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Kpi |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23590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디자인 kpi –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DESIGNSORI 디자인소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4,985회 및 좋아요 71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디자인 kpi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 디자인 kpi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디자인씽킹의 정의, 그리고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두 가지 핵심역량

디자인 kpi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UX 디자인 KPI 수립하기 | 뷰저블

비즈니스 성과 달성을 위한 활동 기준과 목표를 보통 업계에서는 KPI(핵심 성과지표)라 부릅니다. UX 디자인에서도 이 KPI를 도입하여 ‘얼마나 더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beusable.net

Date Published: 7/19/2022

View: 3187

【디자인・디자이너】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 사항

디자인이라는 것은 매우 창의적인 작업이고 일반적인 표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디자인에 관한 KPI를 생각하면 우선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easytoread.tistory.com

Date Published: 7/28/2021

View: 4271

KPI 중심 디자인 : KPI Centered Design

디자인 KPI. 우선은 정성적 목표를 정량적 목표로 전환이 되면 평가자에게 피 평가자의 평가지표를 설명해야 하는 이슈가 생긴다.

+ 여기를 클릭

Source: andyux.tistory.com

Date Published: 6/12/2021

View: 1557

최고의 핵심성과지표(KPI) 온라인 강의 – 업데이트: [7월 2022]

오늘 핵심성과지표(KPI)을(를) 배우세요. 핵심성과지표(KPI) 온라인 강의를 Udemy에서 찾아보세요.

+ 여기에 보기

Source: www.udemy.com

Date Published: 12/14/2022

View: 2167

댓글5개 – 클래스101 | 세상의 모든 클래스, 클래스101

큐리님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회사에서 디자인 업무 평가 지표를 스스로 정의해서 제출하라고 하는데, 1. 디자인 평가 지표는 보통 어떻게 측정할까요?

+ 여기에 보기

Source: class101.net

Date Published: 7/21/2021

View: 9707

UX 디자인의 평가와 KPI – Medium

UX 디자인의 평가와 KPI. 안타깝게도 사용자 경험 품질은 감성의 영역이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UX 디자인이 얼마나 잘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edium.com

Date Published: 8/10/2021

View: 9351

디자인 아티클 둘러보기 #8 – 인쇄 꿀팁, 콘텐츠 기획, KPI와 OKR

디자인 아티클 둘러보기 #8 – 인쇄 꿀팁, 콘텐츠 기획, KPI와 OKR. by daymoon 2020. 11. 5. 늘 그렇다. ‘무엇을 만들지’보다 ‘왜 만들지’가 중요하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daymoonsong.tistory.com

Date Published: 5/29/2021

View: 428

마이리얼트립 배재민 디자이너 인터뷰: 분석하는 디자인

그게 해당 프로젝트의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가 됩니다. 물론,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숫자의 변화 폭은 …

+ 여기에 표시

Source: m.post.naver.com

Date Published: 11/26/2021

View: 3910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나요?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디자인을 통한 기업의 매출, 브랜드 인지도, 재무적 성과 등으로 나타납니다. 디자인 경쟁력은 평가지표를 통해 기업이 가진 경쟁우위의 굿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esigndb.com

Date Published: 4/6/2022

View: 983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디자인 kpi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디자인 kpi

  • Author: DESIGNSORI 디자인소리
  • Views: 조회수 24,985회
  • Likes: 좋아요 711개
  • Date Published: 2020. 4. 2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Jc7QCm2dMJs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UX 디자인 KPI 수립하기

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 UX디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량화된 목표가 필요합니다. 이 목표는 ‘KPI’로써 쉽게 수립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UX 디자인을 위한 KPI를 수립할 수 있는지 주요 예제와 방법을 소개합니다.

기획자와 디자이너는 ‘서비스 운영’이 론칭보다 더욱 중요합니다.

기획자와 UX 디자이너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서비스 론칭이 아닙니다. 서비스 론칭을 넘어 운영을 통해 ‘비즈니스 상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되어야 합니다. 운영을 하며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측정-분석하고, 문제점이 발견된다면 이를 개선함으로써 계속해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운영은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보통 UX 방법론이라 하면 사용자 여정 맵이나 퍼소나 등의 사용자 심리를 가시화하는 것들을 떠올리곤 합니다. 이 두 가지 모두 타깃을 명확히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비즈니스 성과로 반드시 직결된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비즈니스 성과 달성을 위한 활동 기준과 목표를 보통 업계에서는 KPI(핵심 성과지표)라 부릅니다. UX 디자인에서도 이 KPI를 도입하여 ‘얼마나 더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가?’를 정량화하고, 서비스를 이 기준에 따라 운영-개선함으로써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해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KPI의 기본적인 개념과 좋은 KPI의 3가지 특징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로 핵심 성과지표라 부릅니다. 사이트가 지니는 목표 달성도를 나타낼 때 중요한 정량적 지표가 됩니다. KPI는 ‘무엇을, 언제까지 달성할 것인가’를 정리하여 달성 기준과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종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용어로는 KGI(Key Goal Indicator, 핵심 목표지표)라는 것이 있습니다. KGI는 사이트의 목적 그 자체가 되는 정량적인 지표를 의미합니다. ‘중간 목표’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좋은 KPI에는 보통 세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KPI는 어떤가요? 함께 비교하며 살펴보세요.

(1) 측정과 비교가 가능합니다.

체류 시간, 사용자 태스크 달성률 등 측정이 가능하고 비교가 가능해야 합니다.

(2) 수치를 통해 행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서비스 분석은 기본적으로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것입니다. 지표를 확인하여 개선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다시 말해 기업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세요.

(3) 누구나 이해하기 쉽습니다.

조직의 누구나 KPI를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알기 쉬워야 합니다.

업종 별 대표적인 KPI

(1) 기업 사이트 및 영업용 사이트

기업 사이트의 목표는 매출이 되기보다 ‘근본적인 목적 달성 여부’가 무엇인지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보통 다음 수치들을 KPI로 삼을 수 있습니다.

– 스토어 팜이나 소셜 커머스 등 ‘커머스 사이트로 이동하는 배너 또는 링크의 클릭 수’를 KPI 대상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 신상품이나 신규 경영진 소개 등 기업이 ‘가장 주력해서 홍보해야 하는 콘텐츠의 페이지 뷰 수’를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신상품 또는 주력상품 페이지의 체류 시간을 목표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기타 고객의 자료 청구 페이지 클릭률, 평가판 서비스 다운로드 수 등이 있습니다.

(2) 미디어 사이트

페이지 뷰 수, 회원가입률 등을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마케팅 측면에서 본다면 페이지 뷰 수가 근본적인 수익원이 됩니다. 페이지를 어떻게 나눌 것인지를 고민하면 페이지 뷰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커머스 사이트

매출이 보통 가장 최종 목표가 됩니다. 매출을 달성시키기 위한 회원 가입자 수, 1일 또는 1개월당 방문한 사용자 수, 상품 상세 페이지 도달률 등을 높이는 등 다양한 KPI를 세울 수 있습니다.

(4) 소셜 네트워크

유저 인게이지먼트가 중요한 KPI가 됩니다. 좋아요! 클릭수, 코멘트, 공유수 등을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UX 디자인을 위한 KPI 수립하기

UX KPI는 보통 서비스 기획 실시 전 퍼소나를 설정할 때 함께 수립하면 좋습니다. 그럼 서비스를 실제로 디자인해나갈 때 이 KPI를 염두하며 업무에 임할 수 있게 됩니다.

첫째, 어떤 사람의 어떤 문제를 어떤 서비스로 해결하고 싶은지를 정의 내립니다.

뷰저블 홈페이지의 목표는 ‘UX 디자인 분석에 관심 있는 사용자에게 뷰저블의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소개해준다.’가 됩니다.

둘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 구체적인 가치를 정의 내립니다.

서비스가 유저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의 내립니다. ‘사용자에게 가장 제공하고 싶은 경험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면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뷰저블에서는 ‘웹 서비스 분석 및 개선을 위한 뷰저블이라는 서비스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뷰저블을 이용한다’가 됩니다. 이 핵심가치는 KPI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의 기본이 입니다.

셋째, KPI를 수립합니다.

무엇을 달성하면 위 두 번째 항목에서 결정한 서비스 핵심 가치가 만족되는지를 고민하면 쉽게 수립할 수 있습니다. 뷰저블에서는 회원 가입자 수, 뷰저블 사용하기 버튼 클릭 수 등을 KPI로 수립하고 있습니다.

뷰저블은 전체 페이지뷰 수 대비 Try Beusable 버튼 클릭률을 주요 KPI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넷째, KPI 측정을 위한 기간을 설정합니다.

지속적으로 UX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기간’을 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뷰저블은 주 단위, 월 단위로 위 KPI를 측정합니다. KPI를 측정할 때 사용자를 매우 구체적으로 정의 내려야 판단 오류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100명 중 한 명의 특정 유저 한 명이 중복해서 ‘뷰저블 시작하기’ 버튼을 100번 클릭하고 99명의 유저는 그냥 떠나버린다고 생각합시다. 100명의 유저가 고루 100번 클릭했을 때와 수치는 똑같을지라도 근본적인 의미는 매우 달라집니다.

마지막, 뷰저블을 사용하여 ‘수립한 KPI’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분석-개선해 나갑니다.

뷰저블의 클릭 히트맵과 Segmenting CTA 기능등을 활용하면 목표 달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정한 KPI를 바탕으로 뷰저블을 통해 계속해서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를 반복해 개선합시다. 서비스의 성장은 론칭이 아닌 ‘운영’에서 판가름 납니다. 서비스 운영상에 이 지표를 어떻게 달성해나갈 것인가를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여러분의 KPI가 결정되었다면 뷰저블을 통해 서비스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보세요.

뷰저블은 여러분의 성장을 함께 돕고 있습니다!

【디자인・디자이너】 KPI(핵심 성과 지표) 예시 및 주의 사항

반응형

디자인이라는 것은 매우 창의적인 작업이고 일반적인 표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디자인에 관한 KPI를 생각하면 우선은 ‘디자인・디자이너의 핵심성과지표(KPI)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가?’라는 의문이 먼저 떠오릅니다.

디자인 영역뿐 아니라 다른 모든 영역에서 KPI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디장인 영역에서도 KPI를 제대로 활용한다면 핵심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데 분명 도움이 됩니다.

여기서는 디자인팀 혹은 디자이너와 관련된 KPI(핵심 성과 지표)를 소개합니다.

목차 디자인・디자이너 KPI(핵심 성과 지표)를 측정하는 방법은? 디자인 품질 관련 KPI 디자인의 영향력 관련 KPI 시간 및 비용 측정 관련 KPI 디자인・디자이너 KPI 활용 시 주의 사항

디자인・디자이너 KPI(핵심 성과 지표)를 측정하는 방법은?

창의성의 영역을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창의성의 결과를 측정하는 것은 비교적 쉽습니다.

예를 들어서 라이벌 관계라고 할 수 있는 피카소와 마티스 중 누가 더 성공한 화가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림에 대한 평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알려진 작품수’, ‘경매 등에서의 그림 판매 금액’, ‘구글 검색 결과 수’ 등의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를 확보할 수 있다면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품질 관련 KPI

여기서는 주로 그래픽 디자인의 품질과 관련된 KPI를 살펴보겠습니다.

표준 준수(%)

표준을 지킨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입니다. 그래픽 디자인에 적요할 수 있는 표준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정해진 형식의 파일 이름 사용

정해진 해상도로 성과물 제공

소스파일의 전달

브랜드에서 정하고 있는 색상, 글꼴, 스타일 사용

유지보수성(%)

성과물의 유지 보수가 얼마나 쉬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유지 보수성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만들어진 디자인을 다른 나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 현지 언어로 수정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 등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만약 디자인이 회사 등에서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로 작성되었다면 현지화 작업은 훨씬 쉬워질 것입니다. 따라서 일부 디자이너는 선호하는 툴이 다를 수 있겠지만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준 소프트웨어 사용을 의무화를 논의해 볼 수 있습니다.

재작업 시간

디자인이 완성된 후 논의를 통해 디자인을 수정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 수정 과정이 얼마나 잘 진행되었는지 낭비는 없었는지를 재작업 시간을 측정해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재작업 시간이 지나치게 길다는 것은 초기에 디자이너와의 소통이 충분하지 않았다거나 작업이 진행되면서 컨셉 등이 크게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자인의 영향력 관련 KPI

우선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을 때 어떤 아이디어가 더 영향력이 큰지를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디어를 적용해서 메일을 보내거나 방문 페이지에 적용을 하고 비교를 해보는 것입니다.

오픈율(%)

메일을 오픈하거나 클릭된 비율을 의미합니다.

전환율(%)

일반적으로 사용자 중 유료 고객으로 전환된 비율을 나타내지만 테스트 단계에서는 원하는 행동을 한 유저 비율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참여 측정 항목(%)

이외에도 사이트에 머문 시간이나 이탈률 같은 참여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KPI로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가 선택되고 출시가 되었다면 아래의 항목을 통해서 추가로 디자인의 영향력을 측정해볼 수 있습니다.

고객 만족도(%)

설문 조사 등을 통해 디자인이 고객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측정해 볼 수 있습니다.

SNS 참여수

예를 들면 ‘좋아요’ 수나 ‘공유’ 수 등을 통해서 디자인의 영향력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신규 고객

신규 고객 수를 파악하는 것으로 디자인이 고객 확보에 미친 영향력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시간 및 비용 측정 관련 KPI

창의성을 요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시간적 제한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는 KPI입니다.

하지만 1회성이 아니라 꾸준히 좋은 디자인을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세스가 잘 관리되어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 시간은 디자이너의 급여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의 측정은 비용 측정의 속성을 함께 가집니다.

디자이너 응답 시간

디자이너가 첫 요청이 있고 그 요청에 응답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첫 번째 초안을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첫 초안을 만들어 제시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관리자 응답 시간

관리자가 요청이 있은 후 응답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기한 내 작업 완료 비율

정해진 기간 안에 완료된 작업 수가 얼마나 되는지 비율을 확인합니다.

디자인 완료 평균 기간

요정이 있고 디자인이 완성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디자인・디자이너 KPI 활용 시 주의 사항

지나친 스트레스는 창의력을 억압할 수 있습니다. KPI를 활용해서 진행 사항을 파악하고 성과를 높이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지만 정말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팀의 프로세스가 충분히 성숙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시간이나 비용과 관련된 KPI에 집중하기보다는 디자이너와의 소통과 관련된 ‘응답 시간’, ‘재작업 시간’ 등의 KPI를 더욱 중점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디자이너가 의도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또 의도를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 작업의 효율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728×90

반응형

KPI 중심 디자인 : KPI Centered Design

KPI

는 약자로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약자입니다.

디자인 KPI

우선은 정성적 목표를 정량적 목표로 전환이 되면 평가자에게 피 평가자의 평가지표를 설명해야 하는 이슈가 생긴다. 이 평가기준은 때로운 평가자가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가 없거나, 또는 UX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그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상대평가를 위해서 비슷한 평가기준을 요구하게 된다.

특히나 해당 UX조직이 상품기획에 있는 경우는 기획지표와 유사하게, 개발팀에 있는 경우는 개발지표와 유사하게, 디자인 조직에 있는 경우는 디자인조직과 유사한 성과지표를 요구하게 된다.

이 경우는 그나마 다행일 수 있다, 하필 UX조직이 선행조직하에 있는 경우는 더더욱 문제가 된다. 해당 UX가 단독으로 아웃풋을 만들 수 있는 조직이 아니기에 늘 최종 결과물이 무엇인지를 정의해야 하는데 해당 결과물의 질과 양과 수준을 단순히 소프트웨어의 코드 숫자와 기획서의 기획문서파일의 사이즈와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

KPI-centered Design

한국 디자인에서의 KPI는

첫째 : 건수

건수는 하기로 한 일을 했느냐이다. 물론 했을 경우 난이도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한, 전체 몇개년 로드맵상으로 1단계의 디자인 결과물을 냈느냐도 중요하다.

둘째 : 객관점 만족도 평가 (NPI)

세째 : 영업지표 %연계

네째 : 포상

포상은 디자이너가 아닌 다른 디자이너나 산업체에서 포상을 해주었다는 객관성이 확인되는 결과이다. 그러기에 누구도 그 상에 대해서 이의를 달 수가 없다. 하지만 조직장이 인정을 하느냐 안하느냐의 이슈는 여전히 존재한다.

KPI를 잘 세운다고 디자인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남들 다 세우는 KPI를 우리 조직만 특별하다고 세우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기에 디자이너는 KPI를 세워야 한다.

나쌤.

세상의 모든 클래스, 클래스101

큐리님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회사에서 디자인 업무 평가 지표를 스스로 정의해서 제출하라고 하는데, 1. 디자인 평가 지표는 보통 어떻게 측정할까요? 옵션 1) 어떤 특정 프로젝트 A의 성과에 대해 디자인의 기여도를 판단하는 것이 좋을지, 그렇다면 그 부분을 판단하는것은 누가 해야 하는지. 옵션 2) 아니면 디자인 내에서의 목표와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해야하는것인지, 그렇다면 또 누가 그것을 평가해 주어야 하는지. 옵션 3) 양적 평가(실질적인 디자인 결과물), 질적 평가(연구, 리서치, 기획 등?)로 나뉘어 평가를 하는것이 맞는 것인지. 2. 제가 딱 하이브리드 디자인을 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어떤 목표가 가장 기준이 되어야 할까요? 또는 업계에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평가 기준이 있을까요? 3. 디자인 시스템(브랜딩)의 경우는 누군가 의뢰하여 수행되는 작업이 아닌 제가 스스로 수행하는 작업이 될텐데, 그렇다면 이건 질적 평가 범주안에 드는 것일까요? 인터넷을 찾아보니 평가지표 Logic 모형에 따른 KPI 설정 Grid 방식 등급 설계 3 type result(metric, milestone, range) Target 설정, Project Fair review 와 같은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개별적으로 검색해보니 또 결과가 나오지를 않네용.. ㅠ.ㅠ

디자인 아티클 둘러보기 #8 – 인쇄 꿀팁, 콘텐츠 기획, KPI와 OKR

🔥 늘 그렇다. ‘무엇을 만들지’보다 ‘왜 만들지’가 중요하다. 방법보다 관심이다.

🔥 모두에게 사랑받는 디자인보다, 특정 대상(한 명이 될지라도)에게 사랑받는 디자인을 하자.

🔥 냉혹한 현실을 외면하지 말자. 결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끝없이 반복하자.

구전으로 내려오는 인쇄/제작 꿀팁 _ by slowalk

1) 텍스트를 세로로 회전할 때는 시계방향으로! 물론 디자인에 의도가 있다면 이는 지켜지지 않아도 무관하다. 그리드 시스템 책에서 배웠던 내용인데, 시선의 흐름을 의도한 바가 있다면 그 방향에 맞춰서 텍스트를 회전 시켜도 괜찮다.

2) 색상 표현이 중요한 제작물이라면 무광지보다는 유광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무광지는 채도가 떨어지고 대비가 약해져서 형태가 흐려진다.

3) 탁상 달력 제작 기간은 한 달 정도 잡아야 한다고 한다. 성수기인 10~12월은 더 걸린다고… 흠…

우리 조직에 딱 맞는 콘텐츠를 만드는 19가지 질문 _ by slowalk

1)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보다 ‘왜 만들고 싶은지’!

2) 모두에게 사랑받기 전에, 단 한 사람에게 사랑받아야 한다.

펭수는 ‘초등학교 5학년’이 좋아할 캐릭터로 기획되었고, 전 국민에게 사랑받는 지금도 펭수 콘텐츠는 계속 ‘5학년’을 위해 제작되고 있습니다. … 기준이 뚜렷하면 전하려는 메세지도 또렷하게 표현됩니다. (원글)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UX 디자인 KPI 수립하기

1) UX디자이너의 중요한 역할을 그냥 ‘디자이너’라고 생각하고 대입해보았다.

디자인 기획 -> 디자인 런칭 -> 디자인 운영(측정/분석)

<측정/분석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시>

디자인 기획 -> 디자인 런칭 -> 디자인 운영(측정/분석) > 비즈니스 달성

2) 역시나 데이터! 데이터! 내가 일하는 곳에서 리얼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해보자.

📌 좋은 KPI의 세 가지 특징(자세한 내용은 원글로 확인해주세요~!)

측정과 비교 가능

지표를 토대로 개선 가능

누구나 이해하기 쉬움

📌 KPI 수립하기(제 상황에 맞춰서 대입했슴다)

첫째, 어떤 사람의 어떤 문제를 어떤 디자인으로 해결하고 싶은지 정의

둘째,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 구체적인 가치를 정의

셋째, KPI 수립

넷째, KPI 측정 기간을 설정

마지막, 수립한 KPI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분석-개선

(반복)

성공을 정의하다, 성공을 측정하다 _ by INYONG

1) 성공에 대한 정의와 측정의 중요성을 일꺠워준다.

2) 성공을 정의하지 못하면, 측정할 수도 없다.

3) 측정할 수 있어야 결과에 실망하고 만족할 수 있다. 실망이나 만족(성공의 척도) 없이는 밤을 새서 일해도 개인이 의미를 느낄 수 없다. 여기서 또 배운다. 실망 또한 하나의 측정 대상이다. 실패나 실망에 대해 너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필요는 없겠다. 실패를 함으로써 개선된 도전을 할 수 있으니까.

4) 지표를 설정할 때, ‘이루고자 하는 바’만큼 ‘손해보지 말아야 할 부분’도 고려하자.

https://inyongsuh.com/2019/02/08/비전과-제품product-리더쉽/ (추천)

비즈니스 모델이 있기 전에 비전이 있다 . (INYONG)

적당히 노력하면 적당한 결과물만 있을 뿐이다. 무엇이 됐든 기가 막히게 잘해보자.

마무리 하면서 아티클을 하나 더 읽었다.

디자이너의 OKR _ by 김재현

1) 디자이너가 어떻게 하면 OKR을 적용할 수 있을지, 굉장히 구체적으로 나와있다.

2) 조만간 개인적으로 OKR을 시작하고 글을 작성해야겠다 🙂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나요?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디자인을 통한 기업의 매출, 브랜드 인지도, 재무적 성과 등으로 나타납니다. 디자인 경쟁력은 평가지표를 통해 기업이 가진 경쟁우위의 굿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측정하고, 관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네, 디자인 경쟁력은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성과를 나타내는가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출시와 동시에 고객들의 폭발적인 반응과 함께 판매실적이 꾸준하게 높으며, 나아가 트렌드를 선도하고 사회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해당 기업의 디자인이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에 따라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이 높고 낮음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가격-품질이 기업의 경쟁력의 핵심이였지만, 이제는 고객-기업-환경과의 지속가능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자인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가진 지속가능한 핵심역량을 경쟁 우위의 좋은 디자인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한마디로 굿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굿디자인이란 조형성, 기능, 촉감 등 디자인을 구성하는 성질이나 제품과 서비스의 특성, 내용 등이 훌륭하여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디자인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은 어느 누구나 접근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사업적 성과와 사회문화적 파급영향이 큽니다. 그래서 디자인 평가에서는 생산자, 소비자, 사회, 환경, 산업 등 모든 분야의 이해들이 모여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공동선共同善의 가치를 지향합니다. 굿디자인에 대한 정의는 전문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기능성, 사용성, 상징성에 대한 부분과 지구환경과 미래 세대를 위한 디자인을 중요한 평가지표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라즐로 모홀리나기Laszlo Moholy-Nagy

제품에서 미래의 디자인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무의식적인 단초를 제공해주는 것이 곧 굿디자인이다. 굿디자인은 현실의 조건들을 뛰어넘는 미래지향적인 조형적 특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부르스 아처Bruce Archer

굿디자인이란 어느 한가지 측면만 뛰어난 디자인이 아니라, 총체적으로 우수한 디자인을 말한다. 왜냐하면 디자인을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모든 사람들이 기능적,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최대한 만족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토마스 왓슨 주니어Thomas Watson Jr.

굿디자인은 디자인 경영의 측면에서 보면 회사가 성공을 거두는데 필요한 주요 조건들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굿디자인은 실재성과 심미성을 반영해야 하나 무엇보다 인간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

마크 오클리Mark Oakley

디자이너에게 굿디자인이란 진정으로 특별하고 창조적이며 본질적인 가치가 있는 디자인이며, 경영자에게 굿디자인은 기업의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디자인이다. 곧, 굿디자인은 디자이너와 기업가의 관계에서 잘 팔기 위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부르스 마우Bruce Mau

굿디자인이란 시각적이고 미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사회적이고 형식적인 관계가 무시되어서는 안 되며, 디자인 작업이 사회적인 효과와 목적을 숙고해야 한다.

그러나 기업의 경영환경 측면에서 굿디자인의 정의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이전까지 굿디자인은 판매를 증대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디자인이었으나, 2010년의 굿디자인은 ‘고객에게 좋은 경험Good Experience을 제공하는 디자인’으로 ‘고객감동’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빅 싱크 전략>의 저자인 번트 슈미트 컬럼비아대 교수는 ‘창의성·혁신·오감을 모두 갖춘 제품이 글로벌 기업의 조건이며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체험·감성을 활용해 제품 구매로 연결해야 성공한다’고 합니다.

이제는 디자인을 구성하는 제반요소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경험, 기능의 자유로움, 사용의 즐거움, 자신을 표현하는 상징성까지를 제공하는 것이 굿디자인입니다. 이와 함께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를 위한 공공성, 환경친화성 등이 현재의 굿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굿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노력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잇는 가장 기초적인 접근은 디자인 히트상품, 디자인어워드 수상 등의 형태로 디자인경영의 성과를 가시화하는 활동을 들 수 있습니다. LG전자의 초콜릿폰, 삼성전자의 보르도TV 등 초대형 히트상품의 출현은 디자인개발 능력을 인정받는 것뿐 아니라 기업의 디자인개발 역량과 경쟁력, 나아가 히트상품의 재무적 성과를 측정함으로써 디자인전략의 효능과 디자인경영체계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인 권위의 국제 디자인어워드에서의 수상실적은 제품개발 능력의 수준뿐만 아니라 글로벌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디자인경영 능력의 역량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삼성전자는 IDEA에서 최근 5년간 총 19건을 수상해 15건의 애플과 12건의 HP를 제치고 최다 수상실적을 기록하였으며, LG전자는 2006년 IDEA, Reddot, iF 등 3대 디자인상에서 모두 수상하였습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레인콤’05, Reddot, 엠피오’06, iF, 아이리버, 온타임텍, 팬텍, 웅진쿠첸이상 ’07, iF 등 중소기업의 해외 수상 사례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을 넘어 IT, 가전부문에서는 이제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굿디자인 선정제도는 말 그대로 좋은 디자인을 가려내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좋은 디자인과 그렇지 못한 디자인을 구분하고 순위를 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가지고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브랜드파워와 굿디자인을 판단하는 평가지표를 통해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굿디자인 선정제도들의 심사대상별 심사기준을 토대로 분석한 굿디자인의 조건 중 몇 가지 공통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심미성, 조형성, 기능성, 시장성, 혁신성 등 굿디자인의 요소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은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기본 조건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다른 준비없이 굿디자인 자체만을 추구하는 것은 단발적인 히트상품 창출과 다름이 없습니다. 지속적인 히트상품 개발을 원한다면 굿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경영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움직일 수 있도록 디자인마인드로 무장된 조직문화가 먼저일 것입니다. 한편 고객은 상품 자체가 아니라 그 상품을 소유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좋은 경험’에 투자한다는 사실을 볼 때, 굿디자인의 조건들은 기본요소이며, 여기에서 기업이 자사의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고, 폐기하기까지 고객이 경험하는 모든 과정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좋은 경험’을 만드는 디자인을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

1. 심미성/조형성: 심미성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형태의 조형성과 아름다움에 관한 내용이며, 조형성이란 심미적 관점에서 디자인 결과물이 좋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지 여부 또는 소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조형적 성격을 토대로 디자인을 통해 제품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심미성과 조형적 가능성이다.

2. 사용성/기능성: 사용성 또는 기능성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다. 주로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의 목적과 실제 활용 사이에 존재하는 편리성 및 편익성, 간편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디자이너의 의도나 디자인 콘셉트가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되어 실제로 잘 활용되고 있는지 여부도 포함한다.

3. 생산성/시장성: 생산성은 산업적 관점에서 디자인을 구현하는 생산능력과 엔지니어링, 마케팅, 관리 활동을 포함한 시스템의 수준을 의미하며, 시장성은 디자인 결과물이 트렌드를 선도하며 수익성 높은 상업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이다.

4. 혁신성/창의성: 혁신성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 심미성 등 여러 가지 사항에 걸쳐 기존 개념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 또는 혁신을 불러일으킨 것을 의미한다. 창의성은 디자인 결과물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이나 심미적/조형적 성격을 토대로 디자이너의 의도가 감각적이고 창의적으로 구현되었는가에 대한 내용이다.

5. 사회성/공공성: 사회성 또는 공공성이란 디자인의 공공적인 성격을 충실히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제품수명을 제품의 폐기 이후 단계까지 확장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환경은 물론 지역사회, 개인의 삶, 문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평가한다.

6. 디자인품질: 디자인품질은 내구성, 오작동, 오류 등 기본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들을 담고 있으며,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최초의 디자인 콘셉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올바르게 구현되는 시스템까지 고려한다. 그리고 디자인 요소들의 조형적 통합과 기능적 마무리에 관련된 디자인 완성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굿디자인이 바로 굿비즈니스”라는 말이 있듯이 좋은 디자인은 곧 좋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합니다. 이 말은 IBM의 전 CEO인 토마스 왓슨 주니어가 IBM의 타자기가 더 좋은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디자인이 우수한 이탈리아의 올리베티아 타자기에 비해 판매가 저조한 것을 보면서 탄식하며 한 말입니다. 실제로 굿디자인으로 인정받는 제품이 많으면 많을수록 기업의 매출, 브랜드 인지도 등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산효율성, 혁신기술의 적용 등 공급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좋은 엔지니어링Good Engineering에 불과하며 소비자의 감성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고객들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시장의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것과 관계없이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기 때문에 획기적인 기술경쟁력이 없는 한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습니다. 비즈니스 관점에서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결정짓는 굿디자인의 방향은 좋은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매력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은 기업이 만들어내는 디자인의 품질을 포함하여 브랜드로 대표되는 기업의 이미지, 사회적인 영향력, 그리고 위의 내용들을 구현하는 조직 내부의 역량을 모두 포함합니다. 기업의 역량과 경쟁력이 디자인으로 표현될 때, 경쟁우위의 굿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됩니다.

위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시행한 '디자인인력양성사업'의 결과물인 '디자인?!'책의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디자인 kpi

다음은 Bing에서 디자인 kpi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 디자인
  • 디자이너
  • 디자인소리
  • UX
  • UI
  • UX디자인
  • UI디자인
  • UXUI
  • 산업디자인
  • 시각디자인
  • 브랜딩
  • 서비스디자인
  • 제품디자인
  • 프로덕트디자인
  • 디자인씽킹
  • 홍익대학교
  • 나건
  • 나건교수
  • idas
  • ideo
  • 도널드노먼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YouTube에서 디자인 kpi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자이너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 디자인씽킹 | 디자인 kpi,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