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륜 행실도 |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이륜 행실도 –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874회 및 좋아요 6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륜 행실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 이륜 행실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광복 70주년 기념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캠페인

이륜 행실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이륜행실도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륜행실도. 언어; 주시 · 편집.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1518년 옥산서원본. 나랏말싸미.png, 이 문서는 옛 한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ko.wikisource.org

Date Published: 2/17/2021

View: 2668

이륜행실도 | 이미지 – 공유마당

저작물명: 이륜행실도 … 1518년(중종13)에 조신(曹伸)이 왕명에 의하여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이륜(二倫)을 지키도록 옛 사람 중에서 모범이 되는 사람을 뽑아 …

+ 여기에 표시

Source: gongu.copyright.or.kr

Date Published: 4/25/2021

View: 1431

이륜행실도 – YES24

현재 이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는 여러 가지 이본異本이 전하고 있다. 1518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원간본原刊本은 현재 경상북도 월성군에 있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yes24.com

Date Published: 12/13/2022

View: 8916

이륜행실도 – 도서 – 인터파크

『이륜행실도』는 이륜(二倫)인 장유유서(長幼有序)와 붕우유신(朋友有信)을 널리 가르치기 위하여 1518년(中宗13年)에 김안국(金安國)이 편찬(編纂) 언해(諺解)하여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book.interpark.com

Date Published: 7/8/2022

View: 6884

2018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7번 : ‘이륜행실도’가 간행된 중종 …

이륜행실도’가 간행된 중종 대의 역사적 사실. 조선 세종(1418~1450) 때에는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윤리와 의례에 관한 서적의 편찬 사업이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22/2022

View: 857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이륜 행실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이륜 행실도

  • Author: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 Views: 조회수 16,874회
  • Likes: 좋아요 65개
  • Date Published: 2015. 12.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YTDXF7nJQ8

소장품 검색: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에 만든 일종의 윤리 교육서로, 윗사람에 대한 예절[장유]과 벗 사이의 믿음[붕우]이라는 이륜(二倫)에 관해 모범이 되는 옛 사람들의 이야기를 엮었다. 책의 구성은 매 장마다 앞면에 그림을 삽화로 넣고, 뒷면에는 한문으로 해설과 함께 찬양하는 시를 적었다. 그림 윗부분의 여백에는 나중에 써 넣은 한글 번역이 쓰여 있다. 본 서에 수록된 인물들은 주원시대의 인물로, 형제(兄弟)·종족(宗族)·붕우(朋友)·사생(師生) 순으로 이루어져 있고 항목별로 보면 형제(25명);급수동사(伋壽同死), 복식분축(卜式分畜), 왕림구제(王琳救弟) 등. 종족(7명); 군량척처(君良斥妻), 공예서인(公藝書忍) 등. 붕우(11명);범장사우(范張死友), 누호양려(樓護養呂), 장상휼고(張裔恤孤) 등. 사생(5명);운상자해(云敞自劾), 양시입설(楊時立雪) 등이 있으며 후에 간행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의 원저가 되고 있다. 1730년(영조 6)에 강원도 감영에서 간행된 판본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이륜행실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군신 관계로 상징되는 국가 윤리와 부자·부부 관계의 가족 윤리를 제시해 주었던 『삼강행실도』의 보급 이후 이에 대한 보완으로 새로운 윤리 질서가 등장하였다. 이는 붕우(朋友) 간의 윤리와 장유(長幼)의 윤리로서 주로 향당(鄕黨)에서 행해지는 윤리 질서였다. 이것이 제기되어 구체화된 것은 중종대였다. 중종대는 조광조로 대표되는 사림이 도학 정치(道學政治)를 표방하면서 성리학적 이상 정치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시기였다. 이들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먼저 자신들의 세력 기반인 향촌 사회(鄕村社會)의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 중앙에서뿐 아니라 향촌 사회에서도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여 전 사회적인 범위에서 확고한 유교 이념을 이룩하는 것은 성리학적 이상 사회 성립에 가장 기본적이자 최종적인 목적이기도 하였다. 향약(鄕約)이 처음으로 전국에 시행되면서 일반 백성들의 생활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 데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

<『이륜행실도』>

1518년(중종 13)에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의 윤리를 진작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소학(小學)』과 『여씨향약(呂氏鄕約)』 보급에 힘쓰던 김안국은 새로운 윤리서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붕우유신(朋友有信), 장유유서(長幼有序)의 이륜이었고,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의 편찬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를 통해 앞서 『삼강행실도』와 함께 오륜의 윤리서가 완결되었다. 『이륜행실도』에는 중종대 사림의 윤리관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역대 명현(明賢)의 행적을 선별하여 형제도(兄弟圖)에는 종족도(宗族圖)를, 붕우도(朋友圖)에는 사생도(師生圖)를 첨가하였다. 그리하여 형제도에는 25명, 종족도에는 7명, 붕우도에는 11명, 사생도에는 5명으로 모두 48명의 명현이 수록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중국인으로 우리나라 사람은 한 명도 수록되어 있지 않다. 중종대는 앞서 『대학연의』의 이해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이 성리학의 경세 사상과 사회 사상이 조선 사회에 획 기적으로 전파되는 중요한 시기였다.

사림은 동료애와 이를 통한 연대를 매우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것은 붕우유신으로 형상화되었다. 붕우유신의 윤리는 사림이 훈구(勳舊)로 대표되는 기존 정치 세력과 대결하면서 정치권력을 장악해 가는 데 유용한 윤리 체계였다. 이와 함께 장유유서의 윤리도 강조되었다. 사림 사이에서 붕우유신이 수평적인 관계를 의미하였다면 장유유서는 수직적인 관계에서의 연대를 공고히 하도록 작용하였다. 장유유서는 나이에 의해 규정되는 인간관계를 설정하고 각각에 적합한 행위 규범을 제시하였다. 또 이는 향촌 사회에서 사림뿐 아니라 농민층과의 관계에서도 유효한 윤리 규범이 될 여지가 있었다. 재지 사족(在地士族)과 농민의 관계를 규정하게 될 때는 재지 사족 내부에서의 경우와 달리 나이 여하를 불문하고 재지 사족은 장(長)으로 농민은 유(幼)로 규정되었다. 이 점에서 이륜의 윤리 질서는 향당 윤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몽주손명(夢周殞命)>

1859년(철종 10)에 펴낸 『오륜행실도』 가운데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죽음을 당해 고려 왕조와 운명을 함께한 내용을 그린 부분이다. 중종대의 사림은 정몽주처럼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던 절의파를 심정적으로 계승한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사림은 향촌 사회에서 정치적·사회적 활동에 주력하였다. 처음부터 중앙 권력에서 어느 정도 배제된 상태였기에 그들은 향촌 사회에서 성리학적 교화 작업에 힘썼던 것이다. 중종대 사림은 고려 말에 조선 건국을 반대한 정몽주(鄭夢周), 길재(吉再)를 심정적으로 계승하는 절의파(節義派)의 후예로, 초기 중앙 관직에 진출하지 않고 영남을 중심으로 향촌 교화에 힘을 기울였다. 그곳에서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성리학적 이상을 실현할 바탕을 만들고 있었고, 결국 중종대를 기점으로 중앙 권력에 진출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중국에서의 주자학 성립 과정과도 유사한 일면이 있다. 중국의 주자학도 향촌 사회에서 성장하면서 점차 중앙 권력에 진입하였고 결국 관학화(官學 化)에 성공하였던 것이다. 향촌 사회에서 많은 사람의 자발적 지지와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향촌 사회에서 통용되고 호소력을 가질 수 있는 사회 윤리 체제가 필요하였다. 여기에서 오륜 가운데 붕우유신과 장유유서가 가장 주목을 받게 되었다. 더욱이 향촌 사회의 지지 속에서 중앙으로 진출한 사림으로서는 이러한 윤리 질서가 그 무엇보다도 필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삼강과 이륜을 포괄하는 오륜의 윤리 질서가 비로소 마련되었다. 군신의 의리를 기초로 하는 국가 윤리, 부자와 부부를 위시로 하는 가족 윤리, 붕우 간의 신의와 장유의 서열을 기본으로 하는 향당 윤리가 마련됨으로써 조선 사회의 기초적인 세 가지 사회 윤리 질서가 모두 갖추어진 셈이었다. 집권층은 이러한 윤리 질서를 효과적으로 일반 백성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라는 윤리서를 적극 보급하고자 하였다. 한눈에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커다란 도판(圖版)을 첨부하고, 이와 함께 찬시(讚詩)를 넣음으로써 자칫 딱딱하기 쉬운 윤리서를 일반 백성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들 서적은 대량으로 발간되었는데, 특히 이 윤리서를 한글본으로도 만들었다는 것은 조선의 집권층이 얼마나 윤리서의 보급에 노력하였는지를 보여 준다.

[필자] 조성산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유 마당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 저작자 미상 –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추가 적립 안내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2018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7번 : ‘이륜행실도’가 간행된 중종 대의 역사적 사실



7. 밑줄 친 ‘국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

지금 국왕 께서 풍속을 바꾸려는 데에 뜻이 있으므로 신은 지극하신 뜻을 받들어 완악한 풍속을 고치고자 합니다…(중략).. 『이륜행실』로 말하면 신이 전에 승지가 되었을 때에 간행할 것을 청했습니다. 삼강이 중한 것은 아무리 어리석은 부부라도 모두 알고 있으나, 붕우・형제의 이륜에 이르러서는 평범한 사람들의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

①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세웠다.

②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저술하였다.

③ 『국조오례의』가 편찬되고 『동국여지승람』이 만들어졌다.

④ 문화와 제도를 유교식으로 갖추기 위해 집현전을 창설하였다.

정답: ①

* ‘이륜행실도’가 간행된 중종 대의 역사적 사실

조선 세종(1418~1450) 때에는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윤리와 의례에 관한 서적의 편찬 사업이 이루어져 삼강(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과 관련이 있는 모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 등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여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다(1431~1434). 또한 오 륜 중 연장자와 연소자 ( 장유유서 ), 친구 ( 붕우유신 ) 간의 지켜야 할 2 가지 윤리를 강조한 책으로 중종 때에 김안국 , 조신 등이 < 이륜행실도 > 를 만들었다 (1518) .

① 중종 때(1543)에 풍기 군수 주세붕이 우리나라 최초로 세운 백운동 서원은, 1550년(명종 5년) 후임 풍기 군수 이황의 건의로 최초의 사액 서원인 소수 서원으로 사액되었다.

② 김시습(1435~1493)이 지었다는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1456~1493년 저술 추정)는 만복사저포기(남원), 이생규장전(개성), 취유부벽정기(평양),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경주) 등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현실적 소재를 통한 남녀 간의 애정을 주제로 하였다.

③ 성종 대(1469~1494)에 노사신을 시키어 지리서인 <동국여지승람>(1481)을, 신숙주 등에게는 국가의례서인 <국조오례의>(1487)를 완성케 하였다.

④ 세종(1418~1450)은 궁중에 집현전을 설치하고(1420) 재주 있는 젊은 학자들을 모아 깊이 있는 학문 연구를 장려함으로써 유교 정치와 민족의 전통 문화를 꽃피웠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이륜 행실도

다음은 Bing에서 이륜 행실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도
  • 역사동영상
  • 역사만화
  • 역사위인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YouTube에서 이륜 행실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교] 우리 역사 바로 알기 _ 19편 삼강행실도 | 이륜 행실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