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일 제사 순서 |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245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기일 제사 순서 –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sn라이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3,842회 및 좋아요 42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기제사 지내는 방법입니다~♡
  • 신위모신후 첫잔올리고 합동으로 절하기 …
  • 앞서 올린 술잔을 내려 퇴주그릇에 잔을 비우고 며느리(자부) 가 둘째잔을 올리고 절을 두번합니다. …
  • 앞서 올린잔을 내려 퇴주하고 사위(조카)가 세번째 잔을 올리고 …
  • 앞서올린 잔은 내리고 손자, …
  • 문을 닫고 뒤돌아서서

기일 제사 순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 기일 제사 순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기일제사 #제사상차림 #기일상차림
24시간 장례접수 : 1522-9443
후불제상조 SN라이프 홈페이지 : https://snlife.co.kr/ 무료가입자 20% 상품할인혜택

기일 제사 순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제사 지내는 방법과 순서 “제사상차림, 제사음식과 제사상차리는 …

⑬ 과(果) : 대추, 밤, 감, 배,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자료=네이버 설 정보>. <제사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lecturernews.com

Date Published: 7/12/2022

View: 9928

제사 지내는 법 | 장례상식 | 장례정보 | 장례식장 | 서울아산병원

제사 지내는 순서 · 01. 설위(設位), 참사자(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순서에 의해 제수를 진설하고 참사자가 배열해 선다. · 02. 취신위(就神位), 지방이나 사진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amc.seoul.kr

Date Published: 4/15/2022

View: 4651

제사지내는법 – 삼척추모공원

… 윤달을 계산치 않고 총 13개월 되는 기일, 즉 기년되는 날에 지내는 제사이다. … 설위(設位), 참사자(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순서에 의해 제수를 진설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amcheok.go.kr

Date Published: 9/10/2021

View: 1659

기제사 지내는 순서 이렇게 – 대부J

그런 제사들을 칭하는 명칭이 기제사인데 명절에 지내는 차례와 기제사는 뭐가 다른지 궁금 …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 또는 휘일이라고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jqyr5.tistory.com

Date Published: 4/25/2022

View: 1141

기제사(忌祭祀)의 순서

기제사는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祭祀)입니다. 기제사의 순서는 집집마다 다른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제사의 순서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

+ 여기에 표시

Source: tothebest.tistory.com

Date Published: 4/9/2021

View: 2951

부모님 제사지내는법 – 다음블로그

제사상 차리는 방법이나 제사지내는 순서, 제사 절차마다 행하는 방법은 … 기제는 기일제사의 약칭으로써 기일 즉,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 더 읽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6/22/2022

View: 9514

제사 지내는 순서 알아보자 – 이만시간

제사 지내는 순서 알아보자 · 1. 마음을 정돈하고 · 2. 강신 · 3.참신 · 4. 초헌 · 5. 축문 · 6. 아헌 · 7. 종헌 · 8. 갱.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22020.tistory.com

Date Published: 11/13/2021

View: 275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기일 제사 순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기일 제사 순서

  • Author: sn라이프
  • Views: 조회수 43,842회
  • Likes: 좋아요 428개
  • Date Published: 2021. 7.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10SmJ596oQ

기일제사 지내는 방법 기제사절차 기일제사순서 쉽게 지내는 방법

안녕하세요.~ 엔딩마스터 입니다.^^

예전에는 집안어르신들이 제례절차등의 대소사를 주관하였지만, 현대에는 핵가족화로 인해 집안의 어르신에게 도움을 받는것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부모님의 장례후 기일제사를 지내야하는 분들의 문의가 많으신대요, 최근에는 사찰에 기일제사를 맡기는 분들이 점차늘어나고 있는 경향입니다.

제사 지내는 방법과 순서 “제사상차림, 제사음식과 제사상차리는 법”

[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용인시 예절교육관은 ‘제사 지내는 방법: 전통 제례 예절’을 공개했다. ‘제사’란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전통 의식으로 제사에는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즉 기일에 치르는 기제사와 명절 때 치르는 차례를 주로 지낸다고 밝혔다.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를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정도로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다. 어떤 집은 제사 음식을 미리 차려두고 절차를 진행하기도 하고, 어떤 집은 찬 음식은 미리 차리고 후에 뜨거운 음식(국, 고기, 생선, 국, 떡 등)을 내오기도 한다. 밥뚜껑을 여는 시점도술을 다 올리고 열기도 하고 술을 올리면서 여는 경우도 있다. 여자가 네 번 절하기도 하지만, 남자와 같이 두 번 절하기도 하고, 아예 여자가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집안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제사의 방법을 소개하며, 평소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과 다를 경우에는 집안의 방법을 따르기를 권한다.

<제사 지내는 시간>

기제사는 전통적으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지냈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렇게 되면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보통은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이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祭主)라고 하고,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한다.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한다. 다음 영상은 ‘초헌’이라는 절차를 보여준다. 영상 후에는 대체적인 제사의 절차를 나열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초헌과 같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 술을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이를 삽시정저(揷匙定箸)라고 한다.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한다.

8. 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11. 철상 : 제사 음식을 물린다. 뒤에서부터 차례로 한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제사음식>

① 젯메(飯(반)) :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② 갱(羹) 또는 메탕(飯湯(반탕)) :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③ 삼탕(三湯) :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④ 삼적(三炙) :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 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 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에 사는 생선을 아래 놓고, 땅 위에서 네 발로 다니는 짐승을 중간에 놓고, 가장 위에는 하늘을 나는 짐승인 새 대신 날개 있는 닭을 놓는 것이다. 닭 대신 꿩을 굽기도 한다. 말하자면 하늘과 땅, 바다라는 우주의 이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며 산해진미를 다 차린다는 뜻을 지닌다. 적틀은 가로 24cm, 세로 15cm 정도의 장방형이다.

⑤ 소적(素炙) : 삼적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두부를 크게 저며서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따로 한 그릇을 담는다.

⑥ 향적(香炙) : 파, 배추김치, 도라지, 다시마 등을 길게 썰어서 꼬치에 넓적하게 꿰어 밀가루즙을 묻혀서 기름에 지진다. 여러 장을 겹쳐서 썰어 한 그릇에 담는다.

⑦ 간납(肝納) : 전유어를 말하는데 대구, 명태 등의 흰살 생선을 얇게 떠서 전을 지진다.

⑧ 포(脯) : 육포, 어포 등을 놓는다. 보편적으로는 북어포를 입 끝과 꼬리 부분을 잘라 내고 머리가 동쪽에 가도록 놓는다. 동해안 지방에서는 오징어를 놓기도 하고, 남쪽 지방에서는 대구포나 상어포를 올린다.

⑨ 해(醢) : 식혜의 밥알만 건져 제기 접시에 담고 위에 대추 조각을 얹는다. 젓갈 식해를 담던 풍습이 변한 것이다.

⑩ 숙채(熟菜) :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나물(흰색)을, 고사리나 고비나물(갈색), 청채는 시금치(푸른색)를 삶아서 무친다. 한 접시에 삼색을 어울려 담는다.

⑪ 침채(沈菜) : 무, 배추, 미나리로 고추를 넣지 않고 나박김치를 담근다. 제물에는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쓰지 않고 고명을 얹지 않는다.

⑫ 편(餠(병)) : 시루떡인 메편과 찰편을 높이 고이고 위에 경단, 화전, 주악 등의 웃기떡을 올린다. 시루떡의 고물로는 거피팥, 녹두, 깨고물 등을 쓰며, 붉은색 팥고물은 쓰지 않는다. 시루떡은 편틀 크기에 맞추어 썰어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올리면서 쌓는다. 편틀의 가장 아래에 메편을 놓고 위에 찰편을 놓은 다음 웃기떡을 올린다.

⑬ 과(果) : 대추, 밤, 감, 배,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자료=네이버 설 정보>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 음식을 제수(祭需)라 부르며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다수가 차리는 제사 음식을 가지고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나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 등을 신위라고 부른다. 제수에는 신위 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아닌 것이 있다. 제사는 조상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상차림에 비유하면 개인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이다.

신위 별로 준비할 것으로 밥, 국, 숭늉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한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한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는다.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는다.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푼다.

신위 수와 무관한 것으로는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이 있다.

제사상 차리는 법으로 제사상은 보통 5열로 차린다. 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본다. 따라서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데,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식사류인 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 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간다.

01. 설위(設位) 참사자(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순서에 의해 제수를 진설하고 참사자가 배열해 선다.

02. 취신위(就神位) 지방이나 사진을 교의에 모신다.

03. 분향(焚香)강신(降神) 신위께서 강림(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제주(祭主)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꿇어앉아 분향하고 잔이 차지않게 따른 술잔을 우집사 (右執事 = 대개 제주의 子姪이함)로부터

받아서 모사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부은 후에 빈 잔은 우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

04. 참신(參神) 참신은 강신을 마친 후에 제주 이하 일동이 일제히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신주(神主)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05. 초헌(初獻)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앉아 분향한 후 좌집사로 부터 받은 잔에 우집사가 술을 가득히 부어주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번에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이를 받들어 먼저

고위(考位)앞에 올린다. 다음으로 비위앞에 올리는 잔은 모사에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받아서 올리고

저를 고른 후에 재배한다.

06. 독축(讀祝)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하며 초헌 후에 일동이 꿇어앉으면 제주옆에 앉은 축관이 천천히 크게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나면 일동은 기립하여 재배한다. 독축은 초헌에 한한다.

07. 아헌(亞獻) 둘째번 잔을 올리는 것을 아헌이라 하며 주부[주부는 재배가 아닌 사배(四拜)]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제주 다음의 근친자가 초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릴 수도 있다.

08. 종헌(終獻) 아헌자 다음가는 근치자가 끝잔으로 올리는 것을 종헌이라고 하는데, 종헌자는 잔을 받아서 초헌 때와 같이

모사에 세번 기울였다가 올린다.

09. 계반삽시(啓飯揷匙) 메 그릇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서 이때 수저 바닥이 동쪽(신위를 향해 선 제주의 오른편)으로

가게하여 꽂는다.

10. 첨작(添酌) 초헌자가 신위 앞에 꿇어앉아 우집사가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주면 받아서 좌집사에게 준다.

좌집사는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종헌때 모사에 기울였기 때문에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하고

재배한다. 첨작을 유식(侑食)이라고도 한다.

11. 합문(闔門)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강림하신 신위께서 진설한 제주 음식을 흠향 하시도록 한다는 뜻으로 방에서 나온 후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에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뜰 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기다린다.

12. 개문(開門) 개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는 문을 열기전에 우선 기침을 세 번하고 난 후에 문을 열고 들어간다.

13. 헌다(獻茶)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린 다음 수저로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저(著)를 고르고 난 후에 참사자 일동은

잠시 읍(揖)한 자세로 있다가 제주의 기침 소리에 따라서 고개를 든다.

14. 철시복반(撤匙復飯) 철시복반이란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둔 다음 메 그릇에 뚜껑을 닫는 것을 말한다.

15.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은 재배한 다음 신주는 본래의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불사른다. 즉 신위와 작별을 뜻하는

것이다.

16. 철상(撤床) 모든 제수를 물리는 것을 철상이라 하며 제수는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기제사 지내는 순서 이렇게

반응형

어떤 집안을 보면 제사가 많아서 며느리가 고생한다는 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제사들을 칭하는 명칭이 기제사인데 명절에 지내는 차례와 기제사는 뭐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모두 하나같이 조상님을 위한 제사인데 얼핏보면 허례의식으로 보입니다.

기제사 지내는 순서

그렇지만 이런 의식들을 모두 허례의식으로 치부하기 전에 기제사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기제사 지내는 순서를 알게 되면 그 의미에 대해 더욱 분명히 알게 될 것입니다.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 또는 휘일이라고 합니다.

이후 일 년 후부터 매년 이 날 지내는 제사를 기제사라고 하며 우리가 보통 매해 지내는 제사가 바로 기제사입니다. 제사를 지내는 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시에 시작해서 닭이 울기 전 끝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기시는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입니다.

보통 4대 고조부모까지 모시는 것 또한 기제사의 원칙입니다. 과거엔 시간을 지켜 제사를 지냈으나 요즘은 시간은 별로 구애받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2대 봉사로 줄이거나 특정한 날에 한꺼번에 지내기도 하는 등 여러 변화가 있습니다. 기제사 지내는 순서를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상차림을 해야 하는데, 보통은 향교에서 하는 방식대로 합니다. 상차리는 순서는 제일 앞 줄에 과일을 놓고 대추, 밤, 배, 사과 등의 과일이 올라갑니다. 고인이 생전 좋아하셨던 과일을 올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줄엔 삼색나물, 콩나물, 생채 등의 반찬이 오르고 북어포나 대구포, 오징어포 등도 함께 올립니다. 세번째줄에는 촛대가 오르고 탕 종류가 함께 합니다. 네번째 줄에는 전이나 적이 올라갑니다. 다섯번째 줄에는 수저와 국 그리고 밥이 올라갑니다.

지방까지 올라가면 상차림이 완료됩니다. 먼저 집 현관문을 열고 병풍을 세워 제사상을 살피며 제사 준비를 완료합니다. 현관문을 열어둠은 조상신이 올 수 있게 도우려는 의도입니다. 이후 신을 모실 때에는 제주 혼자 앞서 나가 무릎을 꿇고 향을 세번 올립니다.

제사상에 준비해둔 잔에 순을 따릅니다. 제주는 이 잔을 모사 그릇에 3번 붓고 두 번 절을 합니다. 그 다음엔 제주 이하 모든 참석자가 재배를 올립니다. 왼쪽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오른쪽 집사가 따르는 술잔을 왼쪽 집사에게 주고 왼쪽 집사는 다시 잔을 제사상에 올리게 되는데 이를 초헌이라고 합니다.

제주 이하 모든 참석자는 무릎을 꿇고 앉아 있고 한 사람이 축을 읽습니다. 그러면 다시 제주가 두 번 절을 하지요. 이를 독축이라 하고 아헌에서는 두 번째로 잔을 다시 올리고 아헌을 했던 사람이 재배를 합니다.

종헌도 아헌과 비슷하며 잔을 올리고 종헌을 했던 사람이 재배를 합니다. 주부가 밥과 탕 그릇의 뚜껑을 열고(개반) 주부가 시접에 있는 숟가락은 밥그릇에 젓가락은 시접 위에 걸쳐 놓습니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왼쪽을 향하게 두고 재배를 하는데 이 절차를 ‘삽시’라고 합니다.

이후 이어지는 절차는 ‘합문’으로 조상님이 진지를 드시는 시간입니다. 이때 참석자들은 모두 등을 지고 잠시 시간을 갖습니다. 제주가 기침을 하며 다시 시작하며 모두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 ‘개문’입니다. ‘헌다’를 할 때에는 국그릇을 제사상에서 내리고 숭늉을 올리거나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습니다.

숟가락은 서쪽을 향하도록 하고 2분 가량 머리를 숙인 후 축관이 기침을 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수저를 거두고 그릇의 뚜껑을 닫으며 조상을 다시 보내는데 이때 모두가 재배하고 지방 및 축문을 불태웁니다. 이 행위를 ‘사신’이라 칭하는데 이로서 기제사 지내는 순서가 끝납니다.

기제사 지내는 방법에 있어 흔히 제사를 지낼 때 많은 음식과 제수를 차려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모든 기제사는 본인의 형편에 맞춰 정갈하고 진실되게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사는 보통 제주의 가정에서 드리고 대청이나 방 한 곳에 제상을 차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주는 고인의 장자 또는 장손이 하고 장자나 장손이 없을 경우 차자 또는 차손이 제사를 주관합니다. 또한 제수의 진설은 각 지방의 관습에 따라 가문의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 말라’는 말이 있을 정도죠.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는 기제사는 밤에 그 날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를 위한 것이지만 차례는 낮에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는 것입니다.

또한 기제사는 술을 세 번 올리지만 차례는 한 번만 올리고 기제사만 갱물을 올립니다. 갱물은 숭늉이나 물에 말은 밥을 말합니다.

또한 기제사는 반드시 축문을 읽지만 차례에는 없고 기제사는 합문과 계문을 하지만 차례에서는 하지 않는 것도 큰 차이입니다. 기제사 지내는 순서를 보면 어려운 말도 없고 절차 역시 복잡해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보살핌을 바라는 자손들의 정성의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대가 변하더라도 이런 마음과 절차만은 가능한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 저의 바람입니다.

반응형

기제사(忌祭祀)의 순서

728×90

안녕하세요

기제사는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祭祀)입니다.

기제사의 순서는 집집마다 다른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제사의 순서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1. 분향재배(焚香再拜)

제주가 제상 앞에 정중하게 무릎을 꿇고 공손하게 두 손으로 향불에 분향을 한 뒤 절을 두 번 한다.

2. 강신재배(降神)

강신이란 신위(神位)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손을 모아 서 있고,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집사자가 술을 술잔에 차지 않도록 조금 따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 돌려보내고 일어나서 2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 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라 한다.)

3. 참신(參神)

참신이란 강신을 마친 후 제주 이하 모든 참신자가 함께 2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지방(紙謗)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4. 초헌(初獻)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 후 집사자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잔에 술을 따르면 제주는 강신할 때와 같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서 제상에 올린다.

[먼저 고위(考位, 아버지의 위) 앞에 올린다.]

5.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가 무릎을 꿇고 부복하며, 축관은 앉아서 엄숙한 목소리로 축문을 읽는다. 읽기가 끝나면 잠시 후 일어나며 제주는 절을 두 번한다.

6. 아헌(亞獻)

아헌이란 2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2번째 잔은 주부가 올리는 것이 예의이지만 올리기 어려울 때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주부가 올릴 때에는 4번 절한다.)

7. 종헌(終獻)

종헌이란 3번째 올리는 잔을 말하는데, 종헌은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의 예절과 같이 한다.

집안에 따라서는 아헌과 종헌 때에도 적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8. 계반삽시(啓飯揷匙)

계반삽시란 메(밥)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하는데 수저는 동쪽을 향하게 꽂는다.

(수저 바닥이 동쪽을 향하게 하여 꽂는다.)

9. 유식

첨작(添酌)이라고 하는데 첨작이라 함은 종헌자가 채우지 않은 술잔에 제주가 무릎을 꿇고 다른 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좌, 우측 사람을 통하여 술을 채우도록 한다.

10. 합문(闔門)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이나 마루에서 조용히 기다린다.(대청일 경우에는 뜰아래로 내려선다.) 합문 시간은 밥을 9번 떠먹을 동안의 시간

11. 계문

계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하고 일동을 데리고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메(밥)을 조금씩 3번 떠서 말아 놓고 정저 한다. 이때, 메에 꽂아 놓은 숟갈을 숭늉 그릇에 반드시 담가 놓는다.

13. 철시복반(撤匙復飯)

철시복반이란 숭늉 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14.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이 2번 절하고 신주일 경우에는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

15. 철상(撤床)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하는 데, 모든 제수(祭需)는 뒤에서 물린다.

16. 음복(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또한 친족과 이웃에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을 모셔다 대접하기도 한다.

※ 제기를 구매할 때, 아주 얇은 책자가 하나 딸려서 왔는데, 출처가 적혀있지 않아 출처를 적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728×90

제사 지내는 순서 알아보자

저도 매년 할아버지 기일 과 명절때마다 제사를 지내지만 제사 지내는 순서 가 헷갈립니다. 요즘시대는 사는게 바쁘다보니 가까운곳에 있어도 친척들끼리 얼굴한번 보기가 쉽지가 않죠. 1년에 몇번 안모이 자리인대 그래도 지킬수 있는건 지키면서 조금은 격식을 차리는것도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확한 순서를 아셔야 하는대요. 진행을 하는사람이 우왕좌왕 하시면 다들 모인자리가 가벼워질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제사 지내는걸 넘겨받으신 분들은 굳이 안외우시고 보시면서 하셔도되니 첫제사이니 만큼 제사 지내는 순서 를 지키셔야 합니다.

총 12개의 절차를 따라 주시면 되는대요. 하나씩 보도록하죠.

1. 마음을 정돈하고 문열어놓기

옷을 갖춰입고 ,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그리고 조상님이 오시도록 문을 열어 놓습니다. 진행하시는 분은 몇시부터 시작을 하겠다고 미리 말씀해 주시는것도 좋아요.

2. 강신

조상님 혼백을 부르고 모시는 절차입니다. 제주 가 이걸 해주셔야 하는대요. 보통 첫째가 이역활을 합니다. 가족분들은 모두 서있는 상태에서, 제주를 하시는 분이 제사상 앞에 무릎을 꿇고 향3개를 불을붙여 향에 꽂아줍니다. 그리고 두번절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술을 따라야 하는대요. 이때는 집사역활이 필요한대 둘째가 하거나 막내가 하면 됩니다. 딱히 규정된 바는 없습니다. 제주님이 무릎을 꿇고 술잔을 짚으면 집사가 술을 반정도 따릅니다. 그리고 쌀을넣은 술잔에 부으신후, 절을 두번합니다.

3.참신

이제 가족 모두가 절을 두번합니다. 조상님께 인사하는 시간이에요.

4. 초헌

조상님이 식사를 하는 절차 입니다. 제주가 무릎을 꿇고 제사상에 있는 술잔에 술을 채우신후에 절을 두번합니다. 집사님은 젓가락을 음식에 올려놔 주시면 됩니다. 그런뒤에 밥공기 뚜겅을 열고 숟가락을 밥에 꽂아줍니다.

5. 축문

조상님에게 감사함을 전달하는 시간입니다. 간단하게 묵념을 하셔도 되구요. 기도를 하셔도 됩니다. 생략해도 크게 상관없는 절차입니다.

6. 아헌

두번째 잔을 드리는 절차인대요. 정해진 순서는 없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잔을 올리고 싶으신 분들은 올리시면 됩니다.

7. 종헌

마지막잔 을 올리는 절차입니다. 잔을 반이상 따라서 제사상에 올립니다.

8. 갱

밥을 다드신후에 숭늉을 드시는 절차 입니다. 밥한숫갈 정도를 숭늉에 세번정도 나눠서 넣은후에 저어줍니다. 그리고 숭늉그릇 옆에 숫가락을 놓은후에 무릎꿇고 조상님이 드시는걸 기다립니다. 1~5분 정도.

9. 철상

상을 거두는 절차 입니다. 밥뚜겅을 닫고 수저를 거두어 주세요. 그리고 가족모두가 절을 두번하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축문을 태웠는대요. 요즘은 생략하는게 보통입니다.

10. 음복

마지막 제사 지내는 순서 입니다. 제사에 올린음식을 가족들과 나누어 먹습니다.

요즘은 명절에 제사를 간소화하고 아예 지내지 않으신 분들도 많은거 같습니다. 매년마다 이것 때문에 갑록을박이 벌어지곤 하는대요. 아무래도 시대의 흐름이겠죠. 살아계셨을때 잘하는게 진리입니다. 그리고 지내시더라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가족들과 뜻깊은 시간을 보낸다고 생각을 하시면 마음이 조금 편해지실 겁니다. 1년에 한번에서 두번보는 그시간은 달리보면 의미있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제사 지내는 순서 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기일 제사 순서

다음은 Bing에서 기일 제사 순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 기일제사
  • 기일제사지내는법
  • 기일제사순서
  • 기일상차림
  • 기일제사상차림
  • 기일제사시간
  • 기제사시간
  • 기일제사계산방법
  • 기일계산방법
  • 기일뜻
  • 상조
  • 후불제상조
  • SN라이프상조
  • 화장전문상조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YouTube에서 기일 제사 순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일제사 지내는법 , 기일제사 순서 , 기일제사 상차림 , 기일 계산방법 , 기제사 시간 | 기일 제사 순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