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3271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KBS News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79회 및 좋아요 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건설기술 분야의 국가자격증 취득자나 공무원은 건설기술인교육을 최소한 한 번 이상 받아야 합니다 수강료를 기업체나 시군에서 부담하고 있는데 일부 교육 기관이 이를 허술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이 KBS 취재로 확인됐습니다.
[리포트] 인터넷 건설기술인 수업 문제입니다.
질문은 ‘콘크리트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입니다.
질문 자체가 ‘침하균열이란’으로 시작하는데 답도 ‘침하균열’입니다.
질문에서 답을 알려줬습니다.
또 다른 문제입니다.
사업장 무단 이탈 시 벌칙이 몇 년인지 묻습니다.
보기는 1, 2, 3, 4년.
하지만, 법에는 2개월 이상 2년 이하로 돼 있어 답이 2개입니다.
문제 자체가 허술하고 엉터리입니다.
[기술직 공무원 A/음성변조 : \”강제적으로 듣다 보니까 말도 안 되는 문제를 풀고 돈을 받고 있네?\”] 더구나 교육 분야도 특정 직무에 몰려있습니다.
도시교통, 전기전자, 조경, 광업 등 다양한 직무분야가 있는데도 토목 분야 쪽에 치중됐다는 겁니다.
이러다 보니 자기 분야가 아닌데도 울며 겨자 먹기로 들어야 합니다.
[기술직 공무원 B/음성변조 : \”굳이 이것을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대학교를 토목과를 나왔는데 굳이 미대나 이런 강의를 들을 필요는 없는 거잖아요.\”] 해당 업체는 수업에 일부 오류가 있었다며 최대한 빨리 수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의 인터넷 수업 수강료는 한 과목에 20만 원으로 해당 기업체나 시군에서 부담합니다.
이렇게 부실하고 허술한 건설기술인 교육을 올해에만 10만 명이 넘게 들었고 수강료도 2백억 원 가량 지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349526\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email protected]
#건설인 #필수교육 #문제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건설기술인 최초교육 기본교육 과제 – 야리의 라이프 매거진

궁금한 사항들은 경험상 전화로 해결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인터넷에 나온내용들을 따라하는것보다 전화하는게 빠릅니다. ) 건설기술교육원 온라인 교육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ari-work.tistory.com

Date Published: 2/8/2022

View: 7952

자료실 – 건설산업교육원

[교육] 과제양식 및 제출방법 안내. 관리자 | 2020.06.30 14:05:15 | 조회수 76785. 첨부파일 : 과제 양식(온라인)_한글(2022′).hwp 과제 양식(온라인)_MS워드(2022′).

+ 여기에 보기

Source: conline.con.or.kr

Date Published: 11/24/2021

View: 4881

[건설기술인협회 최초 교육] 건설기술인 통합기본 교육 (과제)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 정의하고 있는 설계변경 사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품질시험계획서 수립 대상공사, 수립 및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urban-nomad.tistory.com

Date Published: 1/1/2022

View: 5240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

다음은 Bing에서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 여기를 클릭

Source: ko.taphoamini.com

Date Published: 7/4/2022

View: 7822

[건설기술인협회교육, 건설기술교육원] 통합기본교육과제, 건설 …

건설기술인 통합기본교육 과제는 아래와 같다. 1. 공사기간 산정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준비기간, 비작업일수, 작업일수, 정리기간에 대해 기술 …

+ 여기에 보기

Source: waterduck.tistory.com

Date Published: 12/26/2022

View: 549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 Author: KBS News
  • Views: 조회수 479회
  • Likes: 좋아요 4개
  • Date Published: 2021. 12.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d9DRIf64Rk

건설기술인 최초교육 기본교육 과제

건설분야에 취업을 하면 최초교육, 기본교육을 필수로 받아야합니다.

하지만 막상 회사에 입사를하면 가입하라고만하며 아무도 가르쳐주지않죠. 하지만 필수로 해야합니다.

처음엔 사이트도 여러개고 회원가입도 따로해야하고 주소도 어디인지 몰라서 헤매게 됩니다.

한국건설기술인협회 —> 건설기술인협회 가입(경력관리)

// 건축 설계는 건축사협회(https://work.kira.or.kr/base.do)

https://homenet.kocea.or.kr:1443/home/index.do

가입은 필요서류들을 보내야합니다.

홈페이지 우측 하단 FAQ를 보면 “신규등록 서류문의” 탭을 보고 준비해서 보내면됩니다.

궁금한 사항들은 경험상 전화로 해결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인터넷에 나온내용들을 따라하는것보다 전화하는게 빠릅니다. )

건설기술교육원 온라인 교육센터 —> 최초교육, 기본교육, 승급교육

https://ekicte.or.kr/user/Main.do

여기서 교육신청하시면 됩니다. 과목은 듣고싶은 것으로 선택하시면 되고 교육 당 20 만원입니다.

법적으로 회사에서 교육 비용을 지불하게되어있습니다.

회사규정에 따라서 먼저결제 혹은 회사카드로 결제하세요.

수업, 시험 어렵지않으니 천천히 하시면 쉽게 pass받습니다.

강의 및 시험은 들으면 되는데 과제물이 제출되어야 점수가 나오게됩니다.

1. 건설산업의 이해 과목

– 건설산업의 건설생산 참여주체인 1) 건설발주자, 2)건설기술용역사업자, 3)건설사업자(종합,전문)

4)자원공급자(인력,장비,자재)의 정의에 대해 건설산업기본법과 건설산업의 이해 강의내용을 확인하여 기술하시오.

2. 건설관련 법령 과목

–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설기술인의 1)업무수행, 2)명의 대여 금지, 3)업무정지 등에 대해 기술하시오.

3. 건설계획 및 설계실무의 이해 과목

– 설계 프로세스를 1)기획설계, 2) 계획설계, 3)기본설계, 4)실시설계 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시오.

4. 건설공사 품질관리의 이해 과목

–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1)품질관리계획서 수립대상공사, 2)품질시험계획서 수립대상공사, 3)품질관리계획 등의 수립 및 승인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5. 건설현장 공사관리의 이해1 과목

–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계서와 계약문서 중 1)공사시방서, 2)설계도면, 3)현장설명서, 4)공사기간의 산정근거(공공건설공사의 공사기간 산정기준 제15조 참조), 5)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서, 6)산출내역서에 대해 기술하시오.

6. 건설공사 안전관리 과목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관리감독자의 1)정의, 2)업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위 과목들 중에서 하나를 골라서 과제를 제출하게 됩니다.

건설계획 및 설계실무의 이해

설계 프로세스를 1) 기획설계 , 2) 계획설계 , 3) 기본설계 , 4) 실시설계의 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시오.

1. 설계 프로세스의 법률적 , 사전적 분류

: 건축설계는 건축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국가는 법령으로서 설계 업무를 행하는 건축사의 업무범위를 지정해놓았다.

이를 통해서 설계 프로세스(설계업무)를 분석해보았다.

법률적으로는 그 과정을 계획설계 – 중간설계 – 실시설계로 나누고 있다.

건축설계 ( 建築設計 , architectural design)

: 건물의 형태 , 구조 , 재료 , 공사 방법 , 비용 따위를 결정하고 , 시공에 필요한 도면과 시방서 따위를 작성하는 일 ,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능과 형태와 구조를 결정하고 물리적 형식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총칭 .

따라서 건축계획을 조정하고 배열하고 구조화하여 도면을 통해 실질적으로 건축물을 구상하는 과정 건축사

: 건축사법에 의거 , 건축사사무소를 개설 신고하여 건축물의 설계와 공사감리 등의 건축사업을 수행하는

국가전문 자격자 .

: 건축사법에 의거하여 5 년제 건축학과 또는 이와 동등한 학위과정을 이수한 자로서 건축사사무소에서

3 년의 실무 수련 과정을 거친 후 건축사자격시험에 합격하고 건축사등록원에 건축사자격등록을 마친

사람이 건축사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건축사사무소에 소속되어 건축사 업무를 수행 .

: 기획 – 생성 – 유지관리 – 멸실까지의 업무를 함 . **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제 5 조 ( 업무의 범위 ) 제 1 조에 따른 건축사의 업무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1. 설계업무

가. 기획업무

나 . 건축설계업무

1) 계획설계

2) 중간설계

3) 실시설계

다 . 사후설계관리업무

라 . 발주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다음의 각 업무

1) 리모델링 설계업무

2) 인테리어 설계업무

3) 음향 , 차음 · 방음 , 방진설계업무

4) 3D 모델링업무

5) 모형제작업무

6) VE(Value Engineering) 설계에 따른업무

7) Fast track 설계방식 업무

8) 흙막이 상세도 작성업무 ( 굴토깊이 10m 이상 )

9) 상세시공도서 작성

10) 각종 심의 대응 업무

11)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업무

12)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 16 조에 따른 녹색건축의 인증 관련 설계업무

13) 건축법 제 65 조의 2 에 따른 지능형건축물 (IBS) 의 인증 관련 설계 업무

14)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 17 조에 따른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관련설계업무

15) 장애인 · 노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 10 조의 2 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관련 설계업무

마 . 분리발주에 의한 조정 업무

2. 공사감리업무

가 . 건축법 시행령 제 19 조제 5 항의 규정에 따라서 수시 또는 필요한 때 공사현장에서 수행하는 감리업무

나 . 건축법 시행령 제 19 조제 5 항 각 호의 규정에 따라서 건축사보로 하여금 공사기간동안 공사현장에서

수행하는 감리업무

다 . 다중이용건축물 , 아파트 및 기타 건축물로서 발주자의 요청으로 수행하는 감리업무

라 . 발주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다음의 각 업무

1) 건축물의 사후관리 매뉴얼 작성 업무

2) 건축물의 사후평가 업무

3) 삭제

3. 건설산업기본법 제 26 조에서 정하는 건축분야와 관련된 건설사업관리 (CM) 업무

4. 지구단위계획 , 주택재건축 또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위한 계획 , 공원계획 등의 업무중 건축물과 건축물 · 도로 · 녹지 등 주변환경과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계획을 하고 건축물과 주변시설들의 용도 · 규모 · 형태 · 색채 등의 설계기준을 작성하는 업무

5. 제 1 호 내지 제 4 호의 규정에 따른 업무외에 발주자로부터 요청을 받아 수행하는 다음 각 목의 업무

가 . 건축물의 조사 또는 감정에 관한 업무

나 . 건축물의 현장 조사 및 검사 등에 관한 업무

다 . 건축공사 준공도서를 작성하는 업무

라 . 종합계획도 (Master Plan) 작성업무

마 . 건축공사 사업타당성 분석업무

바 . 건축물의 수명비용 분석 업무 (Life Cycle Cost Analysis)

사 . 건축물의 분양관련 지원업무

아 . 기타 건축사가 참여하는 업무 제 6 조 ( 설계업무 )

① 건축사는 건축법 , 설계도서의 작성기준 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설계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

② 제 5 조제 1 호 가목의 ” 기획업무 ” 란 건축물의 규모검토 , 현장조사 , 설계지침 등 건축설계 발주에 필요하여

발주자가 사전에 요구하는 설계업무로서 그 내용은 별표 1 과 같다 .

③ 제 5 조제 1 호 나목의 설계업무는 다음과 같다 .

1. ” 건축설계 ” 는 다음과 같이 계획설계 · 중간설계 및 실시설계의 단계로 구분하며 , 각 단계별 설계도서의 작성 내용은 별표 2 에 따른다 .

가 . ” 계획설계 ” 라 함은 건축사가 제 3 조의 규정에 따라서 발주자로부터 제공된 자료와 제 2 항의 기획업무 내용을 참작하여 건축물의 규모 , 예산 , 기능 , 질 , 미관적 측면에서 설계목표를 정하고 가능한 해법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 디자인 개념의 설정 및 연관분야 ( 구조 , 기계 , 전기 , 토목 , 조경 등을 말한다 . 이하 같다 ) 의 기본시스템이 검토된 계획안을 발주자에게 제안하여 승인을 받는 단계를 말한다 .

나 . ” 중간설계 ( 건축법 제 11 조제 3 항에 따른 기본설계도서를 포함한다 . 이하 같다 )” 라 함은 계획설계 내용을 구체화하여 발전된 안을 정하고 , 실시설계 단계에서의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 연관분야의 시스템 확정에 따른 각종 자재 , 장비의 규모 , 용량이 구체화된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발주자로부터 승인을 받는 단계를 말한다 .

다 . ” 실시설계 ” 라 함은 중간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입찰 , 계약 및 공사에 필요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단계로서 , 공사의 범위 , 양 , 질 , 치수 , 위치 , 재질 , 질감 , 색상 등을 결정하여 설계도서를 작성하며 , 시공 중 조정에 대해서는 사후설계관리업무 단계에서 수행방법 등을 명시한다 .

④ 제 5 조제 1 호다목의 ” 사후설계관리업무 ” 란 제 3 항제 1 호에 따른 건축설계가 완료된 후 공사시공 과정에서 건축사의 설계의도가 충분히 반영되도록 설계도서의 해석 , 자문 , 현장여건 변화 및 업체선정에 따른 자재와 장비의 치수 · 위치 · 재질 · 질감 · 색상 등의 선정 및 변경에 대한 검토 · 보완 등을 위하여 수행하는 설계업무를 말하며 , 건축법 제 72 조제 8 항 및 동법 시행령 제 108 조제 3 항에 따른 설계자의 업무를 포함한다 .

⑤ 건축사가 발주자로부터 제 5 조제 1 호나목의 건축설계업무를 일괄하여 위탁을 받거나 분리하여 위탁을 받은 경우의 각 단계별 업무비율은 건축설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

1. 건축법 제 11 조에 따른 건축허가 또는 동법 제 14 조에 따른 건축신고만으로 건축이 가능한 건축물의 각 단계별 업무비율

2. 타법령에 따른 별도의 사업시행인가 등을 필요로 하는 관광숙박시설 , 병원 건축물 , 재개발 · 재건축사업 등의 각 단계별 업무비율

2. 설계 프로세스의 일반적인 ( 실무적 ) 분류

: 실무적인 측면에서 건축 설계의 프로세스를 나누면기획설계 – 계획설계 – 기본설계 – 실시설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사후설계관리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건축 설계 프로세스

: 건축주로부터 설계의 조건을 의뢰받아 설계의 과정이 시작된다 . 이러한 설계 업무는 일반적으로 설계를 수주하는 것으로부터 건축 현장의 공사 감리까지를 말한다 . 건축설계 과정을 구분한다면 일반적으로 기획설계 (pre-design), 계획설계 (schematic design), 기본설계 (drawing development), 실시설계 (working drawing), 설계감리 (construction supervision) 로 나눌 수 있다 . 1) 기획설계 (Pre-Design) – 규모검토 , 법규검토 , 현장조사 , 설계지침서 , 공정표 , 사례조사

: 건축주와 계약을 결정하고 도시와 단지를 포함한 건축대지에 관한 각종 자료를 기초로 하여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가늠할 수 있도록 도면을 작성한다 . 일반적으로 지적도 , 도시계획도 , 측량도 등을 사용하지만 실제적인 건축대지의 현재 상황과는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현장조사를 하고 답사를 통한 주변 여건을 확인해야 한다 . 건축에 관한 정보와 문헌 자료를 수집 정리한다 . 2) 계획설계 (schematic design) – 법규검토 , 대지분석 , 계획방향 , MASS 계획 , 평면계획 , 입면계획 , 단면계획 ,

구조계획 , 동선 및 주차계획 , 조경계획

기획설계에서 결정된 개념들은 계획설계 단계에서 모두 도면화된다 . 동시에 계획설계의 단계에서 건축주의 요구사항과 장래의 변화에 대처방안과 시공도면의 작성에 필요한 중요사항을 결정한다 . 그러므로 계획설계 단계에서 작성되는 도면의 목적은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와 개념을 정립한다 . 건축주와 협의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 건축 , 구조 , 재료 , 설비 등 총체적인 디자인 방침을 분명히 결정한다 . 3) 기본설계 (drawing development) – 배치계획 , 평면계획 , 입면계획 , 단면계획 , 구조계획 , 토목계획 ,

기계설비 , 소방설비 , 전기설비 , 조경

기본설계는 계획설계를 더욱 발전시켜 심화하는 과정이다 . 계획설계에 의하여 결정된 디자인은 건축주와 건축가 모두의 협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이므로 계획설계의 전반적인 정보는 기본설계의 바탕이 된다 . 기본설계에 의한 도면들은 관련 행정 기관과 이해집단의 판단을 수렴한 것이다 . 주어진 계획도면으로부터 구조계획과 설비계획을 진행한다 . 기본설계에 의한 도면들은 구조부재들의 위치와 치수를 정확히 결정하고 표현한다 . 기본설계에서 평면도는 일반적으로 1:100 축척으로 작성된다 . 4) 실시설계 (working drawing) – 공사용 도서 작성 , 상세도면 작성 , 각 분야 도면 작성 , 시방서 작성

실시설계는 건축물을 정확히 건설하기 위하여 모든 건축요소를 결정하여 도면으로 작성하는 과정이다 . 그러므로 실시설계도면은 건축가의 계획과 함께 다양한 건축 관련 분야의 계획을 종합해야 한다 . 구조 , 설비 , 냉난방 , 배관 , 방화계획 등을 건축도면에서 반영하여 조정한다 . 실시도면은 계획 전체를 제시하는 도면과 각 부분의 상세도로 구분된다 . 계획을 제시하는 도면은 1:50 축척으로 작성되며 상세도는 1:50 축척에서 1:1 축척으로 작성된다 . 도면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과 필요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시방서 , 구조계산서 , 협력업체가 작성한 기타 관계 도서를 함께 작성한다 . 5) 사후설계관리 (construction supervision)

실시설계가 완성되면 승인신청을 받기 위해 도면을 관계 관청에 제출하는 한편 , 공사를 진행할 시공회사를 결정한다 . 일반적으로 건축주나 설계자의 추천하는 회사의 입찰을 통해 결정한다 . 공사계약에는 건축주 , 설계자 , 시공자가 함께 참여한다 . 실시설계를 담당한 설계자가 그 건물의 공사감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 일정 규모 이상 혹은 현장과 떨어져 있을 경우 별도의 감리회사에 위탁하기도 한다 . 설계감리는 실시 설계도를 바탕으로 시공도의 체크 , 공정관리 , 제품검사 , 마감이나 색채의 결정 , 적산서의 체크 , 공사 각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와 과정을 판단하여야 하므로 설계자의 경험과 역량이 필요하다 .

1. 건축사협회 건축설계 진행과정 2.건축물의 생애주기

**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을 보면

위 과정을 기획업무와 설계업무로 나누어 놓았습니다.

별표를 통해 업무의내용(작성도서)을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제6조(설계업무) ① 건축사는 건축법, 설계도서의작성기준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설계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② 제5조제1호가목의 “기획업무”란 건축물의 규모검토, 현장조사, 설계지침 등 건축설계 발주에 필요하여 발주자가 사전에 요구하는 설계업무로서 그 내용은 별표1과 같다.

③ 제5조제1호나목의 설계업무는 다음과 같다.

1. “건축설계”는 다음과 같이 계획설계·중간설계 및 실시설계의 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별 설계도서의 작성 내용은 별표2에 따른다.

가. “계획설계”라 함은 건축사가 제3조의 규정에 따라서 발주자로부터 제공된 자료와 제2항의 기획업무 내용을 참작하여 건축물의 규모, 예산, 기능, 질, 미관적 측면에서 설계목표를 정하고 가능한 해법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디자인 개념의 설정 및 연관분야(구조, 기계, 전기, 토목, 조경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기본시스템이 검토된 계획안을 발주자에게 제안하여 승인을 받는 단계를 말한다.

나. “중간설계(건축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기본설계도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라 함은 계획설계 내용을 구체화하여 발전된 안을 정하고, 실시설계 단계에서의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연관분야의 시스템 확정에 따른 각종 자재, 장비의 규모, 용량이 구체화된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발주자로부터 승인을 받는 단계를 말한다.

다. “실시설계”라 함은 중간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입찰, 계약 및 공사에 필요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단계로서, 공사의 범위, 양, 질, 치수, 위치, 재질, 질감, 색상 등을 결정하여 설계도서를 작성하며, 시공 중 조정에 대해서는 사후설계관리업무 단계에서 수행방법 등을 명시한다.

제10조(종별 구분과 도서작성 구분) ① 건축설계 및 건축공사감리 대가요율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건축물의 종별은 별표3과 같이 건축물의 난이도에 따라 구분한다.

② 건축설계 대가요율 별표4를 적용함에 있어 필요한 도서작성 구분은 소규모 건축물 등과 같이 인·허가와 관련된 최소한의 설계도서만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본으로 하며, 공종별 공사비 산정을 위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중급으로 하며, 중급에 비하여 세부적인 공사비 산정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도서 작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상급으로 분류하고 도서작성구분에 따른 세부적인 설계도서의 내용은 별표2와 같다.

1) 기획업무

업무의 내용 대가의 구분 Ⅰ Ⅱ Ⅲ 규 모

검토서

( 공간

계획 ) 법규검토 대지 및 건축물의 규모 , 용도 등을 개략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법규검토 ○ ○ ○ 개략배치도 건축물의 개략배치 ○ ○ ○ 대지종횡단면도 대지의 경사 및 건축물과 관계표시 ○ ○ ○ 개략 평면도 1 층 및 기준층 평면도 ○ ○ ○ 각층 평면도 ○ ○ 개략 단면도 층수 층고표시의 개략 단면 ○ ○ ○ 현장조 사 대지 및 주변현황 확 인 대지상태 , 주변건축물 ○ ○ ○ 대지 및 주변현황 분 석 교통 , 수목 , 시각분석 , 기후분석 ○ ○ 사용자 조사 면담 , 행태조사 , 회의 ○ ○ 기존 시설물 분석 설계도서 , 설비용량 ○ ○ 설계지침서 용역대상 및 범위 , 계약조건 ○ ○ 설계목표 , 제한 , 성능 , 요구 , 개념 ○ ○ 공간프로그램 , 운영프로그램 ○ 공사관련 예산서 작성 ○ 프로젝트공정표 심의 ․ 허가 등 설계공정 및 기타 공 정 ○ 기존유사건물조사비교 규모 , 층수 , 용도비교 ○ 마감재 , 시설비교 ○ 공사비 비교 ○

※대가의 구분 : Ⅰ- 3%, Ⅱ- 5%, Ⅲ- 8%

2) 별표2-건축설계에서의 도서작성

① 계획설계의 도서내용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건축 공사비 개산 서 재료 ․ 장비선정에 따른 개략 공사비 ○ 법규검토 제반법규검토 , 인허가절차 파악 ○ ○ ○ 설계구상안 ○ ○ ○ 건축계획서 설계개요 ○ ○ ○ 배치계획 ○ ○ 평면계획 ○ ○ 입면계획 ○ ○ 단면계획 ○ ○ 외장재료 비교 분석 ○ 모형 Sketch 또는 Study Model ○ ○ 건축 도면 배치도 ○ ○ ○ 대지 종 ․ 횡단면도 ○ ○ ○ 각층 평면도 ○ ○ ○ 입면도 (2 면 이상 ) ○ ○ ○ 단면도 ( 종 ․ 횡단면도 ) ○ ○ ○ 심의 도서 심의대상인 경우 ○ 구조 구조계획서 구조계획개요 ○ ○ 기본 구조적용 시스템 및 대안 , 경제적 타당성 검토 ○ 심의 도서 구조심의 대상인 경우 ○ 기계 기계설비

계획서 건축주 요구사항의 수용여부와 설계방침의 확정 ○ ○ 기계설비 계획개요 ○ ○ 각종 개통도 및 zoning 계획 ○ 적용 시스템 비교 검토 ○ 개략 공사비 추정 ○ 심의 도서 심의 대상인 경우 ○ 전기 전기설비

계획서 해당 법규 검토 ○ ○ 설계방향 설정 , 전기설비계획개요 ○ ○ 추정 부하 산정 ○ 개략 예산 검토 ○ 심의 도서 심의 대상인 경우 ○ 토목 토목계획서 개략 흙막이 계획서 ○ 흙막이 계획도 ○ 우 ․ 오수처리계획서와 상수계획서 ○ 예상공사비 계산서 ○ 조경 조경계획서 녹지 및 공개공지 계획도 ○ 식재 계획도 ○ ○ 시설물 계획 및 포장계획도 ○ 심의 도서 심의 대상인 경우 ○ ○ 방재 심의 도서 법규체크리스트 및 소방개략계획서 ○

② 중간설계의 도서내용

가. 건 축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사항 개략 시방서 공사용 시방서 ( 초안 ) ○ 공사비 개산서 기본설계 적용기준에 따라 개략공사비를 산정 , 작성 ○ 건축 계획서 공사개요 ( 위치 , 대지면적등 ) ○ ○ ○ 건축물규모 ( 건축면적 , 연면적 , 높이 , 층수등 ) ○ ○ ○ 건축물 용도별 면적 , 주차장규모 ○ ○ ○ 배치계획 ○ 주차 및 동선계획 ○ 평 ‧ 입 ‧ 단면 계획 ○ 법규

검토서 관련사항에 따른 법규검토 ○ ○ ○ 도면 도면

목록표 공종 구분해서 분류 작성 ○ ○ 안내도 방위 , 도로 , 대지주변 지물의 정보 수록 ○ ○ 구적도 대지면적에 대한 기술 ○ ○ 실내재료

마감표 바닥 , 벽 , 천정 등 실내마감 ○ ○ 배치도 축척 및 방위 , 건축선 , 대지경계선 및 대지가 정하는 도로의 위치와 폭 , 건축선 및 대지경계선으로부터 건축물까지의 거리 , 신청건물과 기존건물과의 관계 , 대지의 고저차 , 부대시설물과의 관계 ○ ○ ○ 주차

계획도 법정 주차대수와 주차 확보대수의 대비표 , 주차배치도 및 차량 동선도 차량진출입 관련위치 및 구조 ○ ○ ○ 옥외 및 지하 주차장 도면 ○ ○ ○ 각층 및

지붕

평면도 기둥 ‧ 벽 ‧ 창문 등의 위치 및 복도 , 계단 , 승강기 위치 ○ ○ ○ 방화 구획 및 방화벽의 위치 ○ ○ ○ 입면도

(2 면 이상 ) 주요내외벽 , 중심선 또는 마감선 칫수 , 외부마감재료 ○ ○ ○ 단면도

( 종 ․ 횡 ) 건축물 최고높이 , 각층의 높이 , 반자높이 ○ ○ ○ 천정내 배관 공간 , 계단등의 관계를 표현 ○ ○ ○ 투시도 투시도 또는 조감도 ○ ○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상세

수직

동선 상세도 코아 상세도 코아 내의 각종 설비관련 시설물의 위치 ○ 계단평면 ․ 단면

상세도 ○ ○ 주차경사로

평 ․ 단면상세도 ○ 주차리프트

평 ․ 단면상세도 ○ 부분

상세도 지상층 외벽 평

․ 입 ․ 단면도 ○ ○ 지하층 부분 단 면

상세도 ○ ○ 천정도 천정 평면도 ○ 창호도 창호 평면도 ○ 창호 잡철물 각 창호에 적용되는 철물 ○ 기타 정화조 정화조 평면 ․ 단면도 ○ ○ ○ 용량 계산서 ○ ○ ○ 특수

분야

계획

검토 차음 ․ 방음 , 방진 ○ 무대 ․ 조명 ○ 전시 ․ 미술장식품 ○ 분수 ○ 주방 ○ 음향 ○

나. 구 조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개략 시방서 구조 일반 시방 및 특기시방서 ( 초안 ) 작성 ○ 구조 계산서 ○ ○ 설계 설명서 ○ ○ 도면 기초 일람표 ○ ○ ○ 구조 평면도 기초에서 옥탑까지 작성 ○ ○ ○ 가구도 골조의 단면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으로 골조의 상호 연관관계를 표현 ○ 앵커배치도 및

BASE PLATE

설치도 ○ 기둥 일람표 ○ ○ ○ 보 일람표 ○ ○ ○ 슬래브 일람표 ○ ○ ○ 옹벽 일람표 ○ ○ 계단배근 일람표 ○ ○ 잡배근 일람표 ○ 주심도 ○ ○

다. 기 계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사항 개략 시방서 기계일반시방 및 특기시방서 ( 초안 ) 작성 ○ 개략 공사비

계산서 각 공종별 단위면적당 공사비개념으로 개략 산정 ○ 설계 설명서 계획설계시의 내용을 발전 확정 ○ ○ 개략부하 계산서 설계기준에 따라 단위면적당 부하를 기준 ○ 각종 장비 선정서 부하 분석에 따른 적정 장비 선정 ○ 에너지 심의서류 에너지 절약계획서 및 기타 서류 ○ 소방시설 계획서 건물종별 , 규모별 , 층별 소방시설 계획에 관한 종합적 서류 ○ ○ ○ 도면 도면 목록표 ○ ○ 소방 설비도 해당 소방관련 설비 ○ ○ ○ 장비 일람표 규격 , 수량을 상세히 기록 ○ 장비 배치도 기계실 , 공조실등의 장비배치방안 계획 ○ ○ 계통도 공조배관설비 계통도 ○ ○ DUCT 설비 계통도 ○ ○ 위생설비 계통도 ○ ○ 소화 설비 계통도 ○ ○ ○ 기준층 및 주요층

기구 평면도 공조배관설비 평면도 ○ DUCT 설비 평면도 ○ 위생 , 설비 평면도 ○ 소화 설비 평면도 ○ ○ ○ 저수조 및 고가수 조 저수조 및 고가수조의 설치기준을 표시 ○ ○ 설비용 핏트 평면 상세도 설비용 핏트 상세 및 배치계획도면 ○ 도시가스 인입 확인 도시가스 인입지역에 한해서 조사 , 확인 ○ ○ ○ 기구 상세도 기구의 선정 ○ ○

라. 전 기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개략 시방서 전기 일반 시방 및 특기시방서 ( 초안 ) 작성 ○ 공사비 계산서 공종별 단위 면적당 개략 공사비 ○ 설계 설명서 계획설계시의 내용을 발전 확장 ○ ○ 각종 부하계산서 용도별 조도 , 부하계산서 작성 ○ 소방시설 계획표 각종 설치시설에 대한 계획표 ○ ○ ○ 도면 도면 목록표 ○ ○ 배치도 옥외조명 설비 평면도 ○ 계통도 전력 계통도 ○ ○ 조명 계통도 ○ 통신 계통도 ○ 소방 계통도 ○ ○ ○ 평면도 조명 평면도 ○ 소방 평면도 ○ ○ ○ 상세도 조명기구의 선정 ○ ○

마. 토 목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사항 개략 시방서 토목 일반시방 및 특기시방서 ( 초안 ) 작성 ○ 개략 공사비 계산 서 기본설계 도서에 따라 개략공사비 산정 ○ 설계 설명서 ○ ○ 도면 도면 목록표 ○ ○ 각종 평면도 주요시설물 계획 ○ ○ 대지 종 ․ 횡 단면 도 ○ ○ ○ 토공사 계획도 ○ 포장계획 평 ․ 단면 도 ○ ○ 보도블럭 평면도 ○ 담장 계획도 ○ 우 ․ 오수배수처리 평 ․ 종단면 도 ○ ○ 상하수 계통도 우 ․ 오수배수처리 구조물 위치 및 상세도 공공하수도와의 연결방법 ,

상수도 인입계획 , 정화조의 위치 ○ ○ ○

바. 조경공사

종 류 내 용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개략 시방서 일반 시방 및 특기시방서 ( 초안 ) 작성 ○ 개략 공사비 계산서 기본설계 도서에 따라 개략공사비 산정 ○ 설계 설명서 ○ ○ 도면 도면 목록표 ○ ○ 조경 배치도 법정 면적과 계획면적의 대비 , 조경계획 및 식재 상세도 ○ ○ ○ 식재 평면도 ○ ○ 단면도 ○ ○

③ 실시설계의 도서내용

가. 건 축

종 류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공사 시방서 ○ ○ ○ 설개 개요 ○ ○ ○ 각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 ○ ○ 각종 계산서 ○ ○ ○ 심의에서 각종 인허가 관련자료 ○ ○ ○ 일반

도면 표지 ○ ○ ○ 도면 목록표 ○ ○ ○ 안내도 ○ ○ ○ 구적도 ○ ○ ○ 지적도 ○ ○ ○ 면적 산출표 ○ ○ ○ 대지 종 ․ 횡단면도 ○ ○ ○ 배치도 1/100 이상 ○ ○ ○ 주차 계획도 1/100 이상 ○ ○ 평면도 1/100 이상 ○ ○ ○ 입면도 (2 면 이상 ) 1/100 이상 ○ ○ ○ 단면도 ( 종 ․ 횡단면도 등 ) 1/100 이상 ○ ○ ○ 실내벽 및 반자의 마감도 1/100 이상 ○ ○ ○ 상세

도면 수직 동선 관련 상세도 코아 평면상세도 1/5 ~ 1/50 ○ ○ 계단 평 ․ 단면상세도 1/5 ~ 1/50 ○ ○ ○ 승강기 . 샤프트 평 ․ 단면상세도 1/5 ~ 1/50 ○ ○ 주차 경사로 평 ․ 단면상세도 1/5 ~ 1/50 ○ ○ 주차 리프트 평 ․ 단면상세도 1/5 ~ 1/50 ○ ○

종 류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상세

도면 부분 상세도 주요부분 상세도 1/5 ~ 1/50 ○ ○ ○ 주출입구부분 평 , 입 , 단면상세도 1/5 ~ 1/50 ○ 부출입구부분 평 , 입 , 단면상세도 1/5 ~ 1/50 ○ 샷다 상세도 1/5 ~ 1/50 ○ 핏트 상세도 1/5 ~ 1/50 ○ 발코니 상세도 1/5 ~ 1/50 ○ ○ 출입구 상세도 1/5 ~ 1/50 ○ ○ 지상층 외벽 입면 ․ 단면 상세도 1/5 ~ 1/100 ○ ○ 지하층 단면 상세도 1/5 ~ 1/100 ○ 주요부분 내벽 상세도 1/5 ~ 1/100 ○ 창호도 창호 일람표 1/5 ~ 1/50 ○ ○ 창호 평면도 1/5 ~ 1/50 ○ ○ 창호 상세도 1/5 ~ 1/50 ○ 창호 입면도 1/5 ~ 1/50 ○ 창호 잡철물 목록 1/5 ~ 1/50 ○ 천정도 각층 천정 평면도 1/5 ~ 1/50 ○ 천정 상세도 1/5 ~ 1/50 ○ 부분 상세도 1/5 ~ 1/50 ○ 천장 관련 설치 상세도 1/5 ~ 1/50 ○ 내부 상세도 로비바닥 패턴도 1/5 ~ 1/50 ○ 로비 전개도 1/5 ~ 1/50 ○ 주요실 전개도 1/5 ~ 1/50 ○ 승강기 HALL 전개 상세도 1/5 ~ 1/50 ○ 화장실 전개 상세도 1/5 ~ 1/50 ○ 칸막이 전개도 및 상세도 1/5 ~ 1/100 ○ 실내부위 실내마감 상세도 1/5 ~ 1/50 ○ 부품도 각 부품도 1/2 ~ 1/50 ○ 기타 정화조 건축용 평 ․ 단면도 1/5 ~ 1/10 0 ○ ○ 각종 설비도 ○ 계산서 ○ 특수분야

도면 소음 ․ 방진 , 무대 ․ 조명 , 주방 , 음향 , 전시 , 미술장식품 등 별도대가업무

나. 구 조

종 류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구조계산서 ( 법령에 의거 작성을 요하는 건축물 ) ○ ○ ○ 시방서 ○ ○ ○ 설계 설명서 ○ ○ 도면 도면 목록표 ○ ○ ○ 구조 평면도 1/30 ~ 1/200 ○ ○ ○ 구조 단면도 1/30 ~ 1/200 ○ ○ ○ 기초일람표 1/30 ~ 1/100 ○ ○ ○ 앵커배치도 및 BASE PLATE 설치도 1/30 ~ 1/100 ○ ○ 기둥 일람표 1/30 ~ 1/100 ○ ○ ○ 보 일람표 1/30 ~ 1/100 ○ ○ ○ 슬래브 일람표 1/30 ~ 1/100 ○ ○ ○ 옹벽 일람표 1/30 ~ 1/100 ○ ○ ○ 계단배근 일람표 1/30 ~ 1/100 ○ ○ ○ 잡배근 일람표 1/30 ~ 1/100 ○ ○ ○ 주심도 1/30 ~ 1/200 ○ ○ ○ 상세 도 계단 및 코아 상세도 계단 상세도 1/30 ~ 1/50 ○ ○ ○ 경사로 상세도 1/30 ~ 1/50 ○ ○ ○ 코아 상세도 1/30 ~ 1/50 ○ ○ ○ 접합 상세도 기둥접합 상세도 1/5 ~ 1/50 ○ ○ ○ 보접합 상세도 1/5 ~ 1/50 ○ ○ ○ BRACE 접합 상세도 1/5 ~ 1/50 ○ ○ ○ DECK PLATE 설치도 1/5 ~ 1/50 ○ ○ ○ STUD BOLT 설치도 1/5 ~ 1/50 ○ ○ ○ ANCHOR BOLT 상세도 1/5 ~ 1/50 ○ ○ ○ 잡 상세도 1/5 ~ 1/50 ○ 가구도 1/5 ~ 1/50 ○ 각부구조 상세도 1/5 ~ 1/50 ○ 기타 상세도 보 OPENING 위치도 1/5 ~ 1/50 ○ 캐노피 1/5 ~ 1/50 ○ 파라펫 1/5 ~ 1/50 ○ TRUSS 1/5 ~ 1/50 ○

다. 기 계

종 류 내 용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시방서 당해 공사에 요구되는 일반 및

특기사항을 상세히 기술 ○ ○ ○ 공사비 내역서 시방 및 도면에 따라 세부공사비를 산정하여 작성 ○ ○ 부하 계산서 설계기준에 따라 세부 부하 계산 ○ ○ ○ 설계 설명서 설계과정에서 확정된 내용 정리 ○ ○ 도면 도면 목록표 도면목차 , 번호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기 ○ ○ ○ 장비 일람표 주요장비의 사항을 알아보기쉽도록 표기 ○ ○ 옥외배관 평면도 옥외에서의 급배수 , 도시가스 , 유틸리 등의 인입 , 인출과 관경 및 위치등을 표시 1/100 이상 ○ ○ ○ 각 설비 계통도 각 설비별 계통 표시 ○ ○ ○ 각 설비 평면도 공조 , 환기 , 위생 , 소화설비등에 대한 내용등을 표시 1/100 이상 ○ ○ ○ 기계실 및

공조실 확대평면도 각 설비별 기계실 배관에 대한 확대평면도 1/5 ~ 1/50 ○ 화장실확대평면

상세도 화장실 배관등에 대한 확대평면 1/5 ~ 1/50 ○ 저수조 , 고가수조 배치

및 상세도 설치기준을 표시 , 평 ․ 단면도 1/5 ~ 1/50 ○ 설비용핏트

상세도 설치 및 유지보수등을 위한 적절한 공간 검토 확인 1/5 ~ 1/50 ○ 연도 상세도 보일러 및 발전기등의 연도상세 1/5 ~ 1/50 ○ 각종 장비

상세도 1/5 ~ 1/50 ○ 자동제어도면

( 별도 ) 구성도 ○ 장비 , 밸브 , 관제점 , 패널 일람표 ○ 계통도 및 평면도 ○

라. 전 기

종 류 내 용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시방서 당해 공사에 요구되는 일반 및 특기사항을 상세히 기술 ○ ○ ○ 공사비 내역서 물량산출 및 내역서 ○ ○ 각종 부하

계산서 변압기용량 , 부하 , 조도 , 발전기 용량 ○ ○ ○ 설계 설명서 ○ ○ 도면 목록표 도면 목차 , 번호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기 ○ ○ ○ 장비 일람표 주요장비의 사양을 표기 ○ ○ 도면 도면 목록표 도면목차 , 번호 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기 ○ ○ ○ 인입 배치도 전력 배치도 1/100 이상 ○ ○ ○ 통신 배치도 1/100 이상 ○ ○ ○ 소방 배치도 1/100 이상 ○ ○ ○ 계통도 전력간선 계통도 ○ ○ 통신 계통도 ○ 소방계통도 ○ ○ 평면도 전기실 장비설치 평면도 1/100 이상 ○ ○ 기계실 장비설치 평면도 1/100 이상 ○ ○ 전력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 조명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통신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 방범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소방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 방송 설비 평면도 1/100 이상 ○ ○ 상세도 조명기구 상세도 1/5 이상 ○ 설비용 핏트 상세도 1/5 이상 ○ 피뢰침 상세도 1/5 이상 ○ 접지 설비 상세도 1/5 이상 ○ TV 안테나 설치 상세도 1/5 이상 ○

마. 토 목

종 류 내 용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

사항 공사 시방서 당해 공사에 요구되는 일반 및 특기사항을 상세히 기술 ○ ○ ○ 공사비 내역서 시방 및 도면에 따라 세부 공사비를 산정하여 작성 ○ ○ 설계 설명서 ○ 도면 주요 평면도 필요축적 ○ ○ ○ 대지종 ․ 횡 단면도 필요축적 ○ ○ ○ 토공사 평 ․ 단면도 1/5 ~ 1/100 ○ ○ 흙막이 상세도 굴토깊이 10M 미만 1/5 ~ 1/50 ○ ○ ○ 포장 상세도 1/5 ~ 1/50 ○ 보도블럭 및 측구 상세도 1/5 ~ 1/100 ○ 옹벽 평 ․ 단면 전개도 1/5 ~ 1/100 ○ ○ ○ 옹벽 상세도 1/5 ~ 1/100 ○ ○ ○ 담장 입 ․ 단면도 1/5 ~ 1/100 ○ 담장 상세도 1/5 ~ 1/100 ○ 방음벽 상세도 1/5 ~ 1/100 ○ 지하매설 구조물 현황 ○ ○ ○ 우 ․ 오수 배수 상세도 우 ․ 오수배수 처리 노선 상세도 ( 평면도 , 종 ․ 횡단면도 ) 및 구조물 상세도 1/5 ~ 1/100 ○

바. 조 경

종 류 내 용 축 적 도서작성의 구분 기본 중급 상급 일반사항 공사 시방서 당해 공사에 요구되는 일반 및 특기사항을 상세히 기술 ○ ○ ○ 공사비 내역서 물량산출 및 내역서 ○ ○ 설계 설명서 ○ ○ 도면 도면 목록표 도면 목차 , 번호등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기 ○ ○ ○ 배치도 공사계획 및 시설물배치도 1/100 이상 ○ ○ ○ 평면도 배식 평면도 및 수량 집계 1/100 이상 ○ ○ 포장계획 평면도 1/100 이상 ○ ○ 시설물 평면도 1/100 이상 ○ ○ 입면도 식재 입면도 및 플랜터 전개도 1/100 이상 ○ ○ 상세도 포장 평 ․ 입 ․ 단면 상세도 1/10 이상 ○ 지주목 상세도 1/10 이 상 ○ 식재 및 수목보호용 덮개상세도 1/10 이 상 ○ 조명등 상세도 1/10 이 상 ○ 플랜터 상세도 1/10 이 상 ○ 시설물 상세도 1/10 이 상 ○

**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을 통해서 설계프로세스를 나누어보았습니다.

조사중에 업무의내용(작성도서)까지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서 과제보다 조금 더 알아보았습니다.

업무시에는 구분없이 쭈욱 진행하기에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잘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설기술인협회 최초 교육] 건설기술인 통합기본 교육 (과제)

건설기술인 통합기본 교육의 과제를 이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제를 다음 중에 선택하여야 한다.

1. 공사기간 산정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준비기간, 비작업일수, 작업일수, 정리기간에 대해 기술하시오.

2.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 정의하고 있는 설계변경 사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품질시험계획서 수립 대상공사, 수립 및 승인 기준, 구성내용에 대해 기술하시오.

4.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건설기술진흥법의 안전관리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5. 건설현장에서 관리해야 하는 소음, 진동, 폐기물 등 환경관리 대상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와 관련한 인허가와 관리기준에 대해 기술하시오.

얼핏 보면 만만한 과제가 없다. 하지만 다행인건 이중에서 한가지만 골라서 하면된다는 것이다.

여긴엔 [작성시 유의사항]도 존재한다.

먼저 글자크기는 10~11기준으로 A4용지 1장 이상으로 작성해야한다는거다.

그리고 과제 표절률 통계분석을 통해 모사 또는 동일 리포트 발견시 0점 처리된다고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과제채점을 제출일로부터 평균 7일이 소요된다…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건설기술인협회교육, 건설기술교육원] 통합기본교육과제, 건설기술인 최초교육 과제

건설기술인 최초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건설기술인 통합기본교육 과제는 아래와 같다.

1. 공사기간 산정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준비기간, 비작업일수, 작업일수, 정리기간에 대해 기술하시오.

2.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 정의하고 있는 설계변경 사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3. 건설기술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품질시험계획서 수립 대상공사, 수립 및 승인기준, 구성내용에 대해 기술하시오.

4.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와 건설기술진흥법의 안전관리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5. 건설현장에서 관리해야 하는 소음, 진동, 폐기물 등 환경관리 대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와 관련된 인허가 관리기준에 대해 기술하시오.

과제 작성시 유의사항으로는,

-글자크기 10-11기준, A4용지 1장 이상으로 작성할 것

-제출 후에는 수정 불가능

-과제 표절률 통계분석을 통해 모사 또는 동일 리포트 발견 시 0점 처리

-반드시 [제출] 버튼을 클릭할 것

…등이 있다.

이 중 나는 1번과 2번 과제에 대하여 노트를 작성 할 예쩡~

키워드에 대한 정보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다음은 Bing에서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 지역_강릉
  • 건설인
  • 문제
  • 엉터리
  • 필수교육
  • kbs뉴스
  • kbs 뉴스
  • kbs news
  • kbs
  • 뉴스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 #2021.12.15.


YouTube에서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제에 답이 있다!?”…건설기술인 필수 교육 ‘엉터리’ / KBS 2021.12.15. | 건설 기술 교육원 과제 hwp,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