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인종 비율 |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170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호주 인종 비율 –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Joe튜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26,083회 및 좋아요 6,89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전체 호주인 중에서 앵글로색슨-켈틱[4] 인구는 58%에 달하며 이를 포함한 유럽계 호주인 인구는 76%에 달한다. 그 다음으로 많은 유럽계 그룹은 독일인 및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이다.

호주 인종 비율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 호주 인종 비율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니가 더 심해

호주노예 왕자 만들기 셀프 구독료
110-452-893460 신한은행 조충익

호주 인종 비율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호주 인종 비율 – 지식iN

현재 호주의 인종비율좀 알려주세요 정확한 최신근거자료 바탕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진짜로 호주가 이제 백인 비율이 줄어들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in.naver.com

Date Published: 1/20/2021

View: 7296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정책

호주. 영국/아일랜드.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과 북미. 기타. 구성비율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인종, 성, 민족 그리고 종교에 상관없이 오스트레일리아 …

+ 더 읽기

Source: nationsworld.kr

Date Published: 10/7/2021

View: 2636

[월드 프리즘] 총선이 실시되는 호주의 국회의원들이 백인 일색 …

시드니 정책연구소(Sydney Policy Lab) 소장이자 호주 인종차별 방지 위원회 … 덕분으로 당내 인종 구성비율 문제를 적극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

+ 더 읽기

Source: www.wikileaks-kr.org

Date Published: 9/13/2022

View: 3129

호주 인종차별 : 호주유학클럽 Q&A게시판

그런데 코로나 발생 후 각국에서 인종차별이 너무 심해지니까 지금 현지 … 저랑 같이 1학년 시작한 한국사람들중에 졸업한 비율이 40%가 안됩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honew.com.au

Date Published: 11/28/2022

View: 6884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는 2021년 7월 15일 기준 2583만 명으로,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가장 많으며, …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자 비율은 전체 인구의 30%로,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9/12/2021

View: 1124

스캔론 재단 여론조사 응답자 60% “인종차별은 큰 문제 …

응답자 60% “호주에서 인종 차별은 큰 문제”; 응답자 86% “이민은 … 중 40%가 인종차별은 큰 문제라고 인식했지만 2021년 조사에서는 그 비율이 60%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bs.com.au

Date Published: 5/17/2022

View: 101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호주 인종 비율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호주 인종 비율

  • Author: Joe튜브
  • Views: 조회수 526,083회
  • Likes: 좋아요 6,892개
  • Date Published: 2018. 11.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GMkbkwAk7E

권장 브라우저 업데이트 안내

호주인종자료는 호주계 + 유럽계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세한건 알수가 없습니다. 이거는 미국도, 캐나다도 똑같지만 어느 사이트를 가도 인종비율이 왔다갔다 합니다.

확실한건 호주는 유럽계 이민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건 확실합니다. 15년도 기준으로 80%의 유럽계(영국,프랑스,독일,네덜란드, 러시아, 구유고연방, 폴란드, 크로아티아등)민족이 절대다수를 차지합니다. 주류종교는 기독교, 러시아정교회를 믿습니다.

중동아랍인(이스라엘,터키,이란,시리아, 모로코,레바논)출신 이민자들도 4%를 차지합니다. 이중 백인혈통에 해당하는 코카서스민족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잘아는 영화배우 키아누리브스(매트릭스, 존윅), 축구선수 사미르 나스리, 메수트 외질, 전 애플대표였던 스티브잡스(시리아계)도 중동계 아랍인이나 페르시아인입니다. 절반은 오리엔트 정교회, 기독교이고 나머지는 이슬람입니다.

그외 아프리카계 이민자들이 있는데 대략 5%정도 됩니다. 이중 절반은 나이지리아 태생이 많습니다. 석유로 인해 정치인들과 기업인들이 배를 불리면서 정치가나 기업가 자녀들을 호주나 영국으로 이민.유학을 많이 보냅니다. 그래서 호주에서는 나이지리아 출신이라고 하믄 구라쟁이, 아니믄 금수저에 해당합니다. 이쪽역시 이슬람, 기독교가 반반씩 차지합니다.(나이지리아 남쪽은 기독교, 북쪽은 이슬람교가 주류)

또 절반은 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공에서 건너오는 이민자들인데 이들 다수는 백인들입니다. 아프리카에 거주하는 백인들은 토착흑인보다는 엄청나게 부유하지만 내부적으로 흑인우대로 인해 차별을 받아서 아파르트헤이트 폐지후 꾸준히 호주나 뉴질랜드로 건너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샬토코플리, 닐 블롬캠프, 샤를리즈 테론, 아놀드 보슬루(이모텝), 일론머스크, 트로이 시반 전부 남아공 백인들입니다. 이역시 기독교

그외에도 아메리카 출신 -> 미국, 캐나다, 멕시코,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칠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등 이쪽에서도 크리올 백인들이 가까운 캐나다나 미국, 호주로 건너오는데 남미태생의 백인들은 대부분 호주나 뉴질랜드로 건너갑니다.

이렇게 광범위하게 포함시키면 85 ~ 90%가 넘는 백인들이 호주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체성이 다르고 종교적으로, 문화적으로 다르다보니 서로 뭉치지 않는편이지 호주의 역사는 쭉 백인들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나머지는 홍콩, 마카오, 싱가폴, 말레이시아, 태국, 중국본토에서 건너오는 중국계 이민자들과, 오세아니아 원주민들,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등 각지에서 온 유색인종은 호주 전체인구의 10%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고등교육을 이수한 인재들이고 대부분 집안이 부유한 편에 속합니다. 참고로 요즘은 불체자 아닌이상 합법적으로 거주하는 이민자들은 대부분 우리가 생각하는거와는 다르게 잘살고 잘배운 애들입니다.

그리고 호주는 원래부터 이민자의 나라였습니다… 단지 70년대까지 백호주의를 실시해서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많은거지 70년대 이전에도 청나라나 말레이시아에서 건너온 노동자들이 합법적으로 거주했었고 원주민도 있었으며 70년대 이후 각지에서 이민을 오면서 현재의 호주연방이 탄생한겁니다. 호주는 능력있고 돈많으면 무조건 받아주는 국가입니다. 그러다보니 아시아부자들이 호주 시민권을 사놓고 보험들어놓는 이유도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에나 지금에나 백인들은 꾸준히 엄청나게 이민오고 있습니다. 다만 그 비율이 예전에는 유럽국가가가 다수였다면 지금은 유럽이 아닌 중동 + 아메리카 + 아프리카(남아프리카), 중앙아시아(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우즈베키스탄)등 영역이 좀더 넓어졌다고 봐야됩니다. 어차피 얘내들도 생김새가 조금 다를뿐이지 코카서스 혈통인건 매한가지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정책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정책 강권찬 / 본원 연구원

1.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현황

< 표1> 호주의 민족구성 인종 앵글로 색슨 유럽계 백인 아시아 원주민 기타 1019만명 80% 15% 1.3% 2.0% 1.5%

오스트레일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희박한 나라로, 전체인구가 약 1천9백만 명이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가장 대표적인 이민국가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초기 이민자들은 대개가 영국과 아일랜드 출신이었다. 영국식민지가 1901년에 연방화 되었을 때, 새로운 국가정책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영어사용국이며 앵글로 문화와 유사한 국가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이 생각 때문에 비영어권 국가으로부터의 이민을 차단하였고, 때때로 이 정책은 ‘백호주의’(White Australia)정책이라고 불렸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경제 성장과 안정을 위해서는 더 많은 노동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추진했다. 그 이후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십만 명이 넘는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다. 전후 이민자들 대부분은 대도시에 정착을 했으며, 특히 시드니와 멜버른의 산업 발달에 기여했다. 각 국가의 위기 시에도 그들은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인도네시아 그리고 중국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인구의 사분의 일은 비영어권 국가에서 태어났으며 혹은 적어도 부모 중 한 사람이 비영어 권 국가 출신이다.1)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이민자들 이외에 원주민이 존재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은 ‘아보리진’과 토리스 해협 섬주민들이다. 원주민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서 4만년에서 6만년 동안 살았다. 유럽인들이 1788년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할 때까지 원주민들의 수는 30만에서 백만 사이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 가장 최근의 조사에서는 35만 명이 원주민 출신이라고 스스로를 밝혔는데, 이 수치는 1970년대의 원주민수의 거의 2배에 해당한다. 원주민들은 유럽 정착민들에 의해 자신들의 땅에서 쫓겨 났지만, 1970년대 이래로 원주민 문화는 서서히 되살아나고 있다. 조상들이 원주민이지만 백인 교육을 받고 자란 많은 오스트레일리아인들이 이제는 스스로를 아보리진(Aborigine)이나 토리스 해협 섬주민이라고 밝히고 있다.

< 표2> 현재 호주인들의 출생지 출신지 호주 영국/아일랜드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과 북미 기타 구성비율 76.7% 6.6% 6.4% 5% 2.1% 1.2% 2%

원주민과 이민 2-3세대는 전체의 77%정도에 그친다. 이는 최근에도 계속해서 이민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또한 현재의 주민구성에서 유럽계 백인이 95%를 넘고 있지만 출생지에서 근거해 본다면 아시아를 중심으로 많은 이민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표3>국가별 호주국적취득 현황(1989-199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영국 42,883 39,495 36,488 41,963 39,876 36,401 36,134 35,431 27,294 23,080 중국 2,911 3,342 1,743 5,018 4,872 5,242 5,971 4,250 16,173 21,053 뉴질랜드 6,995 7,538 6,562 8,502 9,772 7,786 9,033 11,724 9,982 8,764 베트남 9,815 8,256 6,723 9,697 12,406 10,713 7,722 7,741 5,083 4,685 유고 3,999 4,276 3,679 3,487 2,972 3,043 3,534 5,188 3,207 4,088 필리핀 5,024 9,504 9,275 6,763 6,633 6,600 5,408 4,021 3,815 3,688 인도 1,547 1,933 1,960 2,130 2,645 2,386 3,107 2,638 2,563 3,358 이라크 – – – – – – – – 1,591 2,877 보스니아 – – – – – – – – 1,637 2,728 스리랑카 2,133 2,516 2,576 2.003 2,104 1,691 1,730 1,644 1,620 2,049 피지 – – – – – 2,018 2,204 1,815 1,721 1,934 남아프리카 3,211 3,029 2,569 2,006 1,781 1,595 1,324 1,262 1,578 1,880 미국 – – – – – 1,634 1,912 2,272 1,701 1,565 레바논 3,115 4,090 3,405 2,585 2,976 2,122 1,392 1,105 1,076 1,364 캄보디아 1,798 1,686 4,584 1,259 577 – – – 1.149 1,233 기타 35,729 41,742 38,946 39,745 35,471 30,505 35,236 32,546 28,076 27,997 총합 119,140 127,857 118,510 125,128 122,085 112,186 114,757 111,637 108,266 112,343 출처: OECD,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1999

< 표3>에서 보듯 국가별 호주취득 현황은 영국(23,080)에 이어 중국(21,053)이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89년에는 불과 2,911명에 불과하였는데 10년사이 증가율이 10배에 이르게 되었다. 이외에도 베트남, 필리핀, 인도등이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아시아 국가에서의 이민이 급증한 것이다. 백호주의의 폐기이후 아시아 태평양 국가를 표방하면서 아시아 국가로부터의 이민은 계속하여 급증하고 있다. 최근 이민경향에서 중요한 또 하나가 동유럽으로부터의 이민을 들 수 있다. 유고내전에 이은 피난의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영국과 기타 유럽국가에 의한 이민으로 오스트레일리아라는 국가가 성립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민자에 의한 국가라 하더라도 실제 유럽국가로 보는 것이 여전히 현실적인 이유가 그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민족구성은 다른 양태를 보여주고 있다. 아시아에서의 이민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유럽출생의 유럽인들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출생의 유럽계가 늘어나면서 이들 세대에 의한 새로운 인식이 가능해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정책

1. 민족정책의 원칙 :백호주의의 포기와 복합문화정책 오스트레일리아는 계획적으로 여러 문화를 혼합하여 성립한 사회 중에는 성공한 경우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영국의 식민지로서 백호주의를 내세웠던 오스트레일리아가 다문화공존의 정책으로 전환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이 큰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후로 약 5백 5십 만명 정도의 이민자들이 오스트레일리아로 들어왔다고 집계된다. 많은 수는 유럽의 비영어사용권 국가에서 유입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사회에서 그들의 고유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인종적인 공동체를 형성하여왔다. 1960 년대 자유-국가당 연합 정부가 백호주의를 완전 철회하게 되면서 유럽이외에도 아시아와 아프리카 각지에서 이민의 물결이 쏟아지게 되었다. 새로운 정책은 ‘모방’이 아닌 ‘통합’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 정책은 정부와 비정부 부문의 지원으로 실시되었다. 이 정책은 각기 다른 인종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이 동등한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을 인정하는 조치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노동당과 연합정당 정부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의 가치를 존중하고, 사회정의를 함께 공유하며, 차별없는 고용과 이민으로 경제적인 이윤을 획득하는 ‘복합문화’ 정책을 진전시키게 된다. 인종적 관용과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기본가치는 기존의 정치정당에 의해 지지되고 뒷받침됨으로써 확고한 정치적, 이념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복합문화정책의 원리는 크게 네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인종, 피부색, 신념, 출신을 불문하는 평등한 권리와 평등한 대접을 받을 권리, 둘째,인종, 피부색, 신념, 출신을 불문하고 차별 없는 이민정책을 고수하는 것, 셋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과 토레스 해협의 토착민들이 사회적-경제적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전국민의 협조와 민주주의적 제도로서 오스트레일리아를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관대하며 개방적인 사회로 유지할 것이 그것이다.3) 이러한 민족정책의 원칙은 크게 훼손받지 않고 오스트레일리아 국가정책의 근간을 이루어 왔다. 정치 과정은 물론이고 모든 법과 제도의 운영방침, 그리고 사회정책에 있어서도 이러한 원칙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칙이 성공적으로 사회곳곳에 침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다문화 공존정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민족정책의 원칙이 가장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이민정책과 원주민정책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정책의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이민정책

< 표4> 유형별 이민자동향(1995-1998) (단위/ 천명)

이민프로그램 인도주의 프로그램 총합 가족초청 기술이민 특별자격 1995 76.5 44.5 30.4 1.6 13.3 1996 82.5 56.7 24.1 1.7 15.1 1997 73.9 44.6 27.7 1.7 12.0 1998 67.1 40.8 25.1 1.1 12.0 출처: OECD,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1999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민국가이다. 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법과 이민정책은 오스트레일리아국민을 형성하고 국가의 기틀이 되는 매우 중요한 법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인 정책과 관련하여서도 뚜렷한 제도가 있다기 보다는 이민정책에 기반한 프로그램으로 모든 것이 대체되고 있다. 외국이 정책은 곧 ‘계절적 거주이민’과 관련되어 있다. 이 글에서 다루는 이민은 영주거주와 관련되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영주 이민 프로그램은 크게 기술 및 가족이민(Skilled stream and Family Stream)과 Humanitarian 프로그램(피난민 및 인도주의적 필요의 이민)의 2종류로 나누어지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매년(오스트레일리아의 회계기준 기간과 동일한 7월 1일부터 다음해 6월 30일까지)의 이민자의 총 인원 및 이민의 종류에 따른 인원수를 포함한 이민 계획을 발표한다.4)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인종, 성, 민족 그리고 종교에 상관없이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신청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차별하지 않는다는 원칙(non-discriminatory immigration polocy)을 표방하고 있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을 신청하는 사람이 오스트레일리아의 발전과 필요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정해놓은 자격 조건에 맞는 개인적인 자질을 가지고 있다면 다른 어떠한 이유로 인하여 차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민’ 및 ‘인도주의’ 프로그램은 그러한 개인적인 자격조건을 명시한 이민수용의 원칙에 다름 아니다. 이민 프로그램(Migration Program)은 세종류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술이민(Skilled Stream), 가족이민(Family Stream), 특별거주(Special residence)로 나누어 진다. 인도주의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인도주의적 박해를 받은 사람에게 이민권을 부여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기술 이민은 오스트레일리아 경제에 기여할 기술이나 뛰어난 능력을 소지한 이민자를 대상으로 고안된 프로그램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기술 이민 프로그램에 더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전체 이민자 숫자 중에서 인도주의 이민(Humani-tarian Program)의 숫자는 1만 2천 명 정도로 계속 유지되고 있고, 전체 이민자 수의 8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가족 이민과 기술이중에서 가족 이민의 숫자는 14,080명 (96-97년과 대비하여 98-99년에 27%) 증가하였다. 이는 3년 사이에 전체 이민자 수가 5,803명(약 6.8%)이 감소한 것에 비하면 기술 이민자의 증가된 비율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정부는 2000/2001 회계연도(2000.7-2001.6.)에 76,000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하였다.5) 일반이민 76,000명 중 기술이민은 40,000명, 가족초청이민은 34,400명, 나머지는 특별자격 해당자1,600명으로 할당하였다. 이는 1980년대 말의 14만명에 비해 상당히 감소된 숫자이며, 이민자의 실업증가 추세를 반영한 결과로서 최근 가족 초청이민 보다는 기술이민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역시 반영하고 있다. 가족 초청이민은 95/96, 96/97, 97/98 회계년도중 각기 일반 이민의 70%, 60%, 47%를 차지했으나, 98/99이후 45% 이하로 감소하고 있다.

< 표5> 출신지별 정주외국인동향(1989-1998) ( 단위/ 천명)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뉴질랜드 23.5 11.2 7.5 7.2 6.7 7.8 10.5 12.3 13.1 14.7 영국 23.9 23.5 20.7 14.5 9.5 9.0 10.7 11.3 9.7 9.2 유고 2.9 2.0 1.9 2.5 4.2 4.9 6.7 7.7 5.3 5.2 중국 3.8 3.1 3.3 3.4 3.0 2.7 3.7 11.2 7.8 4.3 남아프리카 3.0 2.4 2.1 1.3 1.0 1.7 2.8 3.2 3.2 4.3 홍콩 7.3 8.1 13.5 12.9 6.5 3.3 4.1 4.4 3.9 3.2 인도 3.1 3.0 5.1 5.6 3.6 2.6 3.9 3.7 2.7 2.8 필리핀 9.2 6.1 6.4 5.9 3.7 4.2 4.1 3.2 2.8 2.8 베트남 8.0 11.2 13.2 9.6 5.7 5.4 5.1 3.6 3.0 2.3 대만 2.1 3.1 3.5 3.2 1.4 0.8 0.8 1.6 2.2 1.5 미국 2.1 1.9 1.9 1.7 1.3 1.4 1.8 1.6 1.5 1.3 스리랑카 2.9 2.2 3.3 2.8 1.6 1.4 2.0 2.0 1.4 1.3 레바논 2.8 2.2 2.9 1.6 1.0 1.1 1.2 1.3 1.0 1.1 피지 2.7 2.6 2.4 2.1 1.6 1.3 1.5 1.7 1.7 1.1 구소련 1.0 1.7 0.9 2.0 3.2 2.0 2.3 1.7 1.8 1.0 기타 47.0 37.0 33.1 31.0 22.2 20.3 26.3 28.7 24.8 21.3 총합 145.3 121.2 121.7 107.4 76.3 69.8 87.4 99.1 85.8 77.3 출처: OECD,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1999

기술이민의 다양한 종류 중에서 최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비중이 ‘독립 기술 이민’ (Indepe-ndent Migrants)이다. ‘독립 기술 이민’은 개인의 교육수준, 기술 및 실무 경력에 근거하여 오스트레일리아 경제에 빠르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는 사람들로서, 오스트레일리아 내에 친척이나 고용주에 의하여 보증(sponsored)되지 않은 사람들이다.매년 기술 이민이 가장 많은 수의 그룹을 형성한다. 1996년~1997년의 예를 들면 총 11,737명의 ‘기술 이민자’들 중의 약 60%가 ‘독립 기술 이민’ 이었으며, 그들 중 21%가 영국에서 왔다. 다음으로는 남아프리카 (9.8%), 인도(9.3%), 홍콩(8.4%), 중국(7.6%)이다. < 표5>에서 나타난 출신지별 이민자수를 보더라도 중국과 동유럽에서 밀려오는 이민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97년 ‘State/Territory Nominated Indepe-ndent(STNI) Scheme’라 불리는 새로운 범주의 ‘독립 기술 이민이 추가 되었는데, 이는 주 정부와 지방 정부(State and Territory Governments)가 1997-98년에 200명의 기술 이민자와 그 가족들을 스폰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시드니가 있는 New South Wales주 또는 Queensland주와 같이 대다수의 이민자가 몰리는 (시드니는 이민자의 40%가 몰린다)주(State)들에서는 사회 기반 시설(infrastru-cture)의 부족 현상을 일으켜 사회적인 문제점들을 야기하는 반면, South Australia주, Tasmania주, Northern Territory주 들은 각각 이민자의 4%, 1%, 1%만이 정착을 한다. 따라서 이민자들이 각 주에 균형을 유지하며 정착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된 주나 지역(nominated State and Territories)에 거주하려는 의사가 있으며, 그 지역에 필요한 기술(Skill Matching)을 가진 사람을 후원하여 이민자로 받아들이는 제도이다. 위에서도 살펴 보았듯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정책은 명확한 원칙과 잘 짜여진 제도, 그리고 운영에 있어서의 관대함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자격에 대한 원칙과 그것의 폭넓은 적용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이민을 바란다면 그렇게 큰 어려움을 거치지 않고 이민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최근에는 정책적으로 기술이민, 즉 뚜렷한 기술이 있는 사람들을 이민으로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제발전에 보탬이 되는 사람을 희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여타의 프로그램에 대한 억제효과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3. 원주민 정책 : 토지소유권을 중심으로 오스트레일리아정부의 민족정책에 있어 중요한 구성부분은 원주민에 대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과거 이민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5만년이상을 살아왔던 원주민들에 대해 무차별적인 살육을 저질르기도 하였다. 근대적인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원주민에 대한 강제적인 동화정책이 실행되어 원주민아이들을 강제적으로 백인가정에 편입시켜 교육시키는 정책을 실행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당시의 원주민세대를 ‘엄마잃은 세대’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백호주의가 철회되고 복합문화정책의 원칙들이 수립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정책도 일대 전환을 맞게 되었다. 원주민을 보호하고 원주민에 대한 사회-경제적 불이익이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중요한 원칙으로 대두되었다. 최근 오스트레일리아 내부에서 일어난 획기적인 변화는 원주민들의 토지 권한에 관한 새로운 결정이었다. 영국이 1788년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했을 때, 영국 왕실이 모든 토지를 소유하고 수십만년 동안 그곳을 지켜왔던 원주민들에게는 토지에 관한 권한을 전혀 주지 않았다. 1992년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원주민이 지속적인 문화적 물리적 연관성을 증명할 수 있다면 그들이 토지에 관한 소유권을 갖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그 판결은 처음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던 에디 마보(Eddie Mabo)의 이름을 따서 마보 판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7) 원주민 토지소유권(Native Title)의 정의는 원래 전통적 법률과 관습하에 인정되는 국토와 영해에 대한 원주민과 토레스해협 주민들의 국토의 소유 및 왕래권과 같이 매우 다양하며 폭넓은 권리를 칭하는 것으로 “계약”이라는 개념과 같이 법적인 권한을 가진 특별한 종류를 위한 복합적 용어이다. 이런 원주민 토지소유권은 관습법에 의해 인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권리들은 성문율과 모순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있고 또한 “계약”이라는 것과는 달리 아직 법원이 원주민 토지소유권에 대한 어떤 조항도 심사에 들어가지 않고 있으며, 상황과 원주민 부족의 전통법과 관습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전개될 것이다. 또한 이 원주민 토지소유권은 법적 권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 특징은 원주민 부족별로 다른 신분과 법· 관습 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부족원들간에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어 있고, 어떤 이유에서도 이전되어질 수 없으며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는 취소될 수도 있으며 이 소유권은 취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원주민의 전통적 법률과 관습에 따라 세습되는 것이다. 고등법원의 판결에 의하면 원주민 권리는 오스트레일리아 영토에서 호수, 강, 근해를 포함되는 영해에까지도 존재할 수 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국토에만 국한시키기로한 판결이다. 하지만 현재 다수의 원주민 토지소유권 신청이 호수나 강 등 근해에 관한 것들이어서, 마보결정으로 만은 그들의 주장을 일축하기에는 역부족이고 또한 영해에 관해서도 원주민 권리를 인정하고 있는 원주민 소유권법령(Native Title Act)에 의한다면 원주민의 주장 역시 무리만은 아니다. 그러나 임대한 토지(주로 광업과 농업용 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 대립이 있어서, 완벽한 해결책을 위해 지금도 법안을 개정하는 중이다. 원주민의 토지소유권(Native Title)에 대한 정부 정책이 여·야당 및 사회 각계 각층의 논란 속에 현재까지도 난항을 하고 있는 상태이어서 더욱 혼란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고 이런 지속적인 불확실성은 정확한 해결의 실마리를 잡고 있지 못하다. 어찌되었건 오스트레일리아정부의 이러한 입장과 선례는 앞으로 획기적인 원주민정책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3.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문제

오스트레일리아 민족문제에서 최대 쟁점은 증가하는 아시아 이민에 대한 반발과 맞물려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정책은 어떠한 인종적 차별도 행해져서는 안된다는 대원칙이 존재한다. 사실 이러한 원칙하에 자격조건만 된다면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이민이 가능하였고 실제 이러한 것이 90년대 들어서면서 아시아이민의 급증을 낳았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과거 백호주의를 표방했던 나라이고 그러한 여운이 채 가시지 않은 사회임이 분명하다. 법, 제도적인 처리는 완결되었지만 여전히 사회주류를 장악하고 있는 것은 백인들이다. 국내 실업률과 맞물리면서 국제적인 지역주의, 인종주의 바람이 오스트레일리아를 스쳐 지나가고, 백호주의는 새로운 양상으로 재등장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는 유럽중심의 사고에서 아시아국가의 일부라는 아시아 중심의 사고로 전환하고자 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이런 경향들에 반발하면서 반아시아, 반이민의 정서가 오스트레일리아의 백인 실업자를 중심으로 널리퍼지게 되었고 급기야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의회선거에서 반(反)아시아·반이민정책을 내세운 극우정당인 ‘일국당(一國黨)’이 약진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 동아시아 각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인종차별주의 부활 가능성을 경고하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하였다. 아시아 이민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였다. 중국 외교부의 주방자오(朱邦造) 대변인은 다문화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중국인을 비롯한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사회·경제적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다면서 일국당의 반아시아적 인종주의 정책은 역사적 추세를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정책이라고 비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의 민족문제에 있어 최대현안은 백호주의의 재등장에 맞추어져 있다. 과거 20여년간 유지해왔던 복합문화정책의 원칙들이 지켜질 수 있는지, 또한 백호주의의 발흥으로 인해 그러한 원칙이 훼손된다거나 법 집행에 있어 영향을 줄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만약 이러한 것들이 현실화될 때, 이미 오스트레일리아 사회 내에 안착한 아시아계 중심의 이민자들이 반발할 수밖에 없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전향적인 원주민 정책과 이를 둘러싼 대립과 마찰이 중첩되면서 안정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사회에 큰 균열을 낳을 수도 있다.

1) http://www.state.gov/www/background_notes/austreillia.html, 검색일: 2. 23. 2) http://www.mofat.go.kr/web_mission/austreillia, 검색일: 2001. 2. 23. 3) http://www.state.gov/www/background_notes/austreillia.html, 검색일: 2. 23. 4) OECD,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1999, p. 297. 5) http://www.mofat.go.kr/web_mission/austreillia, 검색일: 2001. 2. 23. 6) OECD, Trends in International Migration, 1999, p. 292. 7) http://www.mofat.go.kr/web_mission/austreillia, 검색일: 2001. 2. 23. <민족연구 제6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는 2021년 7월 15일 기준 2583만 명으로,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가장 많으며, 전 세계에서 52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다.

아래 표에서, 1961년 이전의 통계에서는 원주민 인구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유럽인이 정착하기 전의 원주민 인구는 30만-100만 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되며, 고고학적 발견물로, 지속 가능한 최대 인구는 75만 여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1] 통계 가능한 지역에서의 인구는, 인구 조사 통계에 포함되었다.

연도별 인구 연도 비원주민 인구 ±% p.a. 1788 859 — 1798 4,588 +18.24% 1808 10,263 +8.38% 1818 25,859 +9.68% 1828 58,197 +8.45% 1838 151,868 +10.07% 1848 332,328 +8.15% 1858 1,050,828 +12.20% 1868 1,539,552 +3.89% 1878 2,092,164 +3.11% 1888 2,981,677 +3.61% 1898 3,664,715 +2.08% 출처: [2]

연도별 인구 연도 전체 인구 ±% 1901 3,788,123 — 1906 4,059,083 +7.2% 1911 4,489,545 +10.6% 1916 4,943,173 +10.1% 1921 5,455,136 +10.4% 1926 6,056,360 +11.0% 1931 6,526,485 +7.8% 1936 6,778,372 +3.9% 1941 7,109,898 +4.9% 1946 7,465,157 +5.0% 1951 8,421,775 +12.8% 1956 9,425,563 +11.9% 1961 10,548,267 +11.9% 1966 11,599,498 +10.0% 1971 13,067,265 +12.7% 1976 14,033,083 +7.4% 1981 14,923,260 +6.3% 1986 16,018,350 +7.3% 1991 17,284,036 +7.9% 1996 18,224,767 +5.4% 2001 18,769,249 +3.0% 2006 19,855,288 +5.8% 2011 21,507,717 +8.3% 2016 23,401,892 +8.8% 1961년 이전은 원주민 인구가 포함되지 않았음

출처: [3][4][5][6][7]

인구학적 동향 [ 편집 ]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는 1950년 817만 명에서 1990년 1696만 명으로, 인구가 2배로 증가하였으며,

2015년에는 2393만 명으로 증가했다. 2019년 유엔의 인구전망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는 2030년 2817만 명으로 증가하며, 그 이후에도 계속증가해 2100년 4287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는 빠르게 증가했는데[8], 대부분 이민의 영향이 컸다. 2019년 기준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국인 인구는 752만 명으로, 전 세계에서 외국인 수가 8번째로 많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자 비율은 전체 인구의 30%로,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국가 중에서 이민자 비율이 가장 높다.[9][10]

평균 인구밀도는 km2당 3.4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이는 차지하는 지역 대부분이 건조한 스텝 기후와 사막 기후의 성질을 띄고 있기 때문이며, 인구의 대부분은 서부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인구의 89%가 손으로 꼽을 수 있는 수의 도시 지역에 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볼 때 가장 도시화된 수준이다.[1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종별로 인구 정보를 수집하지는 않지만, 인구 조사(센서스)에서는 응답자가 원주민인지, 토레스 해협 제도 사람인지 등 자신의 혈통을 지명하도록 한다.

인구 통계 [ 편집 ]

1850-1899 합계출산율 [ 편집 ]

여성 1명당 출산율. 출처: Our World In Data, Gapminder Foundation.[12]

1850-1899 오스트레일리아의 합계출산율[13] 1850 1851 1852 1853 1854 1855 1856 1857 1858 1859 4.94 5.01 4.07 5.03 4.86 5.32 5.19 5.63 5.71 5.75 1860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5.71 5.67 5.8 5.59 5.75 5.64 5.33 5.41 5.43 5.19 1870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5.19 5.09 4.97 5.01 4.93 4.81 4.81 4.69 4.74 4.8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4.73 4.73 4.62 4.66 4.77 4.78 4.74 4.77 4.76 4.65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4.69 4.62 4.52 4.4 4.13 4.07 3.81 3.78 3.64 3.66

1860-1899 조출생률 [ 편집 ]

인구 1000명당 출생률.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14]

1860-1899 오스트레일리아의 조출생률[15] 1860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42.6 42.3 43.3 41.7 42.9 42.1 39.8 40.4 40.5 38.7 1870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38.7 38.0 37.1 37.4 36.8 35.9 35.9 35.0 35.4 35.8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35.3 35.3 34.5 34.8 35.6 35.7 35.4 35.6 35.5 34.7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35.0 34.5 33.7 32.8 30.8 30.4 28.4 28.2 27.2 27.3

연령별 인구 구성비 [ 편집 ]

출처: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16][17][18][19]

연령 1901 1911 1921 1931 1941 1951 1961 1971 1981 1991 2001 2007 2016 0–14세 35.1 31.6 31.8 28.5 24.2 27.2 30.3 28.7 25.0 21.9 20.5 19.4 18.6 15–24세 19.4 20.1 16.9 18.1 17.5 14.1 14.3 17.4 17.4 16.0 13.7 14.0 12.8 25–44세 29.4 28.8 30.0 29.3 30.0 29.4 27.7 27.4 28.4 28.6 30.0 29.2 27.9 45–64세 12.0 14.8 17.0 18.0 20.9 20.4 19.9 20.0 19.2 19.3 23.1 25.0 25.1 65세 이상 4.0 4.3 4.5 6.1 7.4 8.1 8.5 8.3 9.8 11.3 12.6 13.2 15.8 종합 (%) 100 99.6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위 연령 [ 편집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적 중위 연령 통계. 출처: 호주 통계청.[20][21][22][23]

연도 1901 1911 1921 1951 1961 1971 1981 1991 2001 2015 2017 중위 연령 22.5 24.0 25.8 30.3 29.3 27.7 29.6 32.4 35.7 37.4 38.7 남성 중위 연령 23.6 24.6 26.1 29.9 28.7 27.0 29.0 31.7 34.9 37.9 여성 중위 연령 21.5 23.4 25.5 30.8 30.2 28.3 30.2 33.0 36.4 39.5

1900-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 편집 ]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1000명당) 조사망률 (1000명당) 자연 증감률 (1000명당) 합계출산율[24] 해외 인구 순유입[25][26][27] 1900 3,715,000 102,221 44,060 58,161 27.3 11.8 15.5 3.66 1901 3,765,000 102,945 46,330 56,615 27.1 12.2 14.9 3.64 1902 3,824,000 102,776 48,078 54,698 26.7 12.5 14.2 3.39 1903 3,875,000 98,443 47,293 51,150 25.3 12.1 13.2 3.58 1904 3,916,000 104,113 43,572 60,541 26.4 11.0 15.4 3.54 1905 3,974,000 104,941 43,514 61,427 26.2 10.9 15.3 3.51 1906 4,032,000 107,890 44,333 63,557 26.6 10.9 15.7 3.35 1907 4,091,000 110,347 45,305 55,042 26.7 11.0 15.7 3.35 1908 4,161,000 111,545 46,426 55,119 26.6 11.1 15.5 3.35 1909 4,232,000 114,071 44,172 59,899 26.7 10.3 16.4 3.35 1910 4,323,000 116,801 45,590 61,211 26.7 10.4 16.3 3.35 1911 4,425,000 122,193 47,869 74,324 27.2 10.6 16.6 3.51 1912 4,573,000 133,088 52,177 80,911 28.6 11.2 17.4 3.51 1913 4,820,172 135,714 51,789 83,925 28.2 10.7 17.5 3.51 1914 4,893,000 137,983 51,720 86,263 28.0 10.5 17.5 3.51 1915 4,971,000 134,871 52,782 82,089 27.1 10.6 16.5 3.51 1916 4,969,000 131,426 54,197 77,219 26.6 11.0 15.6 3.07 1917 4,917,000 129,965 48,029 81,936 26.3 9.7 16.6 3.35 1918 4,982,000 125,739 50,249 75,490 25.0 10.0 15.0 3.07 1919 5,080,000 122,290 65,930 56,360 23.6 12.7 10.9 3.07 1920 5,303,000 136,406 56,289 80,117 25.5 10.5 15.5 3.07 1921 5,411,000 136,198 54,076 82,122 24.9 9.9 15.0 3.12 1922 5,510,000 137,496 51,311 86,185 24.7 9.2 15.5 3.11 1923 5,637,000 135,222 56,236 78,986 23.7 9.9 13.8 3.02 1924 5,755,000 134,927 54,980 79,953 23.2 9.4 13.8 2.97 1925 5,882,000 135,792 54,658 81,134 22.9 9.2 13.7 2.95 1926 6,000,000 133,162 56,952 76,210 22.0 9.4 12.6 2.85 1927 6,124,000 133,698 58,282 75,716 21.6 9.4 12.2 2.80 1928 6,251,000 134,078 59,378 74,700 21.3 9.4 11.9 2.77 1929 6,355,000 129,480 60,857 68,623 20.2 9.5 10.7 2.64 1930 6,436,000 128,399 55,331 73,068 19.8 8.6 11.2 2.58 1931 6,500,000 118,509 56,560 61,949 18.2 8.7 9.5 2.36 1932 6,552,000 110,933 56,757 54,176 16.9 8.6 8.3 2.19 1933 6,603,000 111,269 59,117 52,152 16.8 8.9 7.9 2.17 1934 6,656,000 109,475 62,229 47,246 16.4 9.3 7.1 2.11 1935 6,707,000 111,325 63,599 47,726 16.5 9.4 7.1 2.12 1936 6,755,000 116,073 63,932 52,141 17.1 9.4 7.7 2.18 1937 6,810,000 119,131 64,496 54,635 17.4 9.4 8.0 2.21 1938 6,871,000 120,415 66,451 53,964 17.4 9.6 7.8 2.21 1939 6,935,000 122,891 69,147 53,744 17.6 9.9 7.7 2.22 1940 7,004,000 126,347 68,384 57,963 17.9 9.7 8.2 2.26 1941 7,077,000 134,525 71,176 63,349 18.9 10.0 8.9 2.36 1942 7,143,000 136,708 75,191 61,517 19.1 10.5 8.6 2.38 1943 7,201,000 149,295 74,486 74,809 20.6 10.3 10.3 2.57 1944 7,269,000 153,344 69,596 83,748 21.0 9.5 11.5 2.63 1945 7,347,000 160,560 70,231 90,229 21.7 9.5 12.2 2.74 1946 7,430,000 176,379 74,661 101,718 23.6 10.0 13.6 2.99 1947 7,517,000 182,384 73,468 108,916 24.1 9.7 14.4 3.08 1948 7,637,000 177,976 76,839 101,137 23.1 10.0 13.1 2.98 1949 7,792,000 181,261 75,260 106,001 22.9 9.5 13.4 2.99 1950 8,045,000 190,591 78,187 112,404 23.3 9.6 13.7 3.01 1951 8,307,000 193,298 81,788 111,510 23.0 9.7 13.3 3.06 1952 8,527,000 201,650 81,597 120,053 23.4 9.5 13.9 3.15 1953 8,739,000 202,235 80,188 122,047 22.9 9.1 13.8 3.23 1954 8,902,000 202,256 81,805 120,451 22.5 9.1 13.4 3.3 1955 9,089,000 207,677 82,036 125,641 22.6 8.9 13.7 3.35 1956 9,311,000 212,633 86,088 126,545 22.5 9.1 13.4 3.39 1957 9,530,000 220,358 84,953 135,405 22.9 8.8 14.1 3.41 1958 9,744,000 222,504 83,723 138,481 22.6 8.5 14.1 3.42 1959 9,947,000 226,976 89,212 137,765 22.6 8.9 13.7 3.41 1960 10,160,000 230,326 88,464 141,862 22.4 8.6 13.8 3.39 1961 10,391,000 239,986 88,961 151,025 22.8 8.5 14.3 3.35 1962 10,642,000 237,081 93,163 143,918 22.1 8.7 13.4 3.3 1963 10,846,000 235,689 94,894 140,795 21.5 8.7 12.8 3.24 1964 11,055,000 229,149 100,594 128,555 20.5 8.7 11.8 3.17 1965 11,280,000 222,854 99,715 123,139 19.6 8.8 10.8 2.97 1966 11,505,000 223,731 103,929 119,802 19.3 9.0 10.3 2.89 1967 11,704,000 229,796 102,703 127,093 19.4 8.7 10.7 2.85 1968 11,912,000 240,906 109,547 131,359 20.0 9.1 10.9 2.89 1969 12,145,000 250,175 106,496 143,681 20.4 8.7 11.7 2.93 1970 12,407,000 257,516 113,048 144,468 20.5 9.0 10.5 2.94 1971 12,663,000 276,361 110,650 165,711 21.5 8.6 12.9 2.98 1972 13,067,000 271,960 110,191 161,769 20.6 8.4 12.2 2.74 1973 13,303,000 255,848 111,336 144,512 19.1 8.3 10.8 2.49 1974 13,504,000 243,658 110,179 133,479 17.9 8.1 9.8 2.32 1975 13,722,000 239,794 114,501 125,293 17.4 8.3 9.1 2.15 1976 13,892,000 231,135 110,610 120,525 16.6 7.9 8.7 2.06 1977 14,033,000 226,954 111,490 115,464 16.1 7.9 8.2 2.01 1978 14,192,000 226,359 108,059 118,300 15.9 7.6 8.3 1.95 1979 14,359,000 223,370 108,315 115,055 15.5 7.5 8.0 1.91 1980 14,515,000 223,664 106,654 117,010 15.3 7.3 8.0 1.89 1981 14,695,000 230,920 109,429 121,491 15.6 7.4 8.2 1.94 1982 14,923,000 237,076 110,990 116,086 15.7 7.4 8.3 1.93 128,100 1983 15,184,000 241,764 112,918 128,846 15.8 7.4 8.4 1.92 73,300 1984 15,393,000 240,544 110,887 129,657 15.5 7.2 8.3 1.84 49,100 1985 15,579,000 241,814 114,197 127,617 15.4 7.3 8.1 1.92 73,800 1986 15,788,000 239,115 116,069 123,046 15.0 7.3 7.7 1.87 100,500 1987 16,018,000 242,977 116,139 126,838 15.0 7.2 7.8 1.85 125,800 1988 16,263,000 246,200 120,463 125,737 15.0 7.3 7.7 1.83 149,400 1989 16,532,000 250,155 118,767 131,388 15.1 7.1 8.0 1.84 157,500 1990 16,814,000 257,521 125,112 132,409 15.3 7.4 7.9 1.90 124,700 1991 17,065,000 261,158 119,572 141,586 15.2 7.0 8.2 1.85 86,500 1992 17,284,000 259,186 120,836 138,350 14.9 6.9 8.0 1.89 68,600 1993 17,494,000 259,959 121,338 138,621 14.8 6.9 7.9 1.86 30,100 1994 17,667,000 258,314 123,496 134,818 14.5 7.0 7.5 1.84 46,600 1995 17,854,000 258,210 126,232 131,978 14.4 7.0 7.4 1.82 80,200 1996 18,071,000 250,438 126,400 124,038 13.8 6.9 6.9 1.80 104,000 1997 18,310,000 253,660 127,298 126,362 13.7 6.9 6.8 1.78 87,200 1998 18,517,000 249,105 129,255 119,850 13.4 6.9 6.5 1.75 79,100 1999 18,711,000 249,965 128,278 121,487 13.3 6.8 6.5 1.75 96,500 2000 18,925,000 249,310 128,392 120,918 13.1 6.7 6.4 1.75 107,200 2001 19,153,000 247,500 128,913 118,587 12.8 6.7 6.1 1.73 135,700 2002 19,413,000 250,988 133,707 117,281 12.9 6.9 6.0 1.77 110,600 2003 19,651,000 246,663 132,239 114,424 12.5 6.7 5.8 1.75 116,500 2004 19,895,000 249,082 133,231 115,851 12.4 6.7 5.7 1.76 100,000 2005 20,127,000 255,934 131,354 124,580 12.6 6.5 6.1 1.79 123,800 2006 20,394,000 263,540 134,041 129,499 12.8 6.5 6.3 1.82 146,700 2007 20,697,000 274,330 134,785 139,545 13.2 6.4 6.8 1.87 232,700 2008 21,015,000 302,272 143,946 158,326 14.4 6.8 7.6 2.02 277,400 2009 21,262,000 295,700 140,760 154,940 13.9 6.6 7.3 1.90 299,800 2010 22,183,000 297,900 143,473 154,427 13.4 6.4 7.0 1.89 172,038 2011 22,340,000 301,617 146,932 156,050 13.5 6.6 6.9 1.92 205,679 2012 22,723,000 309,582 147,098 161,782 13.6 6.5 7.1 1.91 241,151 2013 23,162,000 308,065 147,708 160,357 13.3 6.4 6.9 1.88 235,797 2014 23,413,000 299,697 153,400 146,300 12.8 6.5 6.3 1.8 179,000 2015 23,858,000 305,377 159,052 146,325 12.8 6.7 6.1 1.81 181,000 2016[28] 24,385,600 311,104 158,504 152,600 12.9 6.5 6.4 1.789 243,800 2017 24,770,700[29] 309,142 160,909 148,233 12.6 6.5 6.1 1.741 241,700 2018 25,180,200[30] 315,147[31] 158,493 156,654 12.6 6.5 6.1 1.740 248,400 2019 25,522,100 305,832 169,301 136,531 12.1 6.7 5.4 1.657 210,700 2020 25,694,393 294,400 161,400 133,000 11.5 6.3 5.2 3,300

기대수명 [ 편집 ]

1921-현재 기대수명 [ 편집 ]

출처: Our World In Data, 유엔.

1921-1949 기대수명[32] 연도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61.0 62.9 61.7 62.5 63.2 62.9 62.8 62.9 63.1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64.9 65.3 65.6 65.4 64.8 65.1 65.2 65.8 65.8 65.8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 1947 1948 1949 66.2 66.1 65.9 66.4 68.0 68.5 68.0 68.6 68.5 69.1

1950–2020 기대수명[33] 기간 기대수명 기간 기대수명 1950–1955 69.4 1985–1990 76.2 1955–1960 70.4 1990–1995 77.7 1960–1965 70.9 1995–2000 78.8 1965–1970 70.8 2000–2005 80.3 1970–1975 71.8 2005–2010 81.5 1975–1980 73.6 2010–2015 82.4 1980–1985 75.1 2015-2020 83.2

체류 외국인 현황 [ 편집 ]

유엔 인구 통계 [ 편집 ]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35][36]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1950 1970 1990 2000 2005 2010 2015 2019 817.7만 명 ↗ 1279.3만 명 ↗ 1696.1만 명 ↗ 1899.1만 명 ↗ 2017.9만 명 ↗ 2215.5만 명 ↗ 2393.3만 명 ↗ 2520.3만 명

2019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피라미드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통계(2019년, 유엔) [ 편집 ]

총인구: 2520만 명

15세 미만 인구: 19.3%

15~24세 인구: 12.3%

25~64세 인구: 52.5%

65세 이상 인구: 15.9%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3.3명

인구 성장률: 1.2%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12.7명

합계출산율: 1.82명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6.6명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3명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4명

기대수명: 83.4세

미국 중앙정보국 월드 팩트북 인구 통계 [ 편집 ]

출처: 미국 중앙정보국(CIA) 월드 팩트북.[37]

인구 [ 편집 ]

25,809,973명 (2021년 7월 추산)

민족 [ 편집 ]

영어 25.9%, 오스트레일리아인 25.4%, 아일랜드인 7.5%, 스코틀랜드인 6.4%, 이탈리아인 3.3%, 독일인 3.2%, 중국인 3.1%, 인도인 1.4%, 그리스인 1.4%, 네덜란드인 1.2%, 기타 15.8%, 불명 5.4% (2011년 추산)

언어 [ 편집 ]

영어 72.7%, 표준 중국어 2.5%, 아랍어 1.4%, 광둥어 1.2%, 베트남어 1.2%, 이탈리아어 1.2%, 그리스어 1%, 기타 14.8%, 불명 6.5% (2016년 추산)

종교 [ 편집 ]

개신교 23.1% (성공회 13.3%, 연합교회 3.7%, 장로교 및 개혁교 2.3%, 침례교 1.5%, 오순절교 1.1%, 루터교 0.7%, 기타 개신교 0.5%), 로마 가톨릭 22.6%, 기타 기독교 4.2%, 무슬림 2.6%, 불교 2.4%, 정교회 2.3% (동방 정교회 2.1%, 오리엔트 정교회 0.2%), 힌두교 1.9%, 기타 1.3%, 무교 30.1%, 불명 9.6% (2016년 추산)

성별 및 연령 구조 [ 편집 ]

0-14세: 18.72% (남성 2,457,418/여성 2,309,706)

15-24세: 12.89% (남성 1,710,253/여성 1,572,794)

25-54세: 41.15% (남성 5,224,840/여성 5,255,041)

55-64세: 11.35% (남성 1,395,844/여성 1,495,806)

65세 이상: 15.88% (남성 1,866,761/여성 2,177,996) (2020년 추산)

부양비 [ 편집 ]

총부양비: 55.1

유소년부양비: 29.9

노년부양비: 25.1

잠재적 부양률: 4 (2020년 추산)

중위 연령 [ 편집 ]

전체: 37.5세

남성: 36.5세

여성: 38.5세 (2020년 추산)

인구 성장률 [ 편집 ]

1.31% (2021년 추산)

출생률 [ 편집 ]

12.35명/1,000명 (2021년 추산)

사망률 [ 편집 ]

6.78명/1,000명 (2021년 추산)

순이동률 [ 편집 ]

7.49명/1,000명 (2021년 추산)

인구 분포 [ 편집 ]

인구가 주로 동쪽과 남동쪽에 집중됨

도시화 [ 편집 ]

도시 인구: 전체 인구의 86.4% (2021)

도시화 증감률: 연평균 1.27% 변화 (2020-25년 추산)

참고: 크리스마스 섬, 코코스 제도 및 노퍽 섬이 정보에 포함됨

주요 도시 지역 – 인구 [ 편집 ]

506.1만 명 멜버른, 499.2만 명 시드니, 243.9만 명 브리즈번, 206.7만 명 퍼스, 134.5만 명 애들레이드, 462,000명 캔버라 (수도) (2021)

성비 [ 편집 ]

출생시: 1.06 남성/여성

0-14세: 1.06 남성/여성

15-24세: 1.09 남성/여성

25-54세: 0.99 남성/여성

55-64세: 0.93 남성/여성

65세 이상: 0.86 남성/여성

전체: 0.99 남성/여성 (2020년 추산)

산모 평균 초산 연령 [ 편집 ]

28.7세 (2019년 추산)

모성 사망률 [ 편집 ]

6명/출산 100,000명 (2017년 추산)

영아 사망률 [ 편집 ]

전체: 3.05명/출생 1,000명

남성: 3.29명/출생 1,000명

여성: 2.8명/출생 1,000명 (2021년 추산)

출생시 기대수명 [ 편집 ]

전체: 82.89세

남성: 80.73세

여성: 85.17세 (2021년 추산)

합계출산율 [ 편집 ]

1.74명/여성 (2021년 추산)

스캔론 재단 여론조사 응답자 60% “인종차별은 큰 문제”… ‘호주인 대다수, 이민 지지’

이민, 문화적 다양성, 차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새로운 여론 조사 결과 “대부분의 호주인들이 인종 차별을 큰 문제”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캔론 재단 2021년 보고서

Advertisement

응답자 60% “호주에서 인종 차별은 큰 문제”

응답자 86% “이민은 일반적으로 호주 경제에 좋은 것”

응답자 89% “다문화주의는 호주 사회에 좋은 것”

스캔론 재단은 2020년 7월, 11월, 2021년 7월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조사에서는 3,500명 이상에게 110개가 넘는 질문이 던져졌다.

화요일 발표된 ‘2021 사회 응집력 여론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호주에서 인종차별이 얼마나 큰 문제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가 크게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 중 40%가 인종차별은 큰 문제라고 인식했지만 2021년 조사에서는 그 비율이 60%로 뛰어올랐다.

보고서의 저자인 앤드류 마커스 명예 교수는 “인종차별과 관련된 질문에서 이런 수준의 변화는 흔히 볼 수 없기 때문에 매우 두드러진 결과”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모두가 연구 결과에 놀라움을 표현한 것은 아니다.

박사 과정을 밟기 위해 중국에서 브리즈번으로 온 게리 자이 씨는 2020년 초반부터 이웃이 자신에게 중국계 사람을 지칭하는 인종 차별적 비방을 해왔다고 말했다.

Gary Zhai says he has reported numerous instances of racism to police. Source: Supplied/Gary Zhai

그녀는 자이 씨에게 “차를 빼라. 너는 코로나 바이러스 보균자다”라고 하더니 “네 집으로 돌아가라”라고까지 말했다.

자이 씨는 지금까지 학대, 무단 침입, 자동차 파손, 인종 차별 행위 등 35건의 사건을 경찰에 신고했지만 아직까지 아무 일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She said, ‘… move your car. You’re a coronavirus carrier’. She called me that. – Gary Zhai, Brisbane

다문화 청소년 옹호 네트워크의 카르멜 게라 의장은 “호주에는 항상 인종차별이 있어 왔다”라며 “코로나 바이러스 이전부터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다른 많은 것들과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종차별 문제를 전면에 내세웠다”라며 “이제 훨씬 더 눈에 띄고 사람들이 이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민과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호주에서 인종 차별 우려가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 결과 외국인 혐오와 인종차별주의적인 태도가 호주 사회의 다수를 차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의 86%는 “이민은 일반적으로 호주 경제에 좋은 것”이라는 문항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2019년 조사에서는 76%가 동의한 바 있다.

호주 소수민족협의회연합(FECCA)의 메리 패테소스 의장은 “이민자와 난민들이 이 나라에서 번성하고 있으며 우리는 엄청난 기여를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특정 집단과 특정 개인에게 인종 차별을 가하기 때문에 때때로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개인들이 있다”라며 “이민자 사회에 대한 네트워크가 부족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불이익 요소들이 있을 수도 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다문화주의가 호주 사회에 좋은가?”라는 질문에는 89%가 동의 입장을 밝혔다.

문제의 원인은?

멜번대학교의 카렌 파콰슨 사회학 교수는 몇 가지 요소가 연관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녀는 “흑인 사망과 관련된 인권 운동이 호주에서 일어났고 감금된 원주민의 죽음에도 많은 관심이 몰렸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둘러싼 반아시아 인종주의도 발생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이전에는 길거리에서 괴롭힘을 당하지 않았을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괴롭힘을 당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라며 “아마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 인종차별 인식 증가에 기여했다고 생각되며 20% 증가는 정말 큰 도약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비영어권 출신의 34%가 높은 수준의 차별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반면 호주에서 태어난 사람의 11%, 영어권에서 출생한 사람의 12%만이 높은 수준의 차별을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이번 조사에서는 사람들이 이라크, 중국, 수단 계통의 이민자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부정적 의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42%가 이라크계 호주인에 대해 “매우 부정적” 혹은 “다소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호주 내 중국계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는 43%, 수단계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는 46%를 기록했다.

마커스 교수는 “중동과 아시아계 호주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라며 “하지만 팬데믹 과정에서 부정적인 비율이 더 커진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지난해에 비해 중국계 호주인에 대한 부정적 응답은 1%가 하락했으며, 인도계는 6%, 레바논계는 7%, 수단계는 10%가 감소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호주 인종 비율

다음은 Bing에서 호주 인종 비율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 워홀
  • 워킹홀리데이
  • 인종차별
  • 인종
  • 영어
  • 무시
  • 차별
  • 호주
  • 시드니
  • 호주시드니
  • 브리즈번
  • 호주브리즈번
  • 퍼스
  • 호주퍼스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 #Racist


YouTube에서 호주 인종 비율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호주 인종차별 얼마나 심한가?? Racist | 호주 인종 비율,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