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생태계 |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상위 147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갯벌 생태계 –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EBSDocumentary (EBS 다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7,726회 및 좋아요 4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갯벌 생태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 갯벌 생태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공식 홈페이지 : http://home.ebs.co.kr/docun/index.html
EBS 자연의 세계, World of Nature,생명의 터, 갯벌 (HD),20081028
갯벌의 생태계에 대해서 알아본다
—————————————————————————————————
명품 자연다큐멘터리를 자연, 생태, 환경 교육용으로 재구성한 프로그램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신비한 자연의 세계를 생동감 있게 담아내었으며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생명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여 자연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갯벌 생태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갯벌’의 가치는 얼마일까? 생명 다양성 보고 갯벌 이야기

썰물 때 바닷물이 빠져나가고 나면 모습을 드러내는 ‘갯벌’. … 영국의 유명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1헥타르 당 9990달러(약 …

+ 여기에 표시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9/18/2022

View: 4261

생명이 살아 숨쉬는 해양 생태계의 보고, 서해안 갯벌 – 문화재청

그렇다면 갯벌은 생태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기에 새롭게 주목받게 된것일까? 갯벌은 연안생태계에 영양염류를 공급하고, 어류의 산란장이자 보육 장으로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cha.go.kr

Date Published: 3/21/2021

View: 1973

[보고서]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최종보고서 · 대한민국 · 한국어 · 2005-06.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3/20/2021

View: 6038

갯벌의 생태계 – 신비한 갯벌 생태 – 순천시청

갯벌의 생태계. 테트리스터스. 갯벌의 먹이 연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데트리터스(detritus)라는 입상의 유기 쇄설물이다.

+ 여기에 표시

Source: scbay.suncheon.go.kr

Date Published: 12/6/2021

View: 871

홈 – 줄포만으로 오세요 – 갯벌의 가치와 기능

그리고 100종이 넘는 바다새들과, 50종에 가까운 현화식물들이 갯벌과 연계된 생태계에 의존하며 살아갑니다. 우리나라 갯벌의 형태는 다양하여 기본적으로 해양생태계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julpoman.buan.go.kr

Date Published: 2/9/2022

View: 9735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 … – 해양수산부>보도자료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조 8,121억원 -오염물질 정화, 관광휴양 등 조절·문화서비스의 가치, 연간 17조원-.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mof.go.kr

Date Published: 5/30/2022

View: 8073

우리나라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조8천121억원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갯벌 생태계서비스의 평가 방법을 고도화하고, 갯벌의 공급과 지원 서비스에 대한 가치 항목을 추가해 평가를 더욱 체계적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sciencetimes.co.kr

Date Published: 5/4/2022

View: 7057

갯벌 생태계 복원사업 정책정보 상세보기 – 국토교통부

갯벌은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오염물질 정화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연안개발 등으로 인해 갯벌훼손과 해양생태계 파괴가 진행.

+ 여기에 보기

Source: www.molit.go.kr

Date Published: 1/27/2021

View: 1091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 연간 17조8000억원 이상 – 조선비즈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 연간 17조8000억원 이상 갯벌의 수질 정화와 재해 저감, 관광·휴양 등의 가치가 17조원 이상인 것으로 추산됐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iz.chosun.com

Date Published: 11/7/2022

View: 763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갯벌 생태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갯벌 생태계

  • Author: EBSDocumentary (EBS 다큐)
  • Views: 조회수 27,726회
  • Likes: 좋아요 44개
  • Date Published: 2013. 1. 1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MkNBxmQHBg

‘갯벌’의 가치는 얼마일까? 생명 다양성 보고 갯벌 이야기

갯벌이 사라졌을 때 환경이 받는 타격은 생각보다 어마어마합니다. 우선 갯벌 생물들이 사라지면서 생태계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갯벌 생물을 먹이로 하는 희귀 조류도 사라집니다.

실제로 대표적인 간척 사업지인 새만금 사업지에서는 멸종 위기종인 검은 머리갈매기와 쇠제비갈매기 등 희귀 조류 1600여 마리가 집단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은 머리갈매기의 경우 매년 겨울 새만금 갯벌에서 300마리 이상 발견됐으나 2012년 방수제 공사 시작 이후 자취를 감추었습니다다. 검은머리갈매기는 먹이 문제로 100% 갯벌에 의존하는 조류이기 때문에 갯벌이 사라지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이 때문에 각종 환경단체에서는 새만금 사업지에 대해 개체 보존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또 바다에서 밀려오는 진흙이나 모래가 쌓여 항구를 막아버리거나, 홍수가 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육상에서 흘러들어온 오염물질을 분해해 줄 갯벌이 사라지면서 환경오염이 심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화려하진 않아도 누군가에겐 그 무엇보다 소중한 가치를 지닌 갯벌. 생태계와 환경보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갯벌이 주는 무궁무진함을 알기에 더욱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생명이 살아 숨쉬는 해양 생태계의 보고, 서해안 갯벌

갯벌이 서해안에 집중 발달한 이유

‘갯벌왕국’의 명성을 얻게 될 만큼 드넓게 펼쳐진 우리나라 서해안의 갯벌은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그 이유는 서해안이 갯벌 형성에 최적의 자연조건을가지고있기때문이다.

갯벌 형성의 첫째 조건은 만조(밀물)와 간조(썰물)의차즉, 조차潮差가 커야 한다. 동해안의 조차는약30cm, 남해안은약1.2m이지만 서해안은보 통 3~9m에 달한다. 이와 같이 서해안은 조차가 심하기 때문에 하천에 서공급된 점토, 실토 등의 퇴적물이 해안을 따라 멀리까지 이동하여 쌓일 수 있었다.

둘째, 갯벌은 주로 경사가 완만하고 주변에 강 하구가 발달하여 육지에서 끊임없이 토사가 공급되는 곳에 발달한다. 갯벌의 퇴적물은 하천에서 공급되는 것으로, 서해안으로 흘러드는 한강, 금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 강등 큰강들의 하구에는 십중팔구 기름지고 광활한 갯벌이 펼쳐진다.

셋째, 해안에서 침식된 물질과 육지에서 공급된 토사가 차곡차곡 쌓일 수 있을 만큼 파랑이 세지 않은 연안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 서해안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으며 크고 작은 만이 많아 자연스럽게 이런 환경이 만들어졌다. 서해안은 이와 같은 모든 조건을 고루 갖추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드문 엄청난 규모의 갯벌이 형성 될 수 있었다.

갯벌이 만들어진 시기

서해안의 갯벌들은 지질사적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은 현세에 생성되었다. 지금으로부터 약 1만 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물러가면서 지구는 점차 따뜻해졌다.

이에 따라 극지방과 고산지대의 빙하가 녹으 면서 점차 해수면이 상승하기 시작했는데, 해수면이 현재의 해수면 근처에 도달하게 된시기는 약 6,000년 전의 일이다. 따라서 서해안의갯 벌은 현재의 해안선을 유지한 약 6,000년 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볼수있다.

갯벌의 생태적 기능의 경제적 가치

갯벌에서 어업활동을 하는 어민들을 제외하고는 갯벌은 대부분의 사람 들에게는 질퍽한 뻘로 가득한 쓸모 없는 땅으로 인식되어 온것이 사실이다. 그런 이유로 많은 갯벌이 농지나 공장부지 등을 확보하기 위해 간척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순천만·벌교갯벌, 무안갯벌이람 사협약에 등록되고 고창, 강화, 시흥 등의 갯벌이 지속적으로 천연기 념물 및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갯벌의 생태적 가치가 새롭게 주목 받으면서 개발보다는 보존이 더 중요하다는 시각이 차츰 확산되고 있다. 그렇다면 갯벌은 생태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기에 새롭게 주목받게 된것일까?

갯벌은 연안생태계에 영양염류를 공급하고, 어류의 산란장이자 보육 장으로서, 철새도래지이자 중간기착지로서, 그리고 태풍과 해일의 피해를 완화시켜주는 완충지대로서 생태적 기능을 한다. 또한 양식장 및 염전 등 수산물의 생산지로서, 자연생태 체험학습장으로서, 지역 주민 경제 활동의 소득원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갯벌의 기능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당 39억 원(2003년 정부 추정)으로서, 우리나라 갯벌 총면적을 약 2,500㎢로 적용하여 갯벌가치를 산정할 경우 연간 약10조 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적인 과학잡지 네이처 Nature에 의하면 갯벌의 생태적 가치가 농경지의 100배, 숲의 10배에달 한다고 하니, 갯벌이 갖는 기능과 가치가 얼마나 큰지를 잘알수있다.

갯벌을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고 하는 이유

갯벌이 지닌 다양한 기능 가운데 특히 주목 받고 있는 점은 상상을 초 월하는 온갖 생명체들이 꿈틀대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는 사실이다. 소라, 굴, 대합, 바지락, 동죽, 모시조개, 피조개, 고막, 홍합 등의 조개 류와 고동류, 새우, 게, 바닷가재, 쏙 등과 같은 갑각류, 주꾸미, 낙지를 비롯하여 망둥이, 짱뚱어, 숭어, 광어 등과 같은 다양한 물고기들이 넘쳐난다. 보통 갯벌의 생산성은 육지보다 10배 정도 높다고 하는데, 우리 식탁에 오르내리는 해산물의 약 3분의 2 이상이 바로 갯벌에서 생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종들이다.

그렇다면 진흙벌판과 다를바없어 보이는 갯벌에 이렇듯 풍부한 생명체들이 움틀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갯벌이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점이적인 환경에서 형성되어 육지도 아닌 바다도 아닌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갯벌은 대지 가운데 가장 낮은 저지대를 이루기 때문에 풍부한 영양분을 함유한 유기물이 뭍에서 모여들어 농축되어 생 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만들어진다. 또한 주기적인 조석潮汐 의 영향으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생명체들의 서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많은 해양생물들이 갯벌을 산란장소와 생육장소로 이용하여 황금어장을 이루기 때문에 풍부한 수산자원의 보물 창고가 되고있다.

갯벌을 ‘자연의콩팥’이라 부르는 이유

늘 축축한 수분으로 젖어 있는 갯벌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들은 염생鹽生 식물들과 함께 하천에서 오염물질을 자연에 해롭지 않게 분해 시켜주는 자연의 정화조와 같은 역할을 한다.

갯벌에 사는 규조강硅藻綱,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포함하여 고동류, 조개류, 갯지렁이류 등과 같은 저생低生동물들의 정화능력은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3cm 정도의 바지락 한 마리가 한 시간에 평균 약 1ℓ의 해수를 여과하며, 500마리의 갯지렁이는 하루에 1인 1일 배설 물량의 2㎏을 정화한다고 한다.

그리고 펄갯벌 1㎢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한 분해능력은 하루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으로 2.17톤의 오 염물을 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 하수 처리장 한 곳의 유기물 처리 능력과 맞먹는다. 그야말로 갯벌에 살아 숨쉬는 수많은 미생물을 포함 한저서생물底棲生物은 살아있는 청정기인 셈이다.

갯벌이 발달한 서해안 지역에서는 적조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탁월한 갯벌의 오염정화 능력을 잘알수있다. 갯벌에 살고 있는 규조강과같 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하여 뿜어내는 산소량은 지구에서 만 들어지는 산소량 전체의약70%라고 한다. 숲을 ‘지구의 허파’에 비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갯벌을 ‘지구의 신장’에 비유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매립 했던 갯벌을 다시 본래의 갯벌로 복원 하는 이유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하구 곳곳에 발달한 주요 갯벌들 대부분 이이 미간척 되었거나 간척중에 있다. 갯벌의 가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농경지와 공장부지, 주택단지로 하나 둘씩 탈바꿈되었다. 우리나라는 1987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여의도 면적(8.48㎢)의 77배를 웃도는 653.3㎢의 갯벌을 육지로 만들었다. 그런데 2008년 정부에서 지방자 치 단체를 대상으로 갯벌 복원 대상지를 조사한 결과, 전국 15개 시군이 81곳(32.12㎢)을 갯벌로 복원할 것을 희망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엄청난 예산과 시간을 들여가며 매립했던 갯벌을 다시 본래의 갯벌로 복원 하려고 하는 걸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매립하여 농토와 기타 용지를 만들었을 때보다 그대로 두었을 때가 오히려 효용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갯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한 미국, 영국 등의 일부 선진국은 이미 80년대 초부터 간척사업을 중단했다. 19세기부터 바다를 막아 국토를 넓힌 네덜란드도 최근 둑을 터서 일부나마 원상회복을 시도하는‘역간 척’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 최초의 역간척 대상지로 떠오른 곳은 전남 진도군 지산면이다. 최근 우리나라도 갯벌의 자연생태적 가치를 새롭게 인정하고 갯벌 복원 공사에 나서고 있다.

갯벌은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숨결을 함께 해온 삶의 터전이자 주요생 활공간으로 후손에게 온전하게 물려주어야 할 귀중한 자연유산이다. 최근 뒤늦게나마 정부가 갯벌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보호 및 보존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다행으로 생각된다.

글·사진. 이우평 (인천고잔고등학교 지리교사) 사진. 이미지투데이 인간은 결국 자연에서 왔다가 자연으로 돌아가는 생태계의 작은 일부일 따름이다. 드넓게 펼쳐진 갯벌의 너그러움과 겸손의 미덕을 배우고 익혀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지켜나가는데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글·사진. 이우평 (인천고잔고등학교 지리교사) 사진. 이미지투데이

[보고서]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안내

> 총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다운받으실 자료의 인덱스를 입력하세요. (1-10,000) > 검색결과의 순서대로 최대 10,000건 까지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데이타가 많을 경우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최대 2~3분 소요) > 다운로드 파일은 UTF-8 형태로 저장됩니다. 파일의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실 때는 웹브라우저 상단의 보기 -> 인코딩 -> 자동선택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 ~ > Text(ASCII format)

Excel format

순천만습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갯벌의 생태계

테트리스터스

갯벌의 먹이 연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데트리터스(detritus)라는 입상의 유기 쇄설물이다. 데트리터스란 미생물이 분해하는 도중에 있는 생물체 파편의 모든 형태를 말하며 이들은 소비자의 에너지원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데트리터스는 동식물의 사체가 분해되어 생기거나 동물들의 배설물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염습지 식생울 구성하는 갈대, 나문재, 칠면초 등의 염생식물이나 김, 갈파래, 파래처럼 갯벌에서 흔히 볼수 있는 해조류 등도 효소에 의해 자기 분해되거나 박테리아의 공격으로 분해되어 결국 데트리터스가 된다.

그리고 비로소 동물에게 먹이로 이용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듯 데트리터스가 갯벌의 먹이 연쇄 간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생태계의 생산구조를 특징짓고 있어 갯벌을 데트리터스를 기반으로 하는 생태계라 일컫기도 한다.

데트리터스는 수중에 떠 있는 부유성 데트리터스와 개펄 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데트리터스의 두가지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생산자

식물 플랑크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내만에는 스켈레토네마 코스타튬(Skeletonema costaturm)이라는 식물 플랑크톤이 가장 많은데 플랑크톤이지만 개펄 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수 있다.

저서규조류

갯벌에는 나비쿨라라는 우상 규조류가 우점하는데 주로 개펄의 표면에서 2밀리미터 내지 1센티미터 깊이 이내에 매몰하여 생활한다. 이 저서 규조류는 먹이로서 상당히 많이 이용되며 1제곱센티미터당 10∼100만에 이르는 많은 양이 존재한다.

소비자

부유물식자

부유성 데트리터스를 이용하는 생물을 부유물식자라 한다. 이 무리는 해수 중의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데트리터스를 여과하여 먹으므로 여과식자 라고도 한다. 부유물식자에는 대표적으로 바지락과 동죽이 있다.

퇴적물식자

갯벌의 바닥에 가라앉아 모래나 펄에 퇴적된 데트리터스를 먹는 생물을 퇴적물식자라 한다.

대표적인 퇴적물식자로는 갯고둥, 민칭이, 엽낭게, 갯지렁이류 등이 있다.

저서무척추동물

저서무척추동물은 갯벌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군이며, 갯벌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생물량을 차지하며, 게류 및 패류와 같이 인간에게 중요한 식량자원이 되는 무리이다.

특히 갯벌을 찾아 드는 철새들의 먹이가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순천만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들은 총 43종이며, 이 중 ①절지동물과 ②연체동물이 각각 18종 으로 가장 많다.

③환형동물은 5종으로 그 뒤를 잇고, ④자포동물과 ⑤유형동물도 1종씩 서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자세히 구분해 보면, 게류가 속하는 절지동물 갑각류의 십각류가 16 종으로 가장 많고, 연체동물의 이매패류가 10종, 연체동물의 복족류가 8종의 순으로 종 수가 많은데, 이 게류와 이매패류는 철새들의 주요 먹이가 되고 있다.

순천만에 분포하는 전체 무척추동물 종 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오히려 조류의 주요 먹이가 되는 분류군들은 훨씬 다양하다.

또한 분류군 구성도 조류의 먹이 선호도와 어느 정도 일치해, 순천만 갯벌지역이 철새의 도래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까닭을 추론할 수 있다.

절지동물

십각목 : 홈발딱총새우, 가재붙이, 밤게, 농게, 넓적콩게, 털콩게, 칠게, 세스랑게, 풀게, 털보꼬마풀게, 붉은발사각게, 가지게, 참방게, 방게 등. 완흉목 : 고랑따개비, 세로줄따개비

연체동물

복족강 : 총알고둥, 기수우렁, 갯비틀이고둥, 검정비틀이고둥, 얼룩비틀이고둥 등 이매패류:꼬막, 가시굴, 굴, 분홍접시조개, 붉은줄접시조개, 가무락조개, 가리맛조개 등

유형동물

참갯지렁이, 큰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끈벌레 등

자포동물

담황줄말미잘, 가재붙이, 세스랑게, 가무락조개, 참갯지렁이 등

순천만 갯벌의 상부

순천만 갯벌의 상부는 다양한 게류의 서식처가 되고 있어서 간조시에는 혈거성 게류들이 쌓아 올린 크고 작은 진흙질 탑들이 염생식물들 사이를 빼곡히 채운다. 제방을 쌓은 최상부지역에는 붉은발사각게가 제방의 바위틈을 주서식처로 하여 우점하고 있으며, 그 아래 염생식물군락이 발달한 진흙질 바닥에는 혈거성 게류인 세스랑게가 우점하고 있다.

세스랑게의 구멍은 입구에 서는 나선형이다가 나중에 곧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세스랑게와 더불어 진흙질 바닥에는 농게 와 방게가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의 갯벌지역에 가장 흔한 칠게도 보이지만 그 밀도는 높은 편이 아니다. 농게와 방게의 구멍은 둥글고 곧은 편이며, 칠게의 구멍은 타원형이고 약간 비스듬한 경사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게류와 더불어 집게류인 가재붙이가 진흙바닥의 작은 구멍 속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되기도 하지만, 십각류들을 제외한 저서무척추동물들은 갯벌의 상부에 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순천만의 경우, 갯벌 조간대의 상조대 보다는 중, 하조대, 특히 하조대에서 다양한 저서무척추동물이 분포하고 있다.

순천만 갯벌의 중,하부

순천만 갯벌의 상부는 다양한 게류의 서식처가 되고 있어서 간조시에는 혈거성 게류들이 쌓아 올린 크고 작은 진흙질 탑들이 염생식물들 사이를 빼곡히 채운다. 제방을 쌓은 최상부지역에는 붉은발사각게가 제방의 바위틈을 주서식처로 하여 우점하고 있으며, 그 아래 염생식물군락이 발달한 진흙질 바닥에는 혈거성 게류인 세스랑게가 우점하고 있다.

세스랑게의 구멍은 입구에 서는 나선형이다가 나중에 곧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세스랑게와 더불어 진흙질 바닥에는 농게 와 방게가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의 갯벌지역에 가장 흔한 칠게도 보이지만 그 밀도는 높은 편이 아니다. 농게와 방게의 구멍은 둥글고 곧은 편이며, 칠게의 구멍은 타원형이고 약간 비스듬한 경사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게류와 더불어 집게류인 가재붙이가 진흙바닥의 작은 구멍 속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되기도 하지만, 십각류들을 제외한 저서무척추동물들은 갯벌의 상부에 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순천만의 경우, 갯벌 조간대의 상조대 보다는 중, 하조대, 특히 하조대에서 다양한 저서무척추동물이 분포하고 있다.

갯벌의 가치와 기능

> 줄포만으로 오세요 > 갯벌의 가치와 기능

갯벌의 가치와 기능

갯벌의 가치와 기능

바다생태정보나라

생물 다양성의 보고

갯벌에 가면 그곳에 의외로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음을 우리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물들은 서식지에 의존하여 살아가므로 다양한 모습의 서식지를 가지고 있는 갯벌에서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게 마련입니다.

같은 형태의 서식지라도 염분이나 표면 노출시간에 따라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하고 이웃하는 생물 종에 따라서 변하기도 합니다.

또한, 연안 습지생태계는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경계지대에 놓여 있어 판이한 두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들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의 종류가 더욱 다양합니다. 육지에서 유입되는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먹이와 은신처가 많아서 산란지나 어린 생물들의 서식지로도 적합합니다.

연안 습지생태계도 육지와 마찬가지로 태양에너지를 생물에너지로 변환하는 식물들이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수산물의 생산지

갯벌에서 이루어지는 수산업은 크게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업과 어패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업 그리고 양식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해안선이 복잡하고 크고 작은 내만이 많은 우리 나라의 남, 서해안의 갯벌과 그 주변 천해는 예로부터 경제적으로 유용한 어류의 산란과 서식장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어류의 경우는 계절마다 많이 잡히는 종류가 다르지만 숭어, 전어, 밴댕이, 농어, 황복, 풀망둑 등이 대표적인 어족입니다.

조개류는 연간 약 50,000~90,000톤이 갯벌과 그 주변에서 직접 생산되며, 조개류 외에도 주요 수산생물은 낙지, 갯지렁이 등이 있습니다.

낙지와 갯지렁이는 연간 각각 1,000톤과 500톤 이상이 계통 출하됩니다. 이들 생물들의 비계통 출하를 포함하면 생산량은 훨씬 증가될 것입니다.

비록 갯벌에서 직접 어획되지는 않지만 갯벌에서 서식하거나, 일생 중 한 시기라도 갯벌이나 주변 염습지에 서식하는 주요 수산생물에는 꽃게류, 젓새우를 비롯한 민물뱀장어 등이 있습니다.

갯벌에서 양식되는 대표적인 종류는 김과 굴을 비롯한 각종 조개류입니다. 김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개류는 양식산과 자연산의 구분이 애매하여 양식산이라기보다는 인위적인 관리를 하는 종이라 하여도 무방합니다. 굴의 경우 돌이나 목재 또는 폐타이어 등 부착기질을 집어 넣어 굴이 부착하게 하여 채취하는 방식입니다.

물새의 서식지

갯벌에서 서식이 확인되거나 관찰된 물새는 120여 종에 달합니다.

우리나라에 기록된 물새류 173종이고 이중에는 희귀조류가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어 우리의 연안습지는 이들 바다새의 소중한 산란지이며 서식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해안에서 관찰된 조류 중에 개체수가 10,000개체 이상인 종은 11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9%인 반면에 10개체 미만인 종은 37종으로 32%에 해당합니다.

충남의 서산, 아산, 시화 등 간척지구의 간척호와 그 주변 농경지 그리고 금강, 한강, 만경강 등 강의 하구와 주변 갯벌을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 이용됩니다. 간척호 주변은 상대적으로 오리류가, 갯벌 주변에는 도요물떼새류와 도요류가 더 많이 찾습니다.

한강 하구 인근에 위치한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지난 10년 사이에 조사된 다섯 번의 연간 조사에서 도래하는 물새류 개체수가 감소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갯벌에서도 나타나 전문가들은 갯벌에서의 먹이 부족과 환경 악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연안 습지에는 보호가 요망되는 희귀 조류들이 출현을 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됩니다. 가창오리는 서해안 전역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으며, 검은머리갈매기, 장다리물떼새, 검은머리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등의 개체군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그러나 바다새들의 서식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새는 환경지표 생물로 널리 활용되는데 조류의 장점은 쉽게 눈에 띄고 다른 동물군에 비해 비교적 동정이 쉽다는 점입니다.

또한 조류는 먹이사슬에서 최상부에 위치하고 비교적 수명이 길어 환경의 안정성과 건강성을 평가하고, 장기간에 걸친 오염물질 축적 등을 분석하기에 유리합니다. 조류는 다른 생물군에 비해 사람들이 많은 관심과 호감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기 때문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시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여러 사람의 동의를 이끌어 내기가 쉽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어느 지역에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고 많은 철새들이 찾아온다는 것은 그곳의 생태계가 안정되어 있음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람사르협약은 초기에 물새류(waterfowl)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선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나 현재는 습지 선정에 비교적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기록된 물새류 173종이고 이중에는 희귀조류가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어 우리의 연안습지는 이들 바다새의 소중한 산란지이며 서식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해안에서 관찰된 조류 중에 개체수가 10,000개체 이상인 종은 11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9%인 반면에 10개체 미만인 종은 37종으로 32%에 해당합니다.충남의 서산, 아산, 시화 등 간척지구의 간척호와 그 주변 농경지 그리고 금강, 한강, 만경강 등 강의 하구와 주변 갯벌을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 이용됩니다. 간척호 주변은 상대적으로 오리류가, 갯벌 주변에는 도요물떼새류와 도요류가 더 많이 찾습니다.한강 하구 인근에 위치한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지난 10년 사이에 조사된 다섯 번의 연간 조사에서 도래하는 물새류 개체수가 감소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갯벌에서도 나타나 전문가들은 갯벌에서의 먹이 부족과 환경 악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연안 습지에는 보호가 요망되는 희귀 조류들이 출현을 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됩니다. 가창오리는 서해안 전역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으며, 검은머리갈매기, 장다리물떼새, 검은머리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등의 개체군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그러나 바다새들의 서식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새는 환경지표 생물로 널리 활용되는데 조류의 장점은 쉽게 눈에 띄고 다른 동물군에 비해 비교적 동정이 쉽다는 점입니다.또한 조류는 먹이사슬에서 최상부에 위치하고 비교적 수명이 길어 환경의 안정성과 건강성을 평가하고, 장기간에 걸친 오염물질 축적 등을 분석하기에 유리합니다. 조류는 다른 생물군에 비해 사람들이 많은 관심과 호감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기 때문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시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여러 사람의 동의를 이끌어 내기가 쉽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어느 지역에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고 많은 철새들이 찾아온다는 것은 그곳의 생태계가 안정되어 있음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람사르협약에서 제시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등록기준은

1) 독특한 생물, 지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거나

2) 멸종 위기종 등 희귀 동물 종의 서식지이거나

3) 물새 서식시로서의 중요성을 가진 습지이거나

4) 고유 어종의 서식 및 어류의 먹이원, 산란장, 성육장 및 회유경로로서 중요한 습지 4가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새류는 습지의 가치를 나타내는 뛰어난 지표생물로 전 세계의 람사르습지가 물새류를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습지들 선정기준 중 대표적 또는 독특한 습지, 식물 또는 동물에게 중요한 습지의 기준에도 동시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물새류를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안습지는 50곳 이상이 람사르보호지역 습지의 대상이 됩니다.

물새류는 습지의 가치를 나타내는 뛰어난 지표생물로 전 세계의 람사르습지가 물새류를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이 습지들 선정기준 중 대표적 또는 독특한 습지, 식물 또는 동물에게 중요한 습지의 기준에도 동시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물새류를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안습지는 50곳 이상이 람사르보호지역 습지의 대상이 됩니다.

환경적 가치

연안습지, 갯벌의 기능은 인간에게 직ㆍ간접적으로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갯벌의 기능 중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천으로부터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물이 갯벌에 유입될 때 갯벌의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이 유속을 떨어뜨려 부유물질과 그 밖의 여러 물질이 이곳에 퇴적됩니다. 또한, 갯벌 속에 살고 있는 수 많은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갯벌의 오염정화능력 실험에 의하면 10㎢의 갯벌이 갖는 수질 정화능력은 10만 명이 거주하는 면적 25.3㎢의 도시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종말처리시설에 상당한다고 합니다. 미국의 오덤(Odum)교수는 0.01㎢의 갯벌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21.7kg을 정화하는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 수치를 우리나라의 새만금지구 갯벌(208㎢)에 적용하면 새만금 갯벌의 정화능력은 리터당 100mg의 BOD를 정화할 수 있는 10만톤 규모의 하수처리장에 버금가는 셈입니다. 또한 갯벌은 사람들의 정서를 안정시키고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며, 낚시, 조개줍기 등 레크레이션의 장소가 되기도 하고, 자연탐구 / 조류관찰 / 학술연구의 장으로써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해안의 강화도 갯벌이나 천수만 일대의 연안습지는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며, 남해안의 순천만에 형성된 갈대밭과 갯벌은 철새들의 서식지이자 좋은 자연학습장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해안지역에서는 갯벌축제 등 갯벌과 관련된 행사를 마련하여 그 지역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갯벌은 육지와 바다 사이에 놓여 있어 두 환경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합니다. 갯벌은 홍수에 따른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여 물을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흘려 보냅니다.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하면 이를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완화하여 육지 지역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갯벌은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지구상의 가스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소중한 생태계입니다. 염습지의 식물 군락들은 육지 토양의 침식을 막고 육상과 해양, 두 환경간의 퇴적물의 교환을 안정되게 하여 해안환경의 평형을 지속시킵니다.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위의 갯벌의 기능과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네이처에 의하면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는 1ha(0.01㎢)당 9,900달러로 농경지의 가치인 92달러보다 100배 이상의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 추정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갯벌의 연간 가치 평균치는 ㏊당 3,919만원이고, 수산물 생산가치가 1,199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보존가치 1,026만원, 서식지 제공가치 904만원, 수질정화가치 444만원, 여가가치 174만원, 재해예방가치 173만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단위면적으로 재산정할 경우 ㎡당 3,919원, ㎢당 3,919백만원으로 우리나라 갯벌 총면적을 2,550 ㎢로 적용하여 갯벌가치를 산정할 경우 연간 9조 9,934억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들 식물들에 의해서 합성된 에너지는 먹이망을 통해서 갯벌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들에게 전달됩니다.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부터 중형동물, 대형 저서동물, 그리고 낙지, 숭어, 민물도요 등 갯벌의 생산자부터 최종소비자에 이르는 전 생물은 식물들이 만든 기본 에너지에 의존하는 것입니다.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과 그 주변 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어류는 200여 종, 갑각류가 250여 종, 연체동물이 200여 종, 갯지렁이류가 100여 종 이상이 됩니다. 이 밖에도 갯벌은 여러 동물군에 속하는 수 많은 해양 무척추동물들, 미생물, 200종류 이상의 미세조류(diatoms)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00종이 넘는 바다새들과, 50종에 가까운 현화식물들이 갯벌과 연계된 생태계에 의존하며 살아갑니다.우리나라 갯벌의 형태는 다양하여 기본적으로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이 해안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연안생물의 60% 이상이 해안생태계와 직, 간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어류가 먹이와 번식장소로 해안의 전이대나 습지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어업활동의 약 90%가 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연안습지는 지구상의 자연생태계 중에서 가장 생산력이 높은 생태계 가운데 하나로 연근해에 비하여 10~20배가 높으며, 농경지나 산림지역과 비교하여도 더 높은 생산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조 8,121억원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조 8,121억원

-오염물질 정화, 관광휴양 등 조절·문화서비스의 가치, 연간 17조원-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나라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가 최소 연간 17조 8,121억 원(2020년 기준)에 달한다고 밝혔다.

갯벌은 낙지, 바지락 등 각종 수산물을 생산하고,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한편,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 등 우리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갯벌은 관광자원으로서 갯벌어업 등 다양한 체험활동의 장으로 활용되고, 해양자원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해양치유 자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그 혜택과 가치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산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우리 갯벌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갯벌 복원사업, 갯벌 식생 복원사업 등 갯벌 정책의 근거로 삼기 위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합동으로 2017년부터 갯벌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연구를 추진해왔다.

그 결과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중 조절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연간 17조 8,121억 원으로 추산하였다. 이는 2013년 조사 결과*에 비해 약 15조원이 늘어난 것으로, 평가 항목을 체계화하고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탄소흡수 등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였고, 우리 서남해안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됨에 가지게 된 새로운 문화서비스 가치 등이 반영된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번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갯벌의 공급·지원서비스에 대해서도 평가하고,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전반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 갯벌 상부의 염생식물을 조성하여 갯벌의 탄소저장 기능을 강화하고, 갯벌의 경관을 개선하는 갯벌 식생 복원사업 4개소를 신규로 추진한다.

해양수산부 이재영 해양생태과장은 “이번에 발표하는 갯벌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갯벌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 중 조절·문화서비스에 국한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갯벌 보전 및 복원의 필요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확인한 것이다.”라며, “갯벌 생태계서비스의 평가방법을 고도화하고, 갯벌의 공급서비스와 지원서비스에 대한 가치 평가를 추가해 더 체계적이고, 더 과학적인 갯벌 관리 정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연간 17조8천121억원 – Sciencetimes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 가치를 추산한 결과 지난해 기준 연간 최고 17조8천12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생태계 서비스란 자연생태계가 사람에게 주는 모든 혜택을 의미한다. 수산물 등 유형적 생산물이나 탄소 흡수 등 조절 기능, 휴양자원 등 문화 서비스가 이에 해당한다.

갯벌은 낙지, 바지락 등 수산물을 생산하고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한편 지진·해일에 따른 피해를 저감시킨다. 또 관광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갯벌의 혜택과 가치는 그동안 과학적으로 추산이 어려웠는데 해수부는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합동으로 2017년부터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연구를 추진해왔다.

그 결과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 가치 중 조절 기능과 문화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17조8천12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2013년 조사와 비교해 약 15조원 증가한 것이다.

해수부는 평가 항목을 체계화하고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탄소흡수 등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고, 우리나라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번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갯벌의 공급·지원 서비스를 평가하고,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 전반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내년부터 갯벌 상부의 염생식물을 조성해 갯벌의 탄소저장 기능을 강화하고, 갯벌의 경관을 개선하는 갯벌 식생 복원사업 4개소를 신규로 추진한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갯벌 생태계서비스의 평가 방법을 고도화하고, 갯벌의 공급과 지원 서비스에 대한 가치 항목을 추가해 평가를 더욱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51)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갯벌 생태계

다음은 Bing에서 갯벌 생태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 자연의
  • 세계
  • 20081028
  • 01
  • EBS
  • Nature Wonder Land
  • Land
  • Sea
  • Sky
  • Animal
  • Love
  • Season
  • ant
  • 자연의 세계
  • 자연
  • 다큐
  •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 world of nature
  • nature
  • 엽낭게
  • 농 게
  • 뒷부리도요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YouTube에서 갯벌 생태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연의 세계 – World of Nature_생명의 터, 갯벌(HD)_#001 | 갯벌 생태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