

87. 또한 완전한 참회로 충분한 사면과 속죄에 대한 편리를 가진 사람들에게 무엇을 사하려 하고 무슨 영적 은혜에 참여를 주려는가?

88. 또한 교황이 각 신자에게 사면과 은총의 참여를 지금 하루에 한번 주는 것을 만일 하루에 백 번 준다고 한다면 교회는 얼마나 더 큰 축복을 얻게 되겠는가? (면죄증에는 그것으로써 한 번만 사죄된다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89. 만일 교황이 면죄증으로써 돈보다도 영혼의 구원을 생각하였다고 본다면, 무엇 때문에 그는 오래전부터 주어 오던 증거나 면죄증을 정지하는가? 똑같은 효력을 가졌음에 틀림없지 않는가?

90. 일반 세인이 열거한 반론에 대하여 떳떳한 이유를 들어 해결하지 않고 다만 권력으로만 억압하는 것은 교회와 교황을 원수의 조롱거리가 되게 만드는 일이요 또 그리스도인을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다.

91. 그러므로 만일 면죄증이 교황의 정신과 의도에 따라 선전된다면, 이 모든 문제 (Bedenken)는 쉽사리 해결되었을 것이다. 아니 그것은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92. 그런고로 그리스도의 백성을 향하여 평안도 없는데 “평안, 평안”하고 부르짖는 예언자들은 다 물러가라. (겔 13:10 16 렘 6:14, 8:11 살전 5:3)

93. 그러나 그리스도의 백성을 향하여 “십자가, 십자가”하고 부르짖는 모든 예언자들은 축복을 받을지어다. (사실) 십자가는 없는 것이다.

94. 그리스도인은 형벌이나 죽음이나 지옥을 통하여서 머리되신 그리스도를 부지런히 따르도록 훈계 받아야 한다.

95. 이같이 하여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위안에 의해서보다 오히려 많은 고난을 통하여 하늘 나라에 들어가는 데 더욱 깊은 신뢰를 가지게 하라. (행 14:22).

○ 루터의 신학 사상

마르틴 루터의 신학의 핵심사상은 크게 세 가지 구호로 설명된다.

“믿음만으로 (sola fide)! 은총만으로 (sola gratia)! 성서만으로 (sola scriptura)!”

– 오직 성경, 오직 은총, 오직 믿음

루터의 종교개혁사상은 철저히 하나님 중심이었다. 그의 종교개혁 작업의 핵심은 하나님을 인간의 눈으로 판단하고 그 위에 자신의 종교를 쌓아가려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항하여 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하는 것이었다. 사실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라고해서 성서의 권위와 성령의 감도 (영감)에 대해 모르는 바가 아니었다. 또한 선행(先行)하는 하나님의 은총을 가르치지 않은 것도 아니었다. 게다가 믿음의 중요성에 무지한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루터에게 있어서 급진적이었던 것은 이 말들 앞에 붙은 한 작은 단어, “오직” (sola) 이었다. 루터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이것들을 말하면서도 실은 그 밑바닥에는 인간 중심의 종교가 사로잡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서의 권위를 말하면서도 성서를 해석하는 교황의 권위를 그 위에 세웠으며, 은총을 하나님이 주신다고 말하면서도 그것을 인간이 율법의 의를 쌓는 데 도움을 주는 하나의 ‘능력’으로만 이해하였고, 믿음이 중요하다는 말을 처음에는 시작하다가 어느덧 ‘선행 (善行)으로 형성된 믿음’을 강조했던 것이다.

그러나 루터는 성서는 그 문자가 자명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어느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책으로서, 자신 이외의 다른 어떤 해석자도 중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성서만으로!), 은총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죄인들을 죄인에서 의인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그리스도 신앙을 보시고 의인으로 인정해 주시는 ‘호의’ (신학용어로 이를 ‘칭의’라고 한다.)로 이해하였고 (은총만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믿음은 단번에 모든 율법을 성취하며 인간을 의롭게 한다고 하였다 (믿음만으로!).

‘오직 성서’ (Sola Scriptura)는 교권주의에 대한 저항이기도 했다. 신학과 교리의 최우선의 권위는 성서라고 주장함으로써 교황의 권위는 절대적이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 오직 그리스도

하나님 중심의 원칙 하에서 나온 이 세 가지 종교개혁의 구호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 있으며 또한 ‘그리스도만으로’의 원칙이 서로를 연결시켜 주는 끈이다. 루터는 신·구약성서를 통틀어 성서의 주제는 그리스도라고 이해하여,

“그리스도를 성서에서 빼보라. 그리하면 성서에서 무엇을 더 찾을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으며, ‘은총만으로’는 대속에 있어서 우리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으심의 절대적 중요함과 또한 충분함을 주장하였고, ‘믿음만으로’는 율법의 종결자로 오시며 그 요구를 ‘텅 비게’ 하시는 신인 (神人)즉, 참 하나님이요, 참 인간이신이신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가르침은 교리뿐만 아니라 윤리, 문화, 정치에까지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루터는 이 조항 위에 교회가 서기도 하고 무너지기도 한다고 그 중요성을 강변하였다. 믿음으로 하나님께 올바른 사람으로 인정받은 사람은 더 이상 올바른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하나님께 자신의 행위를 드릴 필요가 없다. 대신 그는 그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이웃에게 베푼다.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 (calling, 부르심) 안에서 충실할 때 누구보다도 거룩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며, 율법의 완성인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다.

복음주의 신학자 김세윤 박사는 ‘기독교 사상’ 2008년 12월호에 기고한 ‘한국교회의 새로운 개혁을 위하여’에서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가 주장한 오직 그리스도 사상은 교회가 선언해야 할 복음이 십자가에서의 죽으심과 부활로써 그리스도가 되신 예수를 전하는 십자가 복음이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은 십자가의 복음이 아닌 세상에서 부와 출세의 복음이 지배하는 한국 교회에 적절한 비평이라고 김세윤 박사는 신학자의 지성으로 주장하였다.

– 자서전적 단편

루터는 세상을 떠나기 전인 1545년에 학자들이 소위 “자서전적 단편”이라고 부르는 글을 썼다.

한편, 그해 (1519년) 동안에 나는 이미 새롭게 시편을 해석하는 일에 돌아와 있었다. <중략> 나는 확실히 로마서에 있는 바울을 이해하기 위해 특별한 열정에 사로잡혔다. 그러나 그 때까지 내 길을막고 있던 것은 내 심장 주위의 차가운 피가 아니라 1장(17절)에 있는 “그 안에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라는 한 단어였다.— Luther, ‘Preface to the Complete Edition of Luther’s Latin Writings, LW 34:336

– 섬김의 신학

마르틴 루터는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행동하는 신학자였다. 그는 노동을 하지 않고 구걸하는 것 곧 무위도식에는 “구걸은 하나님의 계명에 어긋나는 것이고, 윤리에 어긋나며, 인간 존엄성에도 어긋난다.”라는 논리로 반대했지만, 배우자와의 사별, 질병, 강자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약자를 착취하는 구조적 악 등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에 대해서는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사랑은 곤경에 처한 형제를 돕고 섬기는 것이며, 이를 실천하는 것이 가장 큰 예배”라며 찬성하여 매주 주일마다 라이스니히 시에서 시민들이 매 주일 예배때마다 공동모금함에 봉헌하여 모아진 헌금으로 병·연로함 등으로 노동을 할 수 없는 시민들을 돕는 라이스니히 금고규정 (1523년)에 서문작성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전통은 북유럽에도 번져나간다.

– 비평

.반유대주의

루터는 1543년에 발표한 ‘유대인들과 그들의 거짓말’ (Die Juden und ihre Lügen)이라는 글에서 “유대인의 회당을 불지르고, 그들을 죽이고, 매장하고 회당을 무너뜨리고, 탈무드를 빼앗으라”고 주장하며 갑자기 유대인 탄압을 선동한다. 루터의 이런 주장은 19세기 초 반유대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독일에서 기독교사회노동당 대표인 아돌프 슈퇴커(Adolf Stoecker) 에 의해 널리 퍼져 나갔고 나치에게 파급되었다. 또한 루터는 지옥에 갈 것이라고 협박까지 해 가면서 유대인들에 대해 인도주의를 제공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손대접’, Christine paul, 정옥배 옮김, 복있는 사람, p.123).

.현실권력과의 결탁

또한 루터의 종교개혁은 지배계급들과의 결탁에 의해 진행되었으므로, 독일농민들이 제후들의 착취에 대항하여 민중항쟁을 벌이자 (독일 농민전쟁), 제후들에게 서신을 보내 진압해야 한다고 선동하였다. 루터는 농민항쟁 진압을 정당화하기 위해 제후들의 착취에 맞서 계급투쟁을 벌이는 농민들을 사회를 위험하게 하는 폭도라고 비방하였지만, 실제로는 제후들과의 결탁이 유지되지 않으면 종교개혁이 진행될 수 없다는 현실적 이유에서 농민항쟁 진압을 주장하였다. 즉 루터에게는 억압적이고 착취적인 지배질서로 부터 민중을 구원하는 성서의 하나님보다, 현실권력인 제후들과의 결탁을 통한 종교개혁 진행이 중요했던 셈이다. 이는 개신교도 기존 로마 가톨릭교회 처럼 종교와 정치간의 결탁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사실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재침례교에서는 종교와 정치간의 분리를 주장한다. 하지만 정치와 종교의 분리사상은 시민혁명 이후 종교와 정치간의 결탁이나 소모적인 대립을 막기 위한 것이지, 민중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지배질서에 대해 교회는 정치에 간여하면 안 된다면서 침묵하거나 기독교 근본주의에 뿌리를 둔 보수적이거나 때로는 수구적인 신학으로 유지시키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종교개혁가로서 의미

루터는 종교개혁을 주장했다는 사실에서 즉, 교회개혁의 신학적 모델을 제시했다는 사실에서 중요한 신학자이다. 복음주의 클럽 운영자인 양희송은 ‘복음과 상황’ 171호 표지이야기- “불멸의 루터, 한 말씀하시다”에서 루터를 가리켜 기성교회인 로마 가톨릭을 비판하는 지성과 자신의 생각을 95개조 반박문 작성으로 옮긴 열정을 모두 갖춘 신학자라고 평가했다.

“한국의 기독교인들 보면 이래도 좋고 저래도 괜찮다는 식으로 사는데, 제발 좀 그러지 말았으면 해. 내가 한국교회를 보면서 제일 안타까운 것이 공부를 안 한다는 거요. 교회개혁 이야기하면 꼭 ‘기도 했냐?’ 물어보는 사람 있는데, 기도는 필수고 개혁운동은 연구해야 해요. 종교개혁이 그냥 어느 날 갑자기 나온 운동이 아니라고. 중세의 수도원들은 매일 최소 세 번은 기도회를 갖는 수도공동체였지만, 동시에 신학자의 도서관이자 연구실이기도 했소. 나도 어거스틴 수도회에서 수 년간 신학과 성서 연구를 꼼꼼히 할 기회가 있었으니 나중에 신학 논쟁에서 내 입장을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이고, 내 동료들도 다 신학의 전문가들이었소. 생각해봐요. 교황체제 자체가 거대한 교리와 역사의 결집체인데, 이를 극복하겠다는 사람들이 턱도 없이 모자란 공부로 무얼 한단 말이오. 소경이 소경을 인도할 수 없지 않소.

나는 평생을 개혁운동에 매진했고,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빠져들거나 지도자들의 탈선으로 추종자들이 목숨을 잃는 사례도 보았네. 개혁운동은 객기로 할 운동이 아니오. 진짜 다 걸고 해야 할 운동이오. 그렇다면 그에 걸맞은 내용과 방향을 찾는 일은 결사적으로 해야 하오.”

루터 자신도 다음과 같이 기록함으로써 종교개혁은 정의감이 아닌 신학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논증한다.

“나는 격렬하고 고통스러운 양심으로 화를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바울의 그 말씀에 끈덕지게 매달렸고 아주 열렬히 성 바울이 원하는 것을 알고자 하였다. 마침내 하나님의 자비로 밤낮으로 묵상하는 가운데 나는 그 단어들이 나오는 문맥에 주의를 기울였다.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로마서 1장)’ 거기서 나는, 하나님의 의는 이 의에 의하여 의인이 하나님의 선물, 즉 믿음으로 살아가는 바 그 의라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 여기서 나는 완전히 새로 거듭나서 열린 문들을 통하여 낙원으로 들어갔다는 것을 느꼈다. … 그리고 나는 ‘하나님의 의’라는 단어를 이전에 미워하였던 것만큼이나 이제 사랑으로 나의 가장 달콤한 단어로 찬양하였다. 이렇게 해서 바울의 바로 그 구절은 내게 진정으로 낙원으로 들어가는 문이 되었다.”

또한 그의 십자가 신학은 기독교의 전통인 청빈, 자족과 반대되는 영광의 신학에 물든 미국과 한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교회에 좋은 대안이 된다.

“삶의 방식으로 볼 때, 영광의 신학이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승리로 인한 번영과 복 받음, 승리를 강조하는 데 비해, 십자가 신학은 사랑과 자기희생, 총체적 헌신과 복종의 삶을 기독교인이 걸어가야 할 올바른 삶의 길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십자가 신학은 고난 속에 참여해야 하나님을 바로 알 수 있다고 말하며 또 실제로 그렇게 함으로 헛된 승리주의를 거부하고 십자가와 함께 시대의 어둠을 넘어 예수의 부활에 참여하고자 한다.”

○ 저작들

1516년 로마서 강의

1520년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하여

탁상담화

마르틴 루터의 기도

대교리문답

독일 기독교 귀족에게 고함

교회의 바벨론 감금

히에로니무스 스쿠르테투스 주교에게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삼위일체론

Weimarer Lutherausgabe (WA), 120 Bände, 1883–2009 (Sonderedition 2000–2007).

Kurt Aland (Hrsg.): Luther deutsch. Die Werke Martin Luthers in neuer Auswahl für die Gegenwart. (1957–1974) 4. Auflage. Vandenhoeck & Ruprecht, Göttingen 1991.

Kurt Aland (Hrsg.): Martin Luther. Gesammelte Werke. 😊 CD-Rom, Digitale Bibliothek. Band 63). Directmedia, Berlin 2002.

Martin Luther. Studienausgabe in 6 Bänden. Evangelische Verlagsanstalt, Leipzig, 1987–1999.

Tischreden. Reclam, Ditzingen 1981.

Sendbrief an den Papst Leo X. Wittenberg 1520, 13 Seiten.

Von der Freiheit eines Christenmenschen. Wittenberg 1520, 24 Seiten.

De servo arbitrio. (Vom unfreien Willen), 1525.

Der kleine Katechismus. Wittenberg 1529.

Der Große Katechismus. Wittenberg 1529.

Disputatio de homine. 1536.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

목회칼럼 메일보내기 목록 제목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 글쓴이 우리 IP 71.212.26.165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 해마다 찾아오는 10월 31일. 사람들은 이 날을 ‘할로윈’으로만 알고 있지, 1517년 독일 비텐베르크에서 마틴 루터가 성경적인 신앙에서 일탈해 탐욕과 우상으로 그 뿌리까지 썩어버린 교황과 카톨릭을 비판하며 95개조 반박문을 써붙이고, “제발 성경으로, 바른 신앙으로 돌아가자!”고 목숨을 걸고 외친 종교개혁일인 것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미국에서는 어둠의 세력과 결탁한 상업주의와 미디어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샤핑몰에 거미줄과 해골, 좀비와 같은 장식들과 괴기스러운 커스튬, 그리고 “Trick-or-treat!”을 위한 사탕과 쵸코렛을 진열해 놓고, 분별력이 없는 어린이들과 대중들을 대상으로 할로윈을 큰 축제로 포장하고 있다. 문제는 많은 크리스천들이 할로윈을 하나의 어린이들을 위한 문화로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커다란 잘못이다. 우리는 너무나 영적으로 나이브(naive)해져서 할로윈과 같은 세상속에 파고들어온 악한 문화를 분별하지 못하고, 그와 같은 악한 문화를 통해 역사하는 사탄의 영향력을 너무나 순진하게 간과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거의 모든 학교에서 할로윈 페스티발과 커스튬 퍼레이드를 선생들과 학생들이 함께 어울려서 하는 상황 속에서, 믿음의 자녀들에게 재미로라도 귀신 놀이에 참여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잘못된 것임을 가르치고 지키게 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 되어버렸다. 또한 많은 크리스천 부모들도 “꼭 그렇게까지 해야하느냐?”고 되묻는 현실이 되어버렸다. 우리는 먼저 “세상 사람들이 다 하는 문화적인 것은 우리 크리스천들도 따라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지 않는가?”라는 생각에 성경에서 답을 찾고, “그것이 하나님의 뜻과 식이 아니라면 모든 사람들이 옳다고 주장하더라도,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분별력과 담대함이 있어야 한다. 또한 믿음의 부모된 자로서 우리들은 자녀들에게 선과 악을 분별할 수 있도록 하나님 말씀을 기준으로 가르치고 훈련시켜야할 책임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성경은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살전5:21-22)고 분명히 가르치고 있고,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롬 12:2)고 명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사회속에서도 참된 크리스천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을 할로윈과 같은 세속적이고 악한 문화로부터 지키려고 한다. 그들은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바탕으로 올바른 지식을 가르쳐주고, 잃어버린 영혼구원을 위한 전도의 기회로 삼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크리스천들은 이 날을 어떻게 보내야할까?

먼저 자녀들에게 할로윈의 유래와 풍습들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성경적인 관점에서 공부하고, 가르쳐주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세상의 악한 문화를 따르지 않는 하나님의 사람들이라는 정체성을 분명하게 각인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하나님께서 마틴 루터가 를 통해 일으키셨던 종교개혁의 핵심 가치인 “The Five Solas of the Reformation”을 이해하고 가르쳐 주면 좋을 것이다. 1) Sola Scriptura: The Scripture Aloneis the Standard 오직 성경: 참된 권위는 오직 성경에 있다. 2) Sola Deo Gloria! For the Glory of God Alone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을! 3) Solo Christo! By Christ’s Work Alone are WeSaved 오직 그리스도! 오직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로 우리는 구원받게되었다. 4) Sola Gratia: Salvation by GraceAlone 오직 은혜: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다. 5) Sola Fide: Justification byFaith Alone 오직 믿음: 믿음을 통해서 의롭게 된다. 우리 교회들도 종교개혁의 정신을 가르쳐 이 마지막 시대를 어떻게 살아야 하며, 주님 다시오실 날을 어떻게 준비해야할지에 대해 가르쳐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 하나님 말씀인 성경으로 돌아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바로 깨달아, 세상 사람들에게 복음을 가르쳐 지키게 하는 사명을 감당하는 성숙한 크리스천들이 되길 힘써야겠다. 개신교를 뜻하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는 세상의 악에 저항하는 믿음의 사람들을 뜻한다. 우리 모두 악에게 지지말고 진리와 선으로 우리의 삶을 무장해 악을 이기고, 하나님께 영광돌리는 귀하고 복된 삶을 함께 살아가길 기도한다. “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슨사자 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너희는 믿음을 굳게하게 하여 그를 대적하라!” (베드로전서 5:8-9)

메일보내기 목록 위 성탄시즌, 어.. 우리 2016-01-19 아래 마리아의 포.. 우리 2016-01-18

[특별기고] 10월 31일, 왜 종교개혁의 날인가?

비텐베르크 성에 ‘95개조 반박문’ 붙인 날

▲ 주도홍 교수(백석대 교회사)

세계교회가 종교개혁의 날로 지내는 10월 31일은 독일의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1483-1546)가 비텐베르크 성(城) 교회의 문에 1517년 면죄부 반박 95개 조항을 붙인 날이다.

독일에서는 이 날을 노동이 없는 법적 공휴일로 지내는데, 통일 후 독일연방공화국 중에서 브란덴부르크, 메크렌부르크-포포멜른, 작센, 작센-안할트, 튀링엔 주가 동참하고 있다. 독일 공휴일 법에 따라 소위 일컫는 ‘조용한 공휴일’인데, 이 날에는 공적인 유흥행사나, 음악행사 또는 술집 영업 등이 금지된다.

바덴-뷔르템베르크에서 종교개혁의 날은 학교가 문을 닫으며, 니더작센에서 개신교 정신으로 세워진 학교는 수업을 예배로 대체한다.

스위스 개혁교회는 11월 첫 주일을 종교개혁의 날로 지내며, 가톨릭교회가 우세인 오스트리아에서는 공휴일로 지내진 않지만, 개신교적 학교에서는 10월 31일에 학교가 쉬며, 교회에 적을 둔 노동자들은 이날에 교회 기념예배에 참석하는 기회를 주고 있다.

슬로베니아에는 개신교가 단지 1%밖에 되지 않지만, 거대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공휴일로 지내는데, 슬로베니아 출신 종교개혁자 트루바(Primoz Trubar)가 1550년 모국어로 최초의 책들을 출판해냈으며, 그의 제자 달마틴(Jurij Dalmatin)이 1584년 슬로베니아어로 된 성경전서를 발간하였기 때문이다. 2006년부터 남미의 칠레에서도 10월 31일 종교개혁의 날을 공휴일로 지내고 있다.

실제로 루터가 10월 31일 성 교회 문에 면죄부 반박문 95개조를 붙였는가가 논란이 되기도 하는데, 분명한 것은 루터가 10월 31일 이 날에 95개조를 당시 마인즈와 마그데부르크의 주교였던 알베트(Albert)에게 보냈다는 것이다.

루터의 95조 반박문이야말로 근대 초기에 있어서 가장 의미 있는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데, 이 사건과 더불어 교회의 종교개혁이 출발되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독일의 교회사가 카우프만(Thomas Kaufmann)은 루터가 1520년에 쓴 ‘독일 기독교 귀족에게 고함’(An den christlichen Adel deutscher Nation)이야말로 95개조 반박문보다도 훨씬 더 큰 의미를 갖는다고 말한다.

종교개혁의 날을 언제로 할 것인가를 두고 상이한 입장들을 보였는데, 루터의 출생일인 11월 10일을, 그의 사망의 날인 2월 18일을 기념일로 지키기도 했으며, 어떤 경우는 아우그스부르크 신앙고백(Augsburger Konfession)의 공포의 날 6월 25일을 종교개혁 기념일로 내세우기도 했다.

그러다 1667년 작센의 성주 게오르그 2세)Johann Georg II)에 의해 10월 31일을 확정하여 전국적으로 따르게 되었는데, 1617년 종교개혁 100주년을 맞이하여 개혁교회 성도였던 팔츠의 성주 프리드리히 5세(Friedrich V)가 10월 31일에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이끌며 주도권을 잡았다. 최근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독일의 헤센, 니더작센 그리고 자알란트 주가 10월 31일을 공휴일로 선포할 준비를 하고 있다.

2014년에도 루터의 도시 비텐베르크(Wittenberg)에서는 종교개혁의 날을 맞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축제를 연다.

이 기간에 많은 행사들이 준비되고 있는데, 광장에서의 잘 알려진 중세적 종교개혁 재현, 기념 예배들 그리고 기념음악제가 열린다. 게다가 독일과 스웨덴에서 모여든 교회 입교식을 앞둔 500명으로 이루어진 청소년들이 종교개혁의 역사적 현장을 따라 순례하며, 종교개혁기념예배를 드린다.

게다가 국내외에서 모여든 수백 명의 뮤지션들의 기념 연주가 특별하게 이뤄진다. 그 외 독일 전역에서는 일반적으로 10월 31일 저녁에 종교개혁 기념예배가 열리는데, 설교에서는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이 직접 부각되기보다는 죄인들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는 이신칭의 교리가 강조되며, 이 교리야말로 종교개혁 정신의 핵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설교를 위해 읽혀지는 성경은 로마서 3:21~31절과 마태복음 5:2~10절이며, 즐겨 부르는 찬송은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에서도 애송하는 루터의 “내 주는 강한 성이요!”Ein feste Burg ist unser Gott(독일개신교 찬송가 362장)가 빠지지 않으며, 루터의 대화체 노래인 “지금 기뻐하라, 내 사랑하는 그리스도인들이여!”Nun freut euch, lieben Christen g’mein(독일 341장)와 파울 게어하르트(Paul Gerhardt)의 “나를 위하시는 하나님이여, 나를 대적하는 모든 것을 물리치소서!”Ist Gott fuer mich, so trete gleich alles wider mich(독일 351장) 중에서 한 곡이 불려진다.

종교개혁의 날, 교회를 장식하는 색으로는 성령과 교회를 보여주는 빨강이다. 21세기 한국교회도 이 역사적인 날을 기억하여 기념하고, 종교개혁의 정신을 다시 곰곰이 짚어 늘 새로워지는 교회가 되길 소망한다.

저작권자 © 아이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종교개혁의 달 10월, 루터가 남긴 10가지 신학 원리

정통 교회 내에 영구적 수용·적용되어야 할 원리

이들 원리 위에 개인 신앙과 교회 공동체 세울 때

한국교회, 더 건강하고 성숙하게 변화되어 갈 것

▲95개조 논제를 성문에 게시하는 마르틴 루터. 벨기에 작가 페르디난드 파웰(Ferdinand Pauwels)의 그림이다. ⓒ위키피디아

루터 신학의 영구적인 유산(Permanent Legacy of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과 한국교회 개혁

중국 우한 폐렴,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를 강타한 지도 어느덧 1년이 다 되어간다. 한번도 경험한 적이 없는 사태가 이렇게 오래 지속되리라고는 아무도 생각을 못했을 것이다. 정신없이 코로나와 싸워오느라 세월을 잊고 살았는데, 정신을 차리고 캘린더를 응시하니 벌써 10월 중순에 접어들었다.

10월에는 항상 기다려지고, 또 고대하는 날이 있다. 그것은 10월 31일 종교개혁 기념일이다. 503년 전인 1517년부터 유럽교회는 종교개혁을 통과하면서 영광스러운 복음의 회복과 참된 교회의 부흥을 경험했다.

흑사병이라는 무서운 전염병으로 고통당하던 당시 유럽의 그리스도인들을 주님은 은혜의 복음을 회복하는 대사건을 통해 위로해 주신 것이다. 오늘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고통 중에 있는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님께서 마련하신 위로의 선물도 한국교회의 놀라운 회복과 부흥이길 간절히 기도한다.

종교개혁의 도화선이 되었던 것은 1517년 10월 31일 루터가 면죄부를 포함한 교황의 폭정과 가톨릭의 비성경적 가르침에 대한 토론을 제안하는 반박문을 내건 것이었다. 루터는 그 이후 약 30년간 종교개혁운동을 이끌면서 다양한 신학적 작업을 하게 된댜.

이런 신학적 작업을 통해서 루터는 복음주의 개신교의 아버지가 되었다. 그의 신학이 우리에게 남기는 영구적인 유산을 아래와 같이 10가지로 요약해 본다. 이 유산들을 오늘날 한국교회 내에서 잘 회복하고 적용한다면 한국교회의 미래는 더 밝아 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1. 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하라

2. 성경만이 하나님의 말씀이다

3. 전적 타락과 인간 의지 속박

4.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

5. 율법은 죽이고, 복음 살린다

첫째는 하나님을 하나님 되게 하라(Let God be God!)는 원리이다.

그것은 하나님이 만사와 만물 그리고 우주와 역사의 중심이시며, 하나님 없이 인간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뜻이다.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과 신앙을 회복할 때 인생의 참된 가치, 의미, 목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구원은 인간이 주도하는 행위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행하심에 달려 있다는 의미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구원은 철저히 하나님이 주권적인 은혜로 주시는 선물이라는 뜻이다.

둘째는 성경만이 하나님의 말씀이며(Sola Scriptura), 성경이 성경을 해석한다(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는 원리이다.

루터에게 있어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의 신앙과 행위에 대한 최고의 규범이었다. 그리고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만 하나님을 알 수 있고, 죄인이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성경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이자 구원의 계시이다.

셋째는 의지의 속박(The Bondage of the Will/ De Servo Arbitrio, 1525)이라는 신학적 원리이다.

루터가 ‘의지의 속박’이라는 논문을 쓰게 된 것은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De Libero Arbitrio)에 반박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이 논문을 통해 인간 본성의 전적 타락을 명쾌하게 논하면서, 인간의 의지가 죄에 속박된 노예의지임을 분명하게 밝혔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의 노력이나 능력으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고, 외부의 구원자를 기다려야 한다.

넷째는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The Cross Alone is Our Theology)이라는 원리이다.

루터는 십자가의 신학과 영광의 신학을 대비시키면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죄인을 대속하기 위한 죽음을 경험한 십자가의 사건이 하나님이 어떠하신 분이신지를 가장 분명하게 계시해 준다고 주장하였다.

다섯째는 율법과 복음(the Law and the Gospel)의 원리이다.

루터에 따르면 율법은 죄를 지적하고, 드러내고, 고발하며, 죄인을 정죄하고, 죽인다. 반면 복음은 죄를 용서하고, 덮고, 죄인을 살린다. 그래서 루터는 성경의 어느 본문을 읽더라도 이 율법과 복음의 원리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6. 그리스도인의 자유라는 선물

7. 복음의 중핵, 이신칭의 원리

8. 선행은, 성도의 필연적 열매

9. 만인제사장론, 만인선교사론

10. 소명론, 모든 직업의 성직화

여섯째는 그리스도인의 자유(On the Freedom of a Christian; De Libertate Christiana; Von der Freiheit eines Christenmenschen)라는 원리이다.

루터는 ‘그리스도인의 자유’라는 논문을 통해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은 완전히 자유로운 만물의 주로서 어느 것에도 종속되지 않는다.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은 완전히 모든 사람에게 의무를 진 종으로, 모든 것에 종속된다”고 주장함으로써, 그리스도인에게 주신 자유가 얼마나 위대한 선물인가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일곱번째는 이신칭의(Justification through Faith by Grace Alone, Sola Gratia et Sola Fide)의 원리이다.

칭의는 죄인이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와 구주로 믿고 영접할 때 하나님은 그 죄인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예수님 만큼 의로운 자라고 선언하시는 사건이다. 루터는 이신칭의가 복음의 중핵이라고 주장하였고, 칭의 교리가 교회가 서고 넘어지는 교리(justificatio est articulus stantis et cadentis ecclesiae)라고 주장하였다.

여덟번째는 그리스도인의 선행이 오직 은혜와 믿음으로 칭의된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필연적으로 열리게 되는 열매라는 원리이다.

그리스도인의 선행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가 기초이며, 또한 선행은 구원받음의 목적(엡 2:8-10)이고, 성경은 그 선행을 사랑과 나눔으로 요약한다고 주장하였다. 루터는 믿음이 어머니라면, 선행은 그 어머니의 모태에 잉태된 아기라고 했다. 참된 믿음은 선행을 잉태하고 있으며, 참된 믿음은 반드시 선행을 낳는다.

아홉번째, 만인제사장(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의 원리이다.

이 만인제사장의 원리는 만인신학자론(The Theologianhood of All Believers)과 만인선교사론(The Missionaryhood of All Believers)으로 확대될 수 있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영적인 제사장으로서 다른 어떤 인간 매개자나 중재자 없이 오직 참된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힘입어 하나님께 담대히 나아가 하나님을 예배하며,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게 되었다. 영적인 제사장인 그리스도인은 동시에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도록 부름받은 신학자이며, 하나님의 덕을 선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피묻은 복음을 증거하도록 부름받은 선교사이다.

마지막 열번째는 소명론이다.

루터에 따르면 소위 풀타임으로 교회를 섬기는 성직자 또는 교역자만이 하나님께 소명을 받은 자가 아니라, 만인 즉 모든 그리스도인이 소명을 받은 자이며, 그들에게 주신 모든 직업이 성직이다라는 원리이다.

이상 루터가 강조한 10가지 신학적 원리는 정통 교회 내에서 영구적으로 수용되고 적용되어야 할 원리이다. 이 10가지 신학적 원리 위에 우리 개인의 신앙과 교회 공동체를 세워나갈 때 한국교회는 더 건강하고 성숙한 교회를 변화되어 갈 것이다. 주님께서 수일 내에 이 일을 성취해 주시길 간절히 소원한다.

▲정성욱 교수.

정성욱 박사

美 덴버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저서 <티타임에 나누는 기독교 변증>, <10시간 만에 끝내는 스피드 조직신학>, <삶 속에 적용하는 LIFE 삼위일체 신학(이상 홍성사)>, <한눈에 보는 종교개혁 키워드>, <한눈에 보는 종교개혁 키워드>, <한눈에 보는 십자가 신학과 영성>, <정성욱 교수와 존 칼빈의 대화(이상 부흥과개혁사)>, <한국교회 이렇게 변해야 산다(큐리오스북스)>, <밝고 행복한 종말론(눈출판그룹)> 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종교 개혁 일

다음은 Bing에서 종교 개혁 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 종교개혁
  • Reformation
  • Luther
  • 루터
  • 루터란아워
  • CBS
  • 기독교방송
  • 교회의새로운미래
  • 독일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YouTube에서 종교 개혁 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종교개혁일 기념] 독일 현지 특집 좌담 「종교개혁 500주년, 교회의 새로운 미래를 꿈꾸다」 | 종교 개혁 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