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경제 구조 |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북한 경제 구조 –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KGFP Korea Global Forum for Peace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37회 및 좋아요 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북한 경제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생산수단에 대한 사회주의적 소유 제도와 함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경제발전 과 관련하여서는 계획경제의 특성이 부각되고 있다.

북한 경제 구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 북한 경제 구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2021 한반도국제평화포럼
• 주제: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 일시: 2021. 9. 1(수) 10:40~12:10 (KST)
• 주관: KDI국제정책대학원,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
2011년 말 김정은 집권이후 북한 주민들은 일상생활에서 획기적인 경제적 변화를 목도했다. 김정은은 비공식 시장활동의 활성화를 일관되게 묵인하면서 이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정은은 일련의 경제 ‘개혁’ 조치들을 추진하면서 지속적인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사금융과 공식금융을 포함한 경제부문에 대한 통제력 회복을 추구했다. 2020년 초 북한은 핵과 경제개발을 동시 추구한다는 병진노선을 재천명했지만, 강력한 경제제재와 글로벌 팬데믹의 엄청난 충격에 대응해 경제 활성화 방안을 계속 모색하고 있다. 본 세션은 이러한 북한 내 경제적 변화를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분야에서 다층적으로 고찰한다.
좌장
– 조동준 (서울대학교 교수)
발표
– 손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윌리엄 브라운 (동북아경제지식자문 책임)
– 김연호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 부소장)
토론
– 임을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부교수)
– 다니엘 웨츠 (전미북한위원회 선임고문)
– 김규철 (한국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실시간 Q\u0026A 링크
https://app.sli.do/event/ytrqybrn

북한 경제 구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북한/경제 – 나무위키

개요2. 역사3. 북한의 국내 총생산 (GDP) 현황4. 산업 구조5. 시장 운영6. 북한의 부동산7. 지하자원8.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9. 북한 국채 문제10.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5/3/2021

View: 7929

북한경제의 구조와 변화 – 한국은행

우리 금융경제연구원의 아홉 번째『금융경제총서』로서「북한경제의 구조와. 변화」를 발간한다. 주지하다시피 북한은 지난 수십년간’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를 채택해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bok.or.kr

Date Published: 2/29/2021

View: 8844

북한 경제의 이해 | click 경제교육

북한 경제체제의 특징 남한은 국토면적은 좁지만 인구가 많아 인구밀도(전체인구/국토면적)가 북한보다 높다. 남한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eiec.kdi.re.kr

Date Published: 4/3/2021

View: 75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 지배 당시 각종 산업시설이 북한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것과 풍부한 천연자원이 있다는 것은 북한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으나 불균형한 산업구조, …

+ 더 읽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5/13/2021

View: 9808

북한의 경제 –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2008년 현재 산업별 종사 인구를 분석하면, 북한의 경제 구조는 1차 산업 36.1%, 2차 산업 34.3%, 3차 산업 29.6%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북한 지역의 …

+ 여기를 클릭

Source: nationalatlas.ngii.go.kr

Date Published: 5/8/2021

View: 7652

경제 체제 – 북한정보포털 – 통일부

북한사회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을까요? #인구 #사회 계층 구조 #주민 일탈현상 #사상 이념적 통제 #노동 조건.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kinfo.unikorea.go.kr

Date Published: 3/26/2021

View: 3995

북한의 경제 구조 변화 요인 분석과 전망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북한경제 구조변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자본생산성이 경제성장률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자본스톡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생산성과 기술진보는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0/17/2022

View: 5712

[논문]북한 경제 구조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본 연구는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남한보다 양호한 산업 인프라와 높은 성장률을 구가했던 북한 경제가 1990년대의 연속 마이너스 성장과 2000년대의 자력갱생이 …

+ 여기에 표시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11/29/2021

View: 102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북한 경제 구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북한 경제 구조

  • Author: KGFP Korea Global Forum for Peace
  • Views: 조회수 237회
  • Likes: 좋아요 3개
  • Date Published: 실시간 스트리밍 시작일: 2021. 8. 3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AC_I2D7qoSM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는 고전적인 사회주의 경제체제로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쿠바보다 더 중앙집권화·일원화된 계획경제체제이다.[3]

일본 지배 당시 각종 산업시설이 북한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것과 풍부한 천연자원이 있다는 것은 북한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했으나 불균형한 산업구조, 특히 석유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치명적으로 작용했다. 북한은 남한과의 대치상황에서 우위를 점하고 부족한 천연자원을 자체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중공업을 육성하고자 했으나, 이는 경공업 및 농업의 부진과 불균형, 이로 인한 낮은 공장가동률을 보여 결과적으로 소비재와 이를 생산하는 생산수단에서 모두 남한에 뒤쳐지고 말았다.

오늘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의 수익은 내수를 통해 이루어진다.[4]

역사 [ 편집 ]

1953년 ~ 1956년, 반대파 제거 [ 편집 ]

1951년, 한국전쟁 중 폭격을 받는 원산의 항구

한국 전쟁 이후 산업 기반이 파괴된 상황에서 경제발전의 방향은 공업화로 맞춰졌고 공업화의 기본 방향은 중공업 육성 정책이었다. 김일성은 1953년 8월 5일부터 8월 6일까지 열린 노동당 중앙위 제6차 전원회의에서 중공업 우선주의를 내용으로 하는 《중공업우선의 경공업·농업 동시발전노선》과 《농업협동화》실시를 제기하였다. 이때 중공업과 경공업, 농업의 투자 비율은 4 : 1 : 1의 비율로 중공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되는 상황이었다.[5]

하지만 이런 중공업 우선 정책은 연안파와 소련파의 반대에 부딪혔다.[5] 1956년 8월 30일 제3기 전원회의에서는 최창익, 박창옥, 윤공흠 등이 김일성의 중공업 우선 노선을 비판했다. 최창익은 중공업 집중 투자를 비판하고 경제계획을 개편할 것을 촉구하였다. 서휘는 직업 동맹과 노동자들이 기본적인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치적 자주성과 파업의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6]

김일성이 소련과 동유럽으로 해외순방을 떠나자 연안파와 소련파는 김일성이 자신에 대한 개인숭배를 구축하려 한다는 이유로 합법적으로 김일성을 탄핵시키고 이를 소련이 허락해 줄 것을 부탁했다. 하지만 이는 김일성에게 발각되었고 이에 대한 대응을 준비할 수 있었다. 김일성은 자신이 처벌한 제3기 전원회의의 인물들을 복권하라는 중국과 소련의 압력에 순응할 수밖에 없었으나 결국 반김일성 진영에 대한 숙청을 감행한다.[7] 김일성은 8월 종파 사건으로 반대파를 제거하고 중공업 우선 정책을 밀고나갈 수 있었다.[5]

1957년 ~ 1976년, 《경제·군사 병진노선》 [ 편집 ]

1971년 김일성과 만난 차우셰스쿠 . 당시 안보상황의 급변으로 《경제·군사 병진노선》은 실패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1960년대 북한은 사회주의의 전면적 건설을 혁명 전략으로 내세우면서 중공업 우선발전 정책을 채택했다. 하지만 1961년 남한의 군사정권 등장,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및 중소분쟁의 표면화로 국제정세변화에 위기의식을 갖게 되면서 1962년 12월 《경제·군사 병진노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이 시기 북한의 군사력 강화 정책의 방향은 군대의 간부화, 무장의 현대화, 군사진지의 요새화, 전인민의 무장화이다. 또한 1964년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고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1966년 중화인민공화국의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안보 상황이 위태로워지면서 공식적으로 《경제·군사 병진노선》을 채택하기에 이른다.[8]

결과적으로 북한의 과도한 군사비 지출은 7개년 계획의 실패를 낳았다. 이로 인해 경제 건설이 지체되었고 갑산파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갑산파 또한 숙청되면서 갑산파의 《경제·군사 병진노선》 반대는 사실상 북한 내 마지막 집단적 문제제기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경제 전반적 위기가 심화되는 1990년대 초까지 경제발전전략의 진보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8]

북한은 《경제·군사 병진노선》의 채택을 계기로 투자율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계획기간을 3년 연장하는 등 심각한 경제침체를 겪게 된다. 북한은 스스로 《경제·군사 병진노선》의 실패를 인정하고 1971년 데탕트를 계기로 1972년 서방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차관을 들이는 등 자립경제 노선을 완화했다. 하지만 북한의 열악한 생산능력과 대외신용은 외채의 증가로 이어졌다. 또한 1차 오일쇼크로 인해 서방국가들이 비철금속에 대한 수입을 줄이자 북한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1974년 북한의 무역 적자 중 80%인 6억 6700만 달러가 서방무역으로 인한 적자였다. 1976년 북한은 차관도입을 중지했고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수출확대 정책은 빈약한 생산능력으로 인해 1980년대에 들어 무역적자로 반전되었다.[8]

1970년대 데탕트의 여파와 경제 성장의 부진에도 북한이 《경제·군사 병진노선》을 포기할 수 없었던 까닭은 1980년대 신냉전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미국의 레이건 정권, 일본의 나카소네 정권, 영국의 대처 정권 등 보수정권의 등장은 한반도에서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안보체제의 강화로 이어졌다. 박정희 정부는 총력안보체제로서 유신체제를 등장시키고 70년대 중반부터 국군현대화계획에 착수, 국방력 강화에 나서는 한편 핵개발에 착수하였다. 이런 박정희 정부의 방향성은 1980년 등장한 전두환 정권이 이어받았다. 당시 한반도의 안보상황을 고려할 때 북한의《경제·군사 병진노선》은 그대로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9]

1977년 ~ 1993년, 경제개혁 및 개방과 실패 [ 편집 ]

1973년에 설립된 연합기업소는 1985년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에서 <연합기업소를 조직하여 정무원의 사업체계와 방법을 개선할 데 대하여>를 통해 전면적으로 도입되었고, 연합기업소는 공장과 기업소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들을 묶어 관리 대상과 단계를 줄이기 위해 확대되었다.[10]

이를 통해 연합기업소는 원자재 공급에서 있어 큰 역할을 맡게 되었다.[11] 김일성은 당국과 연합기업소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공장과 기업소에도 개별적인 경영을 맡기는 독립채산제를 실시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12][13] 독립채산제는 북한 지역에 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된 이후부터 소련의 독립채산제를 도입하여 실행하였으나, 독립채산제를 체계적으로 실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14] 1970년대 초 독립채산제는 국영기업뿐만 아니라 공업, 농업, 유통부문에 이르기까지 확대 실시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부터 연합기업소에 대하여 이중 독립채산제를 실시하였는데, 이중 독립채산제는 연합기업소에 경영을 맡기는 동시에 연합기업소에 속하는 공장기업소에게도 경영을 분담하는 제도였다.[15]

1991년에는 무역 분야에서도 개혁적 조치가 취해지고 새로운 무역체계가 등장하기에 이러하여 이제 도는 대외경제위원회는 물론 생산을 담당한 위원회, 부, 도에 무역회사를 설치하여 스스로 무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생산을 담당하는 정무원 산하의 부, 위원회, 그리고 지역의 행정단위인 도에 대외무역권한이 위임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무역체계하에서 위원회, 부, 도가 자신의 부문, 지방에서 생산한 물건을 직접 팔고 또한 필요한 물건을 직접 사게 되어 있다. 수출뿐만 아니라 수입도 인정하고 있으며 더욱이 각 지방의 생산능력과 자연경제적 조건을 검토하고 수출입계획을 세워 자기가 세운 무역계획에 따라 무역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16]

1989년 평양세계청년대축전의 제막식

1984년 북한은 합영법 제정으로 외채부담이 적은 외국과의 합영사업을 추진하려고 했다. 하지만 조총련계 기업이나 구소련 기업과의 합작에는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으나 서방 기업과의 합작에는 거의 실패한 것으로 나타난다. 합영법을 통한 외국자본의 유치노력이 실패한 이유는 낮은 대외신용도와 투자환경의 미성숙, 남북한간의 긴장상태 지속으로 인한 투자심리의 위축 등으로 들 수 있다. 특히 심각한 문제는 경공업과 농업의 생산 결과물인 생필품과 식량의 부족이었다. 이에 북한 정부는 〈8·3 인민소비품 창조운동〉와 같은 물질적 자극이나 지역별 관리체계로의 전환, 연합기업소의 도입, 독립채산제 강화 같은 분권화 및 물적 인센티브 도입 조치를 취한다. 생필품 공급부족과 시장화의 추세 속에서 1980년대 후반 중공업우선주의 전략에 변화의 징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988년 농사제일주의, 수출제일주의가 중점 사항의 하나로 거론되고 1989년을 경공업의 해로 정하고 경공업발전 3개년계획을 추진하는 등 농업, 무역, 경공업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9]

그러나 소련과 중국의 개혁바람에 대한 위기감과 평양세계청년대축전을 위한 무리한 동원, 지원성 무역의 급증 등으로 인해 1986년부터 개혁은 점차 둔화되었다. 특히 소련으로부터의 원자재 공급과 같은 지원성 무역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개혁 의지를 약화시키고 대외 의존도를 높여 1990년대 북한 경제 위기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9]

1994년 ~ 1997년, 소련의 붕괴와 고난의 행군 [ 편집 ]

1989년 소련을 위시한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북한의 경제난이 급속화되었다. 이러한 대외경제관계의 변화는 북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공장가동률이 10 – 30%로 하락하면서 노동자들은 공장에서 할 일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임금만으로 살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1995년 배급제가 붕괴하면서 북한 주민들은 기아로 죽어가기 시작했고 식량과 생필품의 대부분을 시장에서 구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17]

1995년 ~ 1997년의 시기는 북한에서 가장 어려운 고난의 행군 시기로 국가배급 및 공급체계가 중단되는 등 사실상 중앙계획체제가 붕괴된 시기였다. 장마당에서의 소득이 공장이나 협동농장 등의 생산단위에서의 임금의 수십 배를 뛰어넘으면서 경제생활의 중심이 중앙계획체제에서 장마당으로 이동했으며 시장경제가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주민들의 경제활동은 1998년 이후 북한의 경제회생을 가능하게 했던 요인이라 평가된다. 1998년 12월 북한 정부는 고난의 행군 종료를 선언하고 선군정치를 통한 강성대국의 건설을 발전전망으로 제시하면서 장마당과 농민시장에 대한 견제조치 및 노동자복귀명령 등 시장경제의 등장을 견제하는 등 보수적인 경제정책을 이어나갔다.[17] 하지만 북한의 지하경제는 중앙계획경제가 제 역할을 못 할수록 그 규모를 확장해나갔다. 특히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공식 GDP가 비공식 부문은 전체 GDP 규모의 77%까지 증가하였다.[18]

북한의 계획 경제 체제는 1990년대 와해되었고 2000년대부터 기존의 생산 및 분배 방식으로부터의 전환이라는 과도기적 상태를 걷고있다고 보여진다.[19]

1998년 이후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의 적대적 공존 [ 편집 ]

1990년대 시장경제의 활성화로 세력을 형성한 이들과 북한 지도부 세력이 경제적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계획경제가 와해되자 주민들은 분산되어 각자의 생존을 도모한다. 시장의 영역이 계획 경제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에 위기감을 느낀 북한 지도부는 화폐개혁이나 공개처형과 같은 방식으로 시장경제를 억누르려고 하나, 시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과 정부는 적대적으로 공존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0] 북한은 1998년 9월 북한 사회주의 헌법 10차 개정으로 경제 관련 조항들을 수정하였으나 이것이 경제개혁과 시장개방을 위한 내용이었는지, 그 당시 시행될 정책 방향의 예시였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다.[21]

2009년 화폐개혁과 북한 원화의 가치 폭락은 시장경제를 강화하면서 계획경제로 돌아가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에 북한 최고권력자는 시장을 지도부와 관료들에게 분배하며 사회 경제적 자산을 정치적으로 분배해나갔다.[22][23]

2000년대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인한 미국과의 관계 경색 등 대외상황의 악화로 인해 북한은 기존의 중공업 중심의 경제 노선을 계승한 국방산업과 경공업·농업 동시발전 노선을 채택했고 김정은 체제는 핵무력 – 경제 병진 노선을 채택하면서 핵능력을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다.[24][25]

국가계획초과 달성 유도를 위해 공장기업소는 기본 제품의 부산물로 생산된 생필품의 30% 한도 내에서 시장판매를 허용하고 있다.[26]

번수입은 현물지표별 계획에 따르는 수입뿐만 아니라 계획외의 수입도 포함된다는 것이고 계획외의 수입이 중시되어야 할 부분이다. 물론 계획외의 수입만 추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획을 수행한 다음에 추가로 생산되는 계획외 수입을 평가실적에 인정해준다는 단서가 달려있으며 즉 현물지표별 계획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번수입계획수행률을 그대로 인정하지만 현물지표별 계획을 수행하지 못하였을 때에는 범칙금을 계산하여 번수입계획수행률에서 떼고 평가한다.[27]

사회주의상업법 제81조는 상점, 식당, 서비스업소 등을 운영하려는 기업소 등은 중앙상업지도기관의 승인 대신, 해당 상업지도기관의 영업허가를 받도록 명시하고 있다. 일반상점은 기존 국영상점을 기관, 기업소에 임대하여 자율 운영토록 한 위탁상점과 기관, 기업소가 개설한 직매점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국가는 일부 실적이 부진한 국영상점의 운영권을 능력이 있는 기관, 기업소에 이관하여 국영상점과 일반상점간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영업이 부진한 일부 국영상점을 기관, 기업소, 인민반에 임대 및 분양하고 대신 임대료를 징수하고 있으며 가격은 국가계획에 따라 유통되는 상품의 경우에는 국정가격으로 판매하나 비계획상품의 경우에는 합의가격 형식으로 판매한다. 개인명의 상점운영은 불허하고 있으나 일부 자금력이 있는 개인은 기관, 기업소 명의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직접 운영하는 사례가 있으며 즉, 자금력을 갖춘 주민이 기관, 기업소로부터 맥주집, 가라오케, 목욕탕, PC방 등을 임대하여 운영하거나 신규 개업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28]

무역법은 대외무역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납부금이나 관세의 합리적 조절, 장려금의 적용 등과 같은 무역촉진정책을 담고 있으며 예컨대 수출기지를 새로 조성하거나 첨단기술제품 즉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TV 등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은 제품을 개발하여 판로를 개척한 무역회사에게는 특혜를 주도록 하고 있다. 일반 경제단위가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제품, 기술, 서비스 원천을 개발하였을 경우 무역거래자격을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전문 국영무역회사에 의한 독점체제를 무너뜨리고 무역의 주체를 확대하면서 일정한 조건을 마련한 북한의 기관, 기업소, 단체는 모두 무역회사 설립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북한 무역관리체제의 자율성을 높였다.[29]

무역 자유화에 따라 무역회사가 수출로 벌어들인 현금을 20%까지 보유할 수 있던 것을 40%까지 보유 한도액을 대폭 높였으며 이를 확대 재생산이나 임금을 대폭 인상할 수 있다. 실제로 CEO를 민간인을 선임하는데 대략 돈주나 혹은 기술관료들을 영입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경영을 맡기는 경영 청부 방식을 쓰고 있다.[30]

무역 분권화에 따라 국가계획위원회는 중요물자의 지표만 밝힌 종합적 무역계획만을 세우고 이 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수출입 지표는 해당 기관, 기업소, 단체와 무역회사가 정하도록 하였다.[31]

2009년 화폐개혁과 반개혁 조치 [ 편집 ]

뙈기밭은 결국 2009년 협동농장에 강제 귀속되었으며 2009년 11월 30일 화폐개혁이 전격적으로 단행되었다. 가구당 10만원까지 100대 1의 비율로 구권을 신권으로 강제 교환하도록 하고 나머지 돈은 모두 은행에 예금하게 했으며 은행에 예금하지 않은 구권은 모두 무효화했다. 2010년 1월 1일부로 민간인과 기업, 외국인 등 모든 외화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내국인 및 내국 기업은 보유한 외화를 모두 원화로 교환하도록 했다. 근로자 임금 및 농민 결산금은 구권 액면가대로 지급함으로써 이들의 생활비가 100배 인상되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했다.[32]

북한 정부에 의해 이뤄진 화폐개혁과 외화사용금지 조치로 시장거래가 중단되었으며, 시장에 의존해 생활하던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일반 상인들의 거래와 자본 축적에 사용되었던 구권 원화가 신권으로 강제 교환되고 근로자 임금과 농민 결산금이 역면가대로 지급되면서 소규모 상인들이 가진 자본 가치가 급락함에 따라 이들의 항의가 이어졌다.[33][34] 화폐개혁 이후 원화 보유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면서 경제활동에 있어 자국 통화가 아닌 달러화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증가했고, 이에 따라 북한 원화의 가치는 더 낮게 평가될 수밖에 없었다.[35]

2천여 명이 아사했으며 2010년 2월 평안도의 순천, 덕천, 평성의 순서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 신의주에서는 300여 세대에서 아사자가 발생했다.[36] 결국 2010년 2월 김영일 총리가 사과하고, 북한 정부가 박남기 조선로동당 계획재정부장을 처형하며 외화사용 금지조치를 철회하였다.[37]

2012년 6월 28일에는 가변적인 기준 가격 방식 즉 시장가격으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할 것에 대한 지시가 내려졌고, 같은 달에는 공장기업소의 수입분배를 소득분배방법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시범 단위에 시행하도록 하는 지시가 내려졌다. 또한 부문별로 시범적으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었는데, 2012년 9월에는 상업 부문에 우선적으로 도입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의 종합시장 판매를 영구적으로 허용하였으며 2013년에는 농업부문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였다.[38]

2012년 ~ 2014년, 부분적 독립채산제 및 경제개혁조치 시범 실시 [ 편집 ]

중앙지표의 수를 30%로 줄이고, 성 및 관리국 지표를 폐지하였으며, 기업소 지표인 액상지표를 도입하였고 관련 법규는 계획지표를 중앙지표, 지방지표, 기업소지표로 구분한 인민경제계획법 제13조와 기업에 계획권을 부여하여 계획 수립 과정에서부터 기업의 권한을 확대한 기업소법 제31조이다. 전략지표와 중요지표를 제외한 지표는 기업소 지표인 액상지표인데, 기업소 지표는 지표 수로 전체 지표의 70%에 해당하며 생산에 필요한 원료와 자재를 중앙지표는 국가계획위원회에서, 지방지표는 지방인민위원회에서 책임지고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하면서 기업이 계획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원료와 자재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였을 때에는 계획을 완수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기업이 책임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계획 수행 평가에서도 국가가 공급하지 못한 원료, 자재에 대해서는 그 공급 정도에 따라 평가한다는 것이다.[39]

확대된 가격 제정권에 의해서 국영 기업은 국가가 원료, 자재를 공급해주지 못하여 기업이 자체적으로 원료, 원천을 찾아 생산한 모든 제품에 대해 독자적인 가격 제정권을 갖는다고 한다. 즉, 기업소 지표로 생산한 제품만 아니라 국가 계획 위원회와 도 – 시 – 군 인민위원회에서 시달하는 지표라도 국가 등이 원료, 자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여 기업이 자체적으로 원료, 자재를 구입하여 생산한 제품, 그리고 수요자와 주문 계약하여 생산한 제품 등 기업소 지표 가격 제정 표준 세칙에 규정한 모든 상품에 대해서 가격을 제정할 수 있게 하였다.[40]

2014년 ~ , 5.30 담화 발표 및 사회주의 기업 책임 관리제 실시 [ 편집 ]

2014년 5월 30일 김정은이 담화로 발표를 하였고 이 내용은 사회주의의 유지와 성과적으로 실현을 위해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을 확립하여야 한다고 말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꾼이 경제관리방법을 개선한다고 하면서 제나름대로 사회주의 본성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김일성과 김정일이 이룩한 업적을 훼손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사회주의 기업 책임 관리제는 공장기업소와 협동단체들이 생산수단에 대한 사회주의적 소유에 기초해 실제적인 경영권을 갖고 기업활동을 창의적으로 해 조선로동당과 국가에 임무를 수행하며, 근로자들이 생산과 관리에서 주인이 되는 기업관리방법이다.[41]

생산 조직권은 노동자를 줄이거나 늘리며, 노동자를 새로 받아들이거나 내보내는 권한을 의미하는데, 시장경제에서의 통상적인 고용과 해고의 권한과는 내용이 다르다.

북한 국영기업에서 노동자를 내보내는 것은 해고하는 것이 아니라 이 노동자를 받을 의사가 있는 다른 국영기업에 노동자를 보내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점에서 기업에 생산 조직권을 부여하였다는 것은 개별적인 노력이 불필요하거나 남을 때에 기업 상호간에 합의하여 노력을 내보내거나 받아들이는 조절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업 사이에 노동자를 주고받는 것은 가능하였지만 다만 노동행정기관의 승인을 받는 등 절차가 매우 복잡하였고 하지만 노동자를 주고받는 기업 간에 합의만 이루어지면 노동행정기관이 생산 파견장을 발급해 주도록 제도를 간소화했다.[42]

기업이 매각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고정자산은 기업의 자체자금으로 설치된 고정자산에 한정된 것으로 국가자금으로 설치된 고정자산의 경우 그 처분권은 국가에 있으며 생산을 위한 자재나 생산된 제품 등 유동자산뿐만 아니라 설비와 같은 고정자산에 대해서도 투자 재원에 따라서 재산권에 일정한 차이를 두었다.[43]

2019년 3월 6일부터 일부 협동농장에서 실시하는 포전 담당 책임제는 토지 임대료를 수매가의 4배로 받는 대신 수확량의 30%만 당국에 바치도록 하는 것이며 협동농장 농민은 수확량의 70%를 농민이 가져갈 수 있으며 평당 북한 원화 2,000원을 선불로 내기 때문에 1,000평 단위로 계산을 하면 200만 원의 임대비가 든다고 밝히고 있고 특히 250달러의 외화가 필요하다.[44]

2015년 무역법을 보면 무역 허가의 취득 과정을 보면 종전에는 우선 무역회사를 설립하고 그 다음에 영업허가를 얻었으나 2015년부터는 무역회사를 설립하지 않고도 개별 기관, 기업소, 단체가 무역영업허가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45]

그리고 김정은이 비준을 하면 그 시점부터 대외무역 영업허가를 취득한 것으로 되고 특히 한편 무역계획 검토기준은 △수출품 생산 공장 보유 여부 △수출품 생산공장의 생산 능력 및 실적 △당 및 국가 정책과의 부합 여부 △환경 보호 등으로 간소화가 되었다.[46]

영역 [ 편집 ]

중공업 [ 편집 ]

천연자원이 부족했던 북한은 각종 원자재를 자체적으로 얻고 이를 통해 자체적으로 순환하는 중공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자 했다.[47] 한정된 천연자원으로 중공업과 국방산업 등에 편중된 투자는 경공업과 농업의 발전을 저해시켰으며 중공업조차 자체기술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낮은 생산성을 보이고 있다.[48] 상대적으로 비철금속과 화학비료의 생산성은 높은 편이나 자동차의 경우 남한의 0.8%에 불과하다. 중화학공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되었으나 주요 산업부문의 경우 남한의 10%미만의 생산율을 보이고 있다.[49]

에너지 [ 편집 ]

북한의 전력난은 경제재건전략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50] 북한은 중공업과 군수산업 중심의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북한의 경제 성장과 전력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북한 경제는 1980년 ~ 1989년 동안 연평균 3.0%와 3.6%의 경제성장률과 발전량을 보인 반면 북한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던 1990년과 1998년은 -3.8%와 -5.8%의 경제 성장을 보였다. 북한의 전력난 원인은 중공업 및 군수산업 위주의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 송배전 체계의 불안, 설비의 노후화, 에너지 공급감소 등으로 들 수 있다.[51]

석탄 및 수력에 대한 에너지 생산체계의 지나친 의존, 자율성 없는 사회주의 제도가 복합적으로 에너지 위기를 자초하였고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은 에너지 자립 정책은 석탄 생산을 저해함으로써 전력생산에 차질을 일으켰다. 동시에 석탄 위주의 산업구조는 공업 생산 가동률의 저하로 나타났다.[52] 가정용 전기에서부터 산업용 전기에 이르기까지 북한의 전력난은 심각한 편이며 가정용 전기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국가가 아닌 개인이 해결해야 할 영역이 되었으며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용 전기에 비해 논의도 부족한 실정이다. 가정용 전기는 전체 전력 수요량의 32.8% 정도만이 소비되고 있으며 이는 남한 소비전력의 7.2%에 불과한 수준이다.[53] 또한 전력 공급 중단되었을 때 자체 발전을 통해 전력 공급을 하는 곳은 14.9%에 불과하다. 북한 전력 수급의 60%를 담당하는 수력 발전의 경우 가뭄과 겨울철 갈수기 등 기상 여건에 따라 전력 생산이 불안정하다.[54]

정부의 전력 공급에 대한 기대가 감소하면서, 가정용 전력 공급은 일부 가정에서의 태양광 발전기 설치를 통한 의존율이 높다.[55] 북한 정부는 가정용 전기에 대해 태양광 발전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북한에서 태양열 발전 설비는 국제 제재의 대상이 아니라 중국에서의 수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주로 가계의 여유가 있는 가정에서 이용되고 있다.[56]

농업 [ 편집 ]

1990년대 장기적인 경제침체를 겪은 북한은 비료, 농약, 농기계 부품, 농업용 유류 등의 부족으로 농업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2000년대 식량 확보를 위해 이모작 재배와 관개사업을 추진했으나 만성적인 식량부족문제를 해결할 순 없었다.[57] 북한의 농촌인구는 1985년 795만명에서 2014년 938만명으로 30년간 20% 이상 증가했으나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1985년 336만 명에서 2014년 294만 명으로 13% 감소했다. 산업생산활동에서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높은 비중은 북한 산업구조의 후진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반면 농지면적에 비하여 증가한 농촌가구의 증가에 가구 당 경지면적은 면적은 1985년 1.27ha에서 2008년 0.96ha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58]

1990년대 이전에는 농업부문에서의 개혁은 존재하지 않았다. 1990년대 이후부터 농업생산량 확대를 위해 농업 인센티브, 협동농장의 자율성 강화 등의 방법으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했다. 1996년 분조관리제를 실시하고 1999년부터 벼나 옥수수 뿐만 아니라 상황에따라 감자나 약초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59] 200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7·1 경제개혁조치를 통해 기존 한 개인이 경작할 수 있는 30 – 50평에서 400평까지 경작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배급제를 폐지하였으며 기존의 70 – 80%를 국가에서 납부하던 것을 50 – 60%만 납부하도록 하여 자율 처분량이 늘어났다.[60] 하지만 러시아의 한국학자 안드레이 란코프의 경우 북한 정부나 간부들에 의해 이러한 비율이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61]

경공업 [ 편집 ]

북한의 경공업은 소비재를 공급하는 부문으로 일반생활에 필요한 용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북한 경공업 정책의 목표는 자립적이며 현대적인 경공업의 건설이나 중공업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한편 경공업은 낙후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주민들은 생필품 부족현상을 겪게되었다.[62][63]

한편, 식품가공업은 생산활동이 보도된 기업의 비중이 53.1%로 전체 기업 평균은 물론 경공업 평균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고 이는 이 업종에서 설비가 열악하거나 생산여건이 좋지 않은 기업을 방치함으로써 사실상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동시에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거나, 기존 기업에 추가적인 투자를 함으로써 생산을 증대하려는 정책이 시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64]

각주 [ 편집 ]

북한의 경제 구조 변화 요인 분석과 전망

본 연구는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남한보다 양호한 산업 인프라와 높은 성장률을 구가했던 북한경제가 어찌하여 자력갱생이 불가능한 심각한 경제난 상황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현재까지의 북한경제 발전과정을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장기적 구조변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한 후, 이를 토대로 시나리오별로 북한 경제의 성장 궤도를 전망하였다. 북한경제 구조변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자본생산성이 경제성장률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자본스톡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생산성과 기술진보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본생산성과 자본집약도가 중장기적으로 하락하면서 북한경제의 성장 동력이 약화된 것으로 평가되며, 현재로는 이런 주요 요인들의 자생적 개선으로 북한경제가 회복을 지속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북한경제가 향후 회복기를 지나 또 다른 구조변화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양질의 자본을 어떻게 조달하고, 이를 통해 과연 노동생산성과 기술진보의 개선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인과관계 분석(Causality Test)과 VAR(Vector Auto Regressive) 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북한경제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에는 성장률이 지속 하락하는 가운데, 향후 10년간 평균 2.9%로 저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북한투자를 자극할 수 있는 현실적 유인책으로 대외무역 확대를 가정하여 충격 반응(Impulse Response) 경로를 살펴본 결과, 무역 1% 확대는 북한경제의 지속적인 확장경로를 거쳐 12분기 후에는 GNI를 0.75%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2013∼2017년을 시나리오별로 예측해본 결과, 최근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았던 2002∼2005년의 변동률 추이가 2009∼2012년에도 재연될 경우, 북한경제가 급격한 부침을 보이면서 2014∼2015년에 부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반면에 외부여건에 의해 동 기간의 평균 무역 증가율 11.9%가 4년간 유지될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향후 5년간 평균 8.8%의 고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결국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대외개방 확대를 통한 무역과 외자유치, 자본유입과 투자확대 등이 향후 북한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에 절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북한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북핵문제 해결과 주변국들과의 관계개선 노력 등을 통해 정상국가로 복귀하고, 보다 적극적인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North Korean economy continuously declined in the aspect of economy and eventually North Korean economy became unrecoverable.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key to this problem and on obtaining the strategy to overcome this financial tragedy. With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is able to assess the recent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strategies and furthermore, prospect the potential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The cause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North Korean economy were empirically analyzed. We can observe that the capital stock affected the structural changes in each period immensely and the fact that the productivity of capital dominated 50% of the economic growth can be a proof. So when the capital productivity and capital capacity started to decline, the motive of the economic growth weaken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to pass through the recovery stage and enter another growth phase, it has to study how to obtain high-quality capital and examine its capability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and technological progress. According to the VAR (Vector Auto Regressive) model analysis, if North Korean economy maintains its economic situation, economic growth will continuously decline and in about 10 years, a low, 2.9%,economic growth rate will be recorded. On the other hand, if foreign trade expansion occurs then North Korea will be able to obtain a sustainable economic growth. For example, an increase of 1% of trade will lead to an increase of GNI of 0.75% after 12 quarters. With these results, two scenarios were constructed to predict the economic growth of the period 2013∼2017. If the fluctuation rate further augments from the period which performed economically well, 2002 to 2005, then there will be a drastic fluctuation during the period 2009∼2012. Moreover, in 2014∼2015, we can estimate that North Korea will record a negative economic growth. However, if the average trade growth rate can be maintained at 11.9% for 4 years with the help of exterior conditions, then the economy of North Korea will record a high economic average growth rate of 8.8% in about 5 years time.

[논문]북한 경제 구조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 구조 변화 요인 분석과 전망

초록

본 연구는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남한보다 양호한 산업 인프라와 높은 성장률을 구가했던 북한 경제가 1990년대의 연속 마이너스 성장과 2000년대의 자력갱생이 불가능한 심각한 경제난 상황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이를 타개할 만한 북한 경제 발전 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분단 이후 북한 경제의 장기적 구조 변화 요인을 기술적 분석은 물론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한 후, 이를 토대로 시나리오별로 북한 경제의 성장 궤도를 전망하고, 최근의 북한 경제 발전 전략을 평가하였다. 우…

본 연구는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남한보다 양호한 산업 인프라와 높은 성장률을 구가했던 북한 경제가 1990년대의 연속 마이너스 성장과 2000년대의 자력갱생이 불가능한 심각한 경제난 상황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이를 타개할 만한 북한 경제 발전 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분단 이후 북한 경제의 장기적 구조 변화 요인을 기술적 분석은 물론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한 후, 이를 토대로 시나리오별로 북한 경제의 성장 궤도를 전망하고, 최근의 북한 경제 발전 전략을 평가하였다. 우선, 제2장에서는 1954∼2008년까지 북한 경제의 구조적 변화 시기를 고도성장기(1954∼1980년), 조정기(1981∼1985년), 재성장기(1986∼1990년), 침체기(1991∼1998년), 회복기(1999∼2008년)의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경제 변화 경로를 자세히 분석하고, 경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 경제의 구 공산권에 대한 높은 의존이 초기에는 빠르고 안정적인 성장을 주도했으나, 1980년대 후반에는 이들 국가들의 연쇄 붕괴로 인해 오히려 북한의 경제 발전을 저해하여 새로운 구조 변화 국면으로의 진행을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 경제의 구조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대외 개방 정책으로 볼 수 있는데, 개방을 통한 외자 유치가 북한의 당시 현실과 맞지 않는 중공업 우선 정책의 추진과 군사비 과다 지출과 같은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부문에 투입되면서 자원 배분의 왜곡과 대외 긴장 고조를 초래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북한은 다시 군사적 측면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악순환에 빠진 것으로 추정된다. 제3장에서는 북한 경제의 구조 변화 요인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생산성이 경제성장률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자본스톡이 북한 경제의 각 시기별 구조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생산성과 기술진보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북한의 자본생산성과 자본집약도가 중장기적으로 하락하면서 북한 경제의 성장 동력이 약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주목할 만 한 점은 침체기에서 회복기로 구조 변화가 발생한 요인이 자본생산성과 초기 기술조건의 반등 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진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본집약도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현재 상태로는 북한 경제가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기술진보라는 주요 요인들의 자생적인 개선에 의해 회복을 지속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경제가 향후 회복기를 지나 또 다른 구조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양질의 자본을 어떻게 조달하고, 이를 통해 과연 노동생산성과 기술진보의 개선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에서는 북한 경제의 환경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별 성장 경로를 전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신뢰성 있는 장기 시계열 데이터를 구축한 후, 인과관계 분석(Causality Test)을 통한 실증분석 모델을 구축하여 북한 경제 변화 요인을 특정하고, 특정된 요인들의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특정 요인의 변화, 즉 북한 경제를 둘러싼 환경(충격) 변화에 따르는 북한 경제의 성장 경로를 전망해보았다. VAR(Vector Auto Regressive) 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 북한 경제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에는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향후 10년간 평균 2.9%의 저조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의 투자를 자극할 수 있는 현실적 유인책으로 대외 무역 확대를 가정하여 충경반응경로를 살펴본 결과, 무역 1% 확대는 북한 경제의 지속적인 확장 경로를 거쳐 12분기 후에는 GNI를 0.75%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2013∼2017년을 예측해보았다. 그 결과, 최근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았던 2002∼2005년의 변동률 추이가 2009∼2012년에도 재연될 경우에는 북한 경제가 급격한 부침을 보이면서 2014∼2015년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외부 여건에 의해 동 기간의 평균 무역 증가율 11.9%가 4년간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에는, 북한 경제가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향후 5년간 평균 8.8%의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의 김정일 시대의 북한 경제 발전 전략과 방향을 평가한 후, 향후의 경제 발전 전략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몇 가지 환경 변수 전망을 토대도 발전 전략이 성공할 것인지 여부를 진단하였다. 북한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 7.1 경제관리 개선조치와 금강산‧개성 등의 경제특구 정책 등을 외자 유치와 선진기술 도입을 통한 경제 회생과 강성대국 건설의 실천 방안으로 인식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대내외 환경이 북한 경제의 성장에 있어서는 매우 불안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북핵 문제와 불안정한 남북 관계, 포스트 김정일의 후계체제 등은 북한 경제 발전 전략의 핵심원인 대외 개방과 외자 유치에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함으로써, 북한이 희망하는 2012년 강성대국 건설에 차질이 예상된다. 따라서 북한은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이란 경제 발전 전략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북핵 문제를 비롯하여 남한과 미국 등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 노력 등을 통해 국제사회의 정상국가로 복귀하고, 체제 안정과 지속적인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북한 경제 구조

다음은 Bing에서 북한 경제 구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 KGFP2021
  • 한반도국제평화포럼
  • KGFP 2021
  • 2021 한반도국제평화포럼
  • 통일부
  • 통일
  • 평화
  • 포럼
  • 국제포럼
  • 평화포럼
  • 한반도
  • 남북
  • 남북기본합의서 체결 30주년
  • 남북 UN 동시가입 30주년
  • 평화통일
  • 남북관계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YouTube에서 북한 경제 구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션4-4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구조 변화와 주민 삶의 변화 | 북한 경제 구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