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노동 행위 |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108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부당 노동 행위 –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한국노총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938회 및 좋아요 4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부당노동행위란 노동조합 등 근로자와 근로자단체에 대하여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사용자의 개입이나 불이익취급 등을 막기 위하여 동 법에서 사용자가 지켜야 할 작위 및 부작위 의무의 위반행위를 의미합니다.

부당 노동 행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 부당 노동 행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한국노총 새내기 노조 배움터

부당 노동 행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부당노동행위 – 나무위키

부당노동행위 · 1.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하였거나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6/25/2022

View: 6482

고용노동부> 정책자료> 노사관계 > 부당노동행위

형사절차에 의한 구제 · 부당노동행위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진정, 고소(발) 등 사용자의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음(법 제90조) · 부당노동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moel.go.kr

Date Published: 10/11/2022

View: 6464

부당노동행위(不當勞動行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부당노동행위(不當勞動行爲) … 사용자 측이 근로자의 근로3권(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행사를 방해하는 침해행위. 부노. …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4/4/2022

View: 1492

부당노동행위의 판단기준과 구체적 사례 – 월간노동법률

판례에 따르면,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란 노동조합의 조직, 운영 등과 같은 단결활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주도적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노동조합의 …

+ 더 읽기

Source: www.worklaw.co.kr

Date Published: 2/1/2022

View: 4906

부당노동행위 – – 대문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부당노동행위를 저지른 사용자를 형사 처벌(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하도록 정하고 있다. 진짜로 노조 파괴하다 감옥 …

+ 더 읽기

Source: gabjilwiki.com

Date Published: 8/27/2022

View: 8504

부당노동행위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통합검색결과

…. 그 밖에 다른 법률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소관으로 규정된 업무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권리구제 부당노동행위의 의미 “부당노동행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easylaw.go.kr

Date Published: 10/3/2021

View: 568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부당 노동 행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부당 노동 행위

  • Author: 한국노총
  • Views: 조회수 3,938회
  • Likes: 좋아요 46개
  • Date Published: 2021. 1. 2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N01G8fBXWM4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 다만, 노동조합이 당해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3분의 2 이상을 대표하고 있을 때에는 근로자가 그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단체협약의 체결은 예외

* 다만 근로자의 후생자금 또는 경제상의 불행 그 밖에 재해의 방지와 구제 등을 위한 기금의 기부와 최소한의 규모의 노동조합사무소의 제공 및 그 밖에 이에 준하여 노동조합의 자주적인 운영 또는 활동을 침해할 위험이 없는 범위에서의 운영비 원조행위는 예외

부당노동행위(不當勞動行爲)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이 규정하고 있는 부당노동행위의 유형은 다섯 가지로서 첫째,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거나 기타 정당한 조합활동을 한 것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행위, 둘째,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거나 또는 노동조합으로부터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 셋째, 노동조합과의 단체협약체결 또는 단체교섭을 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 또는 해태하는 행위, 넷째, 노동조합의 조직 또는 운영에 지배·개입하는 행위와 노조전임자에게 급여를 지원하거나 노조의 운영비를 원조하는 행위, 다섯째, 근로자가 정당한 쟁의행위에 참가하거나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를 신고한 것 등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행위이다.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로 권리를 침해당한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은 부당노동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위원회에 그 구제를 신청할 수 있으며, 구제신청을 받은 노동위원회는 조사와 심문 절차를 거쳐 부당노동행위의 성립 여부를 판정하고, 기각명령 또는 구제명령을 내린다. 노동위원회의 판정에 불복하는 경우,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할 수 있고 재심판정에 불복하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은 사용자에게 이행의무만을 발생시킬 뿐 사법상의 효력은 없기 때문에, 이행을 강제하기 위하여 이행명령제도와 그 불이행에 대한 벌칙규정을 두고 있다.

▲이미지는 내용과 관련 없음(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

1. 문제의 소재

2. 부당노동행위의 판단 기준

3. 부당노동행위의 유형별 판단기준

4. 결 론

Criteria for Judging Unfair Labor Practices and Specific Examples

1. Introduction

2. Criteria for Judging Unfair Labor Practices

3. Judgment Criteria by Type of Unfair Labor Practice

4. Conclusion

헌법 제33조 제1항은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고 명시하고 있다. 노동3권은 헌법에서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이다. 노동조합법은 위의 노동3권과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노동3권의 침해행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에 대해 노동위원회를 통한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의 절차를 규정하고 있으며, 노동관청을 통한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형사처벌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판례에 따르면, 부당노동행위제도는 집단적 노사관계의 질서를 파괴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사전에 예방, 제거함으로써 노동3권을 확보해서 노사관계의 질서를 신속하게 정상화하기 위해 노동조합법에서 특별히 규정하고 있다고 한다.부당노동행위는 노동3권을 침해하는 행위다. 그 내용은 사용자와 사용자의 지위에 있는 자가 노동조합법 제81조의 기술된 5가지의 부당노동행위를 통해 노동조합이나 조합원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인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판단기준은 무엇인지, 현실에서 발생하는 유형별 사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부당노동행위의 3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용자의 행위여야 하고 둘째, 사용자의 행위가 노동조합법 제81조에 기술된 5가지의 내용 중 하나에 해당돼야 하며 셋째,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있어야 한다.부당노동행위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이뤄진다. 노동조합법에서 사용자는 노동조합의 가입대상에 제외되는 사업주, 사업의 경영담당자,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 사업주를 위해 행동하는 자 그리고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해서 행동하는 자를 말한다(노조법 제2조제2호, 제4호). 여기서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 사업주를 위해 행동하는 자’라 함은 근로자의 인사, 급여, 후생, 노무관리 등 근로조건의 결정 또는 업무상의 명령이나 지휘 감독을 하는 등의 사항에 대해 사업주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은 자를 말한다. 그리고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해서 행동하는 자’라 함은 ① 근로자에 대한 인사, 급여, 징계, 감사, 노무관리 등 근로관계 결정에 직접 참여하거나 ② 사용자의 근로관계에 대한 계획과 방침에 관한 기밀사항 업무를 취급할 권한이 있는 자를 말한다. 사용자 범위에 속하지 않는 근로자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지시에 따르거나 사용자의 묵시적 승인 아래 노동조합의 조직이나 운영을 방해하는 행위를 한 경우, 사용자의 행위로 봐야 한다. 그러나 일반 근로자가 개인적으로 노동3권을 침해하는 부당노동행위를 한 경우에는 이를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없다.① 노동조합 활동으로 인한 불이익 처분: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했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고 했거나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 (단결권 침해)② 반조합계약 작성: 근로자가 어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아니할 것 또는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거나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 (단결권 침해)③ 단체교섭을 거부하거나 해태: 노동조합의 대표자 또는 노동조합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와의 단체협약체결 및 기타 단체교섭을 정당한 이유없이 거부하거나 해태하는 행위 (단체교섭권 침해)④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지배 및 개입이나 운영비 원조: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 또는 운영하는 것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행위와 근로시간 면제한도를 초과해서 급여를 지급하거나 노동조합의 운영비를 원조하는 행위 (단결권 침해)⑤ 단체행동이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신고를 한 경우에 불이익 처분: 근로자가 정당한 단체행위에 참가한 것을 이유로 하거나 또는 노동위원회에 대해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를 신고하거나 그에 관한 증언을 하거나 기타 행정관청에 증거를 제출한 것을 이유로 그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 (단체행동권 침해)부당노동행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분명한 의사를 가지고 행해야 한다. 근로자의 정당한 조합활동을 근거로 한 의도적인 불이익이 있어야 한다. 관련 판례는, “사용자의 행위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정한 부당노동행위 여부는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모든 사정을 전체적으로 심리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불이익 취급은 다음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거나 조직이 있어야 하고 단체행동에 참가해야 한다. 둘째, 근로자가 노동조합에 가입하거나 활동한 것을 이유로 단체행동에 참가한 것에 대해 불이익 처분이 있어야 한다. 셋째,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내린 불이익 처분은 근로자의 정당한 조합활동을 근거로 해야 한다.(1) 전보명령에 관한 판례에서 “사용자가 근로자의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을 실질적인 이유로 삼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업무상 필요성을 들어 전보명령을 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부당노동행위라고 보아야 한다.”라고 판시하고 있다.(2) 해고와 관련된 판례에서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함에 있어 표면상의 해고 사유와는 달리 실질적으로 근로자가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해고한 것으로 인정된 경우에는 부당노동행위로 보아야 한다. 근로자의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실질적인 해고 사유로 한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측이 내세우는 해고 사유와 근로자가 한 노동조합 사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의 내용, 해고를 한 시기, 사용자와 노동조합과의 관계, 징계 재량의 남용 여부,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을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반조합계약은 단결권 방해, 단결강제, 유니언숍으로 구성돼 있다.(1) 단결권 방해는 근로자가 “어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아니할 것” 또는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어느 노동조합이라고 하면 복수노동조합 시대에 회사가 어용노조에 가입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노동조합에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한다는 것은 기존의 고용관계에서 다수노조의 힘을 약화시켜 무력화하려는 의도를 포함한 것이라 볼 수 있다.(2) 단결강제는 근로자가 특정한 노동조합원이 될 것으로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이다. 이는 사용자가 세력권 내에서 통제 가능한 노동조합을 다수 노조로 해서, 다수 노동조합을 어용노조로 만들려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3) 유니언숍은 노동조합이 당해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3분의 2 이상을 대표하고 있을 때 근로자가 그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이 조항은 단결강제의 예외적인 사항으로 해당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3분의 2 이상을 대표하고 있어야 체결할 수 있다. 해당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3분의 2 이상이 되지 않으면서 유니언숍 조항을 체결한 것은 반조합계약으로 부당노동행위이다. 적합하게 유니언 숍을 체결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근로자가 그 노동조합에서 제명된 것 또는 그 노동조합을 탈퇴해 새로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다른 노동조합에 가입한 것을 이유로 근로자에게 신분상 불이익한 행위를 할 수 없다 (노조법 제81조 2호).노동조합의 설립 목적은 단체협약을 통해서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단체협약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은 사용자와 단체교섭을 통해서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확정해야 한다.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대표자나 노동조합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자와의 단체협약체결 및 기타 단체교섭을 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하거나 해태하는 행위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여기서 단체교섭을 거부한다는 것은 노동조합이 요구하는 단체교섭에 응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단체교섭을 해태한다는 것은 형식상으로는 단체교섭에 응하지만, 성실하게 임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노동조합이 단체교섭을 요구하더라도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단체교섭을 거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유로 판례에서는 “단체교섭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나 해태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여부는 노동조합 측의 교섭권자, 노동조합 측이 요구하는 교섭시간, 교섭장소, 교섭사항 및 그의 교섭태도 등을 종합해 사회통념상 사용자에게 단체교섭의무의 이행을 기대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 지배·개입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 또는 운영하는 것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행위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된다. 조합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지배·개입은 실질적으로 사업주가 반조합적 발언이나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노동조합의 조직이나 운영을 지배나 개입해서 노동조합의 자주적인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판례에 따르면,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란 노동조합의 조직, 운영 등과 같은 단결활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주도적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노동조합의 의사결정을 좌우하거나 노동조합의 자율적 운영과 활동을 간섭·방해하고 조합탈퇴나 분열을 조장하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행위가 있을 경우 그것이 행하여진 상황, 장소, 그 내용, 방법, 노동조합의 운영이나 활동에 미친 영향 등을 종합하여 노동조합의 조직이나 운영을 지배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의사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한다” 라고 판시하고 있다.(2) 전임자 급여지급근로시간 면제한도를 초과하여 급여를 지급하거나 노동조합의 운영비를 원조하는 행위를 말한다. 유급 근로시간면제자는 사업 또는 사업장별로 종사근로자인 조합원 수 등을 고려해서 근로시간 면제 한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임금의 손실 없이 사용자와의 협의·교섭, 고충처리, 산업안전 활동 등 이 법 또는 다른 법률에서 정하는 업무와 건전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노동조합의 유지·관리업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근로시간 면제한도를 초과해서 임금을 수령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단순히 노조전임자에 불과할 뿐 근로시간 면제자로 지정된 바 없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원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부당노동행위가 된다. 근로시간면제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는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는 근로시간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노사 간 단체협약에 합의에 근거하였더라도 과다하게 책정된 전임자 급여는 부당노동행위가 된다.(3) 운영비 원조사용자가 노동조합의 운영비를 원조하는 행위는 부당노동행위다. 다만, 근로자가 근로자의 후생자금 또는 경제상의 불행 그 밖에 재해의 방지와 구제 등을 위한 기금의 기부와 최소한의 규모의 노동조합사무소의 제공 및 그 밖에 이에 준해 노동조합의 자주적인 운영 또는 활동을 침해할 위험이 없는 범위에서의 운영비 원조행위는 예외로 한다.노동조합의 운영비 원조에 있어 사용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지배·개입으로 엄격히 부당노동행위로 봤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운영비 원조금지 조항은 노동조합법 제81조 제4호 단서에서 정한 두 가지 예외를 제외한 일체의 운영비 원조 행위를 금지함으로써 노동조합의 자주성을 저해하거나 저해할 위험이 현저하지 않은 운영비 원조 행위까지 규제하고 있으므로, 입법목적 달성을 위한 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다” 고 판정했다.(4) 반조합적 발언과 지배개입사용자가 근로자 및 노동조합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는 ‘연설, 사내방송 등을 통해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와 ‘가정통신문·서신을 통해 의견을 표명하는 행위’ 등이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언론 표명이 노동조합 활동을 억압하거나 강제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합 활동에 대한 ‘지배·개입 의사’가 존재한다고 추정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언론의 자유가 있고, 노동조합은 노동3권을 행사함에 있어 부당노동행위 금지 규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나 사용자 지위에 있는 자의 의견표명이나 서면통지문의 부당노동행위 여부는 사용자의 노동3권 침해 의도에 따라 판단해야 할 것이다. 관련 판례를 보면, “사용자의 반조합적 발언이 지배, 개입에 해당하려면 노동조합의 자주성이나 조직력을 저해할 우려가 있어야 하고, 그러한 우려의 존부는 발언의 내용, 장소, 방법, 상황, 노동조합에 대한 영향, 추정되는 사용자의 의도 등을 종합적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라고 판시하고 있다.노동3권은 헌법에서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이고, 이를 구체화 하기 위해 노동조합법이 제정됐다. 노동조합 활동을 통해 근로자는 근로조건 유지와 개선이 가능하다. 이러한 노동3권의 행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노동조합법 제6장의 부당노동행위 규정이다. 부당노동행위 규정은 노동3권을 보장해서 노동조합의 생존력을 높이고 노사 대등의 상생 발전을 위한 제도다.Article 33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workers have the right to independent assoc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in order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The three labor rights ar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Trade Union Act has three labor rights mentioned above and provisions on unfair labor practices. It describes in detail the violations of the three labor rights, stipulates the procedure for applying for remedy for unfair labor practices throug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and allows criminal punishment for unfair labor practices through the Labor Office. According to the court ruling, the unfair labor practice system was specially established by the Trade Union Act to quickly normalize the order of labor relations by securing the three rights of labor by preventing and eliminating the actions of employers that destroy the order of collective labor relations.Unfair labor practices can be said to infringe on the three rights of labor. The content refers to the act of giving disadvantages to the union or its members through the five types of unfair labor practices described in Article 81 of the Trade Union Act by the employer and the person in the position of the employer.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take a detailed look at what are the specific criteria for judging unfair labor practices, and examples of each type that occur in reality.The three elements of unfair labor practices must be composed including the following: there should be the actions of the employer; there should be one of the five items described in Article 81 of the Trade Union Act, and the employer must have an intention to engage in unfair labor practices.Unfair labor practices are caused by the actions of the employer. In the Trade Union Act, an employer refers to an employer who is excluded from membership in a labor union, a person in charge of business management,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employer in matters relating to the workers of the business, and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employer’s interests (Union Act: Articles 2 and 4). Here, ‘a person acting for the employer in relation to the workers of the business’ refers to matters such as determin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salary, welfare, and labor management, or giving orders or supervising work. A person who has been given certain powers and responsibilities by the employer. And ‘a person who always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refers to ① directly participating in labor relations decisions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salary, disciplinary action, auditing, and labor management for workers, or ② related to the employer’s plans and policies for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 person who has the authority to handle confidential matters.Even if a worker who does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employer follows the employer’s instructions or under the tacit approval of the employer, acts that obstruct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of the union, must be regarded as an employer’s acts. However, if an ordinary worker personally engages in unfair labor practices that infringe on the three labor rights, it cannot be regarded as an unfair labor practice.① Unfavorable treatment due to labor union activity: Dismissal or unfavorable treatment of a worker on grounds that he has joined or intends to join a labor union, or have attempted to organize a labor union, or have performed any other lawful act for the operation of a labor unio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organize)② Anti-union contract: Dismissal or unfavorable treatment of a worker on grounds that he has joined or intends to join a labor union, or have attempted to organize a labor union, or have performed any other lawful act for the operation of a labor union (violation of the right to organize)③ Refusal or neglect of collective bargaining: Refusal or delay of the execut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or other collective bargaining with the representative of a labor union or with a person authorized by the labor union,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④ Domination, intervention, or aid for operating expenses in labor union activities: Domination of or interference in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of a labor union by workers, and payment of wages to the full-time officer of a labor union or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a labor union (violation of the right to organize)⑤ Disadvantageous disposition in case of reporting on collective actions or unfair labor practices: Dismissal of workers or acts against their interests on the ground that they have participated in justifiable collective activities, or that they reported to or testified before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the fact that the employer has violated the provisions of this Article, or that they have presented other evidences to the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ies (violation of industrial action)In order to judge unfair labor practices, it must be done with a clear intention of the employer regarding unfair labor practices. Employers must intentionally give disadvantages to workers for their legitimate union activities. According to related court ruling, “whether an employer’s conduct falls under the unfair labor practices stipulated in the Trade Union Act is determined comprehensively by thoroughly reviewing all circumstances that can infer whether the employer intends to engage in unfair labor practices.”In order to become unfavorable treatment,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irst, workers must join or have an organization in a labor union or participate in collective action. Second, workers should be disadvantaged because they joined or participated in a labor union or because they participated in collective action. Third, any unfavorable treatments made by the employer to the workers must be based on the legitimate union activities of the workers.(1) The case related to the job transfer stipulates that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employer made a transfer order because the worker’s legitimate labor union activity was the practical reason, but ostensibly citing the necessity for work, it should be regarded as an unfair labor practice.”(2) In the case related to dismissal, “unlike the apparent reason for dismissal when an employer dismisses a worker,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dismissal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worker actually did a justifiable act for the union’s work, it must be regarded as an unfair labor practice. Whether a worker’s justifiable act for the union’s work is the actual reason for dismissal depends on the reasons for dismissal as suggested by the employer, the content of the worker’s justifiable actions for union affairs, the time of dismiss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union, and so on. The judgment must be made comprehensively by exa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use of disciplinary discretion and various circumstances that can presume the existence of the employer’s intention to engage in unfair labor practices.”The anti-union contract consists of obstruc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coercion of union, and union shop.(1) Interference with the right to organize is a case in which the condition of employment is that a worker will not join or withdraw from a union. Here, when it comes to any union, in the era of multiple labor unions, membership in the company’s favorable union can be a condition of employment. In addition, making resignation from a union a condition of employment can be seen as including the intention to neutralize the power of the majority union in the existing employment relationship.(2) The coercion of unity is an act in which workers are required to become members of a specific union as a condition of employment. This can be judged as the intention of the employer to make a particular union become the majority union, which the employer can control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and to make the majority union the useless union.(3) In union shop, when a labor union represents at least two-thirds of the workers in the relevant workplace, the conclus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stipulating that the worker becomes a member of the union as a condition of employment is an exception. This clause is an exception to the coercion of unity, and can only be concluded when more than two-thirds of the workers in the relevant workplace are represented. It is an anti-union contract and an unfair labor practice for the union shop clause to be signed with less than two-thirds of the workers employed at the relevant workplace. Even if a union shop is properly concluded, the employer may not act disadvantageously to the worker because the worker has been expelled from the union or because he or she has left the union and formed a new union or joined another union (Article 81 (2) of the Trade Union Act).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 labor union i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through collective agreements. In order to conclude this collective agreement, the union must determine the working conditions in writing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with the employer. The act of an employer refusing or neglecting to sign a collective agreement or other collective bargaining with a union representative or a person delegated by the union without justifiable reasons is an unfair labor practice.Here, refusal to bargain collectively means not complying with the collective bargaining demanded by the labor union, and neglect of collective bargaining means to comply with collective bargaining formally but not faithfully.Even if the union demands collective bargaining, the company may refuse the collective bargaining if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For that reason, the precedent stated, “Whether or not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for the employer’s refusal or negligence in collective bargaining is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bargaining powers of the union side, the negotiation time, negotiation place, negotiation matters, and his negotiating attitude requested by the union side. In general, it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whether it is recognized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mployer to fulfill th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1) Domination-interventionThe act of controlling or intervening in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of a labor union constitutes unfair labor practice. Employers’ domination-intervention in union activities refers to the fact that the employer controls or intervenes in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of the union through anti-union remarks or specific actions to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t decision-making of the union. According to the precedent, “Unfair labor practices of domination and intervention refer to the employer’s leading influence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union, thereby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of the union or interfering with the autonomous operation and activities of the union. It refers to acts such as interfering with the union or encouraging division. In the event of such an employer’s actions, if the intention to dominate or intervene in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of the union is recognized, unfair labor practice is consider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place, content, method, and impact on the operation or activities of the union, etc.”(2) Salary payment to full-time union employeesIt is unfair labor practice that the company pays wages in excess of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or subsidizes the operating expenses of the labor union.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union members who are employed in business or workplace, those exempted from paid working hours are subject to this Act or may perform the duties prescribed by other laws and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labor union for the development of sound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problem here is to receive wages in excess of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However, the act of subsidizing wages to workers who are merely full-time union workers and have not been designated as exempt from working hours is itself an unfair labor practice. The wages paid to those exempted from working hours shall correspond to the working hours exempted from the duty to provide work. Even if it is based on an agreement in a collective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excessively set wages for full-time employees constitute unfair labor practices.(3) Aid for operating expensesIt is an unfair labor practice for an employer to subsidize a labor union’s operating expenses. Provided, however, that workers can donate funds for workers’ welfare funds, economic misfortune, and other disasters, and provide a minimum-scale union office. Exceptions are made for operating expenses assistance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risk of infringing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or activities of the union.In aid of the labor union’s operating expenses, the employer’s domination-intervention in the union was strictly regarded as unfair labor practice.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e provision of prohibition of aid for operating expenses prohibits any act of aid for operating expenses 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exceptions stipulated in the proviso to Article 81, No. 4 of the Trade Union Act, which regulates more than required, so it cannot be regarded as an appropriate means to achieve the legislative purpose.”(4) Anti-union speech and dominance & interventionBehaviors that can affect workers and labor unions include ‘expressing opinions through speeches or in-house broadcasting’ and ‘acting to express opinions through home correspondence-letters’. If it is judged that such an employer’s media expression has the intention to suppress or coerce the union activity, it can be presumed that there is a ‘domination-intervention intention’ in the union activity.Accordingly, employers hav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labor union has regulations prohibiting unfair labor practices in exercising the three labor rights. Therefore, whether the expression of opinion or written notice of an employer or a person in the employer’s position is an unfair labor practice should be judged based on whether the employer intends to infringe on the three labor rights. According to the related precedent, “In order for an employer’s anti-union speech to fall under domination or intervention, there must be a fear of undermining the independence or organizational power of the union, and the existence of such concern depends on the content, place, method, situation, and labor union of the statement. It should be judged individually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impact on the employees and the presumed intention of the employer.”The three labor rights ar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Trade Union Act was enacted to materialize them. Through union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It is the unfair labor practice regulations in Chapter 6 of the Trade Union Act that enable the exercise of these three labor rights. The unfair labor practice system is a system to enhance the viability of the union by guaranteeing the three rights of labor and for the win-win development of labor-management units, etc.

부당노동행위 –

사용자들은 노동조합을 싫어한다. 당연하다. 지금까지 내 맘대로 하고 싶은 거 다하며 살아왔는데, 이제 최소한 노동법이라도 지켜야 하니 말이다. 그래서 노동조합 활동 초기에 개념 없는 사용자들이 노동조합 활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를 부당노동행위(不當勞動行爲)라고 한다. (부당노동행위는 오로지 노동3권 침해 행위만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임금체불, 부당해고 등을 통틀어 부당노동행위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한 법적 개념 사용이 아니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부당노동행위를 저지른 사용자를 형사 처벌(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하도록 정하고 있다. 진짜로 노조 파괴하다 감옥 간다니까? 요즘에 많이 갔어.

부당노동행위의 유형 [ 편집 | 원본 편집 ]

부당노동행위는 모두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반복하지만 네 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만 해당돼도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여 사용자를 형사 처벌할 수 있다.

첫째, 노조 할동을 이유로 조합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이다(「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호·제5호). 구체적인 유형으로는, ① 해고 등의 징계나 원거리 발령 등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행위, ② 연장근로를 시키지 않는 등 경제상 불이익을 주는 행위, ③ 노조 활동이 불가능한 부서로 발령하는 등 조합 활동상의 불이익을 주는 행위 등이 있다.

둘째, 노동조합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부당노동행위이다(「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2호). 사용자들은 부당노동행위 증거를 잘 안 남기려 하기 때문에, 범죄는 몰래 해야 하니까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은 아니다.

셋째, 노동조합의 단체교섭을 거부하는 행위이다(「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3호). 앞서 말했지만 노동조합이 단체교섭을 요구하면 사용자는 무조건 단체교섭 자리에 나와야 한다. 한편 형식상으로는 단체교섭에 응하지만 성실하게 교섭을 하지 않는 경우 역시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가 될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노동자들의 자주적인 노조 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노동조합의 조직·운영에 관여하는 행위이다. 이를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라고 한다(「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4호). 자주 문제가 되는 것은 사용자의 반조합 발언이다. “노조하면 폐업할 수밖에 없다”, “왜 하필 민주노총이냐?”, “노조하는 사람은 회사 다닐 수 없다” 등등의 발언 모두가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로서 처벌 대상이다.

부당노동행위 대응 [ 편집 | 원본 편집 ]

부당노동행위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통합검색결과

대법원 1999. 5. 11. 선고 98두9233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1] 부당노동행위 또는 부당해고 등에 대한 구제신청서에 기재하여야 할 ‘청구할 구제의 내용’의 특정의 정도 및 구제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은 경우 노동위원회의 판단 범위 [2] 지방노동위원회에 제출된 ‘부당노동행위구제신청서’가 부당노동행위뿐만 아니라 부당해고에 대한 구제신청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 사례

… 사실에 대응하여 적절ㆍ타당하다고 인정하는 구제를 명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제신청서에 구제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해당 법규에 정하여진 부당노동행위 또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해고ㆍ휴직ㆍ정직ㆍ전직ㆍ감봉 기타 징벌 등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면 그에 대한 구제도 신청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2]…

대법원 1994.12.23. 선고 94누3001 판결 【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 배차지시의 성질 및 이에 대한 거부행위가 해고사유가 되는지 여부 다. 부당노동행위 여부의 판단기준 및 적법한 징계해고사유가 있어 징계해고한 경우의 부당노동행위 해당 여부 라. 노동조합으로부터 제명된 피징계자에 대하여 단체협약규정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사용자가 징계에 앞서 제명처분이 철회되도록 노조와 화해할 것을…

… 내용, 해고를 한 시기, 사용자와 노동조합과의 관계, 동종의 사례에 있어서 조합원과 비조합원에 대한 제재의 불균형 여부, 징계절차의 준수 여부, 징계재량의 남용 여부 기타 부당노동행위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사정을 비교,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적법한 징계해고사유가 있어 징계해고한 이상 사용자가 근로자의 노동조합활동을…

대법원 1996. 5. 31. 선고 95누2487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1] 피징계자에게 여러 가지 징계혐의사실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징계해고처분이 적정한지의 판단기준 [2] 정당한 징계해고사유와 부당노동행위의사가 경합 되어 있는 경우의 부당노동행위의 성부 [3] 무단결근, 상사에 대한 욕설ㆍ폭행을 이유로 한 징계해고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 한 시기, 사용자와 노동조합과의 관계, 동종의 사례에 있어서 조합원과 비조합원에 대한 제재의 불균형 여부, 종래의 관행에 부합 여부, 사용자의 조합에 대한 언동이나 태도, 기타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하나, 적법한 징계해고사유가 있어 징계해고한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근로자의 노동조합활동을…

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1다78804 판결 부당징계무효확인 … 점에 관한 증명책임자(=근로자 또는 노동조합) 및 적법한 징계해고사유가 있어 징계해고한 경우, 사용자가 근로자의 노동조합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긴 흔적이 있다는 사유만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3] 골프장 캐디인 甲 등이 골프장을 운영하는 乙 주식회사로부터 제명처분 등 징계를 받은 후 乙 회사를 상대로 징계무효확인을 구한 사안에서, 甲 등은…

… ‘노조법’이라 한다)에서 정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는 점은 이를 주장하는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이 증명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심리를 다하였어도 사용자에게 부당노동행위의사가 존재하였는지가 분명하지 아니하여 존재 여부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로 인한 위험이나 불이익은 이를 주장하는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이 부담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키워드에 대한 정보 부당 노동 행위

다음은 Bing에서 부당 노동 행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YouTube에서 부당 노동 행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FKTU Edu. 5] 부당노동행위 대응 | 부당 노동 행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