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 [ICT가 좋다] ‘아!좋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정통방통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492회 및 좋아요 6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ICT가 좋다] ‘아!좋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IITP #ICT가좋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앞으로 ICT에 대해 알아보는 여정을 떠나는 \”ICT가 좋다\”의 그 첫 번째 이야기.
이제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그렇다면 그 ICT가 무엇일까요?
*영상 속의 내용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https://www.yna.co.kr/view/AKR20210115146800030 (연합뉴스)
2) https://www.etnews.com/20210706000093 (ITFIND 기사 참조)
3) http://mail2.scrapmaster.co.kr/mail/include/iitp_display.php?news_id=50350\u0026scrapBookNo=1311\u0026scrapinfo=202108250\u0026article_serial=20210825da00b04001\u0026q=aWl0cHwyMDIxMDgyNTB8MjAyMbPiIDA4v%2FkgMjXAzyAgKOKpKSDBtrCj (ITFIND 기사 참조)
4)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0/2020052001956.html (조선일보)
5) https://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periodical/read.do?selectedId=02-001-190423-000009
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941473 (중앙일보 기사 참조)
7) http://www.inews24.com/view/1042905 (ITFIND 기사 참조)
8)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941473 (중앙일보 기사 참조)
9)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1872/file373394234709538267-187201.pdf (IITP 사이트 참조)
10) https://www.etnews.com/20180207000151 (ITFIND 기사 참조)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ICT 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 브리핑룸
ㅇ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이에, 정부는 기획재정부(장관 홍남기), …
Source: www.korea.kr
Date Published: 11/13/2021
View: 8665
정보통신기술 활용한 지능형서비스 도입하려는 중소기업 도와 …
<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化 사례 >. 중소기업 서비스 분야에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서비스 혁신(스마트서비스化)이 활발해지면서 생산성 제고, …
Source: www.bizinfo.go.kr
Date Published: 3/28/2022
View: 8660
정보통신기술로 콘텐츠를 살아 움직이게 하라 | 나라경제
정보통신기술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은 문화콘텐츠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융합과 정보 … 정보통신기술이 주체이고 문화콘텐츠가 부수적 분야로 융합한 사례로는 …
Source: eiec.kdi.re.kr
Date Published: 11/21/2022
View: 5566
ICT 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사례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기재부는 과기부, 행안부, 국토부, …
Source: smartcity.go.kr
Date Published: 3/1/2022
View: 2444
4차 산업혁명 대비, 지자체 통신기술 우수사례가 한자리에 모인다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우수 정책사례를 파악하고 지역에 특화된 정보통신기술(ICT)정책 적용 사례공유를 위해 전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
Source: www.mois.go.kr
Date Published: 8/16/2021
View: 7292
[소년중앙] 정보통신기술로 어떻게 감염병 확산을 막을까
이는 빅데이터를 활용·분석한 결과가 뛰어난 결과를 낼 수도 있지만 늘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보여준 사례로 꼽힙니다. 구글은 독감 트렌드의 공과를 …
Source: www.joongang.co.kr
Date Published: 9/23/2021
View: 2841
[칼럼] 정보통신기술과 치매
치매 예방과 진단 목적의 인지 평가를 위해 AI를 활용한 게임도 활용되고 있으며, 치매 예방, 인지 평가 및 치매 환자의 인지 훈련 영역에서 VR과 로봇의 …
Source: www.dementianews.co.kr
Date Published: 4/12/2022
View: 7119
정보통신기술 활용과 교육변화의 세계적 동향
교수 • 학습의 변화 정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해 보는 제2차 정보통신기술 활용교. 육 국제비교 연구(Second Information …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혁신의 우수 사례 .
Source: www.kice.re.kr
Date Published: 3/4/2022
View: 5199
보건의료분야정보통신기술활용동향분석
1 9 9 9년도부터 2 0 0 3년도까지“9가지기술동. 향(nine tech trends)”이라는 제목으로 매년. 9가지 주요 기술들에대하여응용사례, 편익및 문. 제점, 미래에 대한 전망 등 …
Source: repository.kihasa.re.kr
Date Published: 4/11/2022
View: 2604
[COVID-19]한국 정부 ICT 기술 활용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ㅇ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 □ 이에, 우리 정부는 관계부처‧기관간 협업을 통해 ICT 등 한국의 …
Source: overseas.mofa.go.kr
Date Published: 6/9/2022
View: 442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ICT가 좋다] ‘아!좋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 Author: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정통방통
- Views: 조회수 2,492회
- Likes: 좋아요 69개
- Date Published: 2021. 9. 2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WtR0mdJSUI
ICT 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ICT 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 정부, 2번째 영문「코로나-19 대응 정책자료*」배포 –
* (명칭) 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 How did Korea respond to the pandemic using ICT
□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G20을 비롯한 주요국가 및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국제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경험 공유를 요청해 오고 있다.
ㅇ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이에, 정부는 기획재정부(장관 홍남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특허청(청장 박원주) 등 관계부처와 협업으로 한국의 혁신기술을 활용한「코로나-19 정책자료(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를 발간하였다.
ㅇ 이 자료에는 ❶사회적 거리두기, ❷한국형 워크스루(‘K-워크스루’) 기술 등 혁신기술 기반 3T 대응(진단(test), 역학조사(trace), 환자관리(treat)), ❸데이터 활용 등을 통한 코로나-19 확산 억제방안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❶ (사회적 거리두기) 화상회의·GVPN을 활용한 원격 근무, EDISON 플랫폼·ScienceAll 웹사이 통한 원격 교육 등
❷ (3T 대응) 진단키트 관련 과학기술 R&D, AI 활용 의료영상 판독,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약물 재창출 연구 등
❸ (확산 억제) 공공데이터 개방, 마스크 판매정보 공개 등 다양한 기술
□ 정부는 이를 국내정부기관·단체, 재외공관·외국정부·국제기구* 등 해외기관 및 주요 외신에 배포할 계획이며,
*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주요 다자개발은행(MDB), OECD
ㅇ 한국의 대응사례에 관심있는 주요국가 및 기관들과 보건·경제분야 화상 컨퍼런드 등도 적극 개최하여, 한국의 방역, 보건, 경제대응 경험을 공유할 것이다.
* 4.23(목) 미국 DC 소재 think-tanks, 정부, 언론 대상 화상회의 개최 예정(조지워싱턴대 한국학 연구소 주관)
□ 앞으로도 정부는 보건·의료 분야 국내 우수 정책을 적극적으로 공유·확산하여, 전세계 코로나-19 대응에 적극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기업마당>정책정보>정책뉴스>보도자료
중소기업 서비스 분야에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서비스 혁신(스마트서비스化)이 활발해지면서 생산성 제고, 상품 고부가가치화, 새로운 사업영역(BM) 창출 등의 눈에 띄는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 비대면 진단검사 시스템을 통해 시간ㆍ비용 절감과 새로운 시장 창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S사는 웹(모바일) 기반의 상담 솔루션과 검사결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축해 기존에 병원이나 상담사를 직접 찾아 진단을 받던 검사방식을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하고, 축적된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최적의 치료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 결과 검사 소요시간은 약 1/14(168→12시간), 검사비용은 약 1/6(30→5만원)까지 절감되고, 나아가 비대면 방식의 치료 서비스도 새로이 제공할 예정이다.
물류관리 전반의 스마트化로 업무처리는 빠르게, 오류는 대폭 감소
식품유통 전문기업인 F사는 물류의 입고, 출고, 재고관리, 반품, 반출관리 등의 업무 전반을 종이 출력물 또는 휴대폰 메신저(SNS)으로 수행해 업무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오류도 적지 않았다.
물류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존 창고를 물류 입고부터 반출까지 전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물류관리시스템(WMS)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 물류창고로 탈바꿈했다.
ICT 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사례 : 스마트시티 종합포털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지 100일이 지났다. 국내 일일 신규 확진자는 이제 10명 안팎으로 줄어들었다. 조심스럽지만 신규 확진자가 줄어든 것에 국민들은 조금은 안도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정부와 국민들은 여전히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세계는 여전히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총 확진자 수가 100만 명을 앞두고 있으며 프랑스의 사망률은 18%가 넘었다. 전세계적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한국에 대한 외신들의 평가는 긍정적이다. 특히, 워싱턴포스트(03.11.)는 “한국 코로나19 대응은 민주주의의 성공사례(South Korea shows that democracies can succeed against the coronavirus)”라며 개방과 투명성으로 대응한 한국정부와 시민들의 자발적 협력을 칭찬하였다. 이렇게 한국이 코로나19 대응의 세계적인 모범 사례로 인정되면서 G20을 비롯한 주요국가 및 WB, ADB, OECD 등 주요 국제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경험 공유를 요청해오고 있다고 한다.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기재부는 과기부, 행안부, 국토부, 특허청 등 관계부처‧기관간 협업을 통해 ICT 등 한국의 혁신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정책자료(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를 발간하였다.
정책자료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혁신기술 기반 3T(진단(Test), 역학조사(Trace), 환자관리(Treat))대응, 공공데이터 활용을 통한 확산 억제방안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정책 자료에 포함된 내용을 살펴보자.
4차 산업혁명 대비, 지자체 통신기술 우수사례가 한자리에 모인다
4차 산업혁명 대비, 지자체 통신기술 우수사례가 한자리에 모인다
제22회 지방정보통신우수사례 발표대회 26~27일 개최
등록일 : 2017.09.26. 작성자 : 정보기반보호정책과 조회수 : 2295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우수 정책사례를 파악하고 지역에 특화된 정보통신기술(ICT)정책 적용 사례공유를 위해 전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6일부터 27일까지 2일 동안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담당 공무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2회 지방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한다.
지난 1996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22번째를 맞는 이번 발표대회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부산광역시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최대 행사다.
특히, 이번 행사는 4년마다 개최되어 세계 정보통신(ICT) 올림픽으로 불리는 “2017 ITU(국제전기통신연합) 텔레콤 월드” 기간에 병행 개최하여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이 국제적 정보통신기술(ICT) 경향과 기술동향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편, 각 지자체에서는 사물인터넷과 거대자료(빅데이터) 등 우수한 기술을 접목한 수범사례를 발표하고, 외부 전문가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우수발표자에게는 대통령상(1), 국무총리상(1), 행정안전부장관상(6)을 수여한다.
서울시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노후화된 전통시장 화재발생시 소방서에 자동으로 상황을 전파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사례를, 부산시에서는 기상청의 지진조기경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직접 개발한 재난전파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시민안전을 확보한 사례를 소개하는 등 지자체별로 8건의 우수사례들이 발표된다.
이외에도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한민 과학데이터연구센터장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지능정보 사회구현 전략” 특강과 부산대학교 김호원 교수의 사물인터넷(IoT)관련 기술특강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최근 지자체에서 주민편의 제고를 위한 공공서비스에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지자체에 4차 산업 적용기술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 : 정보기반보호정책과 김은영(02-2100-3996)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우수 정책사례를 파악하고 지역에 특화된 정보통신기술(ICT)정책 적용 사례공유를 위해 전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6일부터 27일까지 2일 동안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담당 공무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2회 지방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한다.지난 1996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22번째를 맞는 이번 발표대회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부산광역시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최대 행사다.특히, 이번 행사는 4년마다 개최되어 세계 정보통신(ICT) 올림픽으로 불리는 “2017 ITU(국제전기통신연합) 텔레콤 월드” 기간에 병행 개최하여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이 국제적 정보통신기술(ICT) 경향과 기술동향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한편, 각 지자체에서는 사물인터넷과 거대자료(빅데이터) 등 우수한 기술을 접목한 수범사례를 발표하고, 외부 전문가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우수발표자에게는 대통령상(1), 국무총리상(1), 행정안전부장관상(6)을 수여한다.서울시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노후화된 전통시장 화재발생시 소방서에 자동으로 상황을 전파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사례를, 부산시에서는 기상청의 지진조기경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직접 개발한 재난전파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시민안전을 확보한 사례를 소개하는 등 지자체별로 8건의 우수사례들이 발표된다.이외에도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한민 과학데이터연구센터장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지능정보 사회구현 전략” 특강과 부산대학교 김호원 교수의 사물인터넷(IoT)관련 기술특강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최근 지자체에서 주민편의 제고를 위한 공공서비스에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지자체에 4차 산업 적용기술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담당 : 정보기반보호정책과 김은영(02-2100-3996)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우수 정책사례를 파악하고 지역에 특화된 정보통신기술(ICT)정책 적용 사례공유를 위해 전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6일부터 27일까지 2일 동안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담당 공무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2회 지방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를 개최한다.
지난 1996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22번째를 맞는 이번 발표대회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부산광역시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지자체 정보통신분야 최대 행사다.
특히, 이번 행사는 4년마다 개최되어 세계 정보통신(ICT) 올림픽으로 불리는 “2017 ITU(국제전기통신연합) 텔레콤 월드” 기간에 병행 개최하여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이 국제적 정보통신기술(ICT) 경향과 기술동향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편, 각 지자체에서는 사물인터넷과 거대자료(빅데이터) 등 우수한 기술을 접목한 수범사례를 발표하고, 외부 전문가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우수발표자에게는 대통령상(1), 국무총리상(1), 행정안전부장관상(6)을 수여한다.
서울시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노후화된 전통시장 화재발생시 소방서에 자동으로 상황을 전파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사례를, 부산시에서는 기상청의 지진조기경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직접 개발한 재난전파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시민안전을 확보한 사례를 소개하는 등 지자체별로 8건의 우수사례들이 발표된다.
이외에도 지자체 정보통신담당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한민 과학데이터연구센터장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지능정보 사회구현 전략” 특강과 부산대학교 김호원 교수의 사물인터넷(IoT)관련 기술특강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최근 지자체에서 주민편의 제고를 위한 공공서비스에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지자체에 4차 산업 적용기술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 : 정보기반보호정책과 김은영(02-2100-3996)
[소년중앙] 정보통신기술로 어떻게 감염병 확산을 막을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확산세가 오래 지속하며 전 세계가 신음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27일(그리니치 표준시 기준)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사망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죠. 확진자는 3708만여 명(10월 12일 기준)에 달하고요. K-방역으로 주목받은 우리나라의 경우 확진자는 2만4700여 명, 사망자는 433명입니다. 인명을 비롯해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히는코로나19 같은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세계 각계각층에서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인데요. ICT로 어떻게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고 통제해 나갈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글=김현정 기자 [email protected], 사진=임익순(오픈스튜디오), 동행취재=안예성(인천 연성중 1) 학생기자·이다예(서울 리라초 4) 학생모델·장유안(경기도 안말초 5)·한현(서울 명덕초 5) 학생기자, 자료=KT
잠깐 시계를 돌려 2008년으로 가볼까요. 그해 2월 구글은 독감 유행 수준을 파악하는 서비스를 내놨습니다. 독감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에 관한 검색어를 구글에 얼마나 자주 검색했는지 파악해서 독감 확산을 예측하는 독감 트렌드(Flu Trend) 서비스였죠. 당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공표보다 열흘 앞서 독감의 창궐을 탐지하는 성과를 내며 주목받았어요.
독감 트렌드는 사람들이 어떤 증상이 있을 때 병원에 가기 앞서 증상에 대해 검색하는 것에 착안한 겁니다. 특정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를 근거로 한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예요. 여러 성과를 냈지만, 2013년 독감이 크게 유행한다는 뉴스가 나왔을 때 ‘독감 백신이 크게 부족할 것이다’라는 틀린 예측을 내며 폐지됐죠. 실제 독감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까지 관련 단어를 검색하며 환자 수를 과대 추정, 예측에 실패한 거예요.
이는 빅데이터를 활용·분석한 결과가 뛰어난 결과를 낼 수도 있지만 늘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걸 보여준 사례로 꼽힙니다. 구글은 독감 트렌드의 공과를 통해 빅데이터라는 게 허상이 아닌 실제 활용 가능한 것이며, 이로부터 사회 현상을 예측하는 등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줬죠.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들은 이미 빅데이터를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핵심 의제로 선정했어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의 합성어인 ICT는 컴퓨터·미디어 등 정보 기기를 운영·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술과, 정보를 생산·저장·전달·수집·가공·관리·개발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을 말해요. 4차 산업혁명이 코로나19로 가속하면서 ICT 역시 사회 변화를 이끄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07년 전 세계 시가 총액 Top 10에 ICT 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MS)뿐이었지만, 2020년에는 애플·MS·알파벳(구글의 지주회사) 등 무려 7개의 ICT 기업이 이름을 올렸어요.
빅데이터, 소중 독자 여러분에게도 낯익은 단어일 텐데요. 과연 빅데이터란 무엇일까요. 빅데이터(Big Data)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긴 데이터의 규모가 너무 방대해서 기존의 관리방법·도구로는 수집·저장·분석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말해요. 문자·영상·수치 데이터 등 종류도 다양하고, 생성 주기도 짧죠. 여러분이 작성한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e메일, 포털 사이트에 넣은 검색어를 비롯해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SMS), 동영상 시청, 온라인 학습, 쇼핑몰 사이트에 머무른 시간 등 디지털 세계에 남기는 모든 흔적이 다 빅데이터에 속합니다. 여기에 도로·건물·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된 CCTV 영상 등도 포함되죠. 생각만 해도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지금 이 순간에도 저장되고 있는 겁니다.
앞서 기존의 도구로는 이를 처리하기 어렵다고 했죠. 빅데이터는 단순히 대용량 데이터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이를 처리하는 기술까지 포함합니다. 세계적인 시장조사 전문기관 IDC는 “빅데이터 기술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방대한 크기의 데이터로부터 경제적으로 필요한 가치를 추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차세대 기술”이라고 정의했어요. ICT의 핵심이라 불릴 만하죠.
이러한 기술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쓰입니다. 앞서 구글의 독감 트렌드가 독감이 얼마나 퍼질지 예상하는 데 활용됐죠. 그럼 독감 백신을 어느 정도 양으로 얼마나 빨리 준비해야 하는지 알고 대비할 수 있으니 유용하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독감 트렌드가 잘못된 예측을 한 것처럼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술의 적합성(조건에 맞는지), 적용성(난이도), 확장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감염병 문제와 ICT 기술
2020년 3월 11일(현지 시각)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pandemic)을 선언했어요. 그 전에 WHO가 공식적으로 선포한 팬데믹으로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가 있죠. 팬데믹은 우리말로 ‘감염병 세계적 유행’이라고 합니다. WHO의 전염병 경보는 1~6단계로 나뉘는데, 그중 최고 경고 등급이죠. 감염병과 전염병이 헷갈린다고요. 감염병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 중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생물체에 옮아 증식해 일으키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고요. 전염병은 감염병 중에서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옮기거나 옮을 수 있는, 즉 전염성을 가진 병을 말하죠.
지난해 말 중국에서 처음 발병이 확인된 코로나19는 지금까지 213개국에 퍼지며 세계적인 사회문제가 되었습니다. 지난 1월 11일 중국에서 첫 사망자가 나온 후 6월 28일 50만 명을 넘겼고, 그로부터 3개월도 안 돼 전 세계 사망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어요. 조금만 방심해도 순식간에 확산되는 감염병인 만큼 빠른 분석과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ICT 기술을 활용해 솔루션을 개발한 KT를 찾아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소중 학생기자단이 방문한 서울 광화문 KT 사옥은 방역을 위해 엄격하게 출입이 통제되고 있었어요. 마스크 착용과 손 소독뿐 아니라 가방 검사까지 한 후에야 내부로 들어갈 수 있었죠. 건물 규모에 비해 사람들이 별로 보이지 않아 놀란 학생기자단에게 황진영 디지털&바이오헬스 사업개발팀 차장은 “평소 북적북적한데,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어 회의실도 빈 곳이 많다”고 얘기했어요.
“학생기자단과 인터뷰를 위해 로봇 바리스타가 있는 카페테리아를 생각했는데, 현재 코로나19로 오픈하지 않았어요. 아쉽지만 잠깐 구경만 해볼까요.” 황 차장의 안내로 로봇 바리스타를 만나러 가자 이종일 디지털&바이오헬스 사업개발팀장이 나와 있었습니다. 하얀 사각형 카페 부스 안을 본 이다예 학생모델과 장유안 학생기자가 “저기 로봇이 있어”“어떻게 움직일까” 속삭였죠. 안예성·한현 학생기자는 전에 로봇 카페를 본 적 있다고 했고요. “앱을 설치해서 로봇 바리스타에게 먹고 싶은 음료를 주문할 수 있어요. 먹어보니 아직은 사람 바리스타가 만들어 주는 것이 더 낫더라고요. 감성이 좀 부족한 느낌이에요.” 이 팀장의 말에 다예 학생모델이 “맛이 궁금해요. 코로나19가 아니었음 먹을 수 있었을 텐데” 하고 아쉬워했죠.
AI 기술을 상징하는 로봇 바리스타를 만난 뒤, 소중 학생기자단은 본격적으로 ICT 기술이 어떻게 감염병 확산 방지에 쓰이는지 알아봤습니다. 지금은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지만, 2015년엔 메르스가 우리나라를 강타했죠. 당시 69일간 확진자 186명, 사망자 38명이라는 피해를 냈습니다. 이 팀장은 “당시엔 감염병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어요. 대응도 잘 못 하고 우왕좌왕했죠”라며 메르스 1번 환자 얘기를 예로 들었어요. 메르스 1번 환자는 바레인을 방문해 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를 여행하고 카타르를 거쳐 한국에 들어왔는데, 입국 당시 증상이 없었고 그가 메르스 위험국인 사우디에 간 것을 빨리 파악하지 못했죠. 일주일 후 열이 나고 증상이 나타나 병원에 갔는데, 감기·폐렴 등의 치료를 받으며 세 차례 병원을 옮겨 4번째 병원에서야 사우디에 다녀온 걸 파악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죠. 당시 보건당국은 메르스 감염률이 높지 않다고 밝혔으나, 첫 확진자가 나온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감염자가 100명을 넘었습니다.
“환자 본인도 기억을 잘 못 하고, 병원도 파악을 못 하는 가운데 바이러스가 다 퍼진 거예요. 그 와중에 14번 환자가 격리 중에 평택에서 서울로 이동했어요. 검역당국에서 이를 찾기 위해 어떻게 했을까요. 바로 통신 데이터에 주목했습니다. KT에서 통신 데이터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고, 14번 환자가 탔던 버스에 있던 사람들을 다 파악할 수 있었죠. 그 후 KT의 ICT 역량을 기반으로 질병관리청, 당시 질병관리본부와 연합해 시스템을 만들게 됐어요. 그게 GEPP(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입니다.”
GEPP의 원리는 단순합니다. 감염병 위험 지역 방문 사실을 알게 되면 통신 데이터를 기초로 누구와 접촉했고, 어디를 다녀갔는지 역추적해 감염이 우려되는 사람과 감염병의 전파 경로를 파악하는 거죠. 예를 들어 A가 에볼라 위험국가를 간다고 해보죠. A는 그 나라가 위험한지 모를 수 있어요. 이때 휴대전화 로밍 데이터를 살펴 에볼라 관련 내용을 SMS로 전송합니다. 해외 유입 감염병 차단 문자 서비스죠. 귀국했을 때에도 에볼라 잠복기를 조심하라는 SMS를 보내요. 대한민국 국민 누구에게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위험을 알고 적극적으로 예방에 참여하게끔 하죠. 감염병은 예방이 우선이니까요.
“2017년, GEPP를 통해 해외여행자 2600만 명 중 480만 명에게 SMS를 보냈어요. 그중에서 확진자를 16명 찾았죠. 감염병 의심 증상 신고 건수도 늘었어요. 2016년 850건이었던 게 2017년 1248건으로 47% 증가했죠. 제3국을 경유한 입국자의 검역률도 2017년 36.5%에서 2019년 90.4%로 늘었고요. 2018년 메르스가 재발했을 땐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확진자를 빠르게 찾아 추가 확산 없이 확진자 1명으로 38일 만에 종결할 수 있었죠.” 이 팀장의 설명에 한현 학생기자가 GEPP로 로밍 데이터를 활용해 그 사람이 다녀간 곳을 알 수 있다면 범위를 어느 정도까지 좁힐 수 있는지 물어봤죠. “통신을 위해 개설하는 기지국이라는 게 있어요. 전파를 주고받는 기능을 하죠. 휴대전화는 기지국에 접속해야 사용할 수 있고 이게 많으면 통신이 수월한데, 여기에 위치 데이터가 나와요. GPS 데이터와 결합하면 정확도가 높아지죠. 코로나19로 확진자가 어느 건물에 갔는지 동선이 다 나오잖아요. 서울이 지방보다 파악하기 쉬운 이유도 서울에 기지국이 많기 때문이에요.”
“작년에 유럽 여행을 다녀왔다”며 말문을 연 유안 학생기자가 “카타르를 경유해 귀국했는데 문자를 2주 동안 받았어요. 기간이 2주로 정해진 이유는 뭔가요” 질문했죠. “감염병엔 잠복기가 있는데, 1주·3주·6달 등 병마다 천차만별이고 사람에 따라 발현 시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죠. 메르스 잠복기가 2~14일이라 2주라고 안내가 갔을 거예요. 해당 기간은 잠복기 기준입니다.” GEPP는 감염국을 방문하고 잠복기 내 입국한 국민들의 정보를 검역당국과 공유하고 검역당국은 이를 검역·의료기관에 실시간으로 제공해 바로 조치할 수 있게 하죠.
개인의 오염지역 방문 정보가 전송되면, 귀국 시 공항에서 바로 해당하는 사람들을 검사할 수 있을까요. 이 팀장은 그건 검역 쪽 일이라고 답했죠. “행정·보건의료 분야에서 관할하는 부분이라 GEPP 일은 아닌데요. 2018년 메르스가 다시 창궐했을 때, 관련 SMS를 받고 위험 증상이 나타난 걸 알고 귀국해 공항에서 바로 병원으로 간 사례를 보면 GEPP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어요.”
다예 학생모델도 질문을 던졌습니다. “해외의 경우 출입국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국내에만 있을 경우 휴대전화를 끄면 전혀 정보를 얻을 수 없지 않나요. 이럴 땐 어떻게 하나요.” 그러자 이 팀장이 반문했죠. “지금 휴대전화 없는 친구 있나요?” “지금은 안 가지고 있지만 갖고는 있다”는 유안 학생기자를 비롯해 모두 고개를 저었습니다. “휴대전화를 오래 끈 적 있나요?” 이 질문엔 한현 학생기자가 “2달까지 꺼놓은 적 있다”고 답했죠. 2달이란 시간에 모두 놀란 가운데 설명이 이어졌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휴대전화 가입률은 100%가 넘어요. 2대씩 쓰는 사람도 있고요. 기본적으로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운영되는 플랫폼이죠. 의도적으로 끄면 GEPP는 활용할 수 없어요. 데이터가 없으니까요. 하지만 보통 일상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한현 학생기자처럼 오래 끄진 못하죠. 잠깐 1~2시간은 꺼놔도요. 켜는 순간 기지국에 접속해 데이터가 생깁니다.”
정보통신기술과 개인 정보
GEPP는 1인 1모바일 시대에 통신 기지국의 위치 데이터(로밍)를 이용, 감염병 위험·증상 정보를 제공하고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어느 곳에 감염병이 도사리고 있는지 알 수 없으니 질병관리청·WHO 등의 공신력 있는 감염병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죠. 또 전 세계 언론·SNS 등에서 AI 기술로 감염병 발생 정보를 추출(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도 합니다. 뽑아낸 데이터는 복잡한 알고리즘을 거쳐 정보를 합치고 추출해 지역별·질병별 위험도를 평가해서 역학조사에 활용돼요. 이때 AI가 단어만이 아니라 문장을 인식해 맥락 안에서 관련 단어가 어떻게 쓰였는지 파악하죠. AI 기술로 추출한 감염병 발생 정보와 로밍 데이터를 활용한 입국자 정보, 주요 감염병 위험 국가에 거주·방문 중인 국민 통계, 위험국 방문 후 잠복기 내 입국한 국민 현황 등의 데이터는 축적됩니다. 이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해외 발생한 감염병이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을 계산하고, 국민의 위험 노출도를 가늠해 효과적인 방역 등을 돕죠.
유안 학생기자가 GEPP이 나온 뒤 2018년 메르스 땐 확진자가 1명이었지만 올해 코로나19는 감염자가 훨씬 많은데, 대응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했어요. “락다운(Lock-Down·이동 제한 등 전면 봉쇄 정책)이나 경제 봉쇄란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이 팀장의 질문에 학생기자단은 바로 고개를 끄덕였죠.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3월 호주는 국경을 폐쇄했어요. 지난 8월엔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아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통행을 금지했고, 한 집에 한 명이 하루 한 번 식료품을 살 수 있으며, 사실상 전 학년 원격 수업 등 제한 단계 4를 실시했죠. 이 팀장은 “우리나라도 그럴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개인 정보를 일부 사용하는 게 나을까요, 지역·국가 락다운이 나을까요. 밤엔 밖에 나가지도 못하고, 기껏 나가도 길마다 경찰이 지키고 있는 상황을 상상해 보세요. 지금 미국에선 우리나라 총 확진자보다 많은 사람이 매일 확진 판정을 받죠. 인도 확진자는 누적 700만 명을 넘겼어요.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확진자 위치·동선을 관리해 문자로 알려주며 개인 방역에 힘쓰죠.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역학조사를 통해 경제가 봉쇄되는 걸 막은 거예요. 다른 나라에서도 K-방역 잘한다는 얘기가 나오고요.”
“공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이긴 하나, 개인 정보 보호 논란은 없을까요.” 예성 학생기자의 질문에 이 팀장은 “오히려 여러분이 쓰는 SNS나 게임보다 안전하다”고 선을 그었어요. “GEPP를 개발하며 2016년 1월 통신 데이터의 공공활용을 위한 법률을 개정했어요. 개인 정보는 감염병예방법에 의해 보호되며, 최소한의 정보만 제공됩니다. 역학조사관이 보건 관점에서 조사한 후 불명확한 부분이 있을 경우만 데이터를 볼 수 있고, 인증된 관계자만 볼 수 있게 제한돼요.” 우리 국민의 해외여행 이력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6조의2 제5항에 의거해 의료기관에 전달돼 진료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는 감염병 예방 목적으로만 활용되며 잠복기 경과 후 즉시 파기되죠.
설명을 들은 다예 학생모델이 GEPP에 사용한 기술이 다른 곳에 활용된 예가 있는지 물어봤어요. “현재 케냐·가나·라오스에서 GEPP를 이용합니다. 아프리카·아시아 국가 간 이동 거점이자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나라죠. 카자흐스탄도 관심을 보여 얼마 전에 다녀왔어요. 유사 기능의 앱을 40~50개국에서 만들었고요. 그런데 앱으로 만들면 문제가 하나 있죠.” 한현 학생기자가 바로 “앱은 다운로드 받은 사람만 사용할 수 있어요”라고 답했죠. “맞아요. 다른 나라는 한국처럼 전 국민이 GEPP를 활용하진 않아요. 케냐의 경우 앱으로 30만 명 정도가 쓰고 있는데,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죠. 일부만 사용하면 사각지대가 생기니까요.”
“취약 국가에 GEPP을 보급해 감염병 확산을 막는 것은 훌륭한 아이디어인데요. 질병 취약 국가는 후진국일 가능성이 높고,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필요한 기술도 부족할 것 같습니다. 그럼 GEPP 활용이 어려울 수도 있지 않나요.” 한현 학생기자의 말이 이어지자 이 팀장은 좋은 질문이라며 미소 지었죠. 중진국이나 개발도상국, 후진국의 경우 데이터 활용 교육까지 같이한다고 합니다. 자동차를 수출하면서 운전법도 알려주고 휘발유도 주는 격이죠.
예성 학생기자는 GEPP의 단점이 뭔지 물어봤습니다. “뭐가 단점이라기보다 전체적으로 기능을 확장하려고 작업 중이에요. 게이츠재단과 협력해 감염병 대응 연구도 하죠. 앞서 설명했던 감염병 국내 유입 가능성 예측이라든지,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구 유형별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 AI로 전파 경로를 분석해 위험 지역을 예측하는 거예요. 증상 등을 입력해 감염병을 자가 진단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 개발 프로젝트도 진행합니다.”
감염병을 막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쓰이는 걸 살펴본 유안 학생기자가 자신의 꿈을 피력했어요. “GEPP 같은 프로젝트를 하고 싶고 ICT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이 팀장은 “GEPP는 2016년엔 KT 가입자에 한해 제공됐지만, 2017년 타 통신사로 확대됐고, 지금은 해외 보건기구와 협력을 논하죠. ICT 개발뿐 아니라 정부 상대로 이야기하고, 글로벌 협력을 이끌어낼 사람도 필요한 거예요. 지금 여러분은 좀 더 넓게 볼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공부하는 게 좋아요. 그럼 내가 ICT를 개발하고 싶은지, 국제경영을 더 잘할지 알 수 있겠죠.”
통신 데이터를 이용해 역학조사를 보완하고, 개인 스스로 방역에 신경 쓰도록 돕는다는 아이디어는 지금 우리 생활에서 뗄 수 없는 기술이 되었습니다. 어떤 감염병이 새롭게 나타났을 때, 빅데이터를 비롯한 ICT 기술로 어느 지역이 위험할지 예측해 사전에 확산을 차단하는 등 중장기적인 감염병 대응 플랫폼이 만들어질 수도 있겠죠. 계속 발전하는 ICT에 어떤 아이디어를 내어 우리 삶을 더 나아지게 할지 여러분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칼럼] 정보통신기술과 치매
제2대 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한 서정욱 박사는 1996년도 한국이동통신 사장으로 재직 중 발간한 ‘미래를 열어온 사람들: 통신과 함께 걸어온 길’이라는 저서에서, ‘정보고속도로를 이용한 의료혁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멀티미디어와 정보통신기술을 응용하면 의료서비스를 고도화하고, 특히 고령화 사회를 인간화할 수 있다. •••. 의료서비스 분야의 발전은 복지 문명국가가 되는 첩경이다. •••.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상이 실현된다면 우리나라 의료서비스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의 예견은 현실이 되어, 우리나라는 2019년 4월 3일 오후 11시, 세계 최초로 5세대 이동통신 기술(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5G)을 상용화하며 ‘4차 산업혁명’가 도래했음을 알렸다.
최첨단 이동통신(Mobile communication) 기술인 ‘5G’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빅데이터와 융합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자율주행(Automatic Driving) 등을 구현할 수 있어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스마트시티(Smart City)’의 확산이다. ‘스마트시티’는 위와 같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을 이용하여 주거, 환경, 교통, 재난, 사고, 범죄 등의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등장했다.
서정욱 박사의 예견대로, 이러한 최첨단 ICT는 우리나라 의료서비스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와, 고령화 사회의 필연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치매 분야에 적용된 ICT는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치매 발병 예측, 예방, 조기 진단, 인지치료, 치료약제 개발 및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현재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하여 치매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의료영상을 분석하여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기술도 임상에서 활용 중이다.
치매 예방과 진단 목적의 인지 평가를 위해 AI를 활용한 게임도 활용되고 있으며, 치매 예방, 인지 평가 및 치매 환자의 인지 훈련 영역에서 VR과 로봇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며 기간도 오래 걸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에는 AI의 일종인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 물질 발굴에 활용하고 있으며, 치료제 개발 시기를 조금이나마 앞당기고 연구 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치매 환자는 길을 잘 잃고 배회하는 증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실종의 위험이 있어 외부 활동에 제약을 받고 사회적으로 더 고립되어 인지와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활용한 스마트워치(Smart watch) 배회감지기와 드론(폴리스 드론) 기술을 활용하면 치매 환자가 안전하게 외출하여 사회활동을 유지하고, 실종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령의 치매 환자는 가족이 하루 종일 돌봐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돌봄 부담은 치매 환자의 방치와 환자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환자를 더 이상 집에서 돌보지 못하고 요양시설로 보내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요양시설도 돌봄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돌봄 공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과 종사자의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돌봄 로봇’의 확대도 기대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이용해 수집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IoT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치매 환자 돌봄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위와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하나인 ‘건강사물인터넷(Internet of Health Things, IoHT)’을 구현한 ‘스마트홈(Smart Home)’이 가정과 요양시설에서 치매 환자의 효율적인 돌봄에 도움을 줘 간병부담을 줄여주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현재 코로나 감염 사태의 장기화로 요양병원•요양시설에 입원해 있는 치매 환자의 면회가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물론, 비접촉 면회가 제한적으로 허용되기는 하지만, 가족의 염려와 치매 환자의 정서적 불안정은 여전하다. 이런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통해 환자의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좀 더 발전된 비대면(언택트, untact) 스마트 기술(증강현실)인 입체화상(홀로그램, hologram)을 활용한 가상방문(Virtual visits)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최첨단 ICT는 예방, 발병 예측, 치료, 돌봄 등 치매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연재할 칼럼에서는 현재 치매의 각 분야에 다양한 ICT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고 어디까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하나씩 다루고자 한다.
참고 문헌
서정욱. (1996) 미래를 열어온 사람들 (통신과 함께 걸어온 길).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Astell AJ, Bouranis N, Hoey J, et al. Technology and Dementia: The Future is Now.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19;47(3):131-139. doi:10.1159/000497800
D’Onofrio G, Sancarlo D, Ricciardi F,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Patients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J Alzheimers Dis. 2017;57(3):927-935. doi:10.3233/JAD-161145
저작권자 ©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VID-19]한국 정부 ICT 기술 활용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상세보기
□ 코로나19 전세계적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G20을 비롯한 주요국가 및 WB, ADB, OECD 등 주요 국제기구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경험 공유를 요청해오고 있습니다.
ㅇ 특히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 사례에 대해 깊은 관심
□ 이에, 우리 정부는 관계부처‧기관간 협업을 통해 ICT 등 한국의 혁신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정책자료(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를 발간하였습니다.
ㅇ 정책자료에는 ➊사회적 거리두기, ➋혁신기술 기반 3T 대응 (진단(test), 역학조사(trace), 환자관리(treat)), ➌데이터 활용 등을 통한 확산 억제방안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포함
➊ (사회적 거리두기) 화상회의·GVPN을 활용한 원격 근무, EDISON 플랫폼·ScienceAll 웹사이트 통한 원격 교육 등
➋ (3T 대응) 진단키트 관련 과학기술 R&D, AI 활용 의료영상 판독,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약물 재창출 연구 등
➌ (확산 억제) 공공데이터 개방, 마스크 판매정보 공개 등 다양한 기술
□ 정부는 이를 ➊국내정부기관·단체, ➋해외기관(재외공관, 외국정부, 국제기구*) 및 ➌주요 외신에 배포할 계획이며, 한국의 대응사례에 관심 있는 주요국가 및 기관들과 보건ㆍ경제 분야 화상 컨퍼런스* 등도 적극 개최하여 한국의 방역, 보건, 경제대응 경험을 공유할 것입니다.
*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주요 다자개발은행(MDB) 및 OECD
* 4.23( 목 ) 미국 DC 소재 think-tanks, 정부 , 언론 대상 화상회의 개최 예정
( 조지워싱턴대 한국학 연구소 주관 )
□ 앞으로도 정부는 보건·의료 분야 국내 우수 정책을 적극적으로 공유·확산하여 전세계 코로나-19 대응 위한 정책 공조를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 ICT 기술 활용 코로나19 대응사례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DLYlHyEozY&feature=share&fbclid=IwAR2Aa9uP-5vncxjgSXuf7OXIfFYSc11zidMPqciOvcBakljGi2VqWDxDn90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다음은 Bing에서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ICT가 좋다] ‘아!좋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 #ICT
- #ICT가 좋다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장서희
- 일상속에 ICT
- 정보통신
- 정보통신기술
- VR
- 치매치료
- AI
- AI돌봄
YouTube에서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ICT가 좋다] ‘아!좋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 수많은 ICT | 정보 통신 기술 활용 사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