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대응 사례 |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27715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기후 변화 대응 사례 –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337회 및 좋아요 5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6가지 기술
1.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발생을 예방하는 기술
2.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배출을 저감하는 기술
3.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 온실가스화를 방지하고 관리하는 기술
4. 모니터링 및 변화예측 기술
5. 기후변화 영향 대응하는 기술
6. 기후변화 피해 저감하는 기술
온실가스를 줄여 청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50탄소중립 #기후변화 #기술개발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 – 국민권익위원회

기후변화 이슈를 기회로 활용한 기업. 기후변화 위기가 대두된 이후 초국가적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파리 기후협정, 교토의정서 등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시스템과 …

+ 여기를 클릭

Source: acrc.go.kr

Date Published: 2/17/2022

View: 8627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체계와 적용사례 연구* –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구 제11권 제4호 2010. 12, 논문 pp. 111~130. 111.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체계와 적용사례 연구*. – 런던과 사우스이스트 지역을 중심으로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si.re.kr

Date Published: 12/8/2021

View: 1179

기후변화대응 – 한국남부발전

온실가스는 무엇인가요? · 온실가스. 이산화탄소(CO2) : 석탄/석유연료 연소; 메탄(CH4) : 가축사육, 습지, 논, 쓰레기 더미; 수소불화탄소(HFCs) : 에어컨냉매, 스프레이 …

+ 더 읽기

Source: www.kospo.co.kr

Date Published: 9/18/2022

View: 5641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 – 동아사이언스

기후변화를 막으려면 산업계가 먼저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하는 이유다. … 상승을 억제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쿨한’ 기업 사례를 직접 찾아봤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dongascience.com

Date Published: 4/22/2022

View: 4663

해외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대응사례집

계획(2003~2006)에도 에너지 및 수송 분야에 총 21억2,000만 유로를 투자하기로 예. 산을 책정했다. 1. 유럽사례. 1) 강원발전연구원, 「기후변화 대응 강원도 온실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kr

Date Published: 8/18/2021

View: 9341

기후변화 대응 – 한국중부발전

기후변화 대응체계 추진성과 · 국내 미활용 목재연료 및 하수슬러지 혼소를 통한 석탄연소 대체로 온실 가스 저감(보령 3~8호기) · 수상태양광발전 운영을 통한 온실가스 …

+ 더 읽기

Source: www.komipo.co.kr

Date Published: 7/9/2021

View: 1372

“바람이 불면 풍차를 짓자” 기후변화를 껴안아라 | 경영전략 | DBR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은 각국의 기업 경영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 이러한 사례는 ‘나일론’으로 유명한 글로벌 석유화학사 듀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dbr.donga.com

Date Published: 10/18/2021

View: 3857

정보마당 – 기후변화홍보포털

제목, 도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및 법제연구 : 중국의 시범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등록일, 2020-01-31, 조회, 1642. 출처, 한국법제연구원, 작성자, 홍보포털.

+ 더 읽기

Source: www.gihoo.or.kr

Date Published: 10/2/2021

View: 2623

2008 경기도 타 지역 기후변화 대응사례

GIS와 연계한 데이터 시민공개 및 기후변화대응, 도시관리정책 수립 등에 활용. 온실가스배출 저감 기반구축 학술용역 저감사업 로드맵 마련.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emory.library.kr

Date Published: 3/11/2021

View: 531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기후 변화 대응 사례

  • Autho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Views: 조회수 4,337회
  • Likes: 좋아요 55개
  • Date Published: 2021. 3. 1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PHdSZM6JDg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

사례돋보기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이 인지하고 있는 불안 요소 중 1위는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이었다. 북핵 등 북한의 위협은 7위에 그쳤다. 중국과 호주 공동연구팀은 동아시아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진 원인을 기후변화에서 찾았다. 미국 연방기관들도 기후변화에 대한 합동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뚜렷한 진전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번 세기말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은 섭씨 5도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미국 내 경제적 손실은 매년 수천 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이며 무더위로 인한 미남동부 지역의 노동시간 손실이 2100년까지 연간 5억 시간이 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이처럼 현실로 다가온 기후변화의 위협은 기업의 협조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 기후변화의 원인인 온실가스가 경영활동에서 상당 부분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업을 향해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기후변화 이슈를 기회로 활용한 기업

기후변화 위기가 대두된 이후 초국가적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파리 기후협정, 교토의정서 등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시스템과 규약을 만들어 보려는 여러 국가들의 노력과 더불어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와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기업들은 대내외적인 이미지 제고는 물론 원가 절감에 성공하기도 했다.

포스코,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에너지 절감 철강, 조선, 자동차 등의중공업은 굴뚝산업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거대한 굴뚝들이 연기를 내뿜는 공장단지를 운영하기 때문이다. 굴뚝산업에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이유는 금속 등을 가공하는 공정에 투입되는 화석 연료가 산화되면서 이산화탄소를 대거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석탄은 여전히 철강 산업의 주요 원자재다. 그만한 경제성을 가진 에너지원이 없기 때문이다.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으로 탄소배출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관련 기업으로서는, 석탄 사용량의 절감이 경제적으로도, 대외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도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철강 기업 포스코는 이미 90년대 말부터 다양한 혁신과 연구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 2016년에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로부터 전 세계 14개 철강사 중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서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며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하는 폐열 활용 기술개발, 기존 용광로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쇳물 제조원가도 낮은 자체 첨단 기술 상용화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더불어 조업에 필요한 에너지의 대부분을 공정에서 발생한 부생가스로 충당하며 남는 부생가스는 자가발전에 활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한전에서 공급받는 전력량을 대폭 낮춤으로써 포스코의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이렇듯 중공업 등 에너지 집약 산업에 기후변화 대책은 경영전략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기업의 기후변화대응은 범지구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감축을 강제하는 제도와 정책도 그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기업은 비용 상승은 물론, 경쟁력 약화 리스크를 떠안아야 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포스코의 온실가스 저감 대책 및 투자는 원가 절감과 리스크 해소 차원에서도 선제적인 대응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케아, 일관된 가치관 추진으로 에너지 절감 백열전구는 가장 널리 쓰이던 가정용 전기 조명이다. 이러한 백열전구의 치명적인 단점은 낮은 에너지 효율성이다. 무려 95%의 전력이 열로 방출되어 버려지기 때문이다. 이후 등장한 형광등도 에너지 낭비를 크게 줄여주지는 못했다. 그러나 최근 개발된 LED 조명의 전력 사용량은 일반 백열등의 10%, 형광등의 30% 수준에 불과하다. 수명 또한 백열등의 수십 배인 약 4만 시간에 이른다. LED 조명 사용으로 엄청난 전력을 아낄 수 있게 된 것이다. 스웨덴 가구업체 이케아는 지난해 9월, 매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조명을 LED 조명으로 전환했다. ‘많은 사람을 위해 더 나은 일상을 창조하라’는 기업 모토를 에너지 절감을 통한 환경보존으로 실천한 것이다. 이케아는 2020년까지 5억 개의 LED 전구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만일 5억 개의 LED 조명이 현재의 백열전구를 대체한다면, 파리와 런던에 거주하는 모든 가정의 연간 전력 사용량만큼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전구 수명 기간 동안 절약되는 탄소 배출 절감 효과는 무려 8000만 톤에 이른다.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 이케아의 성공비결은 가치관에 기반을 둔 경영이다. 심플한 디자인, 저렴한 가격, 우수한 품질로 대표되는 이케아의 핵심 전략도 ‘더 나은 일상을 보다 많은 사람에게 제공한다’는 기업가치의 실현에서 나왔다. LED 조명 도입 또한 마찬가지다. 이케아의 꾸준한 성장을 견인하는 힘은 지속가능경영과 환경보존 정책에서 나오는 것이다.

기후변화 이슈로 위기에 빠진 기업

한편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책임을 지라며 피소를 당하는 기업들도 나오고 있다.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기업을 상대로 금전적인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송은 기업의 이미지 실추는 물론 패소할 경우 금전적 손실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미국 5대 정유기업, 뉴욕시로부터 피소 2018년 1월, 미국 최대 도시 뉴욕은 셰브론, 코노코필립스, 엑손모빌, 로열더치셸, 브리티시페트롤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더불어 정유업계에 투자한 50억 달러도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이 환경을 오염시켜 기후변화 문제를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미국 제 1도시인 뉴욕이 제기한 이번 소송은 그 상징성과 무게감이 남다르다. 지난 10월, 뉴욕 사법당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비용을 왜곡한 혐의로 세계 최대 석유기업 엑손모빌을 고소하기도 했다. 뉴욕주 검찰총장은 기후변화에 대한 재정적 위험성과 탄소비용 산출 등에 대해 투자자들을 속였다며 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검찰 측은 향후 엑손모빌이 기후변화 관련 비용을 왜곡하지 않을 것과 진실을 알릴 것을 요구하고 손해배상 및 배상금도 청구했다. 환경운동가들 역시 엑손모빌이 에너지 회사인 만큼 더 깨끗해야 한다며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야 할 이 시점에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위와 같은 뉴욕시의 결정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온난화가 재난 수준의 캘리포니아 산불과, 북극의 제트기류 약화로 인한 기록적인 한파를 불러오면서 환경단체와 시민들이 뉴욕시에 친환경 도시로 거듭날 것을 끈질기게 요구해 온 결과다. 한편 파리 기후협정에서 탈퇴한 트럼프 대통령은 조건이 조율된다면 다시 협정에 복귀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이 필요한 지금, 미국이 어떤 결정을 할지 주목된다.

독일 대기업, 페루의 농민으로 부터 피소 온난화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다. 특정 도시나 개별 국가의 노력으로는 막을 수 없다. 피해 또한 초국가적으로 발생한다. 모 국가의 중공업 단지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지구 반대편 국가의 이상 기온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가들 사이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유의미한 책임 공방은 없었다.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글로벌 대기업이 많은 부국이, 이에 대한 피해는 빈국이 받고 있다는 불편한 사실도 그러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런데 2017년 의미 있는 선례가 생겼다. 페루 안데스 고산마을에 사는 농민이 1만 킬로미터 떨어진 독일의 에너지 기업에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낸 것이다. 독일의 법원은 이 주장이 타당하다며 조사에 착수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페루의 농민 사울 루치아노 릴루야는 독일의 에너지 대기업 RWE를 상대로 “당신네 회사가 뿜어낸 온실가스로 빙하가 녹아 우리 동네가 침수될 위기에 처했다”며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쓴 6천 4백 유로(약 830만 원)와 앞으로 들어갈 비용 1만 7천 유로(약 2200만 원)를 청구했다. 법원의 문턱을 넘은 소송은 본격적인 증거 조사에 들어갔다. 여러 조사를 거쳐야 하지만, 이 소송은 피해자의 주장을 법원이 받아들였다는 것 자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부자 나라가 일으킨 기후변화 피해를 가난한 나라가 감당해야 하는 기후 불평등 문제를 공론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먼 미래의 일이 아닌 당장의 재난

/WEB-INF/jsp/k2web/com/cop/site/layout.jsp

kospo_JW_MS_K2WT001_S

컨텐츠 빌더

기후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지구의 온실가스는 1750년 이후 크게 증가 하였으며 이는 80만년간 전례가 없는 수준

1750 ~ 2011년 간 약 2,040억톤의 이산화탄소가 인위적으로 배출

“기후변화는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때문”

온실가스는 무엇인가요?

온실가스 이산화탄소(CO2) : 석탄/석유연료 연소 메탄(CH4) : 가축사육, 습지, 논, 쓰레기 더미 수소불화탄소(HFCs) : 에어컨냉매, 스프레이 과불화탄소(PFCs) : 반도체 세정제 육불화황(SF6) : 전기제품, 변압기 절연체 아산화질소(N2O) : 석탄, 폐기물 소각, 질소비료

온실효과란? 온실가스는 대기중에서

태양 복사에너지 통과시키고

지구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는

가로막아 일부를 다시 지표로 보내

대류권과 지표면의 온도를 높이는데

이를 온실효과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요?

2030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NDC)

발전 석탄발전축소 신재생에너지확대

산업 에너지효율향상 연료및원료전환

건물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에너지이용확대

수송 전기차 보급 확대 교통수요관리 강화

온실가스 감축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방법이 있나요?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 도입”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업체들에게 매년 배출허용량을 부여하고,

업체별로 남거나 부족한 배출량의 거래를 허용한 유연한 제도

배출권거래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대상업체 (약 700여개)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25,000톤 이상인 업체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25,000톤 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작용원리 배출량 증가 시 배출허용총량을 넘기지 않기 위해 감축압력으로 작용 감축압력

증가 배출권가격

상승 온실가스

감축투자 유인 온실가스

감축 잉여배출권

발생 및 매도 투자비 보전

및 수익 발생

기대효과 온실가스 감축비용의 최소화 저탄소기술 개발 촉진 저탄소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배출권거래제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요?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별 운영 1기 ’15~’17년 무상할당 100% 인프라 구축

거래제 안착

2기 ’18~’20년 무상할당 97% 거래제 범위확대

3%유상할당

3기 ’21~’25년 무상할당 90% 시장참여자확대

10%유상할당

기후변화 대응 < ESG경영 < 한국중부발전(주)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 2030년까지 2017년 배출량 대비 48% 감축목표 한국 중부발전은 2012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달성하기 위해 기후변화 중장기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신기후체제 출범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따라 2030년까지 2017년 배출량 대비 48% 감축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중장기 대응전략

크게보기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2017년 배출량(4,058만톤)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2,104만톤 감축 탄소경영체제 구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배출권거래제 대응 조직 체계 구축 국내외 탄소배출권 확보 배출량 인증 시스템 고도화 기후변화 대응 교육 시행

온실가스 감축 청정 연료전환 추진 신재생 에너지 확보 노후설비 성능개선 추진 바이오매스 혼소 확대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기후신기술 확보 신재생에너지 국산화 CCS를 기반한 블루수소 생산 구축 석탄 발전소 암모니아 혼소 기술개발 수소 가스터빈 연소 기술개발

기후변화 대응체계 추진성과

한국중부발전은 기후변화 중장기 대응전략 추진에 따른 주요 실적으로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시스템 구축, 노후 발전설비 성능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생활폐기물 및 바이오 고형연료 활용이 가능한 발전소 건설, 국내 순수기술을 이용한 1000MW급 고효율 발전소 건설, 국내 최초 습식 CO2 포집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탄소경영체제 구축 온실가스 인벤토리시스템 구축

탄소정보공개 활성화

기후대응 네트워트 구축 및 R&D 성과공유 기후변화 전문가 양성 교육 시행

전 직원 기후변화 인식제고 교육 온실가스 감축 노후석탄화력 발전소 폐지(보령1,2호기)

발전설비 Retrofit을 통한 효율향상으로 온실가스 저감 (보령 3호기 완료)

(보령 3호기 완료) 하수슬러지 고형화연료의 혼소를 통한 석탄연소 대체로 온실가스 저감 (보령 7,8호기)

(보령 7,8호기) 석탄화력 발전소 LNG발전 대체건설(보령5,6호기) 국내 미활용 목재연료 및 하수슬러지 혼소를 통한 석탄연소 대체로 온실 가스 저감(보령 3~8호기)

대체로 온실 가스 저감(보령 3~8호기) 수상태양광발전 운영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보령화력내 Intake)

국내외 CDM 사업등록 강원풍력, 양양풍력, 보령소수력 등

바이오중유로의 연료 전환 사업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제주 기력 2,3호기) 기후신기술 확보 한국형 1,000MW급 고효율 석탄화력 기술개발 및 상용화

국내 최초 습식 CO2 포집(CCS) 및 재이용(CCU) 기술개발 수소 가스터빈 연소 기술개발

석탄발전소 암모니아 혼소 기술개발

CDM사업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 청정개발체제) 사업은 UN에 등록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교토의정서상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선진국)이 개도국과 같은 비감축의무국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벌이거나 개도국이 시행한 감축사업에서 발생된 감축실적을 CER(CDM 사업 탄소배출권)로 구매하여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한국중부발전은 다양한 국내외 CDM 사업을 통해 필요한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국중부발전 CDM 등록사업

국내 한국중부발전 CDM 등록사업 (국내) 구분 양양풍력 보령/서천 태양광 태양광 번들링 서울 태양광 설비용량 1.5MW × 2 0.526MW(보령)

1.202MW(서천) 2.218MW(여수)

1.092MW(제주)

4MW(서천II) 1.3MW 준공시기 ‘06.06월 ‘08.04월(보령)

‘08.01월(서천) ‘11.03월(여수)

‘11.04월(제주) ‘11.08월 CO₂감축량

(등록기준) 5,395톤/년 1,202톤/년 6,270톤/년 1,167톤/년 인정기간 7년 × 3회 10년 × 1회 10년 × 1회 10년 × 1회 국가승인 ‘06.11월 ‘10.01월 ‘12.06월 ‘12.06월 UN등록 ‘07.02월 ‘11.07월 ‘12.09월 ‘12.12월

“바람이 불면 풍차를 짓자” 기후변화를 껴안아라

Planet Crisis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 Joseph Romm 박사가 분석한 2011년 기상재해 Top 10에 의하면 지난 한 해 동안 1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입힌 기상재해는 모두 32건이었다. 태국, 호주, 미국, 멕시코, 중국 등은 큰 피해를 입었다. 3만 명 이상이 사망한 동아프리카의 가뭄과 116명이 숨진 콜롬비아 폭우 피해 등도 기후변화로 야기된 재앙이었다. 스위스재보험(Swiss Re)에 따르면 기상재해로 인한 자사의 보험손실이 1970년 연간 50억 달러에서 2010년 270억 달러로 늘었고 2011년은 역사상 거의 최고의 보험손실을 기록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재해는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와 기업가치사슬의 복잡성으로 인해 세계 전역의 경제적 피해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 적응 준비가 부족한 개발도상국들에 보다 큰 타격이 될 것이다. Swiss Re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실효적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2030년 개발도상국들의 연간 GDP 중 19%는 기상재해로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후변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기후변화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2007년 앨 고어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단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산업혁명 이후 지구 표면온도 상승이 인위적인 탄소 배출에 기인한 것임을 밝혀냈다. 이들은 온도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파괴적인 재앙을 막으려면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현재 수준의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화석연료 사용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이라는 얘기와 다름 없다. 이를 실현하려면 단순 배출 규제의 도입이 아니라 화석에너지 기반 경제를 녹색에너지 경제로 바꾸는 혁신적인 전환이 불가피하다. 과거 화석에너지 경제구조는 에너지 공급에 집중돼 있었으며 에너지 기술은 연료 집약적인 기술들이었다. 에너지 수요는 급성장한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대량 소비 중심 수요였다. 그러나 향후 도래될 녹색에너지 경제구조에서의 에너지 공급은 신재생에너지를 필두로 한 분산형 공급이 될 것이며 화석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기술 집약적인 기술들이 발전할 것이다. 또 대량 소비 중심의 수요가 아닌 효율을 염두에 둔 최적화가 추구되는 수요가 생길 것이다. (그림 1)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는 에너지 산업만의 변화가 아니라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로 인해 미국, 유럽연합, 중국 등이 미래의 녹색경제를 선점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며 Green Racing을 펼치고 있다.

세계 주요 국들은 지난 2008년 경제위기 상황 속에서도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경쟁적으로 발표했다. 유럽은 ‘20-20-20’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20%의 탄소감축을 실시하고 발전원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에너지-기후변화 패키지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선 후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17% 감축 목표를 천명했으며 2012년 대통령 의회연설에서도 청정에너지 정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호주는 2015년까지 2000년 배출량 대비 5%를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2012년부터 500개의 탄소 다배출 기업에 탄소세를 부과하기로 했다(AUD23/tonCO2). 비록 남아공 더반에서 개최된 제1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즉각적이고 강력한 감축합의는 이뤄지지 못했지만 2020년까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하는 新 기후체제 출범에 합의했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에 달하는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조성에 합의함으로써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공감대와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기조는 일부 국가의 정치적 변화에 의해 쉽게 달라지기 어려운 메가 트렌드(Mega trend)이며 향후 5년간은 국제사회가 상호 의견을 수렴하는 불확실한 시간을 맞게 될 것이다. 이후에는 본격적인 변화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Business Impact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은 각국의 기업 경영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정부는 탄소 배출규제를 통해 기업들이 배출 감축을 위해 설비 투자를 하거나 탄소 배출이 적은 제품을 생산하도록 강제하고 투자자들은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리스크를 평가해 투자 및 대출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기업을 둘러싼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정부, 투자자, 공급업체, 고객, 지역사회로 나누어 볼 때 각 이해관계자로부터 발생하는 기업에 대한 녹색 압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그림 2). 즉, 기후변화라는 사회적 이슈는 자원 및 에너지 이슈와 함께 일부 기업에는 직접적인 압력으로 작용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라는 매개체를 통해 압력이 가해진다.

1) 규제당국(정부)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 배출감축 규제’ ‘화학품 및 유해물질 규제’ ‘에너지절약 규제’ ‘재활용 규제’와 같은 다양한 법적 규제를 통해 배출 감축을 강제하고 있다. 일례로 EU의 자동차 업종에 대한 탄소규제(2009년 4월23일 발효)는 2012년부터 EU 역내에서 등록되는 신규 차량에 대해 평균 CO₂ 배출량을 130g/㎞ 수준으로 감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당장 올해 1월부터 시행 적용되는 내용을 보면 EU로 수출하는 자동차는 CO₂를 반드시 130g/㎞ 미만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만 수출이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규제명: Regulation (EC) No 443/2009, [OJ L 140, 2009]).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는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규제비용으로 인해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부가 기업에 가하는 규제는 크게 공장규제와 제품규제로 나뉜다. 공장규제는 각 공장마다 배출한도를 정해 한도를 넘는 배출량에 대해 규제하는 방법이다. 한국의 2020년 산업 부문 예상배출량의 17.5%를 감축목표로 적용 시 탄소 다배출 업종(전력, 철강, 정유/석유화학, 시멘트 등)의 예상 감축목표는 8470만 t이며 이러한 감축목표를 모두 배출권으로 구매한다고 가정 시 연간 약 6조200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규제로 인해 발생된 추가 비용을 가격으로 전가시키지 못하면 수익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림 3) 제품단위의 규제로는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유해물질이 일정수준 이상 사용된 제품의 수입금지 등이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수출 감소로 인해 시장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다. 2005년 규제로 인한 비용 부담증가로 유럽의 글로벌 알루미늄 제조사는 실제로 문을 닫기도 했다. 앞으로 에너지 비용이 높은 기업들은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투자자

금융기관 및 투자자는 기업(고객사)이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 이슈에 노출돼 있는 수준을 평가해 투자, 여신 등의 금융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총운용자산이 약 70조 달러에 달하는 전 세계 551개 금융기관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를 통해 매년 60개국 3000여 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과 성과 정보의 공개를 요청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기업들로부터 확보한 정보를 토대로 탄소정보공개지수, 탄소성과지수를 평가해 참여 금융기관의 투자 및 금융 의사결정에 고려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주요 은행들도 기업들의 환경 관련 리스크를 기업 여신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HSBC는 에너지, 광물자원, 화학, 수자원, 삼림 관련 주요 산업에 속한 고객사들에 대해 환경 리스크를 4개 등급으로 평가해 최하 등급을 받은 기업에는 거래관계를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KPMG가 2011년 사모펀드(PEF·Private Equity Fund)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LP(Limited Partner)의 50%는 투자의사결정 시 GP(General Partner)의 녹색경영에 대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금융위기로 인한 투자수익 감소와 금융시장 감소는 투자자의 녹색경영과 신흥시장으로의 관심을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PEF 의 기업투자 시 녹색경영은 인수 여부, 가격협상, 보험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의 녹색경영이 브랜드 가치, 이익 극대화, 현금 흐름, 이해관계자 영향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투자 회수(Exit) 시 탄소, 에너지, 연료 규제 관련 대응 등의 녹색경영은 기업가치 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투자자가 기업의 녹색정보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2012년부터 사업보고서 공시 대상이면서 녹색성장기본법에 의해 탄소 다배출기업 또는 에너지 다소비기업으로 지정된 220여 개 기업들은 자신의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사업보고서상에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정보의 공개범위는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동종업종 내 기업들에 대해 동일한 기준으로 녹색경영활동과 성과에 대한 비교 평가가 이뤄질 수 있게 됐다. 국내 기업들 또한 녹색경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에 따라 신용등급이나 주가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3) 공급업체

기업의 원재료를 조달하기 위한 공급망 내에 있는 업체들은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탄소배출 규제에 따른 재무적 부담을 납품 가격에 전가할 수 있다. 가뭄, 홍수 등 기후변화에 따른 물리적 재해 또한 구매사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철강 및 금속제품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탄소배출 집약도가 높은 공정에서 생산된다. 철강제품 구매 비용이 선박 제조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조선사는 자신의 생산공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크지 않더라도 철강사의 규제비용에 대한 가격전가가 제조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성 악화로 직결될 가능성이 있다. 구매사가 공급업체에 대해 탄소배출 집약도가 낮은 제품을 납품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4) 고객

미국 소비자가전협회(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의 시카고 비즈니스센터에 의하면 2009년 미국 소비자들의 친환경 그린제품 관련 설문 조사결과, 친환경 그린제품 중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는 그린제품은 자동차로 응답자의 73%는 자동차에 그린 관련 기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7%는 제품을 구매할 때 친환경적인 특성과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가 구매 시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응답했다. 이러한 구매의사결정은 단기간의 유행이 아니라 20여 년 전인 1989년 8월, 마이클피터스그룹사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친환경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조사했을 때의 결과와 동일하거나 이때보다 더욱 엄격하게 나타나고 있다.

5) 지역사회 및 NGOs

고객이 실질적인 구매파워를 가진 ‘최종의사결정권한’이 있는 이해관계자라면 지역사회 및 NGOs는 ‘힘의 이동’을 주관하는 이해관계자로 비유할 수 있다. 즉, 기업의 경영실태를 파악하고 평가해 여론을 형성하고 기업과 고객의 쌍방 구도에서 힘의 이동 방향을 선행적으로 이끌어가는 존재다. NGOs의 역할은 ‘무늬만 친환경 마케팅’의 범람 속에서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것이다.

위기를 기회로

이해관계자들의 압력은 기업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저탄소 경제체제로의 전환은 녹색에너지의 확대 보급을 위한 정책적 지원, 신규 시장으로의 사업 확대 등의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실제로 영국 무역투자청(UK Trade & Investment)과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의 설문 결과, 기후변화 적응은 새로운 기회라고 응답한 기업이 64%로 기후변화를 위기로 인식하고 있는 기업 53%에 비해 11%포인트가량 많았다. 설문기업의 약 19%는 이미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대다수 기업들은 기후변화 대응 관련 신제품 출시와 서비스 개발을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39%의 응답자들은 이를 통해 더 나은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답했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벽을 쌓는 사람이 있고 풍차를 만드는 사람도 있다”는 중국 속담이 있다. 이미 바람이 바뀌는 길목에서 풍차를 세우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있다. GE의 CEO 제프리 이멜트는 2005년, GE의 미래 경영전략을 “Green is Green(녹색이 돈이다)”이라고 표현했다. 보다 에너지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환경성과를 개선함과 동시에 기업도 성장하겠다는 것이다. GE는 전 사업영역에서 이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제품 80개를 선정해 청정기술 연구개발비를 두 배 늘렸고 2008년 17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단적인 예로 2002년 풍력발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독일 Enron Wind 社 를 3 억3000만 달러에 전격 인수했다. 이후 풍부한 자금력과 발전설비 제조 기술역량을 결합해 매년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세계 2위의 풍력설비 회사로 성장시켰다. 이러한 사례는 ‘나일론’으로 유명한 글로벌 석유화학사 듀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듀폰은 탄소 배출의 주범인 석유에 의존해 100년 넘게 사업을 영위해 온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화학회사다. 이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담당 부사장인 피셔는 “기후변화가 야기하는 진짜 도전은 시장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고 고객에게 돌아갈 이익을 측정하는 것”이라 말한다. 실제 듀폰은 2000년대 이후 특수 단열방습제를 개발해 고객의 난방비를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게 했다. 듀폰의 이러한 접근은 고객의 대량 구매와 장기 계약으로 이어졌다. 친환경 제품이 고객에게 높은 가치를 주고 회사 또한 수익을 창출한 것이다. 듀폰은 이제 화학제품을 더 이상 석유가 아닌 바이오매스 원료로 생산하고 매출을 2015년까지 두 배로 늘리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BS)에서 수행한 한 연구는 기업들의 녹색경영활동이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성과 개선에 기여한다는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HBS는 총 675개 기업에 대해 1993∼2009년 환경보호 및 고용환경, 지역사회 공헌, 제품 신뢰성, 고객 대응의 4개 카테고리에 대한 평가지수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평가지수 상위 25%에 해당하는 90개 기업군이 대조군인 하위 90개 기업들에 비해 17년간 주가 상승률 기준 150%, ROA 기준 200% 이상 차이가 발생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HBS 2011년, “The Impact of a corporate culture of sustainability on corporate behavior and performance” 참조).

Business Strategy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는 저탄소 녹색경제로의 전환이라는 메가 트렌드에 직면하고 있고 이런 경영환경의 변화는 기업들의 재무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들은 기후 변화가 야기하는 위협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전략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아래의 다섯 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1) 위협과 기회를 계량화하라

녹색 이슈를 둘러싼 정부, 고객 등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회사에 미치는 위협뿐만 아니라 기회 측면도 동시에 파악하고 이를 계량화해야 한다. 글로벌 화학기업 BASF는 기후변화에 따른 위협보다는 신제품 개발과 고객가치 향상이라는 기회요인에 주목했다. 이 회사의 전통적 사업영역인 건축자재, 자동차 외장재, 농화학 제품, 에폭시 수지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변화 저감을 새로운 사업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는 보온성이 향상된 단열재와 경량강화플라스틱, 토양잔류시간을 늘린 비료, 풍력발전용 터빈블레이드 개발로 이어졌다. 제품 개발에는 ‘환경경제효율성(eco-efficiency)’이라는 개념이 공통적으로 적용됐다. BASF는 ‘기후 보호(Climate protection)’ 제품을 만드는 데 투입된 연구개발비, 공장건설비, 시설운영비 등이 자사의 재무적 성과와 고객의 온실가스 감축에 미치는 영향을 회사의 장기적 관리지표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회사 밖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뿐 아니라 사내에도 재무부서, 기획부서, 환경부서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위협과 기회를 재무적으로 계량화해 공통된 언어로 소통하지 않으면 의사결정이나 합의 및 협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기후변화를 지속가능한 발전의 위협요인으로 인식하는 기업이라면 이에 동반되는 기회요인을 사업영역과 이해관계자 전반에서 찾아보고 재무적 영향으로 계량화해 자사의 경제성과 향상을 위한 핵심정보로 활용해야 한다.

2) 가치사슬로 시야를 넓혀라

내 공장, 내 사업장의 탄소배출만이 전부는 아니다. 회사를 둘러싼 공급망 혹은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사용 및 폐기 전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이 원가 부담의 위협 및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사 입장에서는 빌딩을 지을 때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은 적을 수 있지만 지어진 건물(상품)이 얼마나 에너지 효율적인지(탄소배출이 적은지)가 수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유통사들이 공급사에 저탄소 제품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는 것도 가치사슬로 시야를 넓혀야 하는 이유다.

월마트는 자사에 제품을 납품하는 모든 공급업체의 그린의무화로 2015년까지 2000만 t의 탄소감축 계획을 수립했다. 에너지 고가 시대를 대비해 공급사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탄소 규제하에서도 낮은 제품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다.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전 과정(제품사용단계 포함)의 탄소 배출을 관리하는 기업들도 있다. 2010년 Environmental Leader사의 소비자 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89%가 향후 TV 구매 시 고효율 제품을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53%는 에너지 절감 같은 기능에 추가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의 이런 기호 변화로 기업들은 제품생산 전 과정 혹은 사용단계에서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테스코는 영국 최초로 자사 브랜드 제품에 제품 생산단계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의 양을 표시한 탄소라벨을 부착해 판매하고 소비자에게 탄소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탄소라벨을 부착한 제품의 수는 114개로 향후 공급업체와의 협조를 통해 7만여 개의 상품으로 확대 실시할 예정이다. 국내 식품업체인 오뚜기도 2011년 환경경영을 선포하고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 저감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제품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조리법을 제공해 소비자가 사용 단계에서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탄소와 관련된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어떤 기업들은 탄소관리의 초점을 자신으로 한정 짓는가 하면 어떤 기업은 가치사슬로 시야를 넓히고 있다. 지금은 이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경영환경 변화가 점점 더 심해질수록 두 그룹 간의 성과차이는 더욱 커질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각 공급망별로 상호 영향을 분석해 영향이 큰 공급망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을 해나가야 한다.

3) 생산, 투자 의사결정에 탄소관련 재무적 영향을 고려하라

오늘날 기업에 탄소배출 감소는 단순히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활동이 아니라 수익성 제고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활동이다. EU를 포함해 탄소배출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에서의 탄소배출은 실질적인 비용 부담을 유발한다. 이를 제어하지 못할 경우 수익성 악화를 통해 재무적 관점의 기업가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배출 감소를 위한 활동들을 기존의 환경적 관점이 아닌 재무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탄소배출 규제 시 정부는 미래 예상되는 탄소배출량에 따라 감축목표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회사가 검토하고 있는 생산 증대, 각종 투자사업이 탄소배출의 증감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그것의 재무적 영향은 얼마인지가 반영돼야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에너지다소비 업종의 경우 한번 설비를 투자하면 적어도 20∼30년 이상을 내다봐야 하는데 10년 이후의 탄소규제비용이 지금과 같이 매우 미미할 것으로 생각하는 전문가는 아무도 없으므로 현재 투자하는 의사결정에도 탄소배출비용이 고려돼야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이미 해외 선진기업뿐만 아니라 일부 국내 선도기업 중에서도 내부 투자의사결정 시 NPV, IRR 등을 통한 재무적 수익성 평가를 함에 있어 탄소배출 증감으로 인한 재무적 효과를 반영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물론 국내는 아직 탄소배출로 인한 재무적 비용부담이 크진 않지만 투자의사결정의 효과가 수십 년간 지속되는 것을 고려해볼 때 탄소규제를 고려한 투자의사결정체제 수립 여부는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순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대규모 설비투자를 단행하는 기업들에는 지금의 이러한 의사결정이 향후 기업의 향방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4) 정책 형성과정에 적극 참여해라

기업의 정책형성과정 참여는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정책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사에 유리한 정책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은 관련 국가기관이 올바른 정책을 펼 수 있도록 정책개발단계부터 참여해 기업 의견이 반영된 정책을 입안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동종 기업들 간의 공통된 의견을 정책형성과정에 반영할 수도 있고 시범 사업들의 사내 추진으로 습득한 학습효과를 정책입안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글로벌 석유회사인 영국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과 네덜란드 로얄더치쉘(Shell)은 유럽 탄소규제 시행 이전에 사내 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 운영함으로써 유럽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옵션 중 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해 산업계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했다. 듀폰은 정부가 자발적 온실가스 조기감축분을 Credit로 인정해주는 정책을 도입하도록 유도했다. CDP 2011 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기후변화 정책결정과정 참여여부’에 대한 질문에 전 세계 온실가스규제에 노출이 많이 된 Global Electric Utilities 250개 기업 중 92%, Global 500 기업 중 84%가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답한 반면 KOSPI 시가총액 상위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Korea 200의 기업들은 64% 만이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정책수립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5) 전략적 타이밍을 포착하라

환경경영 연구의 권위자인 미시간대 호프만 교수는 “문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것인가 말 것인가가 아니라 언제 할 것인가”라고 말했다. 글로벌 재보험회사 Swiss Re는 2000년대 초반부터 미국에서 탄소규제 위험을 기업보험상품과 연계하고자 했으나 미국 부시 정부의 교토의정서 비준 거부로 추진동력을 상실하는 어려움에 처했던 적이 있다. 반면 정부 정책의 도입에 발 빠르게 움직여 사업구조를 개편하거나 신사업 부문을 조직함으로써 녹색산업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경우도 있다. 포스코ICT는 한국 정부가 주관하는 스마트그리드 사업 참여를 시발점으로 삼아 현재 해당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2008년 국가 8대 신성장동력 사업에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포함된 후 국내에서 스마트그리드 분야에 대한 민간 참여가 시작되자 포스코ICT는 초기단계부터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에 주관사업자로 참여했다. 에너지 최적화 기술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기술을 확보한 후 이를 발판으로 향후 포스코그룹 내 건설·에너지 계열사와 함께 패키지형태로 스마트그리드, u-에코시티,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 등 해외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정책 도입 같은 외부환경의 변화를 미리 파악함과 동시에 기업 내부의 실행전략 변화와 컨버전스 확산 등을 위한 효율적인 내부의사결정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분야에서 선두자리를 점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에 대한 기반을 다질 수 있다.

업종별 전략 방향성

기후변화,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일반론적인 제언만으로 회사의 전략을 수립하는 일은 자칫 오류를 범하기 쉽다. 기업 주변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각 업종별로 중요한 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철강업처럼 탄소 배출량이 많은 업종들은 공정상에서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지만 자동차 업종의 경우 공정보다는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개발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각 기업들의 대응 사례를 면밀히 살펴보면 이미 업종 내에서 선두권에 있는 기업들은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해 많은 준비를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진 기업들은 이미 기후변화 이슈에 대해 선도적 준비를 함으로써 후속 주자들과의 격차를 더욱 넓히고 있다. 상대적으로 후발업체의 위치인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각 업종별 핵심 포인트 및 모범 대응사례는 다음과 같다.

1) 발전 ‘위기와 기회의 공존’

발전업은 탄소 감축 규제에 대응하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의 확대 같은 기회에도 시선을 돌려야 한다. 독일의 에너지 업체 E.ON은 장기적인 탄소배출 감축 사업을 통해 배출량을 관리하는 한편 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적극 추진해 2015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18%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는 규제대응과 기회창출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2) 철강 ‘규제비용이 곧 원가경쟁력’

철강업은 탄소배출량이 많은 만큼 탄소배출권 구매로 인한 원가 부담을 상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르셀로미탈은 전 세계에 제철소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철강업체로 기술개발과 동시에 탄소배출권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르셀로미탈은 저감 기술 개발을 위해 2012년까지 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탄소 펀드에도 1억 달러를 투자했다.

3) 정유/석유화학 ‘녹색이 아니면 쇠퇴’

정유/석화 업계는 탄소 규제에 대한 대응과 녹색 수요의 증대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독일의 글로벌 화학회사 BASF는 에너지 효율화 시대에 맞춰 녹색 제품 라인을 구비해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비용 및 탄소 배출량을 절감하고 매출 증대에도 활용하고 있다. 정유/석화 업계는 화석연료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녹색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4) 자동차 ‘그린 카 올인’

자동차 업계의 화두는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그린 카’의 개발이다. 2010년부터 굴지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프랑스의 르노는 기존 시장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의 선점을 위해 전기차 부문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르노는 양산형 전기차 시장에서의 세계 1위를 목표로 전기차와 충전시스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환경변화는 시장 리더보다는 팔로어에게 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5) 소비재/유통 ‘소비자와 녹색으로 대화하기’

기후변화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유통업계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월마트는 탄소 감축 목표에 대응하고 친환경 이미지 고취를 위해 공급업체들과의 협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월마트는 납품업체와 제품의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효율성, 자원 효율성 등을 평가해 등급화하고 이를 소비자들과 공유함으로써 녹색 소비를 활성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6) 운송 물류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라’

물류 간 이동거리가 많은 운송업의 특성상 탄소배출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도 매우 적극적이다. DHL의 모기업인 독일우정청(DPWN)은 각 사업 분야에서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고객 화물 운송 시 감축한 탄소 양만큼의 탄소배출권을 고객에게 지급하고 있다. 물류업체의 원가 절감 활동은 탄소 감축 활동과 연결되기 때문에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전략을 펼쳐야 한다.

7) 건설 ‘그린 빌딩의 기회’

건설업은 그린 빌딩의 수요 증대에 주목하고 있다. 그린 빌딩은 건설단계에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절약 및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한 신개념 빌딩을 말한다. 일본 최고의 그린 홈 건설사인 세키스이하임은 친환경적 건설 공법과 태양광발전을 결합한 주택을 선보이며 시장에서 위치를 견고히 하고 있다. 포스코건설도 2006년 신재생에너지 전담조직을 구축하고 풍력, 연료전지, 조력발전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실적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8) IT ‘ 새로운 인프라의 창출’

IT 업종은 기후변화의 규제보다는 규제로 인해 발생되는 새로운 수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구글과 IBM 등 선진 기업들은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IT 제품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존 산업에 스마트그리드 등의 IT를 활용해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9) 금융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보기’

금융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새로운 사업 기회에 주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일찍부터 기후변화가 기업들에 위기가 되는 동시에 새로운 시대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음을 포착했다. 골드만삭스는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투자에 반영하고 신재생에너지 및 탄소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세계 3대 사모펀드이자 기업 인수합병 전문기업인 KKR은 2011년 투자대상의 녹색경영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과 Tool을 개발했다. 투자 대상의 탄소, 수자원, 폐기물, 삼림, 화학 등 주요환경평가요소(KEPA)에 대한 영향 지표를 투자 의사결정에 고려하고 있다.

마치면서

기후변화 대응은 화석연료 의존에서 탈피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의 문제이며 인구 증가와 가용자원의 고갈이라는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미국의 저명한 경영학자 마이클 포터는 “기후 변화는 글로벌라이제이션, IT 혁명에 버금가는 중요한 경영환경 변화 이슈”라고 주장했다. 우리는 글로벌 선진기업들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이미 위기를 넘어 기회를 창출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기후변화를 환경이슈나 사회이슈만이 아닌 필수불가결한 경영이슈로 생각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40년 동안 100대 기업 순위에 남아 있는 국내 기업은 12개에 불과하다. 기업이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을 때 그 결과가 어떠할 것인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최근 세계 금융계의 큰손 워런 버핏이 태양광 발전 산업에 20억 달러를 투자했다. 벌써부터 등 미국 언론들은 버핏이 2009년 철도산업에 투자한 후 철도산업 활황을 일으킨 사실을 상기시키며 미국 태양광 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점치고 있다. 우리가 바다 건너 호들갑에 들썩일 필요는 없겠지만 가치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그가 녹색산업으로 뛰어든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 천천히 곱씹어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GE (2008), “GE 2008 ecomagination Report” (in http://www.ecomagination.com/progress/)

IPCC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KPMG International (2008), Climate change your business, (KPMG)

Martin Jaenicke, Klaus Jacob (2009), “Green New Deal : from the Viewpoint of a Third Industrial Revolution” (proceedings in International Seminar on Global Crisis and Green Economy in Seoul Korea 2009)

OECD/IEA ( 2008),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OECD/IEA)

Patrick Cescau (2008), http://www.unilever.com/images/es_Unilever_PalmOil_v71_tcm13-126357.pdf (Unilever Group)

삼정KPMG (2010), 저탄소 녹색성장과 산업별 기업의 대응전략, (KPMG)

성낙환 (2009), “미래 그린카 시장 누가 주도하나?” LG경제연구소 Weekly Focus, (in http://www.lgeri.com/ )

Thomas L. Friedman (2009), Hot, Flat, and Crowded: Why We Need a Green Revolution – and How It Can Renew America, Release 2.0, (New York, Picador)

Swiss Re (2010), The essential guide to reinsurance, (Swiss Re)

Swiss Re (2011), Climate risk blueprint fact sheet, (Swiss Re)

Robert G. Eccles, Ioannis Ioannou and George Serafeim (2011) The Impact of a corporate culture of sustainability on corporate behavior and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School)

Vincent Neate and Jonathan Martin (2011), Responsible investment “The time is now” (KPMG)

대한상공회의소 (2006), 장수기업에서 배우는 지속성장 전략 (대한상공회의소)

김성우 KPMG CCS 아시아태평양 대표·삼정KPMG 전무 [email protected]

Ⅰ. 배경 및 목적

▶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중요성

○ 도시의 기후변화 취약성

– 기후변화는 상습적 홍수, 침수 등의 자연재해를 동반하며, 기후재해가 도시에서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이 매우 직접적이고 치명적임

– 기후재해로 인해 도시의 기반시설이 파괴되면 도시 전체 시스템을 마비시켜 도시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함

– 이 뿐만 아니라 수자원 오염, 전염성 질환 등의 2차적 피해는 시민의 건강과 생존을 위협함

– 도시에서 발생하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단적 기상현상들은 이제 더 이상 기상이변이 아니며, 도시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극복해야 함

○ 도시가 기후변화 기여

– 도시에는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도시에서의 많은 활동이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발함

– 도시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는 전 세계 에너지 소모량의 약 80%를 차지하며, 이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과 맞먹음

– 결국 도시가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하지 않으면, 기후변화는 더욱 심각해 질 것임

–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가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주체로서 적극적 대응노력이 필요함

▶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메커니즘

○ 도시의 기후변화 완화정책

– 기후변화의 원인물질인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으로 도시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원인을 없애거나, 배출량을 통제하는 것이 핵심임

○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정책

– 기후재난의 발생을 전제로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하여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임

○ 시민의 참여 독려를 위한 정책

– 교육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인식제고, 민간 및 비정부기구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제도 마련

▶ 중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사례의 정책 분석

○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 중국은 아직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전문 입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국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업무방안 등 정책 수단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음

– 특히, 효과적 기후변화 대응과 도시의 적극적 참여를 위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험/시범’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 중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시험정책

– 중국은 기후변화 완화정책으로 2010년부터 ‘저탄소 도시’ 시험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 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급속히 줄여나가고 있음

– 또한 기후변화 적응정책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스펀지 도시’ 시험사업을 추진을 통해 도시의 강수량과 홍수 관리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음

▶ 한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시사점 제공

○ 한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미흡

–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도시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도시들은 서울을 제외하고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 못 함

○ 중국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시험정책 사례를 통한 접근 방법 모색

– 도시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은 각 도시의 특성에 따라 접근 방법이 달라야 함

– (1) 도시의 산업구조 전환을 통한 저탄소 도시를 건설하고 있는 선전시(深?市), (2) 항구의 에너지구조 전환을 통한 저탄소 항구도시를 건설하고 있는 닝보우시(?波市), (3) 도시의 강수량과 홍수 관리를 통해 스펀지 도시를 건설하고 있는 지난시(?南市)의 시험정책을 통해 이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도시에 정책적 접근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음

– 더불어 (3)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대중으로 확산하고 다음세대의 적극적 대응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생태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우한시(武?市), (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비정부기구가 활동 중인 상하이시를 추가로 선정하여, 한국 도시의 정책적 접근의 폭을 확대하였음

Ⅱ. 주요 내용

▶ 완화형 도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법제

○ 중국 저탄소 도시 시험정책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국가의 2020년 온실가스 배출저감 목표 달성을 위하여 저탄소 도시 시험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10년 1차, 2014년에 2차 시험도시를 선정하였음

○ 선전시 저탄소 시험도시의 주요 입법

– 선전시는 지방입법권을 가지고, 「선전 경제특구 순환경제 추진 조례」, 「선전시 경제특구 탄소배출 관리 약간 규정」, 「선전시 탄소배출권거래관리 잠행방법」 등을 제정하여 저탄소법률체계를 정비하였음

– 입법체계를 바탕으로 선전시는 저탄소 도시 건설을 위하여 행정책임 추궁제를 실시하고, 기업의 탄소배출 통제를 위하여 탄소배출권거래제도와 같은 시장메커니즘을 제도화하여 저탄소발전 주체의 행위를 규범화하였음

○ 선전시 저탄소 시험도시의 주요 정책

– 선전시는 2020년까지 저탄소 발전 중장기 계획과 목표를 설정하고, 저탄소 발전 정책 및 법규를 체계화하고, 저탄소 산업체계 및 저탄소 기술지원 체계를 마련할 것을 계획했음

– 이를 바탕으로 정부, 기업, 도시, 산업단지, 사회 등 4개 분야에서 저탄소시범사업을 전개하였음

– 한편, 선전시는 산업분야의 저탄소화를 위하여 저탄소 신흥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발전계획 및 목표를 발표하였음

– 저탄소 신흥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그와 관련된 연구 및 기술개발 등의 지원액 기준을 마련하고, 대대적 재정지원을 함

○ 닝보우시 저탄소 시험도시의 주요 정책

– 현대화 국제항구 도시로 에너지 및 원자재 생산기로 에너지의 소모 및 소비량이 큰 편임

– 2012년 제2차 국가 저탄소시험도시에 선전되면서 저탄소 도시 시험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음

– 저탄소 도시 시험업무 실시 방안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개선 등 목표를 제시했으며, 특히, 항구의 에너지 구조 전환을 통한 저탄소화를 강조했음

○ 닝보우시 저탄소 시험도시의 주요 입법

– 기후변화제도의 체계와 탄소배출 감축 메커니즘 완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6년 「닝보우 대기오염방지조례」를 제정하였음

– 항구와 항만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로 발생하는 오염원 통제를 위하여 조례에 ‘자동차 및 선박오염의 방지’에 관해 특별히 규정하고 있음

– 이를 바탕으로 닝보우 조산항 저탄소 모델을 만듦

▶ 적응형 도시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법제

○ 중국의 도시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주요 법제

– 중국도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제고되는 상황을 인식하고, ① 「도시기후변화적응행동방안(城市适??候?化行?方案)」, ②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건설 시험지역 업무 발표에 관한 통지(?于印??候适?型城市建??点工作的通知)」, ③ 「스펀지 도시 건설에 관한 지도의견(?于推?海?城市建?的指?意?)」 등의 도시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음

○ 기후변화 적응 시범도시 사례

– 중국 정부는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건설 시험지역 업무 발표에 관한 통지」와 「스펀지 도시 건설의 추진에 관한 지도의견」 등을 마련하며, 시험도시 수립, 운영, 평가 등을 통해 경험과 성과를 축적하고 확대하여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제고를 도모함

○ 중국 산둥성 지난시(中國 山東省 濟南市): 스펀지 도시

– 중국 산둥성 지난시 경우, 여름철 강수가 집중되어 수해가 빈번히 발생했음 「스펀지 도시 건설 업무 촉진에 관한 실시의견(?于加快推?海?城市建?工作?施意?)」에 근거하여 스펀지 도시를 건설하고 빗물의 흡수, 축적, 정화, 배출 등으로 빗물 자원을 활용하며 여름 수해를 줄이고자 함

– “절수 우선, 공간 균형, 체계적 관리, 민관 협력”의 원칙에 따라, 지난시 정부와 각 부문은 과학적으로 수자원, 원림녹지(園林綠地), 건축단지, 도로교통 시스템 건설을 규획하고 체계적으로 시행하며, 도시 수해 방지, 재해 감소, 배수 등에 관한 종합적인 능력을 강화하였음

– 지난시는 2015년 제1차 스펀지 도시건설 시험도시에 선정되고 지금까지 약 250개 스펀지 도시 건설 사업을 마무리했고, 그 외에도 현재 17개 사업을 진행하며 생태적, 사회적 성과를 거두었음

○ 중국 안후이성 화이베이시(中國 安徽省 淮北市): 광업도시 생태회복 및 녹지조성

– 화이베이시는 「화이베이시 기후변화 적응형 시험도시 건설 행동계획(2017-2020년) 발표에 관한 통지(印?淮北市?候适?型城市?点建?行???(2017―2020年)的通知)」에 근거하여 광업으로 황폐해진 생태를 회복하고 녹지를 확대하며 기후변화 적응에 노력함

– 이에 따라서 기후변화 적응 개념을 도농규획, 지방표준체계, 산업발전규획에 포함시키고, 관련한 거버넌스 수준을 제고하며, 기후 적응에 관한 과학 지식을 널리 보급하고, 침수, 가뭄, 우박, 뇌우, 강풍 등의 재해 대응 능력을 강화하며, 도시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전면 제고하였음

– 화이베이시는 생태환경 건설에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면서 2019년 ‘국가저탄소도시 시험지구’, ‘국가기후적응형도시 시험지구’, ‘국가녹색발전우수도시’ 등의 칭호를 얻었음

▶ 기후행동형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법제

○ 중국의 생태환경교육에 관한 주요 법제

– 기후변화 대응의 적극적 실천과 확산을 위하여 환경교육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법제를 마련함; ① 「새로운 환경 하에 환경보호 선전 및 교육공작에 대한 의견(?于做好新形?下?境宣??育工作的意?)」, ② 「환경보호 중점사업 강화에 관한 의견(?于加强?境保?重点工作的意?)」, ③ 「중화인민공화국 환경보호법(中?人民共和??境保?法)」, ④ 「환경친화적 홍보사업 강화에 관한 의견(?于加强面向社??保宣?工作的意?)」, ⑤ 「전국환경홍보교육행동강요(全??境宣??育行??要(2016―2020年)〉的通知)」, ⑥ 「생태환경교육과 녹색학교 건립 행동화(生??境?育??色?校?建行?)」, ⑦ 「2019년 국가 에너지 절약 홍보 주간 및 국가 저탄소의 날 홍보 중점(2019年全??能宣?周和全?低?日宣?重点)」

○ 생태환경교육 시험도시 사례: 허베이성 우한시

– 우한시는 제조업 관련 공장들이 주로 입지하고 있어 중국 내에서도 오염도가 매우 심각한 지역이었으나 중국 정부의 환경 분야에 대한 관심 증가와 새로운 환경산업으로의 성장 전략 이행에 따라 환경관련 정책이 다양하게 실시됨

– 특히 기후 및 생태환경 교육 정책에서 효과적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에는 ① 생태캠퍼스 건설, ② 환경교육의 효과적 전개를 위한 교사 연수를 통한 생태환경교육 체계구축, ③ 유치원 환경 교육 실시, ④ 쓰레기 분리수거를 교안으로 제작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도를 높인 사례 등이 포함됨

○ 중국의 환경 NGO 활동 사례: 상하이건위야, CYCAN

– NGO는 시민과 정부 사이에 조율자로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 녹색 및 저탄소 생활정보 제공, 기후변화 지속연구, 정부-기업의 환경 관련 의사결정 기반 제공, 기업의 환경 관련 활동 감독, 국제교류와 협력, 시민들의 입장과 목소리를 대변하는 등의 기후행동을 실천하였음

– 상하이건위야와 CYCAN은 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및 환경대응 행동에 중점을 두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몽골지역 나무심기, 세계 환경대회 참가 등의 학생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함

–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교육과 시민단체의 활동은 시민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인지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행동을 스스로 실천하도록 하도록 유도하여 도시의 기후변화 정책의 지속성을 보장하고 효율성을 제고함

Ⅲ. 한국 도시에 대한 시사점

○ 한국 저탄소 도시 건설에 대한 시사점

–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감축시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은 없애는 것이 근본적 대응 정책이 될 수 있음

– 한국은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 배출량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많기 때문에 선전 사례를 참고하여 고에너지, 고이산화탄소 배출 산업은 산업의 구조를 저탄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저탄소 산업이 육성될 수 있는 사업지원체계 구축이 필수적임

– 한편, 선전과 닝보우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저탄소 도시 건설은 산업을 새롭게 육성하고,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등 일정 정도의 재정지원 없이는 이행이 어렵기 때문에 재정적 지원에 대한 지방정부의 예산편성과 재정지원에 대한 세부기준 마련이 요구됨

○ 한국의 기후변화 적응 도시 건설에 대한 시사점

– 중국은 지난 몇 년간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통해서 중앙 정부와 부문부터 각급 정부와 부문까지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기후변화 적응에 관련한 종합적인 전략 정책 기반과 체계를 갖추어가고 있음

– “인지제의(因地制宜)” 원칙에 따라, 중국 각 지역 위치와 환경, 규모, 사회 경제적 수준 등을 고려한 기후적응형 시험지역을 선정하고, 그 특성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 중국은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결의(?于?????候?化的??)”를 마련하여,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을 동등하게 중시할 것과 기후변화 적응력 강화를 요구함

– 중국은 「에너지절약법」, 「순환경제촉진법」, 「삼림법」, 「초원법」 등의 다양한 법률을 활용, “적응법” 부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 하며, 현재 전문적인 조속한 적응법 제정도 추진하고 있음

○ 기후변화 참여 유도 정책에 대한 시사점

– 첫째, 환경친화적 학교를 구축하여 자연스럽게 환경교육에 대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에 따른 인재들이 꾸준히 배출하였음

– 나아가 이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 주변인들로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확산 될 수 있도록 하여 기후변화 대응의 효율성을 제고하였음

– 둘째, 최근 중국인들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NGO의 환경보호 프로그램은 그 활용방안이 되어 정부주도의 기후변화 대응 행위보다 더욱 높은 참여율과 실행력을 보임

– 이러한 중국의 실험적이며 과감한 시도는 우리 한국에서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지역의 학교들을 중심으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여러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좋은 커리큘럼을 만들어 시행하는 종합적 체제 구축이 필요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기후 변화 대응 사례

다음은 Bing에서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YouTube에서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후변화시대, 기술개발은 오늘도 진화 중 | 기후 변화 대응 사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