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SBS 뉴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99회 및 좋아요 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국내 동물용의약품등 시장규모가 1조 3천여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가 7일 발표한 2021년 동물용의약품등 생산·수출·수입실적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 3,48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동물용 의약품 시장이 빠른 성장을 보이면서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동물용 의약품 집적화 단지가 익산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 인근에 추진되고 있습니다.
김진형 기자입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id=N1006593001

#SBS뉴스 #의약품 #동물용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email protected]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국내 동물약품 내수 시장 규모 약 8500억원…800여개 업체가 …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곽형근)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 규모(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 포함)는 총 1조 2370억 원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dailyvet.co.kr

Date Published: 3/9/2021

View: 9395

2021년 동물약품 산업동향과 시장전망 – 피그앤포크한돈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2020년 총 1조2,370억원 수준(전 세계 시장의 약 2%)이며, 이 중 국내 생산이 8,532억원, 수입이 3,838억원이고, 국내 생산 8,532억원 …

+ 더 읽기

Source: www.pignpork.com

Date Published: 6/19/2021

View: 6807

품목 > 동물용의약품 –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동물약품 시장동향. 업체현황 품목현황 국내시장 세계시장. 2020.11 변경이력. □ ’19년 기준 동물용의약품 175개소, 동물용의약외품 269개소, 동물용의료기기 403개소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ati.net

Date Published: 11/28/2021

View: 3544

동물 의약품 시장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그림 2-1] 글로벌 동물 의약품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 Mordor Intelligence Pvt Ltd, Veterinary Medicine Market, 2020. □ 전 세계 반려동물용 특수 의약품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innopolis.or.kr

Date Published: 11/9/2021

View: 4351

[2021년 동물약품산업 현황] 한국동물약품협회 – 데일리개원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가 지난 3월 7일 ‘2021년 동물용의약품 등 생산·수출·수입 실적’ 결과를 발표,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dailygaewon.com

Date Published: 7/13/2022

View: 9507

지난해 동물용의약품 수출액 21.5% 증가 – 농민신문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는 2021년 동물용의약품등 생산·수출·수입실적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3481억원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nongmin.com

Date Published: 4/23/2021

View: 8787

동물약품 시장규모 1조 3000억 돌파 – 축산경제신문

한국동물약품협회가 지난 7일 발표한 2021년 동물용의약품 등 생산·수출·수입실적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 3481억원으로 전년 대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hukkyung.co.kr

Date Published: 10/27/2022

View: 9948

반려동물 시장 급성장… 동물의약품 산업 수출도 넘본다 – IT 조선

협회 측은 “지난해 코로나19 등 악재 속에서도 동물용의약품 내수시장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조7694억원인 국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가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it.chosun.com

Date Published: 12/14/2022

View: 41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 Author: SBS 뉴스
  • Views: 조회수 999회
  • Likes: 좋아요 9개
  • Date Published: 2022. 1. 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Ic8VW49nsk

소통하는 수의사신문 데일리벳

등록 : 2022.03.07 15:20:36 수정 : 2022.03.07 15:25:46 이학범 기자 [email protected]

국내 동물용의약품등 시장규모가 1조 3천여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가 7일 발표한 2021년 동물용의약품등 생산·수출·수입실적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 3,48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동물용의약품과 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를 포함한 실적이다.

내수시장은 9,229억원(국내생산 5,177억원, 수입 4,052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으며, 수출 규모는 4,252억원(3.7억불)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했다.

내수시장의 경우,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27.4%), 원료(22.8%) 등이 증가했지만, 외피작용약(-5.4%), 호흡기계작용약(-5.2%)은 감소했다.

수출시장 역시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38.6%)의 증가율이 돋보였다. 또한, 비뇨생식기계작용약(36.9%), 의약외품(35.4%) 등이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스페인, 브라질, 인도, 멕시코 순으로 수출액이 늘었다.

한편, 2021년 말 기준 국내 동물용의약품 업체 수는 총 1,015개, 품목 수는 18,679개였다.

특히, 반려동물용 동물용의약품 신고품목 수가 2020년 555건에서 2021년 636건으로 14.6% 증가한 것이 큰 특징이다.

업체 수(1,015) : 제조(536), 수입(463), 위탁수리(16)

품목 수(18,679) : 제조(12,761), 수입(5,918)

한국동물약품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원료단가 상승, 물류난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도 동물약품 산업이 성장으로 반등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2020년 코로나19로 정체됐었던 수출 실적이 21.5%로 크게 증가한 것은 민관이 힘을 합쳐 해외시장 개척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수출지원 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공유하기

소통하는 수의사신문 데일리벳

등록 : 2021.05.17 10:55:12 수정 : 2021.05.17 11:05:05 이학범 기자 [email protected]

2020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동물약품 시장 규모는 약 1조 237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을 제외한 내수 시장 규모는 약 8,500억원으로 크지 않은데, 무려 800여개 업체가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적극적인 세계 시장 진출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체 시장 규모 1조 2370억원

국내 시장 8,532억원 중 내수 5,033억원…연평균 성장률 7%

“한계에 다다른 내수시장”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곽형근)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동물용의약품 시장 규모(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 포함)는 총 1조 2370억 원이며, 이 중 국내 시장규모는 8,532억원(내수 5,033억, 수출 3,499억), 완제 수입금액은 3,838억원이었다.

국내 시장규모는 2013년(5,057억원)부터 2020년(8,532억원)까지 8년간 연평균 7%씩 성장했다.

2020년 국내 내수 시장의 국산제품과 수입제품의 점유율은 57대 43이다. 2007년의 69대 31에서 국산제품 점유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동물약품협회 측은 “현재 동물용의약품 내수시장은 약 8,500억원 정도의 시장규모로 그리 크지 않은 데 비해 약 800여개의 업체가 치열하게 시장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여기에 다국적기업들의 본격적인 국내 진출, 사료첨가제 시장 축소, 동물용의약품 사용에 대한 규제 강화 등으로 내수 시장은 한계에 다다랐으며 업체 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동물용의약품, 동물용의약외품, 동물용의료기기 시장규모를 각각 제조와 수입으로 나누어 분석하면 동물용의약품 제조시장이 가장 크고, 동물용의약외품 수입시장이 가장 작다.

2020년 말 기준, 동물용의약품 제조 규모는 약 5,594억원, 동물용의약품 수입 규모는 약 3,190억, 동물용의약외품 제조 규모는 약 674억, 동물용의약외품 수입 규모는 약 227억원이었다.

동물용의료기기의 경우 제조 815억원, 수입 421억원을 나타냈다.

제조업체 총 477개, 수입업체 총 441개

총 17,573개 품목허가

2020년 말 기준, 동물용의약품·의약외품·의료기기 업체 현황을 보면, 제조업체는 477개소(동물용의약품 60개, 의약외품 164개, 의료기기 253개), 수입업체는 441개소(동물용의약품 112개, 의약외품124개, 의료기기 205개)였다.

허가 품목 수는 동물용의약품(원료포함) 8,819개 품목, 동물용의약외품 5,787개 품목, 동물용의료기기 2,967개 품목의 총 17,573개 폼목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수치다.

참고로, 안전성·유효성에 문제가 없다고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인정하여 한국동물약품협회에 신고를 필한 품목은 9300개 품목으로 2019년에 비해 1.8% 증가했다.

“정체된 국내 시장, 수출로 해결해야”

최근 5년간 연평균 수출 증가율 5.0%

한편, 한계에 다다른 내수시장과 갈수록 치열해지는 업체 간 경쟁을 수출시장 개척을 통한 새로운 시장 확대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와 협회의 생각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2013년부터 동물용의약품산업 종합지원사업을 추진하고, 2016년에는 수출주도형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대책을 마련해 수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 기업은 2020년 1년 동안 114개 국가에 1,269개 품목을 수출했다(3,499억원).

베트남(14.6%), 태국(9.3%), 브라질(8.8%)로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전제 품목 중 원료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42.6%). 약효별로는 대사성 약품(19.2%)이 가장 많이 수출되고 있으며, 동물용의료기기 수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동물약품협회 정병곤 상근부회장은 “국내 생산액은 전 세계 동물약품 시장의 약 3% 이하에 머물고 있다”며 “동물약품 산업 발전을 위해서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유하기

2021년 동물약품 산업동향과 시장전망

하반기 이후 수출증가 추세, 내년부터 예년 수준의 성장세 회복 기대

1. 동물약품 개요

먼저 동물용의약품은 동물 질병의 진단·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 등을 말하며, 용도별로는 소, 돼지, 닭, 오리 등 산업동물 및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 외에 양봉용·양잠용 및 수산용도 포함되며, 분류상으로는 약품 그 자체와 애완용 세척제 등 제품과 소독약품, 비타민제 등 의약외품, 의료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동물약품은 동물의 치료 등의 목적 외에도 동물에서 사람으로의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 전파 예방, 인류에게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바 국민건강 보호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요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2. 동물용의약품 산업현황

우리나라 동물약품산업은 2020년 말 기준 업체수는 총 931개소로 제조업체 477개소, 수입업 441개소, 위탁수리 3개 업체이며, 제품별로는 동물용의약품 제조업체가 174개소, 소독약 등 동물용 의약외품 제조업체가 288개소, 동물용 의료기기 업체가 469개소를 차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산업 성장 등으로 매년 업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림 1) 국내 동물용의약품 산업현황

또한 2020년 말 기준 허가(신고 포함)된 동물약품 품목수는 동물용의약품이 8,819품목, 의약외품이 5,871품목, 의료기기가 2,972품목으로 총 17,608종이나 되며, 품목수 역시 반려동물용 의약외품 및 기기 등을 중심으로 매년 증가 추세이다.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2020년 총 1조2,370억원 수준(전 세계 시장의 약 2%)이며, 이 중 국내 생산이 8,532억원, 수입이 3,838억원이고, 국내 생산 8,532억원 중에서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내수용이 5,033억원, 수출이 3,499억원이다.

연도별 국내 생산시장(내수+수출)은 2014년 5,661억원에서 2020년에는 8,532억원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출은 2020년 86개 회사가 114개국에 수출한 바 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14,6%), 태국(9.3%), 브라질(8.9%) 순으로 여전히 아시아권에 주로 치중하고 있으며, 수출액은 2014년 1,095억원에서 2018년 3,197억원으로 2014~2018년 평균 13%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 왔으나, 아쉽게도 2019년도부터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2020년도에도 3,499억원(내수의 41%)에 머물렀다.

3.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산업동향

금년 동물약품 산업을 현재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분석하기는 이르나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예년에 비해 성장률은 다소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기준 내수시장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수출은 코로나19 이후부터 금년 상반기까지는 운송차질 등으로 예년 수준이었으나 올 하반기부터는 원료, 화학 제제, 백신, 의료기기 모두 증가세로 돌아서고 있어 금년 말에는 상당한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다(2021년 공식 통계는 2022년 2월경 발표 예정).

4. 향후 동물약품 시장전망

세계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2008년 191억불에서 연평균 6%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23년에는 3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3%, 유럽이 31%, 남미가 13% 순이며, 축종별로는 소, 돼지, 닭 등 산업동물용이 62%, 기타 반려동물 등이 38%이다. 품목별로는 항생제 등 화학 제제가 58%, 백신 등 생물학적 제제가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동물약품 분석 전문업체(Vetnosis SRROM) 등에 따르면, 세계 동물약품 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성장 가능 요인으로는 소 등 산업동물 분야는 아직도 전 세계 인구의 10% 정도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고, 경제 성장에 따른 추가적인 단백질 공급을 위해 가축 사육두수의 증가가 불가피하며, 여전히 질병 및 폐사로 인한 가축 손실이 약 20%나 된다는 점, 그리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새로운 질병의 지속적 발생 및 전 세계적인 확산 등을 들었다. 반려동물 분야는 반려동물수(가구)가 증가되고 있고, 반려동물의 수명 연장에 따른 만성질병 치료 및 건강관리 등을 위한 오너의 지출액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국내 동물약품 시장은 산업동물의 경우 사육두수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예년 수준의 성장(2014∼2018년 평균 8%)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으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및 ASF 등 악성 가축전염병 발생, 전 세계적인 항생제 사용 감축 경향 등은 성장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려동물용 의약품은 반려동물수의 증가, 고령화 등에 따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수출은 2019년 이후 코로나19, 수입국의 무역 장벽 등으로 인해 정체 상태였으나, 금년 하반기 이후 조금씩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금년 말부터는 그동안 중단했던 해외 전시회 참가 등 수출지원사업도 공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업계들도 적극적인 바 내년부터는 예년의 성장세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정은 부장

(사)한국동물약품협회

▣ 문의사항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글쓴이 메일로 문의바랍니다.

글쓴이 e-mail : [email protected]

▣ 출처

피그앤포크한돈 2021년 12월호 324~327p

KATI 농식품수출정보

한국동물약품협회 바로가기

* KATI의 동물용 의약품 관련 정보는 (사)한국동물약품협회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자료에 대한 추가 문의는 협회 기획처(031-707-2470)로 부탁드립니다.

[2021년 동물약품산업 현황] 한국동물약품협회

국내 동물약품시장 1조3,481억 전년대비 10%↑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가 지난 3월 7일 ‘2021년 동물용의약품 등 생산·수출·수입 실적’ 결과를 발표,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3,481억 원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다.

내수시장은 9,229억 원(국내생산 5,177억+수입 4,052억원)으로 전년대비 5.5% 성장했으며, 수출은 4,252억원(3.7억불)으로 전년대비 21.5%나 증가했다. 내수시장은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27.4%), ‘원료’(22.8%) 등이 증가한 반면, ‘외피작용약’(-5.4%), ‘호흡기계작용약’(-5.2%) 등은 감소했다.

수출시장은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38.6%) △비뇨생식기계작용약(36.9%) △의약외품(35.4%) 등이 증가했으며, 국가별로는 스페인, 브라질, 인도, 멕시코 순으로 수출액이 증가했다.

2021년 말 현재 국내 동물약품 업체 수는 총 1,015개, 품목 수는 18,679개로 집계됐으며, ‘반려동물용 동물용의약품’ 신고품목 수는 ‘20년 555건에서 ’21년 636건으로 14.6% 증가했다. <편집자주>

저작권자 © 데일리개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동물용의약품 수출액 21.5% 증가

진단키트·의료기기 38.6% 증가

지난해 동물용의약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21.5% 증가한 4252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동물약품협회(회장 정병곤)는 2021년 동물용의약품등 생산·수출·수입실적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지난해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3481억원 수준으로 1조2248억원을 기록한 2020년보다 10% 증가했다. 이 가운데 국내 생산액은 9429억원, 수입 완제품은 4052억원을 차지했다. 원료·완제품 수출액은 국내 생산액의 45%에 해당하는 42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수출액인 3499억원에 견줘 21.5% 증가한 수치다.

품목별로는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38.6%), 비뇨·생식기계 작용약(36.9%), 의약외품(35.4%) 순으로 수출이 증가했으며, 국가별로는 스페인·브라질·인도·멕시코 순으로 수출액이 증가했다.

한국동물약품협회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원료단가 상승, 물류난 등으로 2020년 정체됐던 수출이 지난해 크게 반등한 것은 민관 합동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라면서 “앞으로도 보다 다양한 수출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규희 기자 [email protected]

동물약품 시장규모 1조 3000억 돌파

수출 21% 증가 괄목 성장

반려동물용 갈수록 인기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지난해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가 1조 3000억 원을 넘어섰다. 동물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5% 증가한 4252억 원으로 집계되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이뤄냈다.

한국동물약품협회가 지난 7일 발표한 2021년 동물용의약품 등 생산·수출·수입실적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 348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내수시장은 국내 생산 5177억 원, 수입 4052억 원 등 총 92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성장했다. 수출은 42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했다.

내수시장은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27.4%), 원료(+22.8%) 등은 증가한 반면, 외피작용약(-5.4%), 호흡기계작용약(-5.2%) 등은 감소했다.

수출시장은 진단키트 및 의료기기(+38.6%), 비뇨생식기계작용약(+36.9%), 의약외품 (+35.4%) 등이 증가했다. 국가별론 스페인, 브라질, 인도, 멕시코 순으로 수출액이 늘었다.

특히 반려동물용 의약품 신고 품목 수는 2020년 555건에서 2021년 636건으로 14.6%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정병곤 동물약품협회장은 “코로나19, 원료가격 상승, 물류난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도 동물약품 산업이 성장으로 반등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특히 코로나로 정체됐던 수출이 지난해 21.5%나 증가한 것은 민관이 힘을 합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결과인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수출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동물용의약품 업체수는 2021년 말 기준 총 1015개, 품목수는 1만8679개였다 .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려동물 시장 급성장… 동물의약품 산업 수출도 넘본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관련 의약품 시장도 덩달아 커져가는 양상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반려동물 관련 의약품 내수시장과 수출 규모도 늘어나, 자연스럽게 동물의약품 관련 유관된 기관과 제약사들이 산업 발전을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동물약품협회가 ‘2022년 동물약사 업무 워크숍’을 개최했다. 협회 측은 “지난해 코로나19 등 악재 속에서도 동물용의약품 내수시장은 전년 대비 5%, 수출은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며 “민관이 소통해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업계는 현재 동물의약품 산업이 중대한 전환기에 놓였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유행 후 재택근무 등이 자리잡으면서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조7694억원인 국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가 2027년에는 6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윤석열 정부도 산업동물뿐 아니라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 업계의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내세운 바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용의약품 산업 종합지원 사업’을 통해 국제 수준의 우수 제조품질 관리 기준을 마련, 동물약품 제조시설 기반을 확충하고 해외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특히 동물용의약품 개발부터 해외수출까지 산업의 전 주기별 맞춤형 기반 조성에 초점을 맞춘 사업들도 추진 중이다.홍기성 농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방역과장은 “신약개발과 산업화촉진을 위해 2023년까지 전북 익산에 ‘동물용의약품 효능·안전성 평가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며 “앞으로 정부는 국내 동물약품 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제도는 정비하고 내실 있는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안전성평가연구소(KIT)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도 최근 ‘첨단기술 기반의 반려동물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심포지엄’을 열여 동물의약품 개발 플랫폼 구축과 실용화 방안을 모색했다. KIT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은 동물의약품 소재 발굴과 효능평가를 통해 소재화한 약물을 대상으로 비임상연구(GLP)와 임상연구(GCP)의 검증을 거쳐 실용화(GMP)하는 플랫폼 구축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이다.이번 심포지엄에서 KIT는 ▲반려동물용 의약품 등록을 위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심사 가이드라인 ▲반려동물 의약품 개발 및 허가 프로세스 ▲반려동물 의약품 의약 소재 제제화 연구 등을 공유하고 반려동물 의약품 실용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이에 반려동물신약개발사업단은 반려동물 신약개발 전용 플랫폼을 구축해 후보 소재를 발굴하고 실용화해 선순환 연구생태계 조성과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제약업계도 반려동물 시장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 대웅은 서울대와 동물 의약품을 개발하고 합작회사를 세우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대웅과 서울대는 3년 안에 중간엽줄기세포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개와 고양이의 유전병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반려동물 등이 먹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도 출시할 방침이다. 이들 제품군을 토대로 반려동물의 생애 전 주기를 관리해주는 헬스케어업체를 세우는 게 목표다.앞서 대웅은 2015년부터 대웅제약 내 동물용의약품사업부를 신설해 관련 시장에 진출한 바 있다. 당시엔 수의사가 주도권을 쥔 동물의약품 시장에 약국 영업을 주로 하던 제약사들이 진출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았지만, 간기능 개선제와 구충제 등을 출시하며 사업 명맥을 유지해왔다.일동제약도 올해 반려동물을 위한 유산균과 관절 건강 영양제를 출시했으며, 광동제약 역시 반려견 영양제 브랜드 견옥고를 선보였다. 유한양행은 지난해 국내 첫 반려동물 인지기능장애 치료제 제다큐어와 사료 브랜드 윌로펫을 출시하는 등 동물의약품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동물의약품은 사람에게 사용하는 의약품과 유사해 신약 개발의 ‘테스트베드(시험 무대)’로 평가받는다. 특정 동물의약품이 의약품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면 사람을 위한 유사 의약품 개발 역시 빨라지기 때문이다.업계 관계자는 “반려동물 인구 증가에 따라 동물용 의약품 시장 고도화는 자연스러운 수순이다”며 “동물 의약품 신약이 개발될 수록 국내 제약환경도 덩달아 성장하는 만큼 다양한 기업과 기관들이 유관 사업에 투자를 적극 확대했으면 한다”고 말했다.김동명 기자 [email protected]

키워드에 대한 정보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다음은 Bing에서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 KOREA NEWS
  • Korean News
  • News Network
  • SBS
  • SBS NEWS
  • SBS 뉴스
  • SEOUL BROADCASTING SYSTEM
  • 대한민국 뉴스
  • 동물용
  • 러시아
  • 베트남
  • 브라질
  • 서울 방송
  • 에스비에스
  • 에스비에스 뉴스
  • 의약품
  • 전라북도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YouTube에서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동물용 의약품 국내시장 매해 7.6% 성장…집적단지 추진 / SBS | 국내 동물 용 의약품 시장 규모,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