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발열량 |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최근 답변 138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수소 발열량 –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에듀강닷컴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681회 및 좋아요 47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수소 발열량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수소 발열량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류수정 : (16:11) 메탄의 기호는 CH가 아닌 CH4입니다.
강의중 실수한 부분 입니다. ㅜㅠ
질의응답은 공식사이트로 오셔서 해주세요.
유튜브 댓글로 질문하실 경우 답변 어려울수 있습니다.
산업설비 전문 카페 에듀강닷컴[동영상강의]공식사이트 : http://edukang.com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win1008kr
티스토리 : http://edukang.tistory.com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JKkangsem
교사 : 강진규

수소 발열량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수소에너지 – 나무위키:대문

수소의 고위발열량(HHV)은 39.4kWh/kg(약 143 MJ/kg)으로, 아무리 100% 효율의 전해조라도 이만큼의 전기를 넣어야 1kg의 수소를 얻는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0/7/2022

View: 2684

[스크랩] 연료의 발열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 다음블로그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 수소경제·생산·충전소 2 / 2007.04.04 14:26 출처 = 유레카(jongroinf) 카페 매니저 …

+ 더 읽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9/8/2022

View: 5054

[새통사] ‘왜 우리는 수소에너지를 생각하는가 … – 헬로디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수소는 산소와 만나 연소되면서 물의 생산과 함께 높은 열량(1Kg당 약 2만8000Kcal)을 발생시킨다. 원유가 1만0080kcal, LNG가 …

+ 더 읽기

Source: www.hellodd.com

Date Published: 5/9/2022

View: 7573

열량환산기준표

총발열량. 순발열량. MJ kcal. 석유환산톤. (10-3toe). MJ kcal. 석유환산톤. (10-3toe) … 석탄의 발열량은 인수식을 기준으로 한다. … 유류 – 수소연료.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etis.kemco.or.kr

Date Published: 6/3/2021

View: 2712

수소첨가 천연가스 희박예혼합 연소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분으로 하는 LNG 연료와 비교하면 수소(H2)는 단위 부피. 당 발열량이 낮아 대용량의 가스 운송 및 연소실 부하가. 커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현재 대부분의 가스터빈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jkosco.org

Date Published: 8/6/2021

View: 6973

발전용 합성가스 엔진의 수소 혼합 비율에 따른 연소 특성 연구

화석연료고갈 방지 측면에서 유망한 대체연료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가스화로부터 얻어지는 . 합성가스는 일반적인 천연가스와 같은 가스연료에 비해 발열량이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1/14/2021

View: 9688

저위 & 고위발열량 관계 – 네이버 블로그

응축열은 실제 연소에 이용되지 않는다. 수소의 고위발열량 (HHV, Higher Heating Value)은 286,000 kJ/kmol. Hydrogen 분자량 : 2.016.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8/12/2021

View: 622

희망 에너지 ‘수소’에 대한 궁금증을 풀다 – Sciencetimes

따라서 수소를 적절하게 통제하면서 연소시키면 천연가스처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소는 질량 1그램당 발열량이 석유보다 3배 이상 높은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sciencetimes.co.kr

Date Published: 11/21/2021

View: 1972

KR100843064B1 – 수소/산소가스 혼합 대체연료

물을 전기분해한 수소/산소가스 중 수소의 고위발열량은 3,050Kcal/Nm³ 임으로 기존 화석연료에 비해 발열량이 낮아 100% 수소가스만으로는 기존화석연료의 발열량만큼의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patents.google.com

Date Published: 4/18/2021

View: 253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수소 발열량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수소 발열량

  • Author: 에듀강닷컴TV
  • Views: 조회수 16,681회
  • Likes: 좋아요 472개
  • Date Published: 2018. 4.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K_RknHwDYc

[스크랩] 연료의 발열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답: 연료의 발열량이란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이며 고체 및 액체연료의 경우에는 그 단위 중량(1kg)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나타내고, 기체 연료의 경우에는 표준 상태에서 단위 체적 (1N㎥)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각각 표시한다.

1) 고위 발열량(Higher Heating Value)

연료가 연소한 후 연소가스의 온도를 최초 온도까지 내릴 때 분리하는 열량이며 이때 연소 가스 중의 수증기는 응축하여 액체가 되며 응축할 때 응축열을 발산하고 그 응축열까지를 포함하여 열랑을 계산한 것이 고위 발열량이며 총발열량이라고도 한다.

쉽게 설명하면 탄화수소류의 기체 연료는 연소시 산소와 결합하여 연소가스를 배출하고 수증기를 생산하게 된다. 그때 발생된 수증기는 응축이 되지 않지만 연소가스의 최초 온도까지 내릴때를 가정하면 수증기는 응축이 되고 응축이 될 경우 열을 발산하게 된다.

(물을 수증기로 만들 때에는 열을 가하여야 하고 응축시킬 때에는 열을 빼어야 하는 원리와 동일함.)

이때의 응축열량까지 합한 열량을 고위 발열량이라고 말한다.

2)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

저위 발열량은 위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고위발열량에서 연소가스 중에 함유된 수증기의 증발열을 뺀 것을 말한다.

통상 고체와 액체 연료의 경우 열량계산을 저위발열량으로 기준하는데 그 이유는 고체나,

액체 연료의 경우 연료를 기화시켜 연소시키기 위하여 연료중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야한다.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상변화를 시키기 위해서는 수분의 증발열이 필요하게 된다. 이처럼 수분의 증발열을 뺀 실제로 효용되는 연료의 발열량을 저위발열량이라 한다.

연소시 연소가스의 온도는 통상 200~300℃로 그냥 외부로 방출되므로 응축에 이용되는 열은 거의 없으므로 흡수식 냉온수기의 경우 COP 계산시 저위발열량 기준으로 계산을 하고 있다.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연료 또는 폐기물의 발열량이란 연료 또는 폐기물 1㎏이 완전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소열로 정의되며

열량을 일반적으로 kcal로 나타내므로 발열량의 단위는 kcal/kg으로 표현한다.

한편 발열량은 통상 건조발열량(Hd)·고위발열량(Hh)·저위발열량(Hl)등 세 가지 서로 다른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데

그들에 내포된 의미와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발열량 (Hd, Heating value on dry basis)

건조발열량은 폐기물 중의 수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건조된 폐기물을 기준 으로 측정한 발열량으로 폐기물 발열량 계산의 기준이 된다.

(2) 고위발열량 (Hh, HHV = High Heating Value)

고위발열량은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모든 수분이 응축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의 발열량으로서

폐기물 중에 함유된 수분함량을 고려한 습윤 발열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발열량과 폐기물 중 수분함량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 은 식에 의해 고위발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 Hh = 고위발열량(kcal/kg), Hd = 건조발열량(kcal/kg)

● W = 폐기물 중 수분함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1. 발열량의 정의

발열량(Heating value ; H.V. 또는 Calorific value)은 단위 중량의 물질이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열량을 말한다.

단위 중량(kg, lb)이나 부피(기체의 경우 Nm3, ft3)의 연료를 기준으로 kcal/kg 혹은 kal/Nm3와 같이 나타낸다.

다만 분자중에 수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연소로 생기는 물 의 상태가 기체(수증기)인가 액체(물)인가에 따라

그 증발열만큼 차이가 나므로 전자를 저위(Lower or Net)발열량, 후자를 고위(Higher or Net)발열량이라 하여 구분한다.

2. 발열량의 종류

가. 고위 발열량(HHV, Hh)

ㅇ 고위 발열량은 열량계로 측정되며 총발열량이라고 한다.

ㅇ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연소가스 중에는 수분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연료중의 수소분이 타서 생성되는 것과

연료중에 함유된 수분이 가스로 배출되는 것이다.

ㅇ 고위 발열량은 연료중의 수분 및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수분의 응축열(증발잠열, Hs) 을 함유한 열량이다.

ㅇ 실제 연소에서는 연소가스 중의 수분은 연소에 사용되지 않고 수증기 상태로 배출되 기 때문에

응축열은 실제 연소에 이용되지 않는다.

수소의 고위발열량 (HHV, Higher Heating Value)은 286,000 kJ/kmol

Hydrogen 분자량 : 2.016

고위발열량(HHV) : 33,890 kcal/kg , 3,050 kcal/Nm3 , 57.8 Kcal/mol

저위발열량

(LHV)

: 28671 Kcal/Kg , 3 kcal/Nm 2,580

연료소비량은 저위발열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위발열량

①경유:43,116KJ/㎏{10,300㎉/㎏} ②보일러등유:43,400KJ/㎏{10,368㎉/㎏}

③LNG: 37,726KJ/㎏{10,000㎉/N㎥} ④LPG+AIR: 52,817KJ/㎏{14,000㎉/N㎥}

⑤프로판: 84,507KJ/㎏{22,400㎉/N㎥} ⑥부탄: 111,293KJ/㎏{29,500㎉/N㎥}

기름/가스보일러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85%로 잡는다.

[새통사] ‘왜 우리는 수소에너지를 생각하는가’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다양한 생각들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나라도 최근 혁신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수소경제를 데이터, 인공지능과 함께 전략적 투자를 선언했다. 그 이후 수소전지차에 대한 의견이 많은 사람들에게 뜨겁게 회자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모임 내내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다.

김종원 박사님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수소에너지 연구센터, 고효율수소 제조기술 개발사업단,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인 고효율수소 에너지제조, 저장, 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책임자를 역임 하면서 우리나라 수소에너지 기반의 경제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에 한평생을 몸담아 오신 분이다. 최근에는 대전광역시가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구축 사업을 수주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

◆ 이젠 호모 하이드로제니쿠스(Home Hydrogenicus)의 시대

김종원 박사님은 쥘 베른(Jules Verne)의 ‘신비의 섬(1874)’ 이야기로 발표를 시작했다. 타고가던 배가 난파하며 무인도에 당도한 군인들이 석탄 연료가 떨어질 것을 걱정하자 한 군인은 물을 때면 된다고 제안하는데 ‘물에서 수소와 산소를 분리할 수 있다면 인류에게 무진장한 열과 빛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수소는 산소와 만나 연소되면서 물의 생산과 함께 높은 열량(1Kg당 약 2만8000Kcal)을 발생시킨다. 원유가 1만0080kcal, LNG가 1만1780kcal, 무연탄이 4450kcal인 것과 비교해보면, 1874년 쥘 베른의 이야기는 탁월한 선견지명이 아닌가 싶다. 김 박사님이 수소 이야기를 하는 것은 단순히 열효율의 문제가 아니다. 바로 기후 변화다. 교토의정서로 시작하는 UN기후변화 협약은 더 이상 피해갈 수 없는 사슬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네트워킹 시간은 수소가 가지는 의미가 인류사적 측면에서 거대한 새로운 국면전환에 해당하는 것임을 인식하는 자리였다. 인류는 140만년전 불을 발견하고 탄소 덩어리인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나무를 태우며 살았다. 또 다른 효율 좋은 탄소덩어리인 글루코젠으로 시작되는 석유를 태우다가, 이젠 탄소 1개를 함유한 천연가스(CH4)를 사용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수소는 더 이상 지구의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를 만들지 않는다. 인류는 더 이상 탄소를 태우는 호모 카보니쿠스가 아니다.

인류의 기초상식 하나가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다. 에너지는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모습을 변화시킬 뿐이다. 처음에는 자연이 발명한 에너지 저장방법인 탄화물인-나무,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을 이용했다. 다음으로 발견한 것이 전기다. 전기를 발견하고 인류는 에너지를 전기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멀리 이동하는 방법도 터득했고 남는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여 저장하는 방법도 터득했다. 이제는 수소가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수소’를 새로운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재발견이다. 이미 기존의 발전소에서 전기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고온의 열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에너지로 재활용하고 있었지만, 수소연료전지의 발명은 수소를 새로운 에너지 저장원으로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를 태우지 않는다. 수소로부터 전자를 빼앗았다가 되돌려주는 간단한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얻는다. 이런 의미에서 수소는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실어다 주는 운반자이자 저장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아직까지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그러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때문에 수소를 생산하는 문제는 공학에게 풀어달라고 맡겨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 수소의 재발견

에너지 분야에 있지 않는 일반인으로서의 첫 번째 재발견은 모든 발전소에서 수소 생산이 가능하고 실제로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의 발견은 수소연료전지의 에너지 효율이 리튬이온전지의 200배 이상이다.

보통사람의 시각으로 한번 살펴보자.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수력발전, 태양열 발전,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리튬전지에 저장해서 전기를 활용할 것인가, 아니면 수소를 만들어 수소연료전지에 저장해 활용할 것인가는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하다.

첫째, 수소 생산은 에너지 효율의 문제다.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를 생산하고 수소연료전지를 만드는 기술을 SOFC (Solid Oxide Fuel Cell)이라고 한다. 수소 생산 효율이 80%에 도달했다는 보고를 보면, 비효율성은 이미 기우가 아닌가 싶다. 두 번째는 전기차의 에너지효율이 단거리에서는 좋지만 장거리나 중량이 큰 차량의 경우 에너지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반면 HFCV (Hydrogen Fuel Cell Vehicle)의 경우에는 장거리나 고중량의 차량에서는 기존의 내연기관차량보다도 효율이 앞선다.

세 번째는 전지의 충전능력이다. 리튬전지는 10시간 이내 10MWh 이하의 소규모 전기저장에 유리하고 수소연료전지는 1GWh ~ 1TWh의 대용량 저장과 최대 100시간의 장기저장에 유리하다고 보고 되었다.

이쯤되니, 그 유명한 제레미 리프킨 (Jeremy Rifkin)의 수소경제(2002) 이야기가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2003년 미국의 부시 정부가 왜 HFI (Hydrogen Fuel Initiative)를 구상했는지 이해되기 시작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범지구촌적 공동대처는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장기적으로 분명 화석연료에 기반한 국가사회 인프라를 수소기반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으리라 생각된다.

김 박사님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2009년 오바마 정부에서 전기자동차에 우선순위를 두는 정책으로 전환하긴 했지만, 2015년 5월 미국에너지국(DOE)에서 수소전기차 보급을 위한 민관파트너십인 H2USA를 결성했다. 또 수소공급 인프라 확충을 목적으로 DOE 산하의 샌디아 국립연구소(SNL)과 국립재생연구소(NREL)을 중심으로 H2FIRST (Hydrogen Fuelling Infrastructure Research and Station Technology)를 만들어 H2USA를 지원하도록 하는 등 꾸준한 준비가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가능 에너지 정책이 최종 수소 기반의 에너지 생산, 운송, 저장 및 이용 등에 대한 전체 생태계 관점에서의 고민을 담고 있는지 꼼꼼히 한번 점검해 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수소에 대한 재발견은 범세계적이다. 2017년 1월 17일 다보스 포럼에서 새로운 수소협의체인 Hydrogen Council을 발족해 수소를 청정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을 가속화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키로 했다고 한다.

참여한 기업을 살펴보면 BMW, Daimler, Honda, 카오사키, 현대, Toyota, 에어리퀴드, 린데, Alstome, Engie, Shell, Total, AngloAmerican 등의 13개 기업으로 시작해 2019년 1월에 54개 회원사로 늘었다. 바로 산업계의 연합체다. 2018년 10월 23일에는 각국의 수소에너지를 담당하는 각료회의에서 수소관련 기술의 연구개발과 사회전개의 협력을 촉진하는 도쿄선언이 있었다.

이 선언에서는 국제에너지기구 (IEA), 수소연료전지국제파트너십(IPHE), 클린에너지대신회의(CEM)을 중심으로 ‘수소사회’의 조기실현을 위한 행동협력 촉구도 포함돼 있다. 수소연료전기차를 필두로 하는 수소경제생태계 구축의 전조다.

◆ 함께하는 혁신의 국가전략이 요구된다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남들이 한다고 그냥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저들이 잘하는 것 우리가 잘하는 것을 잘 정리해 Give & take하며 선순환구조가 형성된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생태계를 설계해야 한다. 글로벌 생태계에 이질적이지 않는 우리만의 새로운 판이 필요하다. 이것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전술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우리는 무엇을 핵심역량으로 삼을 것인가 하는 전략적 차원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그냥 우리가 잘하는 자동차 제조능력을 활용해 가성비 높은 수소연료 전기차를 빨리 내놓는 전략을 가질 것인가? 우리가 공들여 최정상에 올려놓은 2차전지 산업의 경쟁우위를 어떻게 유지계승할 것인가? 그것보다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Energy-mix를 어떻게 가지고 갈 것인가? 전략의 문제는 비용의 문제가 아니다. 비용은 전술적 차원에서 기술력으로 해결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략적 고민의 결과에 새로운 가치의 탄생이 필요하다. 기존의 가치를 대체하는 것은 출혈의 경쟁만이 존재한다. 내연기관차가 전기차로, 전기차가 수소전기차로 바뀌는 것은 새로운 가치의 탄생이 아니다. 기존 가치의 내용을 교체한다는 것은 비용과 성능의 우수함을 전제로 하는 출혈의 경쟁만이 존재한다.

2차전지의 선점은 화석연료 생태계에서 전지 생태계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었지만, 수소전기자동차는 2차전지와는 다른 경우다. 차라리 새로운 운반수단을 고민해보는 전략도 대안일 수 있다. 새로운 물류체계의 전략도 생각해 볼 수 있는 대안이다. 애써 잘 만들어 놓은 2차전지 산업이 재도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판이 필요하다. 화석연료 에너지 생태계와 원자력 에너지 생태계가 힘을 합쳐 수소 에너지 생태계를 탄생시키는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에너지 생태계를 확대하고 글로벌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구라는 공유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에너지시장의 거대한 전환은 필연적이고 필수적이다. 그러나 에너지 시장은 기반 시장이기에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용시장의 Grand Transformation 전략이 선결되어야 한다. 2수 3수 앞을 내다보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후변화라는 대전제가 존재하기에 전략적 판단이 용이한 측면이 있음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에너지 기반의 전환이 필수라면, energy-mix의 문제는 활용시장과 디커플링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나눠진 문제에서 필수적인 고려사항은 Electro-Intelli-fication이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따로 놀아나는 전략은 전략이 아니다. 에너지 시장의 electro-intelli-fication과 새로운 에너지원 활용시장의 electro-intelli-fication은 필수사항이다. 그러한 연후에 두 개를 엮는 Global Grand Smart Grid Initiative가 필요하다.

아울러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위한 도전의 여정에는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하는 과오를 범하지 말아야만 한다. 현대자동차의 전장·차량용 반도체 부문의 내재화 판짜기 실패, 국방 무인기 판짜기 실패, 엔지니어링 플랜트 판짜기 실패, 건설무분 엔지니어링 산업 판짜기 실패, KFX 판짜기 실패, 삼성과 LG의 5G 판짜기 실패 등의 수많은 뼈아픈 실패사례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참고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자들의 열린소통을 위해 기꺼이 마음을 열어주신 김종원 박사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지구상에서 어느 누구도 가보지 않은 세상으로의 도전을 항상 응원 드리며, 함께 성공의 길을 만들어 갈 수 있길 희망합니다.

저위 & 고위발열량 관계

1. 발열량의 정의

발열량(Heating value ; H.V. 또는 Calorific value)은 단위 중량의 물질이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열량을 말한다.

단위 중량(kg, lb)이나 부피(기체의 경우 Nm3, ft3)의 연료를 기준으로 kcal/kg 혹은 kal/Nm3와 같이 나타낸다.

다만 분자중에 수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연소로 생기는 물 의 상태가 기체(수증기)인가 액체(물)인가에 따라

그 증발열만큼 차이가 나므로 전자를 저위(Lower or Net)발열량, 후자를 고위(Higher or Net)발열량이라 하여 구분한다.

2. 발열량의 종류

가. 고위 발열량(HHV, Hh)

ㅇ 고위 발열량은 열량계로 측정되며 총발열량이라고 한다.

ㅇ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연소가스 중에는 수분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연료중의 수소분이 타서 생성되는 것과

연료중에 함유된 수분이 가스로 배출되는 것이다.

ㅇ 고위 발열량은 연료중의 수분 및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수분의 응축열(증발잠열, Hs) 을 함유한 열량이다.

ㅇ 실제 연소에서는 연소가스 중의 수분은 연소에 사용되지 않고 수증기 상태로 배출되 기 때문에

응축열은 실제 연소에 이용되지 않는다.

수소의 고위발열량 (HHV, Higher Heating Value)은 286,000 kJ/kmol

Hydrogen 분자량 : 2.016

고위발열량(HHV) : 33,890 kcal/kg , 3,050 kcal/Nm3 , 57.8 Kcal/mol

저위발열량

(LHV)

: 28671 Kcal/Kg , 3 kcal/Nm 2,580

연료소비량은 저위발열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위발열량

①경유:43,116KJ/㎏{10,300㎉/㎏} ②보일러등유:43,400KJ/㎏{10,368㎉/㎏}

③LNG: 37,726KJ/㎏{10,000㎉/N㎥} ④LPG+AIR: 52,817KJ/㎏{14,000㎉/N㎥}

⑤프로판: 84,507KJ/㎏{22,400㎉/N㎥} ⑥부탄: 111,293KJ/㎏{29,500㎉/N㎥}

기름/가스보일러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85%로 잡는다.

희망 에너지 ‘수소’에 대한 궁금증을 풀다 – Sciencetimes

지금 전 세계는 수소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다. 전문가들은 미래 사회가 수소를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쓰는 수소 사회가 되리라고 전망한다.

수소 에너지가 이렇게 주목받는 이유는 수소 에너지가 가진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수소는 석유나 석탄, 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와 달리 지구상 어디에나 있는 무궁무진한 자원이고, 공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이기도 하다.

효율 높은 청정에너지 ‘수소’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공기와 혼합한 후 불꽃을 튀겨주면 폭발적인 연소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수소를 적절하게 통제하면서 연소시키면 천연가스처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소는 질량 1그램당 발열량이 석유보다 3배 이상 높은 효율적인 에너지이다.

게다가 수소는 연소하면서 소량의 물과 아주 적은 양의 질소산화물만 발생시키고 다른 공해 물질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수소를 연료전지의 연료로 이용하면 편리하게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물을 전기분해하는 반응의 역반응을 이용한 장치이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전극에서 수소와 산소가 발생하는데, 반대로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키면 전기와 열, 그리고 물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는 화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꾼 후 열기관을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수소연료전지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수소연료전지는 1960년대에 이미 아폴로 우주선에서 사용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그동안 수소 저장의 안정성 문제 때문에 폭넓게 사용되지 못했다. 그런데 기술이 발달하여 안정성 문제가 해결되면서 이제는 수소연료전지의 사용이 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수소연료전지로 달리는 자동차로, 이미 상용화가 되어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에너지의 저장과 수송에 이용되는 수소

석유나 태양광 등 자연계에서 그대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1차 에너지라고 하고, 전기처럼 우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2차 에너지라고 한다. 발전소에서는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1차 에너지를 이용해서 2차 에너지인 전기를 만든다.

그런데 수소도 전기처럼 2차 에너지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저장과 운송에서는 전기보다 훨씬 편리하고 효율적인 에너지가 된다.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축전지를 이용하는데, 축전지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 저장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크다. 반면에 수소는 탱크 등에 직접 저장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없다.

또한, 전기는 전선을 통해 다른 곳으로 운반되는데, 이때도 전기의 일부가 열로 변해 사라져서 에너지 손실이 크다. 반면에 수소는 탱크에 저장된 채로 운반되므로 운송에 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되지만 소수 에너지의 손실이 없다.

한편, 수소를 좀 더 편리하게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해 수소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들도 개발되었다. 수소를 냉각해서 액체화시키면 부피를 약 8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소를 상온에서 톨루엔과 반응시켜 액체인 메틸사이크로헥산이라는 물질 상태로 저장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원래의 수소 부피를 500분의 1로 줄일 수 있고, 많은 에너지를 들여 수소를 냉각시킬 필요도 없다.

수소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

수소는 지구의 여러 가지 물질 안에 구성 요소로 포함되어 지구에서는 무한대로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가장 흔한 물질인 물은 산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2개가 결합해 있다. 또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유기물은 주로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그리고 석유나 천연가스, 석탄 등의 화석 연료에도 수소가 대량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수소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런 화합물 안에 들어 있는 수소를 수소 분자 형태로 변환시켜 끄집어내야 한다.

수소 분자를 끄집어내는 방법은 다양하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정유공장에서 천연가스 안의 메탄과 수증기를 반응시키는 개질이라는 방법이다. 그리고 제철소에서 제철 연료로 이용되는 코크스를 만들기 위해 석탄에 열을 가할 때 수소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이 방법들은 화석 연료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수소와 함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소 에너지가 가진 원래 장점이 사라진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에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 전기 에너지를 화석 연료나 핵연료로 만들었다면, 여기서 생산된 수소는 청정에너지라고 할 수 없다.

풍력 발전이나 태양광 발전 등 재생 가능 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할 수도 있지만, 현재 재생 가능 에너지로 생산하는 전기의 단가는 매우 높기 때문에 이 방법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수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 중이다.

예를 들어 전기 대신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광촉매라는 특수한 물질이 필요한데, 광촉매로 여러 가지 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아직 태양광 발전에서 얻은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보다 효율이 낮지만, 미래에 수소 생산 효율이 높아지면 이 방법이 활발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에도 태양열이나 폐열을 이용한 열화화적 물 분해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물이나 유기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등이 연구 중이다.

(10437)

KR100843064B1 – 수소/산소가스 혼합 대체연료 – Google Patents

Chai et al. 2021 A review on ammonia, ammonia-hydrogen and ammonia-methane fuels

Pizzuti et al. 2016 Laminar burning velocity and flammability limits in biogas: A literature review

Capurso et al. 2022 Perspective of the role of hydrogen in the 21st century energy transition

Blesl et al. 2010 Effects of climate and energy policy related measures and targets on the future structure of the European energy system in 2020 and beyond

Shrestha et al. 2008 Landfill gas with hydrogen addition–A fuel for SI engines

Lau et al. 2016 Thermodynamic assessment of CO2 to carbon nanofiber transformation for carbon sequestration in a combined cycle gas or a coal power plant

Bellotti et al. 2019 Techno-economic analysis for the integration of a power to fuel system with a CCS coal power plant

Wolsky et al. 1991 Recovering CO2 from large− and medium-size stationary combustors

Dreizler et al. 2021 The role of combus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low and zero impact energy transformation processes

Tian et al. 2022 The effect of methanol production and applica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n emissions in the context of carbon neutrality: A review

Sorgulu et al. 2022 Thermoeconomic and impact assessments of trigeneration systems with various fuels

Kameyama et al. 2011 Carbon capture and recycle by integration of CCS and green hydrogen

Wang et al. 2021 Study on the mechanism of the ignition process of ammonia/hydrogen mixture under high-pressure direct-injection engine conditions

Nadaleti et al. 2019 Analysis of emissions and combustion of typical biofuels generated in the agroindustry sector of Rio Grande do Sul State–Brazil: Bio75, syngas and blends

KR102073708B1 ( ko ) 2020-02-05 엔진 연비향상을 위한 적정 혼소 비율의 화석연료와 물전기분해가스 혼합연료

Richards et al. 2009 Syngas utilization

US20190024002A1 ( en ) 2019-01-24 A combined system for producing fuel and thermal energy and a method for poduction of fuel and thermal energy

KR102051849B1 ( ko ) 2019-12-05 석탄 가스화 및 ft 반응 오프가스를 활용한 발전 시스템

Buceti et al. 2015 Wind & coal to generate a substitute of natural gas by hydro-gasification

Yueming et al. 2021 Development Status of Advanced Thermal Power Technology and Low-carbon Path of China’s Thermal Power Industry

KR101880673B1 ( ko ) 2018-07-23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 동력상승 방법 및 시스템

키워드에 대한 정보 수소 발열량

다음은 Bing에서 수소 발열량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에너지산업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보일러산업기사
  • 보일러산업기사실기
  • 보일러산업기사기출문제
  • 보일러산업기사실기기출문제
  • 에너지관리기출문제
  • 에너지관리실기
  • 에너지관리실기기출문제
  • 에너지실기
  • 에너지기출문제
  • 에너지실기기출문제
  • 에니저기능사
  • 에너지기능사실기
  • 에너지기능사실기필답형
  • 에너지기능사필답형
  • 에너지관리기능사실기작업형
  • 에너지관리적산
  • 에너지관리산업기사적산
  • 에너지관리기능사
  • 에너지기능사
  • 에너지관리기능사실기
  • 에너지관리기능장
  • 에너지관리기능장필기
  • 에너지관리기능장실기
  • 에너지관리기능사필기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YouTube에서 수소 발열량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에듀강닷컴]제30강 연료의 정의(100~102p)_에너지관리기능장,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이론 | 수소 발열량,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