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 갈등 |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148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이념 갈등 –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JTBC Entertainment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691회 및 좋아요 16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념 갈등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 이념 갈등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거제 포로수용소에 있는 공산군들 사이 분열
반공포로와 친공포로로 나뉘어 이념 갈등 발발
1951년도에는 반공포로 3백여 명이
친공포로들에 의해 학상을 당하기도 했다고..!

이념 갈등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세상읽기] 격화되는 이념갈등, 어떻게 볼 것인가 / 신진욱 – 한겨레

오늘날 시민들도 이념갈등을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2019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국 사회에 갈등이 가장 심각한 분야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10/1/2022

View: 384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이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이 단순한 진보-보수 차원의 이념적 연속선상에 놓여있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정책이슈 경쟁에서 다양한 집단에 의해 증폭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8/10/2022

View: 2686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 한국정당학회 : 논문 – DBpia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 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bpia.co.kr

Date Published: 3/19/2021

View: 5800

국민 대다수 “한국사회 이념갈등, 심각하다” – 데일리굿뉴스

여러 갈등중에선 이념에 대한 갈등의 골이 가장 깊었습니다. 집단 간 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 진보와 보수 세력 간의 이념 갈등이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goodnews1.com

Date Published: 9/19/2021

View: 4828

대한민국 이념 갈등, 어떻게 치유하나? – 종합시사매거진

지난 6월 1일 치러진 지방선거는 우리 사회의 이념 갈등을 또 한 번 보여주는 한 장면이었다. 투표율이 가까스로 50%를 넘기면서 절반에 가까운 국민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isanewszine.co.kr

Date Published: 3/14/2022

View: 4625

가치와 이념 갈등

네 번째는 이념적 차이가 구체적인 쟁점 정책. 에서는어떻게반영되는지에대해서알아볼것이다. 이념 성향의 변화 추이. 이념 갈등은 사실 어느 사회에서나 나타나는 보편적.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stat.go.kr

Date Published: 12/17/2022

View: 7976

[김영윤 칼럼] 이념갈등 대물림 막으려면, 학생들이 논쟁하게 하라

대선 후보 간 토론을 보면서 우리 사회의 앞날이 불안하다는 느낌이 든다. 정당 간 이념적 갈등이 향후 폭발적인 모습을 나타내지는 않을지 걱정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ajunews.com

Date Published: 10/24/2021

View: 1962

이념격차 크지 않은데 이념갈등 극심한 이유는? – 프레시안

우리사회에서 이념갈등의 심각성은 한계치를 넘은 듯하다. 진보 보수 양극단 사람들이 사사건건 맞부딛치며 이 사회를 쥐락펴락 한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pressian.com

Date Published: 12/15/2022

View: 6927

“나는 보수” 늘고 “진보” 줄었다…이념갈등 가장 심각(종합)

자신의 이념성향이 ‘중도적’이라고 한 사람은 47.2%였다. 전년도 조사(46.3%)보다 소폭 비율이 올랐다. 국민들은 또한 여러 유형의 사회갈등 가운데 보수·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yna.co.kr

Date Published: 10/19/2022

View: 8196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 …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를 …

+ 여기에 보기

Source: academic.naver.com

Date Published: 7/4/2022

View: 618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이념 갈등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이념 갈등

  • Author: JTBC Entertainment
  • Views: 조회수 10,691회
  • Likes: 좋아요 165개
  • Date Published: 2020. 6. 2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S-7-AYqClo

[세상읽기] 격화되는 이념갈등, 어떻게 볼 것인가 / 신진욱

|

‘좌파 정권’. 문재인 정권의 반대자들은 줄곧 이 명칭을 사용해왔다. 태극기집회 전단지만이 아니다. 야당 정치인과 보수 언론이 다 그러하다. 방역이든 복지든 정부정책에 ‘이적 행위’, ‘공산주의’, ‘사회주의적 발상’ 등 이념 공세가 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념의 정치가 아니라 이념적 낙인의 정치일 뿐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서 시민들의 이념갈등은 그보다 훨씬 깊고 진지한 문제다.

이념갈등은 2000년대 내내 심화되어 왔다. 국내 19개 중앙일간지에 ‘이념갈등’을 다룬 기사가 1990년대에 총 186건에 불과했는데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210건에 달했다. 그 전환점은 참여정부 첫해인 2003년이다. 보수 일색 정치권에 개혁파가 등장한 것이 갈등의 시작이니, 이것은 겪어야 하는 진통이다.

오늘날 시민들도 이념갈등을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2019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국 사회에 갈등이 가장 심각한 분야로 응답자의 43.9%가 계층갈등을, 29.0%가 이념갈등을 꼽았다. 세대갈등(6.1%)이나 남북갈등(5.6%)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다.

사실 한국 현대사에서 이념갈등은 언제나 있었다. 해방정국과 반독재 투쟁의 시대를 이념갈등 없이 논할 수 있겠는가? 지금 새로운 것은 이념갈등 자체가 아니라, 이념갈등의 일반화, 일상화, 정치화다. 즉 이제 누구에게나, 어디서나 ‘이념’이 치열한 다툼의 원천이자 정치를 규정하는 힘이 되고 있다.

첫째, 이념갈등은 많은 평범한 시민들의 문제로 일반화되었다. 독재 시대에 지배층은 국민들이 자기 이념을 형성하고 추구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념대결은 정권과 소수 저항세력에 국한됐다. 하지만 이제 많은 사람이 우리 사회의 문제와 대안에 대해 나름의 관점을 확립하고 이를 열렬히 주창하고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시민들은 스스로를 진보나 보수로 평가하는 주관적 이념, 그리고 대북·경제·복지·젠더 등 쟁점에 대한 입장과 같은 여러 면에서 과거보다 일관된 이념 성향을 보이고 있다. 진보파는 기업과 부자의 지배를 비판하고 노동 보호와 분배정의를 중시하는 반면, 보수파는 민주화운동 세력과 개혁적 시민단체, 노조를 비판하고 기업활동의 자유와 개인의 성과를 중시한다.

둘째, 진보와 보수의 갈등은 일상 공간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이념 때문에 부모자식이 다투고, 연인이 헤어지며, 오랜 우정이 깨어진다. 명절날 ‘보수, 진보’ 얘기가 나오면 틀림없이 언성이 올라가고 얼굴이 붉어진다. 우리는 소통의 한계를 절감하며, 이해의 장벽에 부딪힌다.

왜 그럴까? 이념은 단지 추상적 이론이 아니라, ‘좋은 삶’과 ‘좋은 사회’에 대한 상상이자 믿음이기 때문이다. 막스 베버는 현대사회에서 각기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갈등이 마치 ‘신들의 전쟁’처럼 격화된다고 했다. 우리는 그 가치가 부정당할 때 분노하며 그것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말하자면 이념갈등은 곧 신념들의 투쟁이다. 그것은 손쉽게 봉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셋째, 시민들의 이념갈등은 정치의 유권자 기반과 여론 환경을 강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념갈등이 정치 균열의 축으로 등장한 것은 최근 현상이다. 민주화 직후엔 안보 이슈가, 그다음엔 출신 지역이, 그다음엔 세대가 선거정치의 주요 변수였다. 그런데 이제 이념이 새로운 힘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례로 배진석 교수의 최근 연구를 보면 이념 성향은 정당 지지에 큰 영향을 미쳐서, 양대 정당의 지지층은 상당히 선명한 이념 성향을 나타냈다. 필자가 김희강, 박선경 교수와 수행한 연구에선 이념 성향은 국가 인식과도 관련된다. 진보 성향일수록 노동 보호, 불평등 완화, 돌봄과 건강을 위한 국가 역할을 지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처럼 현대사회의 핵심 균열인 이념갈등이 지금 한국 사회에 확대, 심화되고 있다. 이 현실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우리는 이념 자체를 위험시하거나 이념갈등은 나쁜 것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념이 없는 사회는 정신이 죽은 사회며, 이념갈등이 없는 사회는 전체주의 사회다.

지금 한국 사회 문제는 이념갈등이 심한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이념대결이 없다는 것이다. 정적끼리 이념공방이나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저변의 신념의 전쟁을 정치로 승화하는 것,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성평등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놓고 대안을 겨루는 것, 그것이 진짜 이념대결이 아니겠는가?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이 연구는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에 주목하고 2012년 현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을‘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사회에서 이념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기준으로 이념 이미지 집단(정치 ․ 경제 ․ 가치)으로 나누고, 이념성향과 정책이슈, 정당의 이념적 위치 설정, 정당일체감에서 이념 이미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념성향은 북한지원, 한미동맹, 인터넷자유, 소수자여론반영과 같은 정치적 정책이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적 정책이슈나 사회적 정책이슈에 대해서는 비교적일부 이슈에만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이념의 인식적 차원과 동일한 속성을 갖는 정책이슈 영역에서도 이념성향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 이념 이미지 가치적 이념 이미지 집단 내에서 정책이슈에 따른 가장 많은 이념성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이 단순한 진보-보수 차원의 이념적 연속선상에 놓여있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정책이슈 경쟁에서 다양한 집단에 의해 증폭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conflicts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recent phenomenon of ideological debates. Three images of ideological perception(politics, economy, value) are se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ideological orientation, evaluation of party ideological orientation, party identification among ideological image groups. As results,ther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political policy issues. The discrepancies in ideological perceptions and policy issue positions are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Especially, policy issue positions of value ideological image group are distinct from other two groups. It implies that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can be amplified in multi-dimensional policy issue competition,not spectrum between conservatism-progressivism.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 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다양한 여론조사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일반국민과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주요 정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일반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는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노무현 정부의 출범시기인 2002년 겨울부터 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에서 진보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중도의 비율이 증가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이 조사결과는 일반국민들 수준에서는 이념적 양극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 나타낸다.

2)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분포의 변화 추세를 보면 어느 당이 다수당이 되는가에 따라 진보, 중도, 보수의 비율이 크게 변화해 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세는 16대 국회에 비해, 17대, 18대 국회 의원들에서 중도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는 점이다. 중도성향 국회의원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주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와 간극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한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념갈등이 심화되는 주요 이유는 일반국민들 사이에 이념대립과 양극화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정당의 지도부를 구성하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가 커져왔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이념 #이념성향 #양극화 #갈등 #국민 #국회의원 #Ideology #Ideological Orientation #Polarization #Conflict #Public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대한민국 이념 갈등, 어떻게 치유하나?

지난 6 월 1일 치러진 지방선거는 우리 사회의 이념 갈등을 또 한 번 보여주는 한 장면이었다. 투표율이 가까스로 50%를 넘기면서 절반에 가까운 국민이 투표장을 외면했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끊임없는 이념, 세대, 성별 갈등을 정치권이 치유하지 못하자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이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한국 사회의 이념 갈등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시작된 오랜 갈등이기도 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이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제는 이러한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 수 없다.

갈등이 국가 경쟁력 저해

한 사회는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으로 유지되고 발전한다. 상호 간의 신뢰에 기반한 통합은 국민적 역량을 한군데로 모을 수 있게 하고 이를 강력하게 유지하면서 국가 발전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OECD 국가 중 ‘사회통합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이며 이는 거의 20년간 변함이 없다.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페인, 폴란드와 같은 나라보다도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이는 국가의 성장과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사회적 갈등으로 인해 치러야 하는 경제적 비용은 최대 250조 원을 웃돈다. 갈등만 사라지면 아낄 수 있는 돈이 바로 250조 원이라는 엄청난 돈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당장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변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갈등은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 국민의 인식이기 때문이다. 지난 5월 말 한국리서치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집단별 갈등인식조사’를 했다. 이에 따르면 ‘여야 갈등이 크다’와 ‘큰 편이다’라는 응답이 무려 95%에 이르렀다. 이에 진보와 보수의 갈등에 대해서는 94%, 기업가와 노동자에 대해서는 92%,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에 대해서는 88%가 갈등이 크다고 답했다. 모든 갈등의 종류에 대해서 80~90%를 웃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 다.

무엇보다 ‘1년 전보다 갈등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10% 안팎으로 증가했다. 물론 이러한 사회 적 갈등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며, 특히 선진국으로 갈수록 좀 더 과격해지는 양상을 보이기는 하다. 그러나 여러 곳에서 이런 문제가 있다고 해서 이 문제를 방치할 수만은 없다. 특히 한국은 이제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 되면서 향후 더 높은 경제력과 국격을 마련해 야 하는 입장에 처해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념 갈등은 매우 강하게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물론 정치인들은 늘 ‘협치, 통합, 갈등 치유’를 내세우곤 한다. 최근 한덕수 국무총리 역시 노무현 대통령 서거 13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후 ‘협치와 통합이 나라와 경제를 살리는 길이다.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의 마침표를 찍고 통합과 상생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와 지향과는 다르게 한국 사회의 갈등은 그칠 줄 모르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 함께 치러진 교육감 선거 역시 이념 갈등이 극적으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교육 분야는 이념 보다는 교육이 앞서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한 상식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선거운동 기간 내내 ‘이념 편향 교육’이 문제시됐다. ‘전교조 교사들이 교육을 다 망쳤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교육의 문제가 이념의 문제로 번졌다. 가장 중립적이어야 하는 분야에서조차 이러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이념 갈등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중도층 적극적으로 나서면 변화 가능

이러한 이념 갈등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심화되는 이유는 다수의 국민이 이념을 ‘옳고 그름의 문제’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에서는 진보가 옳은 것이고, 보수는 일부의 기득권을 위한 이념에 불과하다’, ‘한국사회를 지키는 것은 보수이며, 진보는 우리를 망치고 있다’는 인식이다. 이렇듯 서로의 이념을 옳고 그름으로 파악하게 되면 상대의 이념은 악(惡)의 뿌리이며, 사라져야 할 것으로 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태에서는 상대방을 인정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념 갈등은 계속해서 존재하고 상대방의 제거를 위해서 노력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념 갈등이 치유되기 위해서는 이제 상대방의 이념적 성향을 우선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정이란 결국 개개인이 우선 나설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한명 한명의 국민이 인식을 바꿔야만 전 국민의 인식도 결국 바뀌게 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제 일방적으로 정치색만 보고 선거에 임하는 유권자의 자세도 달라져야 한다. 보수측 지지자는 인물에 상관없이 선거 때만 되면 무조건 보수를 선택하고, 반대로 진보 측 지지자 역시 무조건 진보를 선택한다. 이러한 ‘묻지마 선거’로는 이념 갈등이 치유되기가 힘들다. 더구나 유권자들의 이런 성향을 잘 알고 있는 정치인들은 이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할 수밖에 없다. 당장 표를 얻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런 갈등을 더욱 심화하고 갈라치기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념 갈등의 치유에는 대통령이 가장 먼저 나서야 한다. 그리고 단지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과 대책에서 이를 보여주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기미는 잘 보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 역시 유권자들의 ‘묻지마 선거’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율에 연 연하는 순간, 결국 위기의 순간에는 강성 지지층에 어필하려고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통령이 먼저 나서서 사회 통합을 진두지휘하게 되면 이는 상당한 파급력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념 갈등에 치우지지 않는 중도 성향의 사람들이 우선 나서야 한다는 점도 지적 하지 않을 수 없다. 극좌와 극우의 지지자들은 어차피 있을 수밖에 없다면, 이제 중도층들이 더욱 갈등의 치유와 통합을 외쳐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들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고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의 역할 을 하게 되고, 결국 극좌, 극우 성향의 유권자들도 한풀 꺾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아예 우리 사회의 정치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의 경우에는 ‘합의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국가들이 있다. 하나의 정당이 권력을 싹쓸이 하는 것이 아니라 양당이 서로 권력을 공유하면서 연합정치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소수 정당 역시 국정 운영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성의 확보에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체제라면 선거 때마다 ‘대패’와 ‘대승’으로 희비가 엇갈리지 않기 때문에 이는 보다 안정적인 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한국 사회는 국가적으로 이념 갈등을 비롯한 다양한 갈등의 해소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종합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념격차 크지 않은데 이념갈등 극심한 이유는?

우리사회에서 이념갈등의 심각성은 한계치를 넘은 듯하다. 진보 보수 양극단 사람들이 사사건건 맞부딛치며 이 사회를 쥐락펴락 한다.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에 들어서 선진국 문턱에 진입했다고는 하지만 국민의 삶의 질은 높지 않다. 소득양극화와 함께 이념양극화가 그 이유일 것이다.

<황해문화> 2015 가을호는 “진보와 보수의 이분법을 넘어서”라는 주제의 특집을 기획해 네편의 글을 게재했다. 이 글들은 잘 짜여진 한편의 옴니버스 영화처럼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먼저 이념갈등의 증폭 원인 네가지를 윤성이교수(경희대 정치외교학)가 제시한다. 이 특집의 기획자는 이념갈등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중도라고 본다. 그래서 중도 연구의 권위자인 김진석 교수(인하대 철학)가 ‘복잡성의 중도’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이어서 중도수렴의 실험결과를 채진원 교수(경희대 정치외교학)가, 과거 해방기의 사례들을 김기협 선생이 소개한다.

윤성이, 무엇이 이념 갈등을 증폭시키는가

윤성이 교수는 “무엇이 이념갈등을 증폭시키는가”에서 이념갈등의 심각함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소개하고 이념 갈등 증폭의 원인 네가지를 제시한다.

“여러가지 사회갈등 요인가운데 국민들은 이념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2014년 국민대통합위원회 ‘사회갈등 해소와 통합을 위한 국민의식 조사’에서 집단간 갈등이 가장 심각한 관계는 여당과 야당(평균값 4.54, 5점 척도)이 가장 높았으며, 보수와 진보 갈등이 4.32점으로 그뒤를 이었다. 한편 노사갈등(4.12), 빈부갈등(4.08) 그리고 영호남갈등(3.80), 새대갈등(3.64)은 이념갈등에 비해 갈등의 인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 조사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 기간 어떤 갈등이 가장 심각할 것이라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9.3%가 이념갈등을 지목했고, 빈부갈등과 노사갈등은 각각 20.3%와 6.3%에 그쳤다.” — <황해문화> 2015 가을호 40쪽

윤 교수는 이념갈등을 증폭시키는 원인 네가지를 꼽았는데 그중 첫째는 집단극단화이다. 미국 하버드대 선스타인 교수의 저서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에 집단극단화가 잘 설명돼 있다. 그는 아랍 테러리스트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면서 발견한 사실들을 알려준다. 대개의 경우 사람들은 집단에 소속되면 혼자 있을 때는 절대로 하지 않을 일을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긴다. 집단 구성원들이 모여서 토의를 하고 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성향과 같은 방향을 유지하면서 더 극단화되는게 보통이다.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서 생각하는 공간은 극단적인 운동을 키우는 토양이 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온건한 입장을 가진 구성원들은 집단이 나아가는 방향에 반감을 품고 떠나게 된다. 이같은 패턴은 특정 시기나 문화권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고 선스타인은 말한다. 미국 프랑스뿐 아니라 우리사회의 풀뿌리 사회운동단체 내부에서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념갈등 증폭원인중 첫번째로 집단 극단화를 꼽은 것에 동의한다.

두번째 증폭원인은 정당정치이다. 한국 정당정치의 후진성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고 이념갈등을 부추기는 점도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이상으로 과장돼서는 안된다. 정치인은 사회갈등을 수렴해서 대신 싸워주는 ‘갈등 대행’ 임무를 맡고 있다. 싸움하는 것이 직업인 사람들이다. 그들이 의사당에서 싸우지 않는다면 국민들이 거리에서 피를 흘리게 된다. 그 싸움에는 자신들의 정파적 이익을 위한 것도 있겠지만 그것 역시 그 정파를 지지하는 국민을 대변한다. 학자들이 정치권의 책임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면 책임전가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세번째 이념갈등 증폭원인으로 “매개집단의 정치화”를 들었다. 매개집단이란 시민단체나 언론을 말하는데 정부와 시민을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면서 스스로 정치화되어서 선거과정에 개입하였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했다고 말한다. 매개집단인 시민단체의 정치화가 이념갈등을 증폭시켰다는 견해에도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윤 교수는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운동과 2002년 대선 2004년 총선에서 시민단체들이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 시민단체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약화시켰다고 말한다.

프랑스 사회학자 알랭 뚜렌은 사회운동은 권력과의 관계 속에서 자리매김된다고 했다. 좌파정권에서 우파사회운동이, 우파정권에서 좌파사회운동이 활기를 띤다. 사회운동이 좌편향 또는 우편향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균형잡기를 위한 것이다. 더구나 한국과 같이 정치적 모순이 심한 곳에서 시민운동이 정치와 구분되는 시민사회 고유의 공간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여기에도 동의할 수 없다.

한국사회 이념갈등 증폭에는 언론의 책임이 크며 언론이 공론장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념갈등을 조장하는 역기능을 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은 타당하다. 최근 들어 정치화된 언론의 편집이 지지자들만을 위한 것으로 바뀌고 있다. 종편의 경우 지난해까지만 해도 네명의 패널이 등장하면 한두명은 야당 성향 패널이 앉아있었지만 요즘은 네명이 모두 보수인 경우가 많아졌다.

네 번째 원인은 온라인 공간의 양극화이다. 뉴미디어로 인한 끼리 집단 현상은 우리 정치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온라인 공간에서 다른 이념성향을 가진 사람들과 대화하고 타협점을 찾으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체 모두 이념 양극화와 사회 파편화 문제를 동시에 갖고 있다. 보수는 보수끼리, 그리고 진보는 진보끼리 소통하고 뭉치면서 이념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자연히 이념갈등은 증폭된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는 자신의 생각과 유사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소비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지적도 적절하다.

이념격차 크지 않은데 이념갈등 극심한 이유는

윤 교수가 제시한 네가지 원인은 이념 진영간의 간격을 넓히는데 기여한다. 이것은 양진영의 이념격차가 크지 않음에도 이념갈등이 높은 한국적 특수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같다. 필자가 보기에 그 이유는 이념외적인 문제이다. 이념에 대한 우리사회 구성원들의 무지와 오해가 그중 하나이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이런 갈등 양상에 대해서는 관련 학자 연구자들이 책임을 나누어 가져야 한다. 정치권에 책임을 떠넘길 일이 아니다! 언젠가 김호기 교수가 고백했듯이 분단체제와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이념문제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멀어지게 된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이념을 둘러싼 갈등과 혼란이 극심해졌음에도 수준높은 연구논문을 찾기 어렵다.

대표적인 혼란의 사례가 진보 보수 용어 문제이다. 진보 보수 중에 보수는 족보가 있는 개념이지만 진보는 특히 진보주의는 학문적 뿌리가 없는 말이다. ‘진보-보수’가 쌍으로 사용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이 사실이 동국대 홍윤기교수가 2002년 발표한 논문에서 밝혀졌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는 진보주의를 서양의 사회과학사전에서 찾아보니 항목이 없었다며 놀라워했다. 모든 이념은 진보를 지향하므로 진보주의라는 말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생아처럼 태어나 사회과학 논의의 키워드로 자리잡은 진보라는 용어가 혼돈의 진앙지가 되고 있다.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90년대 중반경부터 언론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80년대에 등장한 좌파가 우리사회에 세력화하자 그들을 지칭하기 위해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학문적 과학적 검증과정을 거치지 않고 태어난 이 용어는 어떤 마력을 갖고 있어서인지 너도 나도 선점하려는 대상이 되었다. 좌파 중도좌파 자유주의자 심지어 보수도 “진보는 나의 것”이라고 주장한다. 진보쟁탈전이라 부를만하다. 현장을 들여다보자.

2012년 4월 진보대통합을 논하는 자리에 좌파의 대표격인 노회찬과 자유주의자 유시민이 함께 앉았다. 노회찬이 우리와 함께 하려면 “좌클릭해서 진보 쪽으로 오시오”라고 했더니 유시민은 “아니 내가 진보인데요”라고 말했다. 봉숭아 학당같은 모습이 연출된 것이다. 노무현과 유시민은 정치적 동업자였지만 노무현은 한번도 자신이 자유주의자라고 말한 적이 없다. 이 사실은 그의 비서였던 천호선이 필자에게 확인해주었다. 노무현은 늘 진보주의자를 자처했다. 이뿐 아니라 보수 이데올로그인 조갑제는 2005년 국민대 연설에서 “보수가 진보다”라는 멋진 말을 남겼다. 좌파 노회찬 자유주의자 유시민 중도좌파 노무현 우파 조갑제가 모두 자신이 진짜 진보라고 주장한다.

한국사회의 진풍경인 진보쟁탈전은 한번 더 둔갑술을 부리는데 진보탈출 러시가 그것이다. 2012년 선거를 앞두고 시도했던 진보대통합이 실패로 끝나자 국민들 사이에 진보혐오증이 퍼져나갔다. 통합진보당의 분당과 이 과정에서 일어난 경기동부와 이석기 파동이 진보에 대한 실망감을 일으켰다. 이때부터 너도나도 진보라는 옷을 벗기 시작했다. 누군가 진보는 진부하다는 말도 남겼다. 이런 분위기에서 진보신당은 노동당으로 개명했으며 진보정의당은 정의당으로 당명에서 진보를 떼어냈다. 이어서 헌법재판소 결정에 의해 통합진보당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조갑제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뉴라이트단체 ‘자유주의진보연합’만이 진보를 지키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우스꽝스러운 현상들은 이념갈등을 희화화시키고 무질서의 도가니로 밀어넣는다. 국민들은 이념은 지긋지긋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결과적으로 갈등을 악화시킨다.

진보라는 가짜 월계관을 차지하기 위해 네 정파가 각축하는 모습을 필자는 사색당파를 패러디해서 “사색진보”라고 이름지었다. 이러한 혼돈은 엄밀하게 말해서 이념과 직접 관계없는 이념갈등 이전의 문제이다. 이념 자체가 복잡한 세상을 반영하기 때문에 복합적이고 난해한데다 이에 더해서 중심용어와 개념의 혼란이 더해졌다. 이런 혼돈으로 인해 실생활에서 겪는 고통은 현재진행형이다. 오늘 저녁에도 직장인 대학생들이 정치를 안주로 술을 마시다보면 진보라는 말이 나오기 마련이다. 이들은 저마다 사색진보중 하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곧 말들이 얽혀서 다툼이 일어난다. 이를테면 보수 새누리당과 비교하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을 진보라고 말하면 그게 무슨 진보냐 이런 식이다. 이런 다툼은 아무런 의미도 가치도 없고 피곤하게 만들뿐이다. 세계적으로 희귀한 현상이어서 국제 학계에 보고해서 공동연구에 나설 만하다. 진보 보수 양진영은 잠시 휴전을 선언하고 연구자들을 파견해서 진보 보수 용어에 얽힌 혼돈을 논의하고 새로이 개념규정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필자의 의견을 붙이자면 좌파는 왼쪽으로 진보하자는 사람들이고 우파는 오른쪽으로 진보하자는 사람들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3,000

5,000

10,000

30,000

50,000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기사 후원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후원기사 이념격차 크지 않은데 이념갈등 극심한 이유는? 익명으로 후원하기 이름 핸드폰번호 이메일 @ 직접입력 naver.com hanmail.net nate.com korea.com gmail.com 금액 결제방법 휴대폰소액결제 신용카드 계좌이체 ※입력하신 개인정보는 후원 관련 문의시 식별정보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되지 않습니다.

※익명으로 후원하시면 프레시안은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나, 향후 결제를 취소할 때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계좌이체는 신청 할 수 없습니다. 취소 확인

“나는 보수” 늘고 “진보” 줄었다…이념갈등 가장 심각(종합)

국민 이념성향 우향우…소수자 배타적 인식 강해져 행복감·국가 자긍심·정치 만족도↓…검경 신뢰도 동반 하락 한국행정연구원 ‘2019 사회통합실태조사’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우리 국민 중 자신의 이념 성향이 보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지난해 늘어났다. 반면 진보로 여기는 사람은 줄어 둘 사이 격차가 눈에 띄게 좁혀졌다.

또한 동성애자나 탈북·이민자 등 소수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배타적 인식은 강해졌다.

이는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해 9∼10월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8천명을 대상으로 한 ‘2019 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다.

광고

[그래픽] 연도별 이념 성향 추이

◇ 보수성향 증가하고 진보는 감소세 전환

20일 발표된 조사 결과를 보면 자신의 이념성향을 보수적이라고 본 응답자 비율은 24.7%로 전년도보다 3.5%포인트 높아졌다.

‘매우 보수적’이라는 응답 비율이 2018년 2.5%에서 지난해 3.8%로 상승했고 ‘다소 보수적’은 18.7%에서 20.9%로 올라갔다.

이에 비해 진보성향 응답자 비중은 28.0%로 전년도보다 3.4%포인트 내려갔다. ‘매우 진보적’이라는 응답이 3.1%, ‘다소 진보적’은 24.9%로 각각 전년도보다 0.2%포인트와 3.2%포인트 떨어졌다.

보수성향 응답률은 이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3년(31.0%)부터 2017년(21.0%)까지 줄곧 하락하다 2018년(21.2%) 약간 올랐고 지난해에는 상승 폭이 더 늘었다. 반면 스스로 진보성향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3년 22.6%, 2014년 22.5% 이후 2017년 30.6%, 2018년 31.4%로 꾸준히 오르다 작년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진보·보수 성향 응답률 차이는 2018년 10.2%포인트에서 3.3%포인트로 바짝 좁혀졌다.

2013년에는 보수(31.0%)가 진보(22.6%)보다 8.4%포인트 높았다가 2017년 진보 30.6%, 보수 21.0%로 역전됐는데 다시 보수가 세를 넓히는 흐름이다.

자신의 이념성향이 ‘중도적’이라고 한 사람은 47.2%였다. 전년도 조사(46.3%)보다 소폭 비율이 올랐다.

국민들은 또한 여러 유형의 사회갈등 가운데 보수·진보간 갈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보고 있었다.

사회갈등 정도를 1∼4점으로 측정한 결과 보수·진보간 갈등이 3.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빈곤층·중상층(3.0점), 근로자·고용주(2.9점), 노인층·젊은층, 개발·환경보존 갈등(이상 각 2.8점) 순으로 집계됐다.

◇ 소수자 배제 심해져…행복감·국가 자긍심 등 만족도 하락

소수자를 배제하는 인식은 이전 조사보다 뚜렷하게 강해졌다.

동성애자를 친구·이웃·가족 등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 비율은 57.1%로 전년도의 49.0%에서 8.1%포인트 상승했다.

또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해서는 25.5%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했다. 전년도(12.6%)에서 12.6%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조사 시작 후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외국인 이민·노동자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11.3%로 역시 처음으로 두자릿수 비율을 보였다. 전년도(5.7%)와 비교하면 5.6%포인트 올랐다.

행복감이나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끼는 인식, 국가에 대한 자긍심 등은 소폭이지만 전년도보다 낮아졌다.

10점 만점으로 측정한 행복감은 6.5점으로 전년도(6.6점) 보다 하락했다.

삶에 대한 만족도 역시 2017년 6.1점에서 지난해 6.0점으로 내려갔고, 국가에 대한 자긍심은 4점 만점에 2.9점으로 역시 전년도보다 0.1점 떨어졌다.

정치·경제·민주주의 수준에 대한 만족도도 대체로 하락했다.

10점 만점 기준으로 정치상황 만족도는 4.4점에서 4.1점으로,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는 5.6점에서 5.3점으로 떨어졌다. 경제상황 만족도는 4.1점으로 전년도와 동일했다.

◇ 불매운동, 집회·시위 참여자 늘어…검경 신뢰도 동반 하락

이번 조사에서는 국민들의 정치·사회활동 유형이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사회단체 참여율은 동창회·향우회가 33.2%로 여전히 가장 높았으나 전년도(36.0%)보다 낮아졌다.

이에 비해 동호회(20.2%), 봉사·기부단체(8.4%), 지역사회 모임(8.3%), 직능단체(4.3%), 시민단체(3.2%)의 참여율은 상승세를 보였다.

정치참여 경험은 주변인과의 대화(63.1%)가 가장 많았으나 전년도(72.0%)보다는 하락했다.

이에 비해 일본 불매 영향으로 불매운동 참여율이 5.9%에서 43.5%로 급등했고 서명운동 참여(16.0%), 온라인 의견 개진(12.7%), 시위·집회 참여(8.9%), 정부·언론에 의견 제시(7.8%) 등 나머지 유형의 응답률도 높아졌다.

국민들이 학연·지연 위주의 사회활동에서 점차 벗어나고 정치참여 활동도 더 적극적 형태로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박준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은 “향우회 등 1차 집단 위주였던 우리 국민의 사회단체 참여가 지역사회 모임이나 자원봉사·시민단체 등 공공적 성격으로 다변화하는 것으로 긍정적 변화로 본다”고 설명했다.

국가 기관별 신뢰도 조사에서는 국회가 ‘꼴찌’를 유지한 가운데 수사권 조정 문제로 대립하는 검찰과 경찰의 점수가 동반 하락한 것이 눈에 띈다.

4점 만점 기준으로 검찰은 2.2점에서 2.1점으로, 경찰은 2.3점에서 2.2점으로 각각 내려갔다. 국회는 1.9점으로 최하위였고 의료기관이 2.6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신문사(2.2), 종교기관(2.3), 방송사(2.3), 지방자치단체(2.4)의 신뢰도가 전년도보다 0.1점씩 낮아졌다.

박준 소장은 “4점 만점에서 0.1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NAVER 학술정보 >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초록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다양한 여론조사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일반국민과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주요 정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일반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는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노무현 정부의 출범시기인 2002년 겨울부터 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에서 진보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이후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중도의 비율이 증가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이 조사결과는 일반국민들 수준에서는 이념적 양극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나타낸다. 2)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분포의 변화 추세를 보면 어느 당이 다수당이 되는가에 따라 진보, 중도, 보수의 비율이 크게 변화해 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세는 16대 국회에 비해,17대, 18대 국회 의원들에서 중도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는 점이다. 중도성향국회의원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주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와 간극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한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념갈등이심화되는 주요 이유는 일반국민들 사이에 이념대립과 양극화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정당의지도부를 구성하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가 커져왔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s the main cause of increasing ideologic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This paper tries to test the two contending hypotheses: the general public polarization hypothesis and the political elite polarization hypothesi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paper analyzes changing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olicy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y analyzing various opinion surveys conducted from 2002 to 2009.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hanged substantially. Reflecting the victory of Roh Mu-hyun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ublic shifted to the progressive direction. However, when the public became disenchanted with Roh Mu-hyun presidency,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increased substantially and remained the largest,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osition. This finding clearly indicates that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not polarized. 2)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lso changed rapidly. The most significant trend was that the propor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among the 17th and the 18th National Assembly members substanti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16th National Assembly members. This trend indicates increasing ideological distance and disparity among major party member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draws the main conclusion that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not the polariz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the main source of intense ideological conflict observed recently in the Korean society.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이념 갈등

다음은 Bing에서 이념 갈등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 방구석1열
  • 영화
  • 토크
  • 최태성
  • 다니엘 린데만
  • 스윙키즈
  • 이념
  • 갈등
  • 공산군
  • 반공포로
  • 친공포로
  • 학살
  • 전쟁
  • Movie
  • Movieroom
  • gv
  • guest
  • Jang Yoon-ju
  • Jung Jae-hyung
  • Jang Sung Kyu
  • Daniel Lindemann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YouTube에서 이념 갈등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념 갈등이 일어난 1951년도 ☞거제 포로수용소☜ 방구석1열(movieroom) 111회 | 이념 갈등,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