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정보 통신 용어 –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기술노트with 알렉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0,934회 및 좋아요 1,95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정보 통신 용어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 정보 통신 용어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네트워크#기초#기술#컴퓨터#기술사
쉽게 설명 드려봅니다!
정보 통신 용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정보통신 및 과학기술 지식을 간결하게 정리,체계화시키고 있는 개인연구실 입니다.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Source: www.ktword.co.kr
Date Published: 7/11/2022
View: 1985
정보통신용어
지리 정보 시. 제75호 TTA저널 137. 정보통신용어. Page 4. 스템은 도시 계획, 토지 관리, 기업의 판매 전략. 계획 등 여러 가지 용도에 활용된다. TCP/IP. Transmission …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2/10/2021
View: 5334
정보통신 용어 사전 – 네이버 블로그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상의 모든 유저(LAN 단말기)에 데이터를 동보(동일한 정보를 보내주는 기술)하는 것. LAN 프로토콜에서는 상대방의 MAC 프로토콜을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27/2022
View: 4041
정보통신용어사전 – Google Play 앱
정보통신용어사전은 통신, 방송, 컴퓨터, 인터넷, 정보보호 등 ICT 용어를 표준화하고,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설을 제공합니다.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수록되지않은 …
Source: play.google.com
Date Published: 11/28/2021
View: 2580
정보통신 용어해설
정보통신 용어해설. TTA에서는「제4판 정보통신용어사전」(2000년말 발간) 신규용어를 일부 발췌, 본 면에 정기적으로 수록함으. 로써 일반인들의 정보통신에 관한 …
Source: www.koreascience.kr
Date Published: 5/30/2022
View: 4829
[논문]정보통신 용어해설 – ScienceON
정보통신 용어해설 원문보기. TTA 저널 = TTA journal no.104 = no.104 , 2006년, pp.162 – 16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초록이 없습니다.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6/26/2022
View: 4927
정보통신용어 4+ – App Store
정보통신용어사전은 통신, 방송, 컴퓨터, 인터넷, 정보보호 등 ICT 용어를 표준화하고, 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설을 제공합니다.
Source: apps.apple.com
Date Published: 3/15/2021
View: 7914
정보통신용어사전(컴퓨터 인터넷)(6판)(CD1장포함) – 교보문고
전문가를 위하여 전기통신, 방송, 전파통신, 정보기술, 데이터통신 용어 등을 20개 전문분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또한 영문색인과 약어 목록을 덧붙여 두었고 초보자도 …
Source: mobile.kyobobook.co.kr
Date Published: 8/12/2022
View: 211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통신 용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정보 통신 용어
- Author: 기술노트with 알렉
- Views: 조회수 90,934회
- Likes: 좋아요 1,955개
- Date Published: 2020. 1. 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65h9uxHKGPk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정보통신 및 과학기술 지식을 간결하게 정리,체계화시키고 있는 개인연구실 입니다.
검색
▷ Top (분류 펼침) : 1,535개 분류 6,289건 해설 : 1,535개 분류 6,289건 해설 검색 펼침 new
너의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벧전 5:7)
정보통신 용어 사전
# 정보통신 용어 사전입니다. 상당히 오래 전에 수집한 자료인지라 출처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제1부 한글 용어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참조.
가상 워크그룹: 스위칭 허브에서 사용하는 필터링 기술. 주로 그룹의 시큐리티와 대역 확보에 사용하며, 워크그룹을 초월하는 프레임을 폐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통 워크그룹을 초월하는 통신을 실행하고자 할 때에는 라우터로 워크그룹 간을 접속한다. 버추얼 LAN과 유사하나, 버추얼 LAN은 콜리전 도메인을 논리화할 때의 호칭으로도 사용하는데 반해 가상 워크그룹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입자선의 전송 로스: 메털 케이블이 지닌 인피턴스로 인해 발생하는 로스. 가입자선이 길수록 증가한다. 가입자선의 길이는 대도시에서는 500m~1km정도, 교외에서는 1km~2km 정도이다.
간선계의 전송 로스: 단말국 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므로, 중계부분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주로 교환기가 신호처리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
경쟁적 액세스 사업자: CAP;Compatitive Access Providers의 약자. 바이패스업자라고도 한다. 도시 등 일정 지역내에서 한정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의 속칭. 전화교환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고 단지 전용서비스만 제공한다. 장거리 통신사업자의 우회회선(변동회선)을 RBOC(벨계 지역전화회사)를 대신해서 제공하면서 바이패스업자라고도 부른다. CAP(경쟁적 우회회선 제공자)라는 호칭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부여했다.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파이버 시스템즈, 텔레포트 커뮤니케이션즈 그룹 등이 유명하다.
경합서비스: 미국 LQSS사의 글로벌 스타, TRW사의 오디세이 , 인말샛의 프로젝트21 등 저궤도 주회위성을 복수(각각 48개, 12개, 약 40개) 사용한 이동통신서비스가 계획되고 있다. 서비스 개시는 98년으로 예상.
고속·광대역 광파이버 네트워크 정비: 미국의 앨고어 부통령은 1991년 12월 학술연구용 네트워크 축을 위한 법률 ‘HPC 법(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을 성립시켜 이 법률에 따라 광파이버를 이용한 고속·광대역 네트워크의 구축을 추진해왔다. 이것이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계획’이다. 동 계획에는 초고성능 컴퓨터 개발,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개발(ASTA), 컴퓨터 분야의 연구지원(BRHR), 전미국연구자교육 네트워크 구축(NREN) 등 4개 프로그램이 있다. 그 중 NREN은 45Mbps의 광파이버 네트워크(94년까지는 Gbps 급의 고속.광대역화 추진)를 기간망으로 미국 전역의 슈퍼컴퓨터를 대학이나 도서관 등과 연결하는 계획이다.
공전공: 공중망-전용선-공중망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장거리전화시 사내의 전용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양방의 시내요금만으로 가능하다.
관문국: 관할지역내 단말기의 속성(특성)기록, 호의 설정, 요금부과를 위한 통화기록, 지상계 전화망(PSTN)과의 접속 등의 기능을 갖는다.
광대역 ISDN: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 고속·광대역의 공중 디지털 네트워크.
광파이버 케이블: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머리카락 크기의 세밀한 유리섬유. 광을 전파하는 코어가 중심에 있고 그 주위를 크랫도가 동심원 형태로 싸고 있다.
구성관리: 네트워크 전체의 구성상황을 일원적으로 파악, 자원의 구성제어나 상태제어 등도 행한다.
국가 연구·교육 네트워크: NREN;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미국 정부가 국가 로젝트로 추진하는 고성능 정보통신 시스템인 HPCC(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의 핵심이 되는 초고속 네트워크. HPCC의 또 하나의 핵인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HPCS:High Performance Computer System)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Gbps의 네트워크를 전국 규모로 구축한다. 컴퓨터와 통신시스템 분야에서 미국의 기술적 우위성을 강화하는 것이 최대목표이다.
그룹웨어: 여러 유저가 공동으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LAN 등의 네트워크로 접속한 PC 등을 이용하는 것이 전제.
네트워크 OS: NOS.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서버용과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노벨의 NetWare 등이 유명.
네트웨어: NetWare. 미국 노벨사의 PC-LAN용 네트워크 OS. 네트워크층의 프로토콜로써 커넥션리스형의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를 사용한다.
논리링크: 다중통신을 실행하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논리적인 통신로. TDM에서는 미디어와 상대편 별로 속도를 고정시켜 설정한다. 프레임 릴레이에서는 사전에 DLCI마다 상대편을 지정해두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PVC라고 불리는 것이 많다. ATM 망에서는 VC와 VP의 2레벨의 논리링크가 설정된다. 하나의 VP에 복수의 VC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뉴튼: Newton. 미국 애플사가 내놓은 새로운 개념의 휴대형 정보단말기. 1993년에 상품을 내놓았으며, 애플의 전략상품이다.
다운사이징: 대형 컴퓨터 시스템을 여러대의 소형 컴퓨터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 메인프레임으로부터 UNIX 머신 등에 일부 업무 애플리케이션의 이동이 시작되고 있다.
다이렉트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키워드 등의 인덱스로 특정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
다이얼업 IP: 상용 인터넷 서비스의 메뉴 중 가입전화와 ISDN을 경유해 스탠드 얼론의 PC를 접속하는 서비스.
데이터 패킷: 패킷교환에서 데이터 처리단위. 유저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부와 각종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로 구성된다.
도고모 그룹: 일본의 통신서비스회사. 전국의 9개 영업지역에서 1회사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관동을 영업범위로 하는 NTT도고모(NTT이동통신망)는 나머지 지역 8회사의 주요 주주회사도 겸하고 있어 중앙회사라고도 부른다.
도메인 이름(domain name): 인터넷 호스트(인터넷상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분류하기 위한 이름. 예를 들어 [email protected]라는 전자메일 어드레스에서 @ 왼쪽의 revolist는 이용자 ID, plaza는 호스트 이름, snu.ac.kr는 ‘한국(Korea)의 대학(academy) 중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라는 뜻을 가진 도메인 이름이다. plaza.snu.ac.kr의 IP 어드레스는 147.46.80.220이다. IP 어드레스는 기억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그것에 대신해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도메인: 어떤 목적을 가지고 분할된 논리적 영역. 인터넷에서는 관리운영의 주체마다 도메인을 나눈다. cf. domain: “영토, 분야, 변역”
동경통신 네트워크: TTNet. 일본의 전력회사가 모체인 지역계 제1종 전기통신사업자. 서비스 지역은 동경, 신간선, 신빠, 시즈오까 등 관동권의 1도 8구. 전용선서비스와 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용선은 장거리계 NCC(신규제1종전기통신사업자) 3사와도 상호접속. KDD 등 국제통신사업자 3사의 국제전용선을 일본내 국내회선으로 사용가능하다.
동축케이블: 중심은 동선이며, 그 주위를 도체로서 동심원 형태로 싼 케이블. 굵기나 인피던스 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디렉토리: 파일 구조를 표현하는 경우와 유저, 리소스 관리정보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파일구조 경우는 트리구조의 가지모양을 가리킨다. UNIX나 DOS파일은 디렉토리에서 계층화돼 있다. 유저와 리소스 관리 정보의 경우는 네트워크 내에서 각종 리소스의 소재를 가리킨다. OSI의 디렉토리 서비스가 X.500이다. PC-LAN의 디렉토리 서비스로는 미국 반얀 네트워크 OS인 VINES에서 사용하는 Street Talk가 있다. NetWare에서는 4.0부터 NDS(NetWare Direcrory Service)가 제공됐다.
디스플레이 폰: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갖춘 다기능 전화기의 총칭. 본체에 IC메모리 카드를 삽입해 가입전화를 이용해 홈뱅킹이나 홈트레이딩, 각종예약, 수·발주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휴대/자동차전화 서비스: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간의 무선회선을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휴대/자동차전화 서비스.
디펙트: 디펙트 스탠다드(사실상의 표준). 국가나 정부계열의 국제표준화기관 등이 책정한 표준은 아니고, 마켓에서 인정되어 널리 퍼진 표준을 일컫는다. UNIX와 함께 보급된 통신 프로토콜인 TCP/IP나 미국 헤이즈사의 모뎀 제어순서인 AT커맨드 등이 그 예이다.
라우터: LAN간 접속장치의 일종. OSI모델의 하위 3계층까지를 처리한다. 패킷의 중계경로를 결정하는 것(라우팅)이 가능하다. OSI 7층에서 말하는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를 인식해, 어드레스에 따라 상대방까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여러 경로가 있으면 최적인 경로를 선택한다. 비슷한 LAN간 접속장치로 브리지가 있다. 브리지는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를 인식하지 않고 브로드케스트 데이터를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하는 약점이 있다. 이에 비해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를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하지 않으며, 다른 네트워크에 관계없는 데이터 패킷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라우팅: 라우터 등에 의해 실현되는 통신 데이터의 중계경로 선택기능.
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하나. 행과 열로 된 2차원의 표에서 데이터를 표현한다. 행은 파일의 레코드, 열은 항목에 대응한다. 검색이나 갱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릴레이셔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라고 부른다.
로그인 프로그램: 클라이언트를 Netware 서버에 접속하는 처리를 로그인이라 한다. 로그인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가 로그인 프로그램. 통상은 LOGIN.EXE라는 파일명으로 서버에 있다.
로컬계약: 통상의 요금보다도 월액 기본료는 낮게, 통화료는 높게 설정한 요금계약형태.
리코트 로그인: 자신의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의 CPU를 네트워크를 경유해 이용하는 것. 가상 단말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립 싱크로: 리얼타임으로 영상과 음성을 보낼 때, 화면상의 진동과 음성을 동기시키는 것.
링상태 알고리즘: 라우팅 프로토콜에 사용하는 최적경로 선택기술. 네트워크 전체의 링상황을 모니터하는 것으로 어느 경로가 최적인지를 판단하는 방식. IP용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가 채용되고 있다.
링크 마진: 위성과 지상간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반드시 감쇠한다. 이 때문에 여유를 고려해서 보내는 신호강도.
링크 특성: 경유하는 아날로그 교환기 수에 의해 일어나는 회선의 주파수 특성의 악화. 감쇠(다중된 신호를 분할할 때 발생)와 지연(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운반속도의 차)이 원인이다. 교환기 수가 증가할수록 악화한다. 디지털 교환기의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마이크로 채널: IBM의 PC PS/2, PS/55의 확장 슬롯용 버스.
멀티모드 광파이버: 가입자계에서 사용하는 저속용 광파이버. 멀티모드에 대해 중계계 등에서 사용하는 파이버는 싱글모드형이라고 부른다.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상의 특정 그룹에 속하는 유저(LAN 단말기)에 동보(동일한 정보를 보내주는 것)하는 것. 브로드케스트와 유사하다.
멀티프로토콜 라우터: 라우터는 LAN간 접속장치의 일종.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경로를 선택한다. TCP/IP, SNA, IPX 등 복수 프로토콜을 동시에 취급한다.
모듈형 허브: LAN의 종류나 기능에 따른 모듈을 짜넣어 사용하는 허브. 모듈과 그것을 장착하는 샤시로 구성된다. 접속할 컴퓨터가 늘어날 경우에는 모듈을 추가하면 된다. 새로운 LAN 기술이 등장해도 그것에 따른 모듈 개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처음 도입하는 비용이 박스형 허브에 비해 비싸다.
모바일 컴패니온: 386 호환 CPU 셋 ‘Polar’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즈 서브 셋으로 개발한 OS ‘At Work Handheld’를 채용하는 휴대형 단말기.
배리어 세그먼트: 메일 서버, DNS 서버, WWW 서버 등 인터넷에서 직접 접속해 운용하는 기기를 수용하는 세그먼트. 사내 LAN과는 게이트웨이나 라우터로 접속한다.
버스트: 예고없이 용량이 큰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을 흐르는 상태.
벨계 지역전화회사: RBOC;Regional Bell Operating Company. 1984년 1월 미국 AT&T사의 분할에 따라 AT&T로부터 분리된 22개의 지역계 전화회사. 각 지역의 시내전화 서비스를 독점 공급한다. BOC라고도 부른다. RBOC는 7개 지역 지주회사(RHC:Rigional Holding Company)가 총괄한다.
분할이용: 한 개의 트랜스폰더 대역을 분할해 이용하는 것.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상의 모든 유저(LAN 단말기)에 데이터를 동보(동일한 정보를 보내주는 기술)하는 것. LAN 프로토콜에서는 상대방의 MAC 프로토콜을 조사할 때나 초기설정을 자동 기동할 때 사용한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브로드케스트 패킷이 도달하는 범위. 브리지나 이더넷 스위치는 원칙적으로 브로드케스트 패킷을 중계한다. 이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할할 때는 라우터를 사용한다. 단 필터링 기능을 가진 브리지나 스위칭 허브에서는 특정 포트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송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필터링 지정방법으로는 전 브로드케스트 패킷을 지정하는 방법과, MAC 프레임의 상위 프로토콜마다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MAC 프레임에 들어있는 이더타입이라는 상위 프로토콜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리지: LAN 간 접속장치의 일종. OSI 모델의 물리층과 MAC(매체억세스제어)층까지의 처리를 담당한다.
비디오 다이얼 톤: VDT;vedio dialtone. 지역전회회사에서 하는 영상전송서비스의 일종.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1992년 7월 16일, 지역전화회사에 인가했다. 이 시도는 기존 CATV 사업자에 경쟁상대가 등장하지 않아 계속 올라가는 CATV 이용요금을 억제하고, 광파이버 등 차세대 가입자망의 정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비디오 서버: 고속 CPU와 영상의 고속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 고속의 다중/분배장치 등으로 구성. 이 분야에서는 미국의 휴렛팩커드, IBM, 실리콘 그래픽스, 일본의 후지쯔 등 컴퓨터 메이커가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비디오 온 디맨드: 유저가 요구하는대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가정의 단말기로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호출하면, 영상을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센터에서 영상을 검색해 고속 광대역 전송로를 통해 각 가정의 단말기에 보내준다. 이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속 광대역의 전송로, 영상을 축적하는 센터설비인 비디오 서버, 그리고 가정에 전용 단말기(셋톱 박스) 등 3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센터설비인 비디오 서버는 고속의 CPU로 영상을 고속 입출력하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와 또한 고속의 다중/분배장치로 구성된다. 이 서비스는 쌍방향 CATV의 대표적인 메뉴로 등장했다.
비디오 쥬크박스: 음성용 쥬그박스의 비디오판. 비디오테입이나 비디오 디스크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사용한 오토 체인저방식의 센터시스템. 여러 비디오 중에서 이용자가 보고 싶은 비디오를 기계적으로 꺼내어 플레이에 세트하는 장치.
비디오텍스: 호스트 단말기간의 쌍방향 문자·도형 통신시스템. PC나 어댑터를 부착한 텔레비전을 단말기로 해 전화회선으로 접속한다. 화면방식에는 북미표준방식(NAPLPS)과 일본 NTT의 캡틴시스템 서비스인 CAPTAIN방식 등이 있다.
상용 인터넷: TCP/IP를 이용하는 세계적 규모의 컴퓨터 네트워크인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서비스. 원래 전미과학재단(NSF)이 운영하던 NSFnet을 The Internet이라고 부르지만 이것은 연구·개발용이다. 상용 인터넷은 이용목적을 따지지 않는다.
서버: 분산처리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머신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그 역할 때문에 파일 서버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선 데이터통신 서비스: 휴대전화 자동차전화 서비스와는 달리,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성능관리: 트래픽이나 레스폰스라는 네트워크 자원의 성능을 파악해 성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세그먼트: LAN의 범위를 나타내는 단위. LAN에서 여러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충돌(콜리전)을 알리는 신호가 전달되는 범위. 브리지나 라우터 등의 LAN 간 접속장치로 구분짓는 경우는 별도의 세그먼트로 계산하다.
섹터: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 자기매체에 있어서 흉절방법의 단위.
셀 릴레이: 송신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로 분해해, 통신할 목적지 등의 정보를 표기한 해더를 부가한 셀 을 단위로 다중, 교환해 전송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기술. 일반적으로는 53바이트(이 중 5바이트가 헤더) 길이의 ATM 셀에 의한 방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셀프 히링기술: 장애장소를 통하는 컨넥션을 절단하지 않고 다른 회선에 할당해 앤드유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기술.
셋톱 박스: 비디오 온 디맨드 등에서 센터 설비로 디지털의 영상 음성신호를 수신, 신장해서 TV 등에 보여주는 어댑터. CATV에 사용한다.
소스 라우팅: 토큰 링 간 브리지에 접속하는 경우 통신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통신에 앞서 상대편까지 도달할 수 있는 모든 루트에서 데이터를 보내 가장 빨리 응답이 돌아온 루트를 선택한다.
순단: 회선이 순간적으로 절단되는 현상. 교환기의 고장이나 보전작업시 장치교환 등에서 발생한다.
슈퍼닉 튜리: 브리지 간의 라우팅 알고리즘. 2개의 LAN을 브리지로 접속할 때 복수 경로가 존재할 경우 사용하는 경로를 하나로 정한다. 이 기능이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루프형태의 네트워크를 순회해서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
스위칭 허브: 교환기능을 가진 허브. 수신한 MAC 프레임에 들어 있는 상대방 MAC 어드레스를 토대로 출력해야 하는 포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내부에 MAC 어드레스와 포트번호의 대응 테이블을 갖고 있다. 대응 테이블은 수신한 프레임에 들어 있는 송출원 MAC 어드레스를 독해해서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이 어드레스 학습기능은 라이닝이라고 불린다. 스위칭 허브의 대부분은 이더넷 프레임의 교환기능을 갖는 이더넷 스위치이지만 FDDI 프레임을 스위치하는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스크램블: 데이터 계열을 의사(疑似) 랜덤화하는 것. 전자방해 대책으로서 네트워크에 흐르는 데이터에 스크램블을 할 수 있다. FDDI에서는 네트워크상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아이돌 패턴(1의 연속신호)을 전송하고 있는데, 아이돌 패턴의 기본 주파수에 집중적으로 전자파가 방출되어 주변의 전자회로에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스타팅 라우팅: 라우터 네트워크에서 유저가 처음부터 경로 정보를 라우터에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방식. 이에 반해 라우터 간의 경로정보나 트래픽 정보를 주고 받아 최적경로(최소 박스 수나 지연시간의 경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다이나믹 라우팅이라 한다.
스택커블 허브: 쌓아올려서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허브. 브리지나 라우터의 스택커블 타입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10BASE-T 허브(멀티포트 리피터)이다. 특징은 SNMP 에이전트 기능의 추가가 용이한 점과 여러 허브를 1대의 리피터로 동작시키는 구성이 갖춰져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여러 세그멘트를 설정할 수 있는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스탠드 얼론: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말한다.
스패닝 트리: 브리지 간의 라우팅 알고리즘. 2개의 LAN을 브리지로 접속했을 때, 여러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 경로을 하나로 정한다. 이 기능이 없으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루프상태의 네트워크를 순회해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
스포트 빔: 위성에서 지표면에 작은 셀을 투영하기 위해 보내는 전파.
시스템 인티그레이터: 유저의 목적에 적합한 컴퓨터나 네트워크 기기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하는서비스를 하는 기업.
시컨셜 검색: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연속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액세스해 목적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
시큐리티 관리: 네트워크 자원으로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기밀보호 대책과 액세스 권리의 제어 등을 행한다.
신호수순: SVC 실행시 ATM 단말기가 실행되는 순서. ATM의 경우는 상대방의 어드레스나 상대방과의 사이에 확립되는 커넥션 대역과 품질을 ATM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아노니머스 FTP: Anonymous FTP. 서버에 들어있는 파일을 특별한 유저 ID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화일 전송. FTP 서버에 접속해 유저 ID 대신에 anonymous라고 입력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아웃소싱: 유저 기업이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축이나 운영을 외부 전문사업자에 전면 또는 일부를 이관하는 것. 사내의 인원이나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아이소크러너스 이더넷: IEEE 802.9 위원회가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16Mbps 허브형 LAN. 전송케이블은 UTP. 음성과 동화를 LAN 데이터와 동시에 다중전송 가능하도록 전송대역을 고정 할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10Mbps를 LAN 데이터에, 나머지 6Mbps를 음성/동화(제어)에 할당. 음성/동화용 6Mbps는 64kbps 단위의 논리 채널로 구성. 미국의 내셔널 세미컨덕터와 IBM이 추진하고 있다.
아키텍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개념. 건축의 설계도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그 기능이나 프로토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압축률: 원래의 정지화면과 압축한 후 정지화면 데이터량의 비. 압축 정도를 지시하는 것은 Q(양자화) 팩터라고 부르는 파라미터(변수)를 사용한다. Q 팩터는 화면을 양자화하는 경우 기본 양자화에 대해 몇 배로 양자화할 것인가를 지시하는 숫자.
알고리즘: 어떤 목적의 결과를 얻기 위한 산술적 수순.
액세스 포인트: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유저의 접속점.
어드레스: LAN에서는 사용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 단말기에 어드레스를 배당한다. IP 프로토콜에서는 32비트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지만 비트 할당에 다라 A,B,C급 등의 체계가 있다.
에이스 텔메일 인터내셔널: 국제 전자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의 제2종 전기통신사업자. 세계 2개국, 32사업자와 X.400이라는 프로토콜로 접속되어 있다. 출자는 미국 스프린트 인터내셔널과 인텍이 각각 35%씩, 스미모토상사그룹이 20%, 동경은행과 스미모토은행이 각 5%이다.
연방통신위원회: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미국의 정보통신 분야를 규제, 감찰하는 행정기관. 대통령부에 속한다. 1934년에 규정된 미국 통신법(1934년 통신법)에 근거해 설립했다. CATV, 무선, 위성, TV, 유선을 사용한 주제 통신(주내에서 통신관장)과 국제통신을 규제하는 권한을 갖는다. 주내의 통신서비스에 대해서는 각 주의 공익사업위원회(PSC: Public Service Commission)가 규제하고 있다.
오브젝트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수법. 오브젝트라는 모듈 단위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오브젝트는 데이터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오브젝트 지향의 개발수법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보수성을 높여주고 소프트웨어 재이용을 촉진한다.
오토 디스커버리: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를 찾아내는 기능. ICMP를 사용하는 방법과 ARP 캐시(UNIX 머신이 TCP/IP 이용시에 작성한 IP 어드레스와 MAC 어드레스의 대응표)를 참조하는 방법이 흔하다. IP 어드레스를 가진 제품에 한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허브와 제휴한 SNMP 매니저에서는 비 IP 단말기를 찾아내는 제품이 있다. 오토 마프와 조합돼 있는 제품도 있다.
운용관리: 유저 ID나 어드레스의 설정과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의 버전 업을 행한다.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는 엔드 유저의 신속 정확한 네트워크 운용을 실현한다.
원단 에코: 단말기에 보내질 때 신호가 교환기에서 간선측으로 흘러서 그것이 통신시에 회선루트를 일주해 단말기 측에 돌아오는 현상.
위성 2종: 위성 1종 사업자로부터 트랜스폰더를 빌려 그것을 분할하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해 재판매하는 사업자.
위성간 링크: 연합한 위성간에서 전파신호를 차례차례로 패스해 가는 것으로, 지구상이면 어디든 목적지까지 통화를 실현할 이리듐의 독자 계획. 신호를 중도에서 지상으로 내리지 않기 때문에 전송지연을 막는 효과가 있다.
윈도우 사이즈: ACK를 받지 않고 연속해 보내지는 데이터 패킷의 수. 상대편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응답이 오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 사이즈를 초과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는 없다. 회선품질이 좋은 경우 여러 데이터 패킷을 묶어 하나의 ACK를 보내면 효율이 올라간다. 이와 같은 방식은 패킷통신 국제표준 X.25를 시작으로 많은 통신방식에서 채용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인간의 의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가르킨다. 키보드나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
이더넷 버전 II: DEC, 인텔, 제록스가 공동개발한 100Mbps 허브형 LAN. IEEE에서 표준화한10BASE와 거의 동일한데 MAC 프레임 구조의 일부가 다르다.
이더넷 스위치: 이더넷용 스위치. 여러 포트를 장치해 각각의 포트마다 10Mbps를 이용한다. 포트에 접속한 각 단말기가 통신을 해도 각각의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존의 이더넷은 하나의 전송로(10Mbps)를 복수의 단말기가 공유해 단말기 수와 액세스 수가 증가하면 전송효율이 떨어진다.
이더넷: 전송속도 10Mbps인 LAN 표준 규격의 일종. 여러 단말기가 동일 전송로를 공유한다. 각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해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고 있지 않은가를 확인해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 액세스 방식(CSMA/CD)을 사용한다. 여러 밴더가 같은 사양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판매한다.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에서 MAC 층 레벨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 송신선의 MAC어드레스, 상위 프로토콜의 데이터 등으로 구성한다.
이더타입: 이더넷의 상위 프로토콜 식별자. 이더넷 프로토콜의 타입 필드에 들어있다. ARP, IP, X.25 등을 식별하며, DEC, 3Com, AT&T, IBM, 노벨 등의 메이커(독자 프로토콜) 식별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리듐: Iridium. 1990년 6월에 미국의 모토로라사가 구상한 66개의 저궤도 주회위성을 사용해서 지구상을 완전히 커버하는 이동통신서비스. 1996년 10월부터 780km의 높이에 위성을 쏘아올려 98년 제2/4분기에 서비스를 개시한다. 6개의 극궤도에 11개의 위성을 배치한다. 휴대전화와 위성이 직접 통신해 위성간을 차례차례로 중계하는 것으로써 전세계 어디에서 어디까지라도 통신이 가능하다. 기존의 지상계 전화망(PSTN)과도 게이트웨이로 상호접속한다. 단말기는 지상 셀룰러와 겸용한다.
이리듐사: 이리듐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 1991년 6월에 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위해 설립됐다. 초기비용 33억 7000만 달러의 출자자를 전세계적으로 모집해왔다.
인말샛: 국제 해사위성 기구. 정지위성에 의한 선박용 해상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979년에 발족한 정부간 국제기관. 출자자는 미국의 콤샛(COMSAT), 영국의 BT, 일본의 KDD 등이다. 약 2만대의 선박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항공과 육상에서도 약 7000대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다.
인터네트워킹: 라우터를 사용한 여러 네트워트를 상호접속하는 것. 네트워크끼리는 서로 대등한 관계이고, 메인프레임 호스트 중심의 종래 수직형 네트워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인터넷: Internet. 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 원래는 미국 국방부가 정보 공유를 위해 구축한 알파넷(Arpanet)에서 파생된 네트워크. 대학이나 기업의 연구소 등이 연구용도로 이용하다가 유저가 증가함에 따라 상용서비스를 개시했다. 유저수가 2000만여명, 접속 호스트가 200만대 이상에 이른다.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의 프로토콜로 개발됐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컴퓨터 기종이라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1994년 6월말부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통신이 한국인터넷(KORNET)이란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데이콤, 나우콤 등도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인터프리터 방식: C 언어 등의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실행방법의 하나. 유저가 기술한 프로램을 직접 해석 실행한다.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한 컴파일 방식과는 다르다. 프로그램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지연되는 것이 흠이다.
인텍: 일본 굴지의 VAN 회사. 미국 스프린트의 패킷 교환기를 도입해 일본 내에서 패킷교환서비스를 제공. 기기도 직접 판매한다. 인텍이 개발한 축적형 팩시밀리 통 신시스템을 스프린트가 도입해서 SprintFax를 제공한다.
장해관리: 네트워크 내의 장해발생을 감시, 장해 발생시에 그것을 절단하거나 장해장소를 특정한다.
전이중 이더넷: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이더넷. 송수신 대역으로써 각각 10Mbps가 용이하다. 쌍방향으로 동시 통신할 수 있어 최대 20Mbps 광역폭을 얻게 된다.
전자메일: 네트워크를 이용해 PC 등의 단말기끼리 문자나 음성정보를 메일 형태로 주고 받는 시스템.
정보가전: PC 등의 개인용 컴퓨터와 TV나 AV(음성. 화상) 기기 등 가전기기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품군의 총칭.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전자노트북, 전자수첩, 휴대형 정보단말기 등도 포함하는 광범한 의미로 사용한다.
정보 고속도로: Information Super Highway. 미국의 앨고어 부통령이 주창한 국가 기간전산망 건설계획을 통칭하는 말. 미국의 계획은 연방 주도하에 산학연이 공동으로 국가 정보 인프라(하부구조)를 정비 구축함으로써 정보의 생성, 저장, 보급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을 추진중이다.
제3차 컴퓨터 제정: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가 통신서비스와 정보처리서비스를 정의해 규제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실시한 제정. 제1차는 1971년, 제2차는 1980년, 제3차는 1986년에 실시했다. 제2차 제정에서는 통신서비스를 주고 받는 방법 간에 정보 내용이 변하지 않는 음성/데이터통신 등의 기본서비스(basic service)와 프로토콜 변환과 음성축적 서비스 등의 고도서비스(enhanced service)로 분류했다. 기본서비스는 규제 대상이며, 고도서비스는 규제대상이 아니다. 통신사업자가 고도서비스를 제공한 경우에는 분리 자회사를 통해 제공하는 고도의 비효율성과, 84년 AT&T사 분리에 따라 경쟁환경이 크게 변해,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아졌다. 이같은 불만에 따라 제3차 제정에서는 기본/고도서비스의 분리와 규제/비규제의 방식이 유지됐으나, 고도서비스는 분리자회사가 한다는 조건은 철폐됐다. 통신사업자에 대응해서 ONA(오픈 네트워크 아키텍처) 제공, 기본/고도서비스 부문의 회계분리, 네트워크 정보의 개시, 고객정보의 비밀보호와 개시 등의 새로운 의무를 부여했다. 제3차 제정도 1990년 6월에 샌프란시스코 연방공소재판소가 무효라는 판결을 내리면서, FCC가 재검토를 하고 있다.
제너럴 매직: General Magic. 멀티미디어 휴대형 정보단말기용 OS와 오브젝트지향 언어를 개발하는 미국의 회사. 애플컴퓨터를 비롯해 AT&T, 소니, 마쓰시다산업, 필립스 등이 출자하고 있다.
지연: 신호가 상대편 단말기에 도착할 때까지 긴 시간을 요구하는 현상. 해저 케이블이나 통신위성 등을 경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차세대 네트워크연구회: 일본의 미쯔비시상사, 미쯔이물산, 동경전력, 동급전철의 4개 사가 설립하고약 20개의 CATV회사가 참여한 단체.
출력레벨: 모뎀이 송출하는 신호의 크기.
칼레이더: Kaleida Labs. 미국 애플컴퓨터와 IBM이 출자해 정보가전용 OS를 개발하는 회사.
캅셀화: 한 네트워크에서 결정된 형식의 메시지를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중계할 때, 전자의 메시지를 그대로 중계 네트워크에서 결정한 형식의 메시지에 포함해 보내는 방식.
캐스캐이드 접속: 허브의 다단접속. 한 대의 허브 포트에 또 한 대의 별도 허브를 접속하는 것. IEEE 802.3 규정에서는 1세그먼트 내 허브의 다단접속은 2대의 단말기 사이에서 4단계까지로 제한하고 있다.
캡틴: CAPTAIN. 일본 NTT가 1984년 11월에 시작한 공중 비디오텍스 서비스. 통신 프로토콜은 NTT가 독자 개발한 캡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표시 가능한 화상의 상세한 정도 차이를 랭크 1-5(랭크가 높을수록 고정밀, 고세밀)까지로 나타내고 있다.
컨넥션리스형: 컨넥션리스형은 컨넥션을 개설하지 않고 하는 통신. 컨넥션을 개설할 때 자원을 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컨넥션형은 신뢰성 높은 통신이 가능하다.
컨넥션형: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착신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컨넥션이라 부르는 논리적인 회선을 설정하는 통신방식.
컨텐션: LAN 등에서 여러 단말기가 자유롭게 송신할 때 속도가 빠른 1대 단말기만이 송신권을 갖는 방식.
컨피규레이션 파일: 설정 파일의 일종. PC의 CONFIG.SYS와 윈도우즈용의 WINDOWS.INI 등이 그예다.
컨피규레이션 파일: 설정파일의 하나. 예를 들면 C컴의 CONFIG.SYS나 윈도우즈용의 WINDOWS.INI등이다. OS와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재 작동시에 이 설정을 참조한다.
코라프스트 백본: 고성능 라우터의 교환능력을 활용한 고속 백본 구축방법. 라우터와 허브가 내장하는 고속의 내부허브(백플레인)를 지선 LAN의 백본으로 사용하는 LAN 구축방법. 백본이 상자(라우터나 허브)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backbone in a box’라 부르기도 한다. 각 세그먼트를 수용한 허브를 라우터에 끌어들여 라우터 내부버스를 교환처리하기 위한 백본으로 이용한다. 대규모 LAN에 채용할 경우 허브와 라우터를 접속하는 전송로의 고속화와 라우터 자신의 처리성능 고속화가 필요하다. 고속 내부버스를 갖춘 센터허브에, 플로어 LAN을 수용한 플로어 허브를 접속하는 스타형이다. 센터허브의 후보로서는 스위칭허브, 라우터, ATM 스위치가 있다.
콜리전 도메인: LAN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가 미치는 범위. 일반적으로 이더넷에서 콜리전(레임 충돌)이 생기는 범위를 의미한다. LAN 단말기는 똑같은 전송대역(이더넷은 10Mbps)을 여러 단말기로 공동이용할 수 있어 대역 사용권을 서로 쟁탈하는 매커니즘(MAC)을 갖고 있다. 이 동작의 과정에서 콜리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콜리전이 발생하면 프레임을 송출한 단말기는 특수 비트열을 일정시간 송출한 후에, 재차 같은 프레임을 송출한다. 콜리전이 많이 발생하면 전송대역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가 길어져 전체 전송대역이 작아지게 된다.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하는 장치로는 브리지, 이더넷 스위치, 라우터 등이 있다. 아직 전이중 이더넷에서는 실제 콜리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ATM LAN에서는 콜리전이라는 현상이 없다.
크로스버 스위치: 상대방 번호에 의해 격자모양의 다단회로에서 접속경로를 접속하는 교환기. 전화의 자동교환기에서 사용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형: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제휴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처리, 검색 등을 의뢰하고 서버상에서의 처리 결과만을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클라이언트: 분산처리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머신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클라이언트 쉘: PC가 Netware의 클라이언트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보통 파일명 NETX.COM으로 클라이언트에 놓아둔다. NETX를 작동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를 찾아서 접속해야한 하는 서버를 결정한다. 로그인 처리도 클라이언트 쉘이 아니면 작동할 수 없다. 서버에 접속한 다음은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처리 중에,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것만을 취해 네트워크로 흘려보낸다. 예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파일 액세스나 네트워크 프린터로 인쇄 등이다.
클립보드: 윈도우즈에서 복수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일시적인 데이터 보관영역.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컷’ 또는 ‘복사’를 실행하면 그 데이터가 클립보드에 복사된다. 계속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페이스트’를 실행하면 그 어플리케이션에 클립보드의 데이터가 복사된다.
터미널 어댑터: 기존의 컴퓨터 등을 ISDN 회선에 접속하는 기기. 물리층 레벨에서 변환을 수행한다. 패킷망정보를 일정장의 패킷으로 분해해서 전송하는 축적교환 서비스.
턴키시스템: 열쇠를 돌리기만 하면 즉시 작동하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들어 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텔레비전 회의: 원격지 상호 간에 화상과 음성을 전송해 텔레비전 화면에 비치는 참가자의 얼굴을 보면서 하는 회의.
텔레터미널: 일본 시티미디어(JCM)가 제공하는 무선데이터 통신서비스. 패킷 단위의 종량제 과금방식이 특징이다. 짧은 메시지 교환이나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용이다.
텔터미널: 일본 시티미디어가 제공하는 반이중의 패킷교환서비스. 유선의 패킷교환과 달리 1회선으로 여러 상대방과 통신하는 논리다중은 불가능하다.
토큰 링 LAN: IBM이 제안하고 IEEE 802.5 표준으로 규격화된 링크형 LAN. 액세스 방식에 토큰 패싱을 채용했다. IBM 등이 전송속도 4Mbps와 16Mbps 제품을 출하하고 있다.
토큰 패싱: 토큰이라는 특수한 데이터를 전송로 상에 순회시켜 그것을 얻은 단말기가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다. 데이터 송신이 끝나면 토큰을 해방한다. 전송로가 링크형인 경우를 토큰 링, 버스형인 경우를 토큰 버스라고 부른다.
토폴로지: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형상. 스타형, 버스형, 링형이 있다.
통계적 다중: 통계다중을 사용한 통신노드에서는 100% 이상의 다중효과가 얻어진다. 결국 중계회선이나 통신노드에 접속된 단말기 속도의 합계보다 작게 된다. 중계회선을 완전히 점유하는 데이터가 통계적으로는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 따른 것이다.
트래픽: 특정 전송로 상을 일정시간 내에 흐르는 정보의 양.
트위스트 페어: 동선에 절연체로 피복한 것을 2선 1조로 만들어서 그것을 2조 혹은 4조로 묶어 1개의 케이블로 취급하는 케이블. STP(shield twisted pair)와 UTP 2종류가 있다.
파일 공유형: 서버의 하드 디스크를 가상 드라이브로 이용하는 방식. 서버 상에서 공유하고 있는 파일에 액세스해 직접 검색하고 갱신한다.
파일 매니저: 윈도우즈 3.1에 표준 첨가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파일의 복사나 이동, 소거, 디렉토리 작성과 소거 등이 마우스를 이용해 조작 가능하다.
패리티 비트: 데이터 전송시에 데이터가 올바로 전송되었는가를 체크하고 에러수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트. 1문자는 7비트 혹은 8비트 구성으로 각 비트는 통상 0과 1의 2진수로 표현된다. 송신측에서는 이 1문자를 표현하는 비트열에 새로운 비트(이것이 패리티 비트)를 부가, 전체의 비트열 속에서 1의 개수가 항상 홀수(혹은 짝수)가 되도록 처리한다. 수신측에서는 송신된 결과가 짝수(혹은 홀수)로 변환된다면 전송된 이 문자는 에러라고 판단한다. 이 방법을 패리티 체크 라고 부른다. PC통신에서는 에러검출은 하지만 에러수정은 처리가 복잡하지 않다.
퍼스널 커뮤니케이터: 미국 AT&T와 GO가 제창한 통신기능 탑재형 휴대 정보단말기의 명칭. 스케줄이나 주소록, 메모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과 전자메일이나 팩시밀리,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능을 조합시킨 단말기로 펜입력 방식을 채용한다.
펄스성 노이즈: 교환기 내부의 접촉불량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순간적인 잡음.
페이저: 무선을 사용해서 호출음이나 데이터를 보내 개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보내는 기기. 삐삐라 한다.
펜티엄: Pentium. 미국 인텔사가 개발한 PC와 서버용의 차세대 CPU. 86 아키텍처의 최상위급이다.
포워딩: 수취한 패킷의 수신인을 보고, 지정된 포트에서 송출하는 것. 속도는 1초당 패킷 수(pps)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폭주: 네트워크에 대량의 데이터가 유입해 혼잡해진 상태. 네트워크 기기나 회선 용량이 한계에 이른 경우에 발생한다.
폭주제어: 폭주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제어.
폴링: 마스터(주)가 되는 단말기와 슬레이브(종)가 되는 단말기 사이에서 마스터가 슬레이브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방식.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해 송신요구 유무를 순차 물어봐서 요구가 있는 슬레이브에 송신을 허락한다.
폴링시 라우팅: 네트워크 관리자나 운용자의 정해진 기준이나 방침에 따라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방법.
풀서비스 네트위원회: 일본 케이블텔레비전협의회의 프로젝트로 발족된 위원회. CATV회사, 상사 등약 90개사가 참가. 1994년 6월부터 2년여에 걸쳐 전화, PC통신, 비디오 온 디멘드 등을 연구한다.
풀 컬러: PC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풀 컬러 화상을 충실히 재현하기 위해서는 약 1677만색의 표현능력이 필요하다. PC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3원색을 조합시켜 다양한 색을 재현한다. 이 RGB를 어떤 비트로 표현하는가에 따라 전체의 표현능력이 변한다. 풀 컬러는 8비트가 필요하다. R, G, B가 각각 28=256단계, 전체로는 2563=1677만 7216단계(색)가 된다.
품질보증: QOS(quality of service)라고도 부른다. 멀티미디어 통신에서는 음성, 동화상, 데이터 등 미디어마다 통신에 대한 요구품질(비트 에러율, 전송지연 시간 등)이 틀려지지만 각각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레임 릴레이: 고속 데이터 전송용 프로토콜. OSI 7층 모델의 데이터 링크 7층에 해당하며, 전송 오류시 처리지연을 작게 하기 위해 재전송 제어를 할애해 데이터 다중화를 실현한 전송방식이다. 전용선의 고속성과 패킷망의 동시 다지점 접속기능을 겸비했다.
프레임: 프레임 릴레이에서의 데이터 처리단위. 유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부, 각종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부, 프레임 전체의 에러를 찾아내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트레일러부로 구성한다.
프로젝트21: 국제 해사위성 기구인 인말샛이 구상하는 새로운 서비스. 핸드밸드형 휴대전화용 서비스를 겨냥한다. 위성은 저궤도(LEO)뿐만 아니라 중속궤도(MEO), 정지궤도(GEO)를 검토하고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정확히 실행하기 위한 약속.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의 계층 구성에서 기존의 것으로는 TCP/IP 프로토콜 스택, OSI 프로토콜 스택 등이 있다.
프리엠프티브: OS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프로세서를 할당해 제어를 관리하는 방식. 논프리엠프티브는 애플리케이션이 할당되어 제어를 OS에 넘기지 않는 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없다.
프린트 서버 모드, 리모트 프린터 모드: Netware의 공유 프린터는 프린트 큐관리기능, 프린트 서버능, 리모트 프린터기능 등 3종류 기능을 조합시켜 실행한다. 프린트 큐관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인쇄의뢰를 서버에 접수한다. 프린트 서버는 파일 서버의 큐에 모인 인쇄 데이터를 끄집어낸다. 리모트 프린터는 실제로 프린터를 접속한다. 이중 프린트 서버기능과 리모트 프린터기능을 겸비한 경우가 프린터 서버 모드, 리모트 프린터기능만을 가진 경우가 리모트 프린터 모드이다.
필터링: 데이터가 다른 도큐먼트에 전송되는 것을 막는 기능.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별, 네트워크층의 어드레스별로 필터링 대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비전: 일본 NHK가 제안한 고화질 TV 방식. 주사선이 1125본으로 현행 NTSC방식의 약 2배이다. 화질의 종횡비는 9대 16이다.
하이퍼 텍스트: 문자, 이미지, 음성, 화면 등의 데이터를 서로 관련시켜 구성한 전자문서.
핸디 터미널: 휴대형 단말기. 한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소형의 액정화면과 턴키가 부착된 간단한 구조가 대부분이다.
허밍 코드: 어떤 처리에 따라 데이터에서 생성하는 에러 검출과 정정용 부호.
허브: LAN에서 여러 전송 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서 접속하기 위한 집선장치. 최근에는 스위치 기능이나 라우터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주요 메이커로는 시스코 시스템즈, 케이블트론 시스템즈, 칩컴, DEC,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등이 있다.
헤더: 셀, 프레임, 패킷 등의 앞에 저장돼 있는 제어정보. ATM 셀은 5바이트의 헤더 필드와 48바이트 데이터 필드로 구성한다. 셀 헤더 중에는 GFC(프로제어용), VPI(바이찰 버스의 식별자), VCI(바이찰 정보의 실별자), PT(셀정보 실별자), CLP(셀폐기 프라이어러티), HEC(헤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비트) 등이 저장돼 있다. PT는 폭주를 알릴 때 사용한다.
헤테로지니어스: Heterogeneous. 네트워크에서 메인프레임이나 PC 등 규격이나 처리능력이 이기종 컴퓨터 간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것을 의미. 단어 뜻은 이기종의 혹은 이질의 의미로, Homegeneous(동질의)의 반대어이다.
화상 처리보드: 풀 컬러 정지화상과 동화상을 취급하려면 일반적으로 프레임 메모리 보드나 비디오 보드라는 화상처리용 보드를 PC에 탑재해야 한다.
화이트 노이즈: 간선계 케이블의 열잡음(회로를 흐르는 자유전자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통신거리가 길수록 증가한다.
제2부 영문 용어
100BASE-T: IEEE802.3u 위원회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100Mbps 이더넷. 허브를 중심으로 한 스타형이다. IEEE802.3 구조의 MAC 사양(CSMA/CD)과 프레임 사양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 사용 케이블 종류와 전기신호의 부호화방식에 따라 세가지 방식(TX, T4, FX)이 제안되고 있다. TX는 카테고리 5의 UTP가 STP로, 2조의 페어선을 사용한다. T4는 카테고리 3/4/5의 UTP로 4조의 페어선을 사용한다. FX는 광파이버용이다.
100BASE-X: FastEthernet이라 불리는 100Mbps의 이더넷. 기존의 이더넷과 같이 CSMA/CD(충돌검지)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100Mbps 이더넷: IEEE 802.3 위원회에서 검토하고 있는 100M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LAN 방식의 총칭. 1992년 11월에 AT&T와 HP가 100BASE-VG를 제안한 것이 계기가 되어 검토하기 시작했다.
100VG-AnyLAN: IEEE 802.12 위원회가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고속 LAN 기술. FastEthernet와 같이 UTP를 이용한 100Mbps의 속도를 실현하는 허브형 LAN이다. 송신권 확보에 우선 제어기구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 데이터 전송시에는 기존의 이더넷(혹은 토큰링)과 똑같은 구조의 데이터 패킷을 사용한다. 미국 HP, IBM, UB 등이 추진하고 있다.
10BASE-T: IEEE 802.3에 준거한 이더넷(전송속도가 10Mbps)에서 사용하는 트위스트 페어. 허브에서 스타형으로 접속된다. 액세스 방식은 CSMA/CD을 채용. RJ-45의 모듈 잭을 허브에 삽입하면 손쉽게 PC 등을 LAN에 수용할 수 있다. 똑같은 특성을 지닌 LAN 표준으로 10BASE-5, 10BASE-2가 있으나 이들은 사용하는 케이블이 서로 다르다.
29.9kbps: 샤논의 법칙에서 계산된다. 계산식은 통신속도=대역xlog2(1+S/N).
-30dBm: 단말국에서의 모뎀신호 레벨과 비교해서 약간 높은 레벨.
4004: 4비트 프로세서로 1971년에 발표되었다. 계산기(MCS-4)의 칩으로 사용되었으며 초당 6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8008: 8비트 프로세서로 1972년에 발표되었다. 명령어 수를 45개로 확장하였으며, 16KB의 메모리를 지원하였고 처리 속도도 초당 30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향상되었다.
80286(AT): 16비트의 데이터버스와 24비트의 주소 비트로 이루어진 16비트 CPU로 4단계의 파이프라인 처리(버스유니트, 주소유니트, 명령어유니트, 실행유니트)로 속도 향상되었으며,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의 분리에 의한 전송속도도 향상되었다. 또한, 실제모드와 보호모드로 구분하였고 메모리도 최대 16MB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80386: 32비트의 CPU로 처리속도가 16Mhz – 33Mhz로 향상(CF. 286: 6-20Mhz)되었고, 캐쉬메모리를 채용(속도가 빠른 SRAM을 CPU와 주메모리 사이에 두어 자주 그리고 최근에 사용된 자료를 우선으로 캐쉬메모리에 담아두어 사용빈도가 높은 자료를 CPU가 빨리 찾아 처리함. 통상 64KB의 캐쉬메모리가 사용됨.)하였고, 메모리 용량도 더욱 확대되어 최대 4GB까지 메모리 확장 가능하며, 32비트의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였고, 멀티 태스킹이 가능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cf.) 386SX – 칩 내부구조는 80386과 같이 32비트 구조로 되어있어 CPU내부에서는 80386칩과 같이 32비트로 처리하나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는 286구조와 같이 16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속도 면에서는 80386보다 느리나 거의 비슷한 기능들을 갖는다.
80486: 32비트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가지며, 8KB의 내부케쉬메모리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CPU로 486 DX의 경우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80387)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다중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수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방대한 메모리 용량(가상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64TB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cf.) 486SX –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486.
8080: 8비트의 데이터버스, 16비트의 주소버스, 10진수 산술명령문 등이 8008에 추가된 8비트 CPU.
8086: 내부 데이터버스와 외부 데이터버스가 모두 16비트 단위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는 완벽한 16비트 CPU로 어드레스 버스로는 20비트를 사용한다. 세그먼트에 의한 메모리 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메모리 관리 능력이 1MB까지 향상되었다.
8088: 8086과 내부적으로는 유사하나 다른 점은 내부적 처리는 16비트로, 외부데이터 입출력은 8비트 폭을 처리하도록 조정 → 시스템 가격 낮춤.
AAL: ATM adaptation layer
AAL: ATM adaptation layer의 약자. ATM 층의 상위층. 상위 유저 데이터를 셀에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기능. 셀을 분해/조립하는 SAR 부층과, AAL 층의 상위층 프로토콜을 SAR 부층에 매핑하기 위한 CS 부층에서 구성된다. CS 부층은 공통부분(CPCS)과 상위 프로토콜마다 상이한 부분(SSCS)으로 구분된다. AAL 프로토콜은 5종류(타입1~5)이지만 데이터통신용으로는 최근에 등장한 타입 5가 주를 이룬다. 상위 프로토콜이 프레임 릴레이인 경우에는 위로부터 FR-SSCS, AAL5-CPCS, AAL5-SAR로 구성된다.
ABR: available bit rate
ABR: Available Bit Rate의 약자. ATM 포럼이 ATM-LAN용으로 작성한 대역할당 방법. QOS 클라스는 0. 전송대역이 비는 경우에 의해 동적으로 대역을 할당한다. BestEffort 서비스라고도 부른다.
A-b-S: Analysis by Synthesis의 약자. 합성에 의한 분석.
access(엑세스): 메모리 또는 주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의 전송신호를 보내어 데이터를 꺼내는 것 또는 컴퓨터가 파일이나 데이터 세트를 참조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랜덤 엑세스 방식과 시퀀셜 엑세스 방식 등이 있다. 랜덤엑세스란 순서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를 꺼내고 싶을 때 어느 데이터나 같은 시간에 호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기억매체에서 레코드의 배열순으로 엑세스하는 것을 시퀀셜 엑세스라 한다.
ACK: Acknowledge의 약자. 상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상대에게 전하는 제어정보. 잘못돼 있으면 NACK을 보내 재송신을 요구한다.
adapter(어댑터): adapter의 동사형인 adapt는 사전적 정의로 “적응시키다”, “적합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adapter란 “적응시키는 것”, “적합하게 하는 것” 정도로 해석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기,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어댑터란 무엇인지 몇 가지 예를 보면서 이해해보자. 미니 카세트 녹음기를 사용할 때 우리는 건전지를 아끼기 위하여 가정용 전원에 아답타라는 것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 아답타, 즉 어댑터는 건전지 대신 원하는 전압과 전류의 직류를 공급하게 적응시키는 것을 직류전원장치 또는 어댑터라고 한다. 또한 PC(Personal Computer: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CGA라는 말을 자주 들어왔을 것이다. PC에서 출력되는 계산 결과나 그래픽 등은 CGA(Color Graphic Adpter:컬러 그래픽 어댑터)용 카드가 PC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 컬러 화면을 지원해 준다. CGA 역시 단색의 출력신호를 컬러로 적응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댑터란 전기적으로 상이한 환경을 서로가 부합되게 소통시켜 주는 전기회로를 일컫는 말이다.
ADC: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전자기기의 일종으로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적절한 디지털 표현으로 변환하는 장치.
address(어드레스:번지): 어떤 단위의 정보를 기억하는 각 장소에 붙여진 식별 번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속에서 정보 하나의 단위가 차지하는 특정한 장소를 지정하기 위하여 쓰인다. 번지는 보통 번호를 가리키는 숫자로 나타내는데, 표현 방법으로 여러 가지를 사용한다. 첫째는 어떤 조작을 가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겨 번지로 사용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또 어떤 수를 기점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의 수로써 나타내는 방법이다. 전자를 절대 어드레스라고 하고, 후자를 상대 어드레스라고 한다. 숫자 대신 때로는 기호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기호 어드레스라고 한다. 예를 들어 0번지, 1번지, 2번지에 각각 정보를 넣는다는 말의 의미는 0이라고 약속된 기억장소, 1이라고 약속된 기억장소, 2라고 약속된 기억장소에 각각 정보를 넣는다는 말이다.
ADDRESS BUS: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의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전송로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 적응 미분 펄스 부호변조. 음성부호화 방식의 하나로 TDM에 탑재된 CODEC(음성부호화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ADSL: 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 미국 벨코어가 제안한 전송방식. 전화의 음성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해 동화상을 디지털 전송하는 기술로 MPEGI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DSP: apple talk data stream protocol
AFP: apple talk filing protocol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인공지능이란 인간이 생각하는 것과 같은 과정을 컴퓨터로서 실행시키려는 것이다. 즉, 지식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하여 인간의 지적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의 한 분야이다. 컴퓨터를 인간의 두뇌와 비교한다면 아직은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유치한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어떤 것에 대한 지식을 획득, 축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기대한다거나 어떤 사항들에 대한 추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그다지 황당무개한 애기만은 아니다. 지금도 컴퓨터와 사람이 직접 바둑이나 장기를 둔다든지, 수학적인 정리를 증명하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의학분야에서는 의사의 진단을 돕기 위한 진단 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제로 환자의 진료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사람의 두뇌에 필적할만한 인공지능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컴퓨터 용량의 거대화와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현재로서는 단언할 수 없다. cf. 다른 사전 – AI: 이 말이 처음 쓰인 것은 1956년의 미국의 다트머스 대학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였다. 인공지능이란 간의 두뇌처럼 학습을 하거나 사건의 추리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컴퓨터 시스템을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80년대 이후 제5세대 프로젝트라 불린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분야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이다.
algorithm(알고리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사람이 지시하는 지시사항에 따라 척척 일을 처리해 내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말미암아 컴퓨터를 외면한다면 컴퓨터는 한낱 쇠뭉치로 존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컴퓨터는 자기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과 컴퓨터의 가장 커다란 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가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사항이 주어져야 하며, 또한 지시사항은 반드시 컴퓨터가 원하는 특성들로 짜여져야 한다. 바로 이러한 특성으로 짜여진 하나의 형태를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를 통하여 기대한 결과, 즉 올바른 출력을 성취하여야 하며, 또한 조금이라도 애매모호한 점이 있어서는 안된다.
allocation(할당): 컴퓨터에서 메모리는 우리들이 사용하는 책상에 비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작업을 할 때, 우리는 우선 깨끗하게 정리된 책상이 필요하며 그 책상 위에 필요한 물건 즉, 연필, 자, 종이 등을 올려놓고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 때 책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보다 많은 양의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여러 가지 용품들을 두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 놓는 위치를 잘 할당하면 더 많은 용품을 얹어 놓을 수 있다. 컴퓨터에서 책상에 비유될 수 있는 부분이 메모리이다. 즉,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모리상에 필요한 자료나 프로그램을 올려 놓아야 하며, 메모리의 어느 부분에 무엇을 놓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할당(allocation)이라고 하며 이 작업은 OS(Operating System:운영체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OS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Alpha: 미국 DEC사가 개발한 신세대 CPU. 제품은 동사의 AlphaAXP시리즈.
Altair: 모토로라의 이더넷 호환 무선 LAN 시스템. 19GHz대를 사용하고, 전송속도는 15Mbps가 베이스.
ALU(Arithmetic and Logic Unit:산술-논리연산장치): 컴퓨터는 어떤 입력자료에 의해 요구되는 바를 처리, 출력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컴퓨터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크게 5가지 정도로 나누어지는 데 입력, 연산, 기억, 제어, 출력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연산기능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중앙처리장치라고 하며 이것은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이 중앙처리장치라는 것은 또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술-논리 연산장치(ALU), 제어장치, 주기억장치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 중에서서도 산술-논리 연산장치(ALU)는 컴퓨터로 하여금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과 같은 산술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어떤 두 수를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큰가, 아니면 같은가, 혹은 더 작은가 등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nalog(아날로그) 및 digital(디지털): 우리의 일상생활과 항상 공존하는 시간이나 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 다시 말해서 각도나 길이 등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아날로그라고 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디지털이 있는데, 이것은 변화를 불연속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표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태엽의 힘을 이용하여 시간을 바늘의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보통의 시계가 아날로그 방식이라면, 수치적인 변화를 숫자로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디지털 방식의 시계이다. 시계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날로그는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는 편리하지만, 디지털에 비하여 정확도 등이 뒤떨어진다. PC는 거의 디지털 컴퓨터이지만 특수한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컴퓨터는 연속적인 물리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자료를 입력시키며 그 출력 결과는 그래프, 전압이나 전류값 등의 아날로그량으로 출력된다.
anonymous FTP: 아노니머스 FTP(*쪽)을 찾아볼 것.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미국의 공업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이 단체에서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표준들을 제정하지만 실제로 이 단체에서 제정한 표준은 거의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이 단체에서 제정한 표준 중 대표적인 것이 정보의 표현을 위한 ASCII이다.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의 약자. 미국표준규격협회.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PN: Advanced Peer-to-Peer Networking의 약자. SNA의 새로운 네트워크 구성방법. 기존 호스트 중심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수평형 네트워크를 실현한다.
Archie: 여러 아노니머스 FTP 서버의 파일 리스트 중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는 기능.
ARDIS: 미국 IBM과 모토로라의 합병회사로 1990년 4월, 미국 내에서 무선 패킷통신 서비스를 제일 먼저 시작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 통신하고 싶은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모를 때 사용하는 어드레스 취득용 프로토콜. 일반적으로는 IP 어드레스로부터 MAC 어드레스를 알아낼 때의 프로토콜(RFC 826)을 나타낸다. ATM과 관련해서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로부터 ATM 어드레스를 알아내기 위한 ATMARP와 그 반대로 ATM 어드레스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알아내는 InATMARP가 RFC 1577로 공개돼 있다.
ARS(Audio Response System: 음성응답시스템): 컴퓨터 시스템에 전화기를 연결하여 고객이 질의할 때 음성으로 대답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에 음성화일이 내장, 터미널을 통해 전화기와 연결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데이터통신 기술과 음성합성 기술을 종합한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아스키): 미국의 ANSI가 제정한 정보처리 및 통신시스템 상호간의 정보교환용 표준코드로, 이들은 모두 7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호 33자, 그래픽기호 33자, 숫자 10자, 알파벳 대,소문자 52자 등 모두 128가지이다. cf. 다른 사전 – ASCII code: 정보교환용 미국 기준 코드로 정보의 교환이나 전송을 위하여 쓰이는 영문자 댓소문자, 숫자, 특수기호, 제어정보 등을 포함하는 여덟개의 비트 코드로 구성된다. 비트의 구성 중 일곱개의 비트는 코드화 된 문자 세트, 한 개는 패리티로 사용된다.
assembler(어셈블러):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 할 수 있는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어셈블러라고 한다. 어셈블리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를 이용하여 기계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어셈블이라고 한다.
AT&T: 미국 전화 전신 회사(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미국 최대의 전화 전신 회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데이터 크기에 따른 전송시간의 지연현상을 극소화시켜 종전에는 실현할 수 없었던 음성, 화상 및 문자 데이터를 동시간 안에 전송 가능하게 하는 비동기 전송 방식.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약자. 비동기 전송모드. B-ISDN의 핵심이 되는 전송/교환기술로 음성, 데이터, 동화상을 총체적으로 취급하는 통신방식이다. 원래 정보를 ATM 셀이라는 53바이트의 고정장 데이터를 단위로 10(처음의 5바이트는 헤더)으로 나눠서 전송, 교환한다. 경로정보를 해더에 넣어두기 때문에 ATM 교환기 등 하드웨어로서 셀을 고속으로 중단하거나 교환시킬 수 있다. 현재 패킷교환 기술과 회선교환 기술의 장점만을 취해 전화, 저속 데이터 통신, 고속 파일 전송, 동화상 전송에 하나의 교환방식으로 제공한다. 보내는 정보는 짧은 고정장 블록에 분할된다. 그 앞쪽에는 보낼 곳을 표시하는 헤더를 붙인 ‘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ATM 교환기는 헤더의 내용을 참조해 고속으로 셀을 분배해 수신처로 보낸다.
ATM-LAN: ATM(비동기전송모드) 셀의 전송과 교환기술을 사용한 LAN 제품. 미국의 네트워크기기 업체가 제품화에 앞장섰다.
ATM-NIC: ATM 대응의 LAN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다양한 밴더가 워크스테이션용 카드의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ATM 포럼: ATM 기술을 채용한 제품의 조기 실용화를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1991년 10월 미국 어댑티브(현재 NET), 시스코 시스템즈, 노던 텔레컴, 스프린트가 설립했다. 94년 3월 현재 450개 이상의 기업과 단체가 참가하고 있다. 특히 LAN 벤더가 LAN 분야에 실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ATP: apple talk transaction protocol
At Work: OA 기기를 PC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체계. PC OS인 윈도우즈와 같은 조작성과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At Work OS’가 베이스. 동 OS에는 전화기용 ‘At Work Phone’, 제휴 정보단말기용인 ‘Handheld’ 외에 프린터용, FAX용, 복사기용이 있다.
AURP: apple talk update routing protocol
backpressure: 링 레벨의 프로제어. 수신 버퍼가 꽉 차있으면 송신측에 송신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
BBNS: BroadBand Network Services의 약자. 애플리케이션이 ATM을 잘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서비스 체계. ATM 표준을 지원하고, IBM이 각종 서비스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대역폭 관리에 의한 통신비용 삭감 효과와 멀티캐스트 기능, QOS(Quality Of Service) 보증 등을 제공한다.
BBS(Bulletin Board System: 전자게시판): 전자게시판은 문자 그대로 게시판에 게시된 것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주전산기와 PC 등의 단말기를 접속하여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이 정보를 교환하는 메세지 기능의 하나이다. 시사성 있는 뉴스, 각종 광고나 무역정보 등도 이 게시판을 통해 볼 수 있는데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만 골라서 볼 수 있으며 필요한 내용은 자신의 PC로 복사해서 보관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다. 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이 BBS의 범주에 들어간다. BBS 관리자를 시솝(SYSOP: SYStem OPerator)이라고 하며 BBS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올려놓는 것을 업로드(UPLOAD),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받는 것을 다운로드(DOWNLOAD)라 한다.
BECN: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benchmark(벤치마크): 벤치마크(benchmark) 테스트란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능력, 계산 능력, 파일을 읽고 쓰는 능력 등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각종 성능을 시험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차가 성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주행 시험을 비롯하여 각종 시험을 하는 것처럼 컴퓨터도 성능을 시험한다. 물론 컴퓨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도 벤치마크 테스트를 한다. 동일한 업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상호 비교하여 어떤 프로그램이 더 빠른 업무 처리 능력이 있는지 비교한다. 그러나 컴퓨터는 정밀한 기계이므로 그 성능을 비교하기 힘들고 그 성능의 차이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런 정밀한 검사는 사람이 할 수 없고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벤치마크 테스트 프로그램이라 한다. 우리가 학교에서 시험을 치르는 것도 학생들의 능력을 비교하는 벤치마크 테스트의 일종일 것이다.
Bench Mark: 어떤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테스트할 컴퓨터에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프로그램의 수행 능력을 측정해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BCD: 2진화 10진법(binary-coded decimal notation). 각각의 10진 숫자가 2진 숫자로 표현되어 있는 2진화 표기법.2진수란 두 상태의 조합, 즉 전류가 흐르는 것을 1,흐르지 않는 것을 0으로 하고 1과 0의 조합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디지털 컴퓨터에서는 10진법으로 나 타낸 수의 각 자리를 각각 4비트 이상의 2진 수치로 표현한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
BIOS: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운영체제(OS)중의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제어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개인 용 컴퓨터의 OS는 상이한 하드웨어 상에서도 공통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드웨어 동작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모듈로 나누어서 만들고 있다.
B-ISDN: Broadband aspects of ISDN의 약자. ISDN이 제공하는 고속/광대역 서비스. N-ISDN(협대역 ISDN)과 같이 통일 인터페이스로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핵심기술은 ATM과 SDH이다.
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OC: bell operating company
BOOTP: bootstrap protocol
BPS(Bit Per Second): 초당 전송률의 약자. 초당 전송률이란 1초간에 몇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가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주로 모뎀 등의 통신기기들의 성능을 나타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4,400BPS라고 하면 1초당 14,400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BRSA: boundary routing system architecture
Btrieve: 검색항목을 지정해 데이터(레코드) 집합에서 해당 데이터를 직접 호출하는 액세스 방법인 ISAM에 준거한 레코드 관리시스템.
Buffer: 속도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두 장치들 간에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CPU에서 인쇄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프린터로 보낼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는 CPU에서 보내지는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느린 프린터는 CPU의 속도에 맞게 출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때 CPU와 프린터 사이에 CPU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이들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이렇게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를 버퍼라고 한다.
BUS: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전송용의 공통 통로를 말한다.
CONTROL BUS – CPU의 현재 상태나 상태의 변경을 기억장치나 입출력 장치에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송로
ADDRESS BUS –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 기기의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전송로
DATA BUS – CPU와 기억장치및 주변장치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로
C/S(Client & Server):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종래에 대형컴퓨터에서 모두 처리하던 작업을 특화된 마이크로 컴퓨터 즉 서버에게 분담하는 것으로 소형시스템과 네트워크 기술을 핵심으로 하여 네트워크 전체를 하나의 컴퓨팅 단위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네트워크 자체가 하나의 컴퓨터’라는 개념으로 실현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것이다.
CAE/CAD/CAM: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란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술분야의 전반적인 것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대규모 집적회로의 개발 등으로 전자계산기의 역할에 불과했던 초기의 컴퓨터가 그 기능이 고도화 되고 이에 따라 가격도 저렴화 되고 있다. 또한 5~6년전만 해도 대형, 중형의 컴퓨터에서나 처리할 수 있던 일들을 점차 소형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생산공장에서는 설계작업의 간편화, 시간의 단축, 제조공장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컴퓨터 보조 설계(CAD:Computer Aided Design)와 컴퓨터 보조 생산(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캐드(CAD)란 컴퓨터의 빠른 계산, 자료를 정확하고 폭 넓게 저장해 주는 능력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해 둔 표준 도면을 이용, 이 중 필요한 부분만 손질하여 설계도면을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설계)을 말한다. 즉, 캐드는 건축, 토목, 항공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려내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자료를 입력, 이를 보다 정확하게 보관 유지함으로써 실제 생산품과 거의 유사한 설계를 할 수 있도 록 최적의 설계, 수정, 분석 과정 등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캠(CAM)이란 캐드에서 얻어지는 설계 정보와 생산에 관한 정보를 컴퓨터와 결합시켜 생산 과정을 조정, 통제하는 것이다. 또한 CAD와 CAM을 포함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설계 생산 시스템이라는 의미로 CAD/CAM 시스템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설계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모아서 캐드, 캠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생산체계를 일컬어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컴퓨터 이용 공학)라고 한다.
CAFIS: Credit And Financ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 일본 NTT가 1983년에 개발한 공동이용형의 크레디트 온라인 시스템. 카드를 이용한 물건구매시의 사고방지와 신속한 처리를 한다. 크레디트카드 회사와 가맹점을 온라인 접속해 통신 프로토콜의 변화, 데이터 교환을 실시한다. 현재는 NTT로부터 분리된 NTT 데이터통신이 운영한다.
CAI(컴퓨터 보조 학습): CAI란 Computer Assisted Intruction을 줄인 말로 컴퓨터로 지원받는 학습이란 말의 약어이다. 즉, 컴퓨터를 교수-학습의 장으로 도입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내력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컴퓨터가 지닌 고도의 정확성과 완전한 기억력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능력을 존중,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학습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컴퓨터 보조 학습의 진정한 목적은 개별 수업을 통한 학습시간의 단축과 개별적인 필요에 따른 학습의 선택 등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환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AP: Competitive Access Provider의 약자. ‘경쟁적 액세스 사업자’를 찾아볼 것.
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의 약자. 크레디트 카드 인증 단말기. 크레디트 카드의 여신한도, 사용기간 등을 체크하는 단말기.
CATV: Community Antenna TV 또는 CAble TV의 약자. TV 전파를 한 지점에서 수신한 다음 증폭해 동축케이블(75Ω)을 통해 가입자에게 유료로 전송한다. 난시청 지역에 공동 안테나를 사용했으나 사용 범위가 넓어졌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과 결합한 쌍방향 대화형 CATV로 발전하고 있다. 대화형 CATV는 홈쇼핑, 홈뱅킹, 원격검침, 홈시큐리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CIR: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des radiocommunications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 telegraphique et telephonique. 1957년에 설립되어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하는 전신 전화의 기술, 응용, 요금문제등을 연구하여 전신전화의 국제적인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CCITT: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 무선통신을 제외하고 전기통신의 기술, 운용, 요금 문제를 연구하고 의견, 권고하는 국제기관. 1993년 3월 조직개편에 의해 현재 ITU-T(전기통신표준화센터)라 부른다.
CDDI: copp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CD-G(Compact Disc Graphic): CD-G는 국내에만 있는 방식으로 요즘 오디오에서 노래방을 이용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TV등과 연결시켜 음악외에 화면까지 볼 수 있다. CD-G는 16칼라를 지원한다.
CD-I(Compact Disc Interactive): 일반적인 CD-ROM Title은 텍스트와 오디오를 지원할 수 있지만 CD-I는 비디오까지 압축화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CD-I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압축할 수 있어(오디오:ADPCM, 비디오:MPEG로 압축), 장래에 VTR과 LD를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CD-I는 CD-ROM과 같은 장치가 아닌 하나의 독립된 장치로 CD-I안에 CPU등을 내장하고 있어 컴퓨터 없이 작동시킬 수 있다.
CDPD: Cellular Digital Packet Data의 약자. IBM의 CelluPLANII(셀플랜II)라는 방식을 사용한 무선 패킷통신 서비스.
CD-R(CD Recordable), CD-WORM(CD-Write Once Read Many): 일반 CD-ROM이 읽기만 하는 점을 개선하여 쓰기까지 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CD-R은 일반적인 CD에는 쓸 수 없으며 CD-R용 CD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 번 기록된 것은 다시 지울 수 가 없다. 보통 CD-ROM 타이틀 제조업체에서 제작용으로 사용한다.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은 디지탈 음악용으로 개발된 CD-DA(CD Digital Audio)를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600MB 이상의 대용량과 배포의 용이성, 저렴한 생산 원가 등의 장점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매체로 널리 보급되었다. 이것은 읽을 수만 있고 추가, 삭제등 이미 기록된 정보의 성격을 변경시킬 수 없고 데이터 판독속도가 현저히 느리다는 것이 단점이다.
CD-ROM Mode: 대부분 CD-ROM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Mode1과 Mode2를 가지고 있다. Mode1이란 순수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내는 것을 의미한다.(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화일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Mode2는 CD-ROM드라이브의 데이터 외에 오디오, 비디오 신호등을 포함하고 있다.(CD-G를 생각하면 쉽다.) 이러한 신호를 Mode2라 한다.
CD-ROM Title: CD-ROM에 담겨져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칭하여 이르는 말로서 이는 CD 한 장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함께 내장되어 있어 하나의 프로그램을 표현하기보다는 내장된 프로그램들을 표현할 수 있는 제목(타이틀)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생각에 타이틀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CD-ROM 드라이브: CD-ROM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주는 장치이다. CD-ROM 드라이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른 분류
(1) AT-BUS 방식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CD-ROM이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업계의 표준으로 정해져 있지 않아 사용자들이 가장 불편한 방식중의 하나이나,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니, 파나소닉, 미쯔미, 필립스 등이 CD-ROM 드라이브 회사별로 각각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CD-ROM 상호간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
(2) IDE방식
CD-ROM 드라이브와 하드디스크의 새로운 고속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기존의 AT-BUS 방식보다 2배 이상 빠른 속도를 지원하며, 기존 PC에서 두개의 드라이브만을 지원하던 단점을 보완해 준다.
(3) SCSI 방식
빠른 속도와 다수의 드라이브를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아주 뛰어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별도의 스카시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입하여야 하며, CD-ROM 드라이브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2. 타이틀을 넣는 방식에 따른 분류
타이틀을 넣는 방식에 따라 보조케이스에 담아서 넣는 캐디(Caddy)방식, 일반 CD 플레이어처럼 내장된 트레이에 올려놓고 삽입하는 트레이 로딩(Tray Loading) 방식, 휴대용 CD플레이어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뚜껑을 열고 삽입하는 셸(Shell)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트레이 로딩 방식의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척 편리하지만 타이틀 회전 안전성이 약해 현재의 2배속이 한계이며, 외부의 작은 진동이나 충격에도 순간적으로 프로그램 실행이 끊어지거나 에러가 난다. 심한 경우 5.25인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잠금 장치를 여는 진동도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 캐디 방식의 경우 일일이 갈아 끼워야 하는 불편함은 있으나 회전 안정성이 보장되므로 차후 3배속 이상의 드라이브는 모두 캐디 방식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3. CD-ROM 드라이브의 속도
드라이브의 속도는 전송률(KB/sec)로 표시되며 숫자가 클 수록 성능이 좋다. 평균 150KB/sec를 기준으로 2배속(300KB/sec), 3배속(450KB/sec)으로 표현한다. 현재는 2배속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4. CD-ROM 드라이브의 버퍼
버퍼는 CD-ROM 드라이브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메모리로서 KB단위로 표시되며 32KB부터 256KB까지의 제품이 있으며 버퍼의 숫자가 클 수록 좋다. 일반적으로 64KB이상이면 무난하다.
5. CD-ROM 드라이브의 전송량
초당 최대 전송량은 버퍼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초당 최대 자료치를 의미하며, MB/sec로 표기한다. 대개 2.2MB/sec이상을 선택하면 무난하다.
ceNet: 상용 인터넷에 대한 기술 개발과 환경 정비를 목적으로 한 컨소시엄. 미국 아메리카은행 등의 은행과 DEC, HP 등의 컴퓨터 메이커가 참가한다. 전자경제기술이나 시큐리티기능을 강화한 모자이크(Mosaic) 등을 개발 중. 이외에도 인터넷관련 출판사 Mechlermedia가 주도하는 Meckler Web이 있다.
CGA: 컴퓨터 그래픽 접속기(computer graphics adapter). IBM PC에 사용되는 그래픽 카드의 일종. 이것은 IBM PC가 처음 나왔을 때 함께 나온 것으로,80칸 25행의 문자와 320*200 또는 640*200의 그래픽을 나타낼 수 있다. 최근에는 낮은 해상도 때문에 잘 안 쓰인다.
Chameleon NFS: 미국 네트매니지사의 PC용 TCP/IP 소프트웨어.
Chatting(채팅, 대화방): PC를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나 동호인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영역. 대화방은 일반적으로 대화 내용을 누구나 볼 수 있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개대화와 일정한 이용자들과만 대화를 하는 비공개대화로 나누어진다.
Chicago: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윈도우즈3.1의 다음 버전 개발 코드명이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즈3.1과 다른 폴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매캔토시에서 지원하는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한다. MS사에서는 공식적으로 95년 1월중, 늦어도 3월까지는 시카고의 개발을 마칠 예정이며 ‘윈도우즈95’라는 이름으로 완제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한다.
chip(칩): 칩이란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가 수십~수천개로 이루어진 약 0.5cm 크기의 얇은 조각이다. 컴퓨터의 내부를 살펴보면, 직사각형의 형태에 수십개의 다리가 튀어나온 검은 부품들을 무수히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부품을 IC(Integrated Circuit:집적회로)라 하고, IC의 다리들은 그 속에 들어있는 칩과 연결되어 있다. IC는 컴퓨터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칩은 컴퓨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를 비롯한 가정의 TV 등 모든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수많은 부품들은 이 작은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은 기능이 막강한 탁상형 PC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주머니 속에 들어갈 만큼 작은 포켓용 카세트 녹음기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처럼 칩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크기를 극소로 줄일 수 있으며, 동작 속도가 빨라지고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R: Committed Information Rate의 약자.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 사용하는 속도 표현의 하나. 망이 폭주상태가 아닐 때에 기대할 수 있는 실효속도의 최저치. 논리링크마다 설정한다. 망이 폭주상태로 들어간 경우에는 이 속도로 통신한다 해도 프레임이 폐기될 가능성이 있다.
circuit(회로): 회로에서 ‘회’는 ‘돌아온다’는 뜻이고 ‘로’는 ‘길’이라는 뜻이다. 즉 일방통행처럼 가버리면 그만인 길이 아니라 서울의 지하철 2호선(순환선)과 같이 나갔다가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는 전기회로라는 말을 익히 들어왔다. 지금 말한대로 회로의 의미를 전기회로에서 생각해 보면 전류, 즉 전기의 흐름이 밖으로 나가서 다시 돌아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전류는 빈손으로 나가서 빈손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류는 분명히 전기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빈손이 아니다. 그럼 이 전류는 왜 나가는 것일까? 무엇인가 필요에 의해서 나가는 것이다. 전류가 회로를 따라 밖으로 나가면서 회로 사이 사이에 있는 저항이나 트랜지스터, IC와 같은 부품에 전기를 주고 다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미 여러분도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이렇게 전류가 자신의 임무를 마치고 무사히 돌아오는것-회로-을 전기가 통한다고들 하지 않는가.
CISC: 복잡 명령 세트 컴퓨터(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CL: connectionless
CLLM: consolidated link layer management
CLLM: 프레임 릴레이망이 폭주상태에 있음을 알려주는 프레임. FECN/BECN에 의한 방법과는 달리, 송신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단말기 측에 폭주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CLNS: connection-less network service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 OSI 7층 모델 중 애플리케이션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관리용 프로토콜.
CMOP: CMIP over TCP/IP의 약자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낮은 전력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MOS 구조로 된 집적회로의 일종. P 채널과 N 채널의 트랜지스터를 필요로 하며 속도와 밀도의 특성은 NMOS와 PMOS의 중간. 시스템은 보통 MPU 클록, 타이머 클록, 특정 입출력 에 대한 클록을 필요로 한다. 소비전력이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지며, 휴 대용 계산기, 전자 시계,초소형 컴퓨터 등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COBOL(코볼): COmmon Business Oriented Language의 약자로서, 1960년에 미국의 컴퓨터 사용자와 제조업자를 중심으로 개발된 사무자료 처리용 고급 언어이다. 이 언어는 다량의 자료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코볼 컴파일러만 있으면 컴퓨터 기종간의 차이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무계산 및 상업계산용에 적합한 이 언어가 다른 언어와 비교되는 특징으로는 구어체의 영어 문장으로 되어있고 컴퓨터의 내부적인 특성에 관계없이 설계되었으므로 사용시 기종간의 제한이 없다는 점, 그리고 프로그램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착오 발생시 수정이 용이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968년 미국 사무 처리 언어의 표준이 된 코볼은 그 후 코볼 컴파일러 사용에 따른 주기억 용량의 팽창, 간결하지 못한 긴 프로그램의 작성량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적 코볼을 등장시켰다.
CO: connection oriented
CommerceNet: ceNet과 동일
compile(컴파일)/compiler(컴파일러):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는 과정을 컴파일이라 하고 컴파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한다.(고급 언어란 베이직이나 코볼 등과 같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와 비슷한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기계어란 0과 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언어이다.) 예를 들어 글을 전혀 읽지 못하는 철수라는 아이가 있다고 하자. 어느날 철수 앞으로 편지가 왔는데 이것을 읽을 수가 없어 영희가 편지를 읽어주어 철수가 그 내용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컴퓨터 시스템에 비교하면, 편지를 쓴 사람은 컴퓨터 사용자이고, 철수는 컴퓨터에 해당된다. 그리고 편지에 적힌 글은 고급 언어, 영희가 읽는 소리는 기계어에 해당되며, 편지의 내용을 말로 표현하는 작업은 컴파일이며, 영희는 컴파일러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concurrent processing(병행처리): 비슷한 두 개 이상의 명령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아침에 늦잠을 자서 학교에 달려가며 겉옷의 단추를 끼운다거나, 저녁밥을 먹으면서 TV를 본다든지 하는 것이 인간이 하는 병행처리의 예이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여러 가지 일을 한 번에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병행처리라 한다. 예를 들어 ‘2*3+4*5’의 계산을 한다면 다음과 같이 3단계를 거쳐야 한다. (1) 2*3을 계산 (2) 4*5를 계산 (3) (1)의 계산 결과와 (2)의 계산 결과를 더한다. 그런데 병행처리를 하면 위의 과정이 2단계로 끝날 수 있다. (1) 2*3을 계산하면서 동시에 4*5를 계산 (2) (1)의 계산 결과를 더한다. 이와 같이 병행처리를 하면 처리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이다.
CONTROL BUS: CPU의 현재 상태나 상태의 변경을 기억장치나 입출력 장치에 알리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송로
conversion(변환): 데이터의 표현 형식을 하나의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이 작업이 필요한 것은 각 컴퓨터에 따라 혹은 각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표현 형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GW 베이직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아스키 코드로 저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작업내용을 GW 베이직 특유의 코드로 저장시켰다면 보석글이나 기타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는 GW 베이직의 자료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변환(conversion)작업을 통하여 GW 베이직의 자료를 다른 소프트웨어가 알 수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다.
copy(카피): 카피란 베낀 것, 사본, 복사하다라는 뜻의 단어로 원하는 자료나 문서를 원본과 똑같이 옮겨 놓는 것을 말한다. 학기말 시험이 바로 내일인데 이에 대비해 평소 열심히 필기해 놓은 수학노트를 분실했다고 상상해 보자. 더군다나 이 사실을 학교 수업을 마친 후에 발견했기 때문에 친구에게 빌려서 베낄 시간도 없는 상황이다. 정말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경우 친구의 수학 노트의 내용중 시험에 필요한 부분을 복사기를 이용해 수 분내에 똑같이 ?섟?놓을 수 있게 해 주는 것, 이것이 바로 카피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여러 자료나 문서 등을 관리할 때도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주는 명령어가 존재하는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복수 파일을 옮길 경우에는 ‘copy’를, 그리고 하나의 디스크에 있는 전체의 자료를 옮길 때는 ‘diskcopy’라는 카피 명령어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복사할 수 있다.
COSE: common open software environment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이며, 심장부로 가장 중요한 곳이다. 컴퓨터로 계산을 할 때에는 우선 문제를 키보드 등을 통해서 읽어 들인다. 그리고 입력을 통해 들어온 계산문제는 빠른 속도로 컴퓨터에 기억된다. 제어장치는 일정한 순서에 의거하여 기억장치나 연산장치에 지시를 내리고 기억장치에 기억된 숫자를 연산장치에 보내며 연산장치는 계산 문제를 풀이하여 그 결과를 만들어 낸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결과는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로 보내어진다. 여기에서 입력.출력장치를 제외한 기억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를 통털어 중앙처리장치라고 한다.
CPU Type(intel):
4004 – 4비트 프로세서로 1971년에 발표되었다. 계산기(MCS-4)의 칩으로 사용되었으며 초당 6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8008 – 8비트 프로세서로 1972년에 발표되었다. 명령어 수를 45개로 확장하였으며, 16KB의 메모리를 지원하였고 처리 속도도 초당 30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향상되었다.
8080 – 8비트의 데이터버스, 16비트의 주소버스, 10진수 산술명령문 등이 8008에 추가된 8비트 CPU.
8086 – 내부 데이터버스와 외부 데이터버스가 모두 16비트 단위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는 완벽한 16비트 CPU로 어드레스 버스로는 20비트를 사용한다. 세그먼트에 의한 메모리 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메모리 관리 능력이 1MB까지 향상되었다.
8088 – 8086과 내부적으로는 유사하나 다른 점은 내부적 처리는 16비트로, 외부데이터 입출력은 8비트 폭을 처리하도록 조정 → 시스템 가격 낮춤.
80286(AT) – 16비트의 데이터버스와 24비트의 주소 비트로 이루어진 16비트 CPU로 4단계의 파이프라인 처리(버스유니트, 주소유니트, 명령어유니트, 실행유니트)로 속도 향상되었으며, 주소버스와 데이터버스의 분리에 의한 전송속도도 향상되었다. 또한, 실제모드와 보호모드로 구분하였고 메모리도 최대 16MB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80386 – 32비트의 CPU로 처리속도가 16Mhz – 33Mhz로 향상(CF. 286: 6-20Mhz)되었고, 캐쉬메모리를 채용(속도가 빠른 SRAM을 CPU와 주메모리 사이에 두어 자주 그리고 최근에 사용된 자료를 우선으로 캐쉬메모리에 담아두어 사용빈도가 높은 자료를 CPU가 빨리 찾아 처리함. 통상 64KB의 캐쉬메모리가 사용됨.)하였고, 메모리 용량도 더욱 확대되어 최대 4GB까지 메모리 확장 가능하며, 32비트의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버스를 사용하였고, 멀티 태스킹이 가능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cf.) 386SX – 칩 내부구조는 80386과 같이 32비트 구조로 되어있어 CPU내부에서는 80386칩과 같이 32비트로 처리하나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는 286구조와 같이 16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속도 면에서는 80386보다 느리나 거의 비슷한 기능들을 갖는다.
80486 – 32비트 데이터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가지며, 8KB의 내부케쉬메모리를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CPU로 486 DX의 경우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80387)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다중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수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방대한 메모리 용량(가상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64TB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cf.) 486SX – 수치연산 보조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486.
PENTIUM – SUPERSCALAR ARCHITECTURE(한 개의 프로세서 내부에 두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가짐으로써 1개의 프로세서 싸이클 동안에 두 개 이상의 명령수행을 가능케 하는 구조)을 채택했으며, 부동소수점 장치의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고, 별도의 코드와 데이터 캐시메모리를 8KB씩 보유하고 있다. CACHE WRITE방식(WRITE BACK방식으로 메모리 사이클에 대한 프로세서의 부하를 현격히 줄임.)을 채택했고, 분기 예측 (BRANCH PREDICTION) 기능이 있어 25%의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 내부 256비트, 외부 64비트의 데이터 버스 구조를 갖는다.
CRAD: cell relay assembler/disassembler
CRT(Cathode Ray Tude:음극선관): 인간의 눈으로 모든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사물이 가지고 있는 색을 우리가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빛에 의해서 가능해진 것이다. CRT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 즉 문자나 그림 등을 TV나, 컴퓨터로 출력시키는 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컴퓨터에서는 모니터의 화면을 지칭한다. CRT는 독일의 브라운(Braun)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완성되었기 때문에 브라운관으로도 통하며, CRT보다 브라운관이라는 말이 오히려 더 잘 알려져 있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 이더넷을 사용하는 전송로 제어방식(MAC 프로토콜)이다. 단어 뜻은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검출. 전송로는 논리적으로 버스형.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전송로를 감시해서 신호의 유무를 조사, 신호가 송출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송출한다. 데이터 충돌을 검출하면 임의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전송한다.
CSMS/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의 약자. WaveLAN을 시작으로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 LAN 시스템에서 많이 채용하는 액세스 방식. 송신하기 전에 전파 캐리어가 있는지(다른 단말기가 송신하고 있는지)를 판별해 비어 있으면 송신한다. 데이터 충돌을 검출하는 CSMA/CD보다도 간단한 방식이다.
DAC: (1)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2)계산기 증보식 설계(designed augmented by computer).
DAMA: demand assigned multiple access
DASD: 직접 접근 기억 장치(direct access storage device). 데이터의 판독, 기록 시간과 데이터의 기억 위치 사이에 실용상의 상관 관계가 없는 기억 장치로,전형적인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기억 장치,자 기 드럼 기억 장치나 자기 데이터 셀 기억 장치 등이 있다. 이들은 어떤 목적의 정보를 호출하는데 마치 책의 페이지를 찾는 것과 같이 색인을 만들어두고 임의 호출한다. = random access memory
data(데이터): 인간이 식사를 함으로써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듯이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정보와 데이터의 차이점을 보면 데이터는 인간이나 컴퓨터가 통신, 해석 및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실 및 개념의 표현을 어떠한 조건, 값 또는 상태로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이며, 정보는 데이터의 표현에 적용되는 특정의 명확한 약속에 의하여 인간이 데이터에 부여한 의미이다. 예를 들어 시험을 본 후 각 과목의 성적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하였다고 할 때 각 과목의 성적은 데이터가 되고 평균 즉 얻고자 했던 값은 정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석차를 구하고자 할 때는 조금전 프로그램에서의 정보였던 평균이 데이터가 되어 새로 원하는 정보, 즉 석차를 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출력된 정보는 다른 정보를 구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database(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상호 연관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어느 특정 조직의 응용 시스템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이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친구들의 주소, 성적, 취미, 특기 등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다고 하자. 이를 단순한 각각의 파일로 작성한다면 수영을 같이 갈 친구를 찾을 때 일일이 친구들의 파일을 살펴 취미나 특기가 수영인 사람을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각각의 파일이 단순하게 자료 보관 정도의 의미 밖에 가지지 못하지만,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작성해 두면 ‘취미나 특기가 수영인 친구를 찾아라’라고 명령을 내려 수영을 좋아하는 친구들의 목록에서 수영을 갈 친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DATA BUS: CPU와 기억장치및 주변장치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로
data communication(데이터 통신): 서로 떨어진 기계와 기계간의 정보의 수집, 가공, 처리, 저장, 분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한다. 특히, 여기서의 기계는 컴퓨터가 주역이므로 데이터 통신을 컴퓨터 통신이라고도 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인 음성통신(전화)이 단순히 음성의 전달에 의미를 두었던 것에 비해 데이터 통신은 컴퓨터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까지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이다. 데이터 통신의 구성은 컴퓨터, 통신용 소프트웨어, 시리얼 카드, 모뎀, 전화선(통신회선)으로 이루어진다. 전송 과정을 보면, 전화선에 전화기 대신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에서 생성된 디지털형의 데이터를 시리얼 카드에서 송신에 맞게 고치고, 디지털형의 데이터를 모뎀에서 아나로그형으로 바꾸어 송신을 한다. 그러면 다시 상대방의 모뎀에서 아날로그형의 데이터가 디지털형으로 바뀌고, 시리얼 카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DB: database
DBMS: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 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의 추가, 변경, 삭제, 검색 등의 기능을 집대성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dbMAGIC: Brieve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솔루션. DB2
DC: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C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DDE: Dynamic Data eXchange의 약자. 윈도우즈 상의 복수 애플리케이션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
DDI계 셀룰러 전화회사: 일본 제2전전(DDI)이 설립한 휴대/자동차 전화회사의 그룹. 관서셀룰러, 중셀룰러, 4국셀룰러, 9주셀룰러, 북륙셀룰러, 동북셀룰러, 북해도셀룰러, 충전셀룰러의 8개사이다.
DDP: datagram delivery protocol
DDX: digital data exchange
deadlock(교착상태): 자동차를 타고 시내를 다니다 보면 서로 양보하지 않아서 교통이 막혀 버리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체증과 비슷한 현상이 컴퓨터에서도 가끔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태를 교착상태라고 한다. 교착상태는 한 번에 한가지의 프로그램만을 실행시키는 개인용 컴퓨터(PC)에서는 일어나지 않고,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컴퓨터에서만 발생하게 된다. 교착상태에 빠지면 프로그램들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운영체제(OS)에서 프로세스에 우선 순위를 주는 등의 해결 방안을 가지고 있어야 교착상태를 풀 수 있다.
debugging(디버깅): 오류를 수정한다는 뜻으로, 작성된 프로그램 상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정정하는 것 즉, 버그(bug)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컴퓨터는 한치의 실수도 없는 완벽성을 지향하는 기계이다. 그러나 이를 움직이고 쓸모있게 해 주는 것은 사람이 설계, 작성한 프로그램들이다. 사람이란 기계와 달라서 실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수가 없는 완벽한 프로그램의 작성이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를 버그라 하고 이를 찾아 내어 정정하는 것을 디버깅(수정작업)이라 한다. 디버깅은 먼저 프로그램의 작성시 시뮬레이터(오류수정기)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고 실수의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신텍스(문법) 상의 오류 등과 같은 시스템에 관련된 실수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류수정 과정은 기계를 넣기 전에 수작업을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류수정 과정은 기계를 넣기 전에 수작업을 통하여 확인하는 과정과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 실제로 데이터(자료)를 사용해 보는 조사 등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DEC: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1957년에 올슨에 의해 설립.
decode(해독): ‘decode’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해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해독이란 암호를 푼다는 뜻이다. 컴퓨터에서 해독이라는 용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컴퓨터도 암호를 사용한다는 말이 된다. 사실 컴퓨터가 사용하는 암호란 일종의 변형된(그 형식이 바뀐) 데이터를 말한다. 컴퓨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살펴보면 어느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데이터가 옮겨질 때 보내는 쪽은 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받는 쪽은 해독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까닭은 마치 군인들이 멀리 떨어진 아군과 무전 교신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적군이 공격해 온다. 우리 부대로 증원군을 빨리 보내달라.’라는 내용을 무전으로 ‘뚜뚜 따따’로 보내면 23자의 말을 단 4자의 말로 전달할 수 있다. 컴퓨터도 이처럼 간단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보통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기도 하고 해독하기도 한다. 특히 인터넷 메일의 경우 encode와 decode를 많이 사용한다.
default(디폴트): 디폴트(default)란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을 뜻하는 단어이다. 그러나 컴퓨터 용어로서의 디폴트는 ‘기본’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처음 컴퓨터가 등장했을 때 컴퓨터는 마치 갓 태어난 아기와 같은 존재였다. 그러다 보니 컴퓨터가 제대로 움직이려면 사람이 하나 하나 세세한 일들을 전부 직접 조작해야만 했다. 그 당시에는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이 컴퓨터를 직접 조작하는 일이 일종의 의무라고 생각되어졌다. 예를 들면 컴퓨터의 전원을 켜고 나서 컴퓨터에 모니터가 연결되었으면 1번 스위치를 눌러서 컴퓨터에게 연결되어 있다고 알려주고,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2번 스위치를 눌러주는 등의 번거로운 일을 해야만 했다. 그러나 PC 사용자는 앞에서 설명한 일들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는 그것들을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알아서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폴트란 단어의 의미는 컴퓨터가 ‘기본’이라는 초기 환경을 제공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로 풀이된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흔히 디폴트값이란 말을 듣게 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값을 따로 지정하지 않았을 때 기본으로 정해져 있는 값을 말한다. 이 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는데, 디폴트값을 바꿔 놓으면 그 다음부터는 바? 값이 디폴트값이 되는 것이다.
demo(demonstration:데모): 자신들의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해 사회 각 분야에서 데모를 한다. 본래 데모는 돌을 던지고, 최루탄을 쏘는 폭력이 아니며 ‘일치된 구호를 외치며, 피켓 등을 들고 거리를 행진’하는 등의 적극적이며 전시적인 방법으로 여론을 형성하는 민주주의의 한가지 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로써 데모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묘하게도 데모는 컴퓨터에서도 벌여지고 있다.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그 프로그램의 특징과 주요 내용 등을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입력시키면 실제로 게임에 돌입하기 전에 그 게임의 가장 재미있는 화면이 나타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게임의 내용을 대충 알려준다. 이러한 화면을 데모 화면이라 하며 데모 화면을 만들어 주는 게임 내의 프로그램을 데모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데모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그 프로그램의 이용 욕구를 유발시키는 -우리가 알고 있는 데모처럼- 촉진제의 역할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바로 전에 데모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입력시킨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device(장치): 디바이스를 우리말로 풀이해 보면,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립된 기기’ 또는 ‘특수한 기능이 있는 부품이나 기기’를 뜻한다.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키보드 대신 마우스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린다면 컴퓨터의 입력 디바이스는 마우스이며 그려진 결과를 프린터로 인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출력 디바이스는 프린터이다. 만약 프린터로 인쇄시키기 위하여 인쇄 명령을 내렸지만 컴퓨터의 본체와 프린터가 올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니터에는 ‘I/O device error (입/출력 디바이스 에러)’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된다. 즉 입력 또는 출력에 필요한 장비(여기서는 출력 장치인 프린터)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 클라이언트 작동시에 IP 어드레스 등을 자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 BOOTP라는 프로토콜의 확장판. RFC(Request For Comments) 1541에 기술되어 있다. IP 어드레스 외에 디폴트 게이트웨이나 네임 서버 등의 어드레스도 통지할 수 있다.
digital(디지털) 및 analog(아날로그): 우리의 일상생활과 항상 공존하는 시간이나 온도 등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 다시 말해서 각도나 길이 등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아날로그라고 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디지털이 있는데, 이것은 변화를 불연속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표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태엽의 힘을 이용하여 시간을 바늘의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보통의 시계가 아날로그 방식이라면, 수치적인 변화를 숫자로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디지털 방식의 시계이다. 시계를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날로그는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는 편리하지만, 디지털에 비하여 정확도 등이 뒤떨어진다. PC는 거의 디지털 컴퓨터이지만 특수한 분야에서는 아날로그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컴퓨터는 연속적인 물리량에 의하여 나타나는 자료를 입력시키며 그 출력 결과는 그래프, 전압이나 전류값 등의 아날로그량으로 출력된다.
DINA: distributed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architecture
DIP(Dual In-line Package switch:딥 스위치):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사용자가 회로의 기판 상에서 기능을 임의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부의 기판(메인 보드나 카드 등)에 설치된 작은 스위치의 무리를 딥 스위치라고 한다. 딥 스위치는 모든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제조 회사에서 회로 설계상 특정 목적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서 장착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용량이 512KB인 A사의 컴퓨터와 B사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하자. A사의 컴퓨터는 메모리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 공간과 딥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B사의 컴퓨터는 확장 공간과 딥 스위치가 없다. 이 때 두 컴퓨터의 메모리를 640KB로 확장시키는 방법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A사의 컴퓨터는 램칩(RAM chip)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확장 공간에 삽입시킨 뒤 딥 스위치를 컴퓨터의 사용설명서에 명기된 대로 조절하면 간단하고 저렴하게 메모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반면 B사의 컴퓨터는 램칩의 추가에 의한 메모리의 확장은 불가능하며 램칩보다 가격이 비싼 메모리 확장 카드를 별도로 구입하여 컴퓨터 내부의 비어있는 슬롯(그래픽 카드나 디스크 컨트롤러 등을 끼우는 곳)에 끼워야 한다. 그런 다음 메모리 확장카드에 장착된 딥 스위치를 컴퓨터의 기종에 맞게 조절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딥 스위치는 사용자에게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컴퓨터 구입시 딥 스위치의 유무 및 역할을 유심히 살펴 보아야 한다.
directory(디렉토리): 디렉토리는 사람의 이름, 주소 등을 묶어 놓은 주소성명록 또는 인명록 등으로 풀이되는데, 16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도스(DOS)에서는 파일이라는 용어와 함깨 도스를 관장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파일을 일정한 자료를 모아 놓은 데이터의 집합체로 본다면, 디렉토리는 이러한 여러 개의 파일을 정리, 보관해 놓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할 때 자료는 파일 단위로 저장되는데 이러한 파일의 묶음을 디렉토리라고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서류를 데이터라 한다면, 서류 여러 장의 묶음은 파일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류 뭉치 여러개를 담아 놓은 상자는 디렉토리, 이들 상자를 보관하는 캐비넷은 디스크와 대응시킬 수 있다. 우리가 캐비넷에 들어 있는 자료 중 원하는 것을 꺼내려면 먼저 캐비넷을 열고 그 속에 있는 상자를 차례대로 열어 보아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필요한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파일이 들어 있는 디스크내의 디렉토리로 들어간 다음 그 안에 든 여러개의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아야 한다. 디렉토리의 구조는 최초의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와 이에 뿌리를 둔 하위 디렉토리인 서브 디렉토리로 이어진다. 서브 디렉토리는 정보를 담고 있는 디스크를 작은 저장 영역으로 분할해 줌으로써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즉, 주제별로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아래 소주제에 대한 서브 디렉토리를 나눈다. 이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많은 자료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isk(디스크 혹은 diskette 디스켓): 디스크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컴퓨터의 메모리 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이것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컴퓨터 창고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사용하다가 다른 일을 처리해야 한다거나 따로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이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필요한 일들은 메모지나 공책에 적어 기억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우리의 기억력라는 것은 편리하기는 하지만 기억할 수 있는 일과 시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이라든지 공책이라는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잊어서는 안될 중요한 일들을 메모해 둔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도 오래 보관해야 하는 자료나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라는 것을 따로 사용하여 보관한다.(여기서 메모지나 공책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보조기억장치이다.)
display(도형표시장치): 도형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컴퓨터가 알리려는 내용을 화면으로 보여주거나 입력하는 내용이 컴퓨터에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PC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주변 장치 중에 하나로 모니터가 있다. 현재 모니터 없이 PC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만약에 모니터가 없으면 키보드에서 누른 키가 제대로 컴퓨터로 입력되었는지 처리한 결과를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PC는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모니터의 역할을 하는 장치를 도형표시장치라고 한다. 도형표시장치로는 CRT(Cathode Ray Tube), VDT(Video Display Terminal), 액정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의 약자. 프레임 릴레이에서 사용하는 상대편 식별자. 프레임 릴레이용 프레임의 해더(어드레스 필드)에 들어 있다. 이것을 사용해 1개의 물리회선 중에 복수의 논리회선을 설치할 수 있다.
DLL: dynamic link library
DLS: data link switching
DMA: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E: distributed management environment
DMI: PC나 프린터 등을 관리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DMTF가 사양을 작성했다. 관리대상은 PC 본체, LAN 보드, 프린터, 모뎀, 주변기기, 소프트웨어 등이다.
DMTF: Desktop Management Task Force의 약자. 데스크 톱 관리용 API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단체. 1992년에 IBM, 인텔, 썬 마이크로소프트,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이큅먼트, 노벨, 휴렛팩커드, 마이크로소프트 등 8개 사가 설립했다. 1994년 4월에는 표준 API로 DMI(Desktop Management Interface) 버전 1.0의 사양을 통합 정리했다. 현재 약 300사가 참가하고 있다.
documentation(도큐멘테이션, 문서화): 문서화란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시스템의 설계, 세부적인 설계, 프로그램의 완성 단계까지의 개략적인 과정을 문서로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일이 어떻게 시작되어 어떻게 진행되며 어떻게 끝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적어, 문서만 보면 누구든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일에 대해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문서에 의해 인수, 인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가 시스템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도큐멘트라는 의미가 조금 다르게 사용되는데, 그것은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일명 중에 확장자가 .dos인 것은 대부분 프로그램의 도큐멘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처음 프로그램을 작동한다든지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잘 되지 않을 경우 이 도큐멘트를 프린터로 뽑아 한 번쯤 읽어보는 것이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DOS(Disk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도스란 PC에서 주로 디스크와 관련된 컴퓨터의 작동을 감시하고 지시하는 운영 시스템을 말한다. 사실 컴퓨터는 인간이 만든 가장 강력한 도구중의 하나이긴 하지만 인간이 직접 컴퓨터의 하드웨어(기계)를 제어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운영 시스템이라는 일종의 프로그램이 인간을 대신하여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게 된다. 도스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은 현재 사용중인 플로피 디스크 혹은 하드 디스크의 어느 부분에 입력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사용중인 디스크의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빨리 ?z아 출력시킬 것인지를 일일이 간섭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도스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기능도 있는데, 이것은 프로그램을 디스크에서 읽어 실행시키기까지의 모든 환경을 준비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과 디스크 공간을 체크, 현재의 상태에서 실행 가능한지를 점검한다. 이외에도 도스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어떤 명령을 내렸을 때 그것이 어떤 명령어인지를 해석하는 것으로, 바로 이 도스의 명령어 처리 기능에 의해 우리가 컴퓨터에 내린 명령어가 실행되는 것이다. 결국 도스란 하나의 딱딱한 기계에 불과한 컴퓨터를 정말 컴퓨터답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DOS 호환박스: 윈도우즈 상에서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기 위한 구조. 윈도우즈 상에서 독립된 8086 머신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윈도우즈를 기동하기 전에 도스의 상태가 호환박스에 복사되고 그 위에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읽어 들인다. 그 때 윈도우즈의 상주부가 그 사이에 들어간다. 메모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여러 도스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할 수 있다.
dot(점):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은 수십만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점들이 모여 글자나 그림이 만들어진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해상도가 640*200이나 320*200이라는 말을 듣게 되는데, 이것은 컴퓨터가 모니터에 화면을 구성할 때 몇 개의 점을 가지고 한 화면을 구성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앞의 수치는 가로 점의 수를, 뒤의 수치는 세로 점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흑백 모니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는 720*348이다. 이와 같이 나타낸 점의 수치를 해상도라고 하는데, 해상도는 화면의 선명도와 일치한다. 즉, 많은 점으로 구성될수록 해상도가 높아 보다 선명한 화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도트는 픽셀(pixel) 또는 화소라는 말로 불리우기도 한다.
down load (다운 로드): 모뎀과 시리얼 카드 등의 주변 기기들을 이용하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컴퓨터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데, PC 통신의 경우 전자 게시판이라는 것이따로 있어 마치 게시판에 공고문을 붙이듯 필요한 메시지를 남기기도 하고 프로그램들을 올려 놓기도 한다. 전자 게시판은 필요하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통신의 한 영역으로, 이 곳에는 누구나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여러 사람에게 알리고 싶은 공지 사항들을 게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시판에 올려 놓은 프로그램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디스크로 복사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게시판에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오는 것을 다운 로드(down load)라 한다. 그리고 반대로 자신의 프로그램을 전자 게시판에 올려 필요한 사람들이 읽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업 로드(up load)라 한다.
Downsizing: 예전에는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중앙컴퓨터와 단말기를 이용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 모든 중요한 기능들을 중앙컴퓨터에 집중시켜 놓았다. 그러나 요즘 들어 PC의 성능이 발전하면서 중앙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연산과 제어 기능 일부를 PC로 옮겨 수행해 정보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다운사이징이 실현되면 중앙컴퓨터가 고장으로 정지하거나 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모든 업무가 마비되는 단점을 극복, 중앙컴퓨터의 의존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램):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기억소자의 일종이다. DRAM은 콘덴서의 전하 충전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전원을 끄지 않아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콘덴서에 충전된 전하가 서서히 방전되어 RAM에 기억된 내용이 소멸된다. 따라서 수 ms(mili second: 1/1000초) 마다 똑같은 데이터를 써넣는 동작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작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DRAM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에 비하여 회로가 간단하고 소비 전력이 적으며 동작 속도가 빠르고 집적도가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용량 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drive(드라이브): 드라이브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 디스크 혹은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작동시켜 주는 장치이다. PC에서는 주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통칭하는 말로 디스크에 기록된 내용을 컴퓨터 내부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작동과 함깨 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는데, 디스크를 드라이브에 삽입시킴으로써 컴퓨터와의 대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드라이브의 구조는 이를 움직이는 모터와 자료를 저장하고 읽어 들이는 기록 재생용 헤드 그리고 부가적인 전기기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복잡한 동작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든 동작은 부가되어 있는 전자회로를 통한 컴퓨터의 지시에 의해 제어된다.
DS-3: 미국의 고속 디지털 회선의 하나인 T3 회선(45Mbps)의 하이어라키.
DSI: digital speech interpolation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는 그 동안 컴퓨터를 주도해 왔던 CPU 대신에 동화상이나 음성, 음향, 정지화상 등과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새로운 하드웨어 처리기로 자리잡고 있는데 즉,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데는 CPU가 월등히 빠르지만, 아날로그를 샘플링한 자료를 처리하는 데는 DSP가 CPU보다 빠른 속도를 보인다. 수치연산을 위해 이용하는 코프로세서처럼 아날로그 자료 처리를 전문적으로 해주는 처리기의 역할을 한다. DSP를 PC에서 사용하면 통신, 영상처리, 음악, 잡음제거, 음성인식, 음성합성, 비디오, 전화기, MPEG 오디오등을 하나의 보드로서 처리할 수 있다.
DSP: Digital Signal Processer의 약자.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TE: data terminal equipment
DTP(Desk Top Publishing: 탁상 출판): DTP란 책상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의 컴퓨터(Desk Top)를 이용하여 출판 을 하는 탁상 출판을 일컫는 말이다. 지금까지 하나의 인쇄물이 나오는 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치고 있다. 원고 작성 – 원고를 입력할 곳으로 보냄(사진 식자 혹은 활판인쇄 등) – 출력된 원고를 이용하여 편집(사진, 그림 등 첨가물은 별도의 제작 과정을 거치게 됨).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편집이 완료된 원고는 인쇄소로 보내짐으로써 비로소 완전한 인쇄물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컴퓨터를 이용한 탁상 출판은 기존의 출판 형태에 변혁의 바람을 몰고 온 1인 출판 체제이다. 즉, 개인용 컴퓨터를 가지고 탁상 출판용 소프트웨어를 이용,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의 출판 분야에서 원고작성, 편집, 인쇄과정 등을 일괄적으로 처리해 줄 수 있게 하는 출판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력 및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입력장치로는 원고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단순 입력기와 이를 편집하는 데 필요한 편집기가 필요하다. 출력장치로는 레이저 빔 프린터(LBP)가 주로 이용된다. 탁상 출판은 컴퓨터를 출판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자 출판시스템 (Electronic Publishing System)이라고도 하지만 이는 탁상 출판의 한 분야에 불과하다.
dump(덤프):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그 내용을 출력시켜 보는 일을 덤프라고 한다. 그리고 중요한 파일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기억장치로 파일의 내용을 복사하는 작업을 덤프라고 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입력되기 때문에 덤프를 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을 불러오게 된다. 따라서 덤프라는 말보다는 메모리 덤프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확인 작업을 덤프라고 부르는 이유는 덤프 트럭에서 유래되었다. 포크레인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흙을 퍼서 덤프 트럭에 싣는다. 흙을 다 실으면 덤프 트럭은 토사장(흙을 버리는 곳)에 가서 흙을 버리게 되는데, 덤프 트럭은 흙더미가 실린 적재함을 간단히 들어올려서 쏟아 부을 수 있다. 이런 작업을 덤프라고 하며, 덤프가 되는 트럭이기 때문에 덤프 트럭이라고 불리워 진다. 컴퓨터에서도 포크레인으로 여러 차례 흙을 실어담듯 일일이 키보드로 입력시키고, 프로그램을 확인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출력시켜 보면, 덤프 트럭이 한꺼번에 흙을 쏟아붓는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두루마리 휴지 풀리듯 쫘악 쏟아져 나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로그램 내용을 출력시켜 보는 작업을 덤프라고 하게 된 것이다.
DXI: Data eXchange Interface의 약자. ATM 포럼이 정한 비 ATM 단말기용 인터페이스의 사양. ATM용 DSU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물리 인터페이스와 프레임 사양이 정해져 있다. 물리 인터페이스로서는 V35, X21, HSSI를 이용할 수 있다.
EBCDIC: 확장 2진화 10진 코드(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4비트로 숫자 한자리를 표현하는 BCD코드 확장.
ECL: emitter coupled logic. 전류 스위치형 논리. 양극 구조의 트랜지스터 이용. 고속 논리 연산 실행.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데이터 교환 또는 전자서류교환이라고 하며 때로는 전자동거래라고도 한다. 전자데이터교환이란 기업간의 거래에 관한 데이터를 정형,표준화하여 컴퓨터통신망을 통해 거래당사자의 컴퓨터사이에서 직접 전송신호로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EDI시스템이 도입되어 기업간의 거래가 EDI화되면 한기업이 거래가 있는 다수의 기업 또는 관련 하청업체,대리점 등과 거래서류를 지면이 아닌 전자적 신호로 바꿔 컴퓨터통신망을 통해 주고 받게 되므로 서류의 작성과 발송을 비롯하여 거래선으로 부터의 서류정리절차 등 번거로운 사무처리가 제거되는 소위 paferless trade(종이없는 기업거래)를 실현하게 되며 처리시간의 단축,비용의 절감 등 데이터(자료,서류)의 유통이 신속,원활하게된다. EDI는 통신시장에서의 VAN(부가가치통신망)사업의 핵심사업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84년부터 상용서비를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87년에 대우자동차가 미국의 거래선인 GM(제너럴모티스)사와 EDI거래를 시작한것과 88년 10월에 한국 데이터통신이 미국의 마틴마리에타사와 국내 EDI 테스트를 한것이 최초로 현재는 KTNet을 중심으로 종합무역자동차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EDI를 도입할 때 기술적으로 문제가 되는것은 거래의 내용이나 조건이 판이한 모든 업종간에 통용될수 있는 통신프로토콜의 통일이다.
edit(편집): 편집이라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문서를 작성하거나 흩어져 있는 여러 자료들을 필요한 형식에 맞추어 재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즉, 우리가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어떤 문서를 작성하는 것도 편집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데이터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것도 편집이라 한다. 또한 작성된 문서나 자료를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시키기 위해 그 양식을 지정해 주는 것 역시 편집이라 한다. 결국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상에서 어떤 하나의 결과를 도출시키키 위해 행하는 모든 과정이며 좁게는 단순히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서를 작성하는 작업 자체를 부르는 것이다(후자의 의미로 쓰이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 때 편집을 하기 위해 이용되는 워드프로세서 등의 편집 도구를 편집기 또는 에디터(editor)라고 한다.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전자 자료 처리 체계): 사무, 관리, 경영, 과학, 기술 등에 관련된 모든 자료와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체계를 말한다. EDPS는 단순한 수치의 계산 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의 정보 처리인 자료 및 정보의 분류, 비교, 판단, 추정 및 논리적인 처리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EDPS가 적용되는 사업체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업의 데이터(매상이나, 수입 등)에 대한 수치 계산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사업 전망 및 시세까지 예측하여 경영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끌어낼 수 있으므로, 기업 활동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다. electronic mail(전자 우편) 우리 인간은 서로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먼 옛날부터 봉화나 파발마 또는 인편을 통해서 편지를 주고 받았다. 그 후 영국에서 우편이 개발되면서 전문 집배원이 생겨나 우표를 이용한 우편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후로 지속적인 우편의 발달로 오늘날에는 집배원이 필요없는 전자우편이 생겨나기까지 하였다. 전자우편이란 자신의 의사 전달을 지금까지 설명한 방식과는 그 차원이 다른 전자적인 이론과 구조를 이용한 무인 우편에 기초를 하고 있다. 전자우편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화상전화 방식,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사용하는 패킷 통신 및 컴퓨터를 이용한 PC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통신은 TV와 유사한 기기를 이용하여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이며, 패킷 통신은 무전기의 전파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성이 아닌 여러가지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컴퓨터 통신은 컴퓨터와 일반 전화선을 연결해서 음성이 아닌 문자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통신 – 우편, 동호회, 회의 -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가 대량으로 보급되고 있는 요즘은 PC 통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가장 대표적인 전자우편은 PC 통신이다.
EGA: enhanced graphics adapter. IBM PC를 위한 그래픽 카드의 일종.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EIA/TIA: 미국의 전자공업회와 통신공업회. 1985년에 EIA는 CCIA(The Computer Communications Industory Association)의 의뢰로 구내배선 규격 개발을 개시했다. 1988년에 EIA의 통신부분이 TIA로 분리, TIA가 EIA의 지원을 받으면서 규격의 작성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EIA/TIA라고 표기한다
EIA: 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
EISA: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의 약자. PC의 버스 규격. 마이크로 채널에 대항해서 컴팩, AST 리서치, HP, 인텔 등 IBM PC/AT 호환기 메이커가 1988년에 발표한 32비트 버스 규격. PC/AT 버스와 호환성이 있다.
E-MAIL(Electronic Mail): 기존의 통신 수단인 우편이나 전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정보 통신 기술의 한 가지. E-MAIL은 우체국의 사서함 방식을 응용한 전자사서함으로 이용자 각자가 사서함을 할당받아 통신망을 통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것을 말한다.
EMBARC: Electronic Mail Broadcast to A Roaming Computer의 약자. 페이저 서비스를 사용해서 PC 등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저를 PC 등의 단말기에 접속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정보의 검색, 가공이 가능하다. 미국 모토로라가 RS-232C 등의 인터페이스를 사용, 무선 모뎀을 개발, 시판하고 있다.
EMS(확장메모리): EMS는 LIM이라고도 불리는데, LIM EMS는 Lotus/Intel/Microsoft Expanded Memory Specification의 약자이다. 즉, 메모리 확장보드에 관한 표준을 미국의 큰 회사인 로터스,인텔,마이크로 소프트사에 의해서 규정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법의 테크닉을 규정해 놓은 것이다.근래의 덩치가 큰 프로그램들은 거의 이 EMS를 지원하고 있다.그러나 이 사실만은 주지해야 한다.EMS는 도스가 사용할수 있는 메모리를 늘려주는 것이 아니다.즉, 모든 프로그램에서 메모리를 확장해서 사용할수 있는 것이 아니고, EMS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만 EMS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풍족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예를 들면 우리가 많이 쓰는 한글 워드 프로세서(1.xx버전)같은 것들은 EMS를 지원하지 않는다. EMS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위에서 열거한 것들과 요즘 새로이 나오는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다.
emulation(에뮬레이션: 모방):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사용중인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 등의 조건이 실행 프로그램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은 절대로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프로그램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하나가 에뮬레이션이다. 에뮬레이션은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인데,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들이 즐기는 게임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컬러 그래픽용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실상, 단색 그래픽 방식의 컴퓨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단색 그래픽에서 컬러 그래픽을 모방하는 에뮬레이션 프로그램(simcga.com, magic.com 등)을 게임 프로그램 실행 전에 미리 실행시키면 컬러 그래픽으로 된 게임도 단색 그래픽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에뮬레이션은 단색 그래픽에서 컬러 그래픽이 실현되는 환경만을 흉내내는 모방 기법인 것이다. 이외에 PC 통신에서 PC를 통신 단말기처럼 꾸며주는 통신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등 컴퓨터 사용시 여러가지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에뮬레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Encina: OSF가 개발한 DCE 대응의 온라인 트랜젝션 처리 모니터.
END-USER(엔드 유저: 최종 사용자): 최종 사용자(END-USER)란 이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거나 개발되어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컴퓨터를 이용, 실제로 사용만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컴퓨터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으로는 크게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 첫번째 부류는 컴퓨터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인데 이들 전문가는 다시 사용자의 정보 요구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는 시스템 분석가와 시스템 분석가의 구체적 명세에 기초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 그리고 컴퓨터에 여러 가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입력시키는 오퍼레이터로 나눌 수 있다. 두번째 부류는 전문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가지 응용 프로그램 중 자신이 필요한 프로그램의 사용법만을 익혀 이용하는 컴퓨터 사용자(최종 사용자)이다. 이들은 주로 최종 사용자라 불리는 일반 사용자들로, 회계담당자, 판매원, 기술자, 점원 또는 경영자 등과 같이 컴퓨터 또는 그것이 산출하는 정보를 사용하는 사람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이처럼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개발한다기 보다는 그저 컴퓨터를 업무의 일부분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이들 최종사용자 그릅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ENIAC(에니악): 에니악(ENIAC)이란 전자식 수치 적분 계산기(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alculator)라는 뜻을 가진 단어의 머릿말을 인용해 만든 컴퓨터의 이름으로 세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로 인정 받고 있는 기계이다. 에니악은 1946년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머클리와 에커드의 주도 하에 미 육군의 포탄과 미사일 탄도의 계산 등 국방 목적의 일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초대형 컴퓨터이다. 무게 30톤, 크기는 가로 9미터, 세로 15미터의 방에 가득차는 이 기계는 무려 18000 여개에 달하는 진공관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엄청난 외관에도 불구하고 에니악의 성능은 계산기의 성능을 벗어나지 못한 수준의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로는 100명에 달하던 인원이 1년은 걸려야 해낼 수 있다고 여겼던 계산을 불과 2주만에 처리해 냄으로써 획기적인 전자장비로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에니악은 프로그램을 자체 내에 내장된 형태가 아니고 카드나 종이 테이프 등을 이용, 이를 읽어 들이는 방식을 취한 것이었으나 현재의 컴퓨터와 같은 2진법을 채용한 최초의 컴퓨터이다. 개발된 후 약 10년간의 명성을 누렸던 에니악은 현재 미국 워싱턴 소재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EOF: (1)파일의 종료(end of file). (2)파일 종단 레이블(end of file lable). 운영 체제의 검지에 의한 정보 위치의 명시 및 데이터 블록 수의 기록에 의한 처리 확인 목적.
EOT: (1)end of transmission character.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모든 전송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 는 제어 문자. (2)end of tape. (3)end of text.
ES-IS: end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xpert Pad: Newton MessagePad의 샤프 제품. 기능은 공통이지만 모양은 다르다. 정식명칭은 Pi-7000.
expert system(전문가 시스템): 전문가 시스템은 인공지능의 한 응용분야로서, 전문가가 가지고 있는 전문 지식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컴퓨터가 마치 특정한 분야의 전문가처럼 주어진 문제에 대해 추론을 통해 해답을 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현재는 전문가 시스템은 의료 진단, 기계 고장 진단, 설계 지원, 광물 탐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전문가 시스템은 어떤 물체에 대해 질문을 받으면 자신의 지식 베이스에 들어 있는 사실과 규칙을 토대로 추론을 하여 해답을 생성해 낸다. 예를 들어 의료 진단 시스템의 경우는 환자로부터 병의 증상을 입력받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을 토대로 하여 증상의 원인을 추론하고 적절한 처방을 제시하게 된다.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면 우선 실수가 없고, 휴식이 필요없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주변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적절한 처방을 내리기 때문에 무척 비싼 진료비를 내게 되는 단점이 있다.
FastEthernet: IEEE 802.3u 위원회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고속 LAN 기술. 100BASE-T로불리기도 한다. UTP를 사용해 100M비트/초를 실현한다. 허브를 중심으로한 스타형이다. IEEE 802.3 사양의 MAC 사양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전송로로 사용되는 대선 수와 전기신호 부호화 방식이 서로 다른 2개의 방식(4T+와 100 BASE-X)이 제안되고 있다. 이미 표준화된 제품은 출시되고 있다. 미국 시놉틱스 커뮤니케이션즈, 3Com, 그랜드 정션 등이 추진하고 있다.
FAT(File Allocation Table:파일 할당 테이블): FAT(패트)란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는 하나의 테이블이다. 디스크는 처음 사용시 파일을 저장시키키 위해 작은 영역으로 영역을 분할하는데, 보통은 40개의 트랙과 9개의 섹터로 나누어 사용한다. 그리고 각각의 파일(프로그램 및 데이터)은 크기에 따라 정해진 트랙과 섹터에 저장이 된다. 패트는 바로 0번째 트랙(40개의 트랙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부분)의 첫번째 섹터부터 네번째 섹터까지이다. 일반적으로 섹터의 크기는 512KB이다. 그러므로 512KB가 넘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섹터에 모두 보관할 수가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512KB의 크기로 여러 개의 섹터에 나누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문제되는 것이 ‘현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다음 부분이 디스크의 어느 위치(어느 섹터)에 저장되어 있느냐’하는 것이다. 즉, 현재 섹터에 들어 있는 프로그램의 다음 부분의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섹터의 주소를 알아야 나누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FAT인데, FAT에는 디스크의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각 부분들이 들어 있는 섹터라는 일련의 방 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다.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연방통신위원회. 미국의 정보통신분야를 규제, 감독하는 행정기관. 대통령부에 속해 있다. 1934년에 재정된 통신법에 기초해서 설립됐다. CATV, 무선, 위성, 텔레비전, 유선을 사용한 주를 걸친 주제통신과 국제통신을 규제하는 권한을 가진다. 주내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각 주의 공익사업위원회(PSC:Public Service Commission)가 규제한다.
FDD: floppy disk driver.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FECN/BECN: 프레임 릴레이에서 프레임 헤더부분의 1필드. 프레임이 폭주상태가 된 망을 통과하려면 이 필드에 있는 비트를 0에서 1로 변환해 송신한다.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향해 알려주는 것이 FECN 비트. 역으로 FECN 비트가 있던 프레임을 수취한 수신 단말기가 송신 단말기를 향해 보내는 것이 BECN.
FECN: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field/record/file: 필드란 수 많은 데이터들을 어떤 기준에 의해 정리,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자료들을 보다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용어 중 하나이다. 다시말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최소한의 문자집합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항목들을 필드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필드들이 모여 하나의 단위로 묶여 연관성을 갖는 데이터의 집합이 될 때 이것을 레코드라 한다. 예를 들어 학생 수가 50명인 학급의 생활 기록부를 작성한다고 가정해 볼 때 생활 기록부상에는 기록되어야 할 여러가지 사항들이 있을 것이다. (이름, 생년월일, 주소 가족사항 등등…) 그리고 학생 하나 하나에 대해 이런 여러 가지 자료들이 기록될 것이다. 이 때 생활 기록부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은 필드이다. 그리고 어떤 A라는 학생에 대한 기록 즉, 이름은 홍길동이며 주소는 서울시 강동구….이며 생년월일은 75년 5월 5일이라는 등의 자료(필드)들을 통털어 레코드라 한다. 또한 여러 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레코드가 모여 이루어진 학급 전체 학생에 대한 자료를 파일이라 부른다.
FIFO(First In First Out): FIFO는 우리말로 ‘선입선출’이라 해석되는데,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처리되어 나온다는 뜻이다. 초창기의 컴퓨터는 오늘날의 컴퓨터와는 달리 매우 단순해서 입력되는 순서와 출력되는 순서, 자료를 처리하는 데 어떤 순서를 적용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여 일을 처리해야 했다. 그 처리 방법들 가운데 하나가 선입선출의 방법이다. 그러나 선입선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FILO(First In Last Out)처럼 먼저 들어간 것이 맨 나중에 나오는 방법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자료들이 다음과 같이 입력된다고 할 때, 입력 순서: 가, 나, 다 일 때 선입선출의 경우는 다음의 경우처럼 입력 순서대로 출력이 된다. 출력 순서: 가, 나, 다
Finger: 지금 사용중인지, 언제 사용했는지 등 유저의 활동상황을 아는 커맨드.
firmware(펌웨어): CPU 내의 롬에 기록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집합으로, 소프트웨어적인 특성과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것을 펌웨어라고 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에 속한다고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실행되는 기능의 일부를 펌웨어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 소숫점 연산과 같은 것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면 직접 논리회로를 설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연산 속도는 빠르지만 무척 비싼 비용을 치뤄야 하고,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자 하면 일일이 기계어 루틴을 작성하여 이용해야 하므로 너무 늦게 처리 결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펌웨어는 CPU 내의 레지스터, ALU, 버스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으로 작성되므로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보다 빠르고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보다 싸게 부동 소숫점 연산을 할 수 있다.
flowchart(순서도):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옛말이 있다. 바쁘다고 서두르면 오히려 일을 그르치게 되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실수가 없는 완벽한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해 사전에 치밀한 준비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 작업의 하나가 순서도를 만드는 일이다. 순서도는 미리 정의된 기호와 그들을 서로 연결하는 선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논리적인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부분별 처리 과정을 그림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선행되어야할 필수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기호는 1962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것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font(폰트): 폰트는 글자의 모양이라는 뜻으로 종류와 크기가 동일한 활자 한 벌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요즘은 개인용 컴퓨터, 각종 인쇄매체 및 전자출판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다양한 종류의 글자를 개발하는 일에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글자들이 컴퓨터의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되는 일은 우리들이 노트 위에 직접 자신이 원하는 모양의 글자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사람의 손과 필기도구 그리고 자 등에 해당되는 요소로 그 내용이 구성된 글자 설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원하는 모양의 글자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글인 한글의 경우는 영문자와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으로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이루게 되므로 같은 ‘?’자라고 해도 어느 위치에 쓰이느냐에 따라 그 생김새가 각각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모양의 폰트가 요구된다.
format(포맷): 포맷이란 넓은 의미로 체제, 구성 등의 사전적인 의미를 내포한 단어이다. 어떠한 자료를 정리할 때 이를 어떻게 배치하며 그 간격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포맷(형식화)의 하나이다.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문서를 작성할 경우를 생각해 보자. 무턱대고 글을 써나가는 것보다는 좌우의 여백, 문단과의 간격, 앞뒤 줄맞춤 등을 고려하여 보기좋게 가지런히 배열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것도 일종의 형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포맷은 초기화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인 플로피 혹은 하드 디스크를 영역 분할 등을 통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주는 작업을 일컬어 ‘포맷시킨다’ 혹은 ‘초기화시킨다’라고 한다. 새로 구입한 디스켓은 포맷이라는 작업을 거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데, 디스켓을 트랙과 섹터로 나눔으로써 자료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바로 포맷인 것이다. 포맷은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MS-DOS의 외부 명령어로 존재한다.
FORTRAN: formula translator. 과학 기술 계산용 프로그래밍 언어(1956년에 개발).
FPLMTS: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의 약자. ITU-RS(국제전기통신연합 무선통신부문, 구 CCIR)가 표준화 작업을 진행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FPLMTS: fu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RAD(frame relay assembler/disassembler): 프레임 조립/분해장치. 패킷교환용 단말기 등 기존의 통신환경용에서 만들어진 단말기를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망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장치.
FTAM: file transfer, access and management
FTP: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로 TCP/IP의 상위 프로토콜의 하나. 동일한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로 TFTP(Trival File Transfer Protocol)이 있다. TFTP는 FTP와 같은 프로, 제어 등은 되지 않는다.
Fuzzy system: 애매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다목적, 대규모, 측정 불능, 인간의 주관 등 애매한 표현을 한 것으로써, 수량적인 해석을 퍼지집합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G(giga): M(mega)의 1000배. G의 1000배는 T(tera).
Gopher: 분산환경에서 어떤 호스트에 필요한 정보가 들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클라이언트/서버형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메뉴를 따라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트리구조로 돼 있다. 1991년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개발했다.
graphics card(그래픽 카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과정 및 결과를 눈으로 보기 위해서는 모니터가 필요한데, 모니터는 컴퓨터 내부의 그래픽 카드를 통하여 화면에 정보를 싣게 된다. 즉, 그래픽 카드에서 만들어진 신호가 모니터에서 빛으로 변환되어 인간의 눈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그래픽 카드는 모니터에서 구현되는 색상과 해상도(화면의 선명한 정도)의 차이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된다. IBM PC에 장착된 최초의 그래픽 카드는 MDA(Monochrome Display Adapter: 단색 표시 카드)로 한가지 색만 나타나며 텍스트 문자(모니터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글자)만을 표시하고 그래픽의 처리(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진 그림)는 불가능했다. 이에 비해 CGA(Color Graphics Adapter: 컬러 그래픽 카드)는 텍스트 문자와 그래픽 두 가지 모두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지만 텍스트 문자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지원 색상 역시 2~4색에 불과했다. 그 후, 미국의 ‘허큘리스 컴퓨터 테크놀로지’사에서 개발한 ‘HGC(Hercules Graphics Card: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는 단색임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문자는 물론 그래픽도 깨끗하게 처리되며, 가격 또한 저렴하여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컬러 그래픽의 경우에도 CGA의 단점(2~4색 지원, 낮은 텍스트 문자 해상도)을 보완하여 EGA, VGA 등의 향상된 그래픽 카드가 개발되었다. EGA(Enhanced Graphics Adapter)는 EGA용 모니터와 사용할 경우, 16색에 640*350의 고해상도 텍스트와 그래픽을 제공하며, VGA(Video Graphics Array)는 약 256가지의 색상과 640*480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뛰어난 컬러 그래픽 카드이다.
Green PC: 그린 PC에 대한 규격으로는 미 환경청(EPA)이 정한 EPA규격이 있다. EPA규격에 따르면 그린PC는 다섯 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 첫 번째는 저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30W이하, 사용할 때는 100 – 150W를 소모해야 한다. 두 번째는 발열량이 적어야 한다. 세 번째는 소음이 적어야 한다. 또한 인체에 해가 없고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종 부수 기자재는 물론 컴퓨터 제조에 사용된 재질의 60%이상이 재활용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EPA는 우선 첫 번째 항목만 만족하면 ‘에너지 스타’ 승인을 해주고 있다.
GSM 방식: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 구주지역에서 표준화된 디지털 휴대전화의 통신방식.
GUI(Graphic User Interface): 이전의 도스처럼 프롬프트 상태에서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라인 명령 방식이 아니라 인간의 직감을 형상화시킨 아이콘이라는 것을 만들어 놓은 후 이 아이콘을 이용해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GUI는 인간의 직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GUI의 대표적인 예로는 IBM PC에서의 윈도우즈와 매킨토시의 시스템 시리즈가 있다.
H.261: 64k~2Mbps(px64k에서 p가 1,2,3….30)의 전송속도에 대해 화면을 압축부호화하는 알고리즘. ISDN의 B채널 1개로 이용하는 텔레비전화에서부터 INS 넷 1500을 사용한 TV회의까지 대응한다.
hacker(해커): 해커란 컴퓨터에 강한 흥미를 가지고 이에 몰두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일종의 속어이다. 컴퓨터 문화가 대중화되면서부터 컴퓨터 세계의 정체가 분명치 않은 해커라는 일련의 새로운 집단이 등장하여 적지않은 소란을 피우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커라고 지칭되고 있는 사람들은 전산학의 체계적인 지식없이 스스로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터득한 지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컴퓨터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실력까지도 겸비한 컴퓨터 애호가를 부르는 애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즉, 해커는 컴퓨터의 매력에 쏙 빠진 열정적이고도 실력있는 컴퓨터광을 일컫기도 하는 반면 타인의 컴퓨터에 침입해 그 속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귀중한 정보를 빼내가거나 없애 버리고 심지어는 중요한 자료의 내용을 엉뚱한 것으로 바꾸어 놓는 일 등을 서슴지않는 무례한 침입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이들은 이곳 저곳에서 현대판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비유될 만한 컴퓨터게이트 사건을 발발시킴으로써 굳게 닫혀 있어야 할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를 불법으로 침입하고, 뒤죽박죽으로 만들어 놓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극가의 중요 기밀 자료에까지 손을 뻗쳐 많은 사람들을 경악케 하고 있다.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rd copy(하드 카피): 컴퓨터의 결과치를 출력하여 보는 방법에는 소프트 카피(soft copy)와 하드 카피(hard copy)의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모니터 등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출력을 소프트 카피라 하고 프린터나 플로터 등의 영구적인 인쇄매체로 찍어내는 것을 하드 카피라 한다. 그런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하드 카피는 소프트웨어의 출력 명령에 의한 출력이 아니라 모니터 상에 나타난 내용을 보이는 그대로 프린트 용지에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하드 카피 작업을 위해서는 키보드에 있는 PrtSc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응용 소프트웨어의 도움말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필요할 때마다 보려고 할 때 하드 카피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필요한 도움말을 모니터 상에 띄운 다음 PrtSc키를 누르면 그 내용이 그대로 프린터로 출력되어 종이 몇 장만 휴대해 버스나 전철안 어디든지 가지고 다니면서 볼 수 있다.
hardware(하드웨어): 하드웨어(hardware)는 딱딱한이라는 하드(hard), 제작품이라는 뜻의 웨어(ware)라는 두 단어가 복합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라 하면 철물, 철기류 혹은 컴퓨터, 어학 연습실, 우주 로케트 따위의 기재, 설비 등 기계 부분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현대에 오면서 하드웨어는 주로 컴퓨터의 기계 설비를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다시 말하면 우리가 만져 볼 수 있는 컴퓨터의 본체나 주변기기를 포함한 기계적인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하드웨어와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주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기타 정보자료 등 하드웨어를 작동시켜 명령을 내리고 자료를 처리하도록 해 주는 것이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란 이와 같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 둘의 관계는 수래의 양 바퀴와 같아서 어느 한쪽만 빠져 나가도 제대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역사는 초창기의 진공관에서 출발하여 트랜지스터로 대체되고 다시 또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집적회로를 만들어 내는 등 급속한 기술의 발전을 도모해 옴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에 막강한 성능을 자랑하는 오늘날의 컴퓨터를 탄생시키게 되었다.
HDD: Hard Disk Driver.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 고품질 TV라고 하며, 해상도를 높혀 화질의 향상을 꾀한 TV. NHK의 하이비전 (주파선 1125개, 화면의 종횡비가 9대 16, 아날로그 처리)이 HDTV의 한 방식. 최근 미국에서는 High Resolution Digital Television이 HDTV이고, 디지털이 아니면 HDTV가 아니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header(헤더): 헤더란 머리를 의미하는 영어의 헤드(head)에서 나온 말이다. 컴퓨터는 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로서,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처음 시작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분량이 방대한 책에서 어떤 내용을 찾고자 할 때 목차나 찾아보기를 우선 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목차는 책의 맨 앞에 있고 찾아보기는 책의 말미에 있다.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로 방대한 자료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헤드 즉 자료의 맨 앞부분에 그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기록하는데, 이러한 정보의 집합이 바로 헤더이다.
hexadecimal(16진수):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수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0에서 9까지의 수는 10진법에 따른 것이다. 즉, 10진법이란 7, 35, 971과 같이 모든 수를 0, 1, 2, 3, 4, 5, 6, 7, 8, 9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런데 컴퓨터에서는 모든 수를 10진법이 아니라 0과 1로만 나타내는 2진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컴퓨터는 00, 01, 10 또는 11과 같은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진 2진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01111101과 같이 복잡한 형태의 2진수를 한꺼번에 처리하므로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짧고 빠른 2진수의 속기 형식 즉, 16진수를 사용하고 있다. 16진법에서는 16개의 심볼(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을 사용하게 된다. 즉, 01111101이라는 2진수는 8자리인 8비트의 명령인데 이것을 앞의 4자리와 뒤의 4자리로 나눔으로써 16진수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앞부분의 0111은 10진수로 7이며 이것은 16진수로도 7이다. 또 뒤의 4자리인 1101은 10진수로 13이며 이는 16진법으로 D이다. 따라서 01111101이라는 길고 복잡한 2진수는 7D라고 하는 짧은 16진수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10진수, 2진수 및 16진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진수
2진수
16진수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00
1001
1010
1011
1100
1101
1110
1111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HGC: Hercules Graphics Card.
Hibernation(하이버네이션): 세계적으로 일기 시작한 컴퓨터 절전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절전및 작업상태의 보호를 실현코자 새롭게 제시된 신 기술로서 PC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거나 누군가 전원코드를 뺐을 경우 현재 사용중인 자료나 환경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후 꺼지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PC를 다시 켜면 PC가 꺼질 때의 상태로 완전히 복구해 준다. 전원공급이 차단된 후에도 하드디스크에 자료를 저장해 주는 것은 보조 건전지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데, 바로 이 건전지가 하이버네이선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 건전지는 2개월 정도면 방전되는 단점이 있다. 하이버네이션 기능은 PC의 ON/OFF 스위치를 사용했을 경우는 사용할 수 없고, PC의 파워에 들어오는 전원이 끊겼을 경우에만 작동한다.
hidden file(히든 파일): 히든이란 우리말로 감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히든 파일은 보이지 않게 감추어진 파일을 말한다. 파일을 보이지 않게 감추는 주된 이유는 그 파일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그렇게 해두지 않으면 파일들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삭제해서는 안될 중요한 파일을 없애거나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의 파일에 대해 사용자가 파일의 이름이나 내용을 알려주는 명령을 수행해도 관련 정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파일을 히든 파일이라고 한다.
high-level language(고급 언어): 고급 언어란 프로그래머가 컴퓨터와의 대화를 위해 사용하는 언어 중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자연 언어(국어, 영어)와 비슷하여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총칭해서 일컫는 말이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사람과 컴퓨터 중 어느쪽에 가까우냐에 따라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첫째가 사람보다는 컴퓨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언어로 우리는 이것을 저급언어라 부른다. 이 저급언어 중의 한가지인 기계어는 언어 자체가 ‘0’과 ‘1’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이해하기는 어려워도 컴퓨터는 이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별다른 절차없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가 컴퓨터보다는 사람에 가까운 언어인 고급언어이다. 이것은 명령어 자체가 우리가 사용하는 자연언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기계어에 비해 프로그램의 작성이 용이하며 프로그램 자체를 이해하기도 훨씬 쉽다. 따라서 고급언어를 이용하면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급 언어로는 코볼(COBOL), 포트란(FORTRAN), 베이직(BASIC), 파스칼(PASCAL), PL/1 등이 있으며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고급언어로 작성된다. 그러나 컴퓨터는 기계어만을 이해할 뿐 일반 사용자(USER)들이 사용하는 고급언어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작업을 ‘컴파일한다’라고 한다. 결국 컴퓨터는 사용자가 작성한 고급 언어가 아닌 기계어에 따라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며 고급 언어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만들어진 언어라고 할 수 있다.
HIPPI: 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의 약자. 광채널 인터페이스의 규격. 전송속도 800Mbps로 고속 슈퍼컴퓨터나 미니 슈퍼컴퓨터, 그래픽 워크스테이션 등에 채용하고 있다.
hologram(홀로그램): 입체적인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법의 하나이다.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빛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빛에는 고유한 특성이 몇 가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빛의 간섭성이다. 예를 들어 잔잔한 수면 위에 돌을 하나 던지면 수면 위에 물결이 일어난다. 그리고 여기에 돌을 하나 더 던지면 수면 위에는 두 물결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빛도 두가지가 동시에 만나게 되면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상을 만들 수 있다. 레이저광은 간섭성이 좋으므로 두 개의 레이저광을 감광재료에 비추어 물체로부터 나오는 반사광 또는 투사광을 본래의 레이저광과 간섭시켜 그 간섭무늬를 기록한다. 이렇게 상호 작용하는 여러개의 레이저 광선을 얇은 공기층에 쏘아서 만든 3차원 형상(입체상)을 홀로그램이라 한다.
host computer(호스트 컴퓨터): 호스트 컴퓨터란 주 컴퓨터 또는 전체 컴퓨터를 제어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컴퓨터란 용어는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통신 분야에서의 호스트 컴퓨터란 어떤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PC 혹은 터미널이 연결되어 그 컴퓨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나누어 가질 때의 중앙 컴퓨터를 일컫는다.
HPC Act: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HPCC: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 SGML에 문서간 링크를 기술할 수 있도록 한 것.
I’인터페이스: ISDN과 유저 단말기 사이의 국제표준인 I 인터페이스에 PHP 공중서비스용 위치등록 정보 등을 부가한 것.
IAB: internet architecture board
IBM(아이 비 엠):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하면 으례 APPLE과 IBM을 연상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마치 APPLE과 IBM이 하나의 제품에 붙여진 고유한 상품명인 것 처럼 인식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개인용 컴퓨터를 제작한 회사의 이름들이다. IBM은 Internation Business Machine Corporation이라는 긴 회사 이름에서 I, B, M 이라는 3자만을 따와서 만든 것으로 8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제왕이었던 애플 컴퓨터의 뒤를 이어 16비트 개인용 컴퓨터를 처음으로 만든 미국의 거대한 다국적 기업이다. 1981년 IBM PC 5150이라는 제품을 필두로 하여 IBM PC XT/AT 등 여러 후속 기종들을 발표한 IBM은 다른 컴퓨터 제조 업체에서 이들과 호환성을 기종들을 제작하면서부터 여러종류의 16비트 개인용 컴퓨터를 대표하는 대명사가 되었다.
IC(Integrated Circuit:집적회로):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과거의 애니악(ENIAC) 시절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소형의 개인용 컴퓨터가 우리의 책상위에 군림하고 있다. 이처럼 작은 개인용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바로 IC의 개발된 덕분이다. IC라고 하는 전자 부품은 기판위에 반도체 부품의 삽입에서 배선에 이르기까지를 집약적으로 제조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반도체 기판(이것을 칩이라고도 함) 자신은 IC라고 불리는 하나의 전자 부품이 된다. IC의 핵심인 반도체 기판은 일반적으로 사방 3mm에서 5mm 정도의 초소형이며, 이 안에 최대 1천개에 가까운 트랜지스터가 다른 전자 부품과 함깨 배선된다. 커다란 TV는 약 80여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지만, IC를 사용함으로써 포켓형 TV의 생산도 가능해진 것이다. 이러한 집적회로의 사용은 부품을 연결시키는 배선의 접속수가 적고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포켓형 TV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전자기기의 초소형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저전력으로 작동이 되며, 신호처리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자. TCP/IP환경에서 접속확인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IC 메모리 카드: 정식 명칭은 PC 카드.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JEIDA)와 미국의 PCMCIA(Personal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이 공동으로 표준화했다.
ID: identifier number
IEC:
IEEE 802 위원회: IEEE의 LAN에 관한 표준규격의 권고 등을 행하는 위원회. 하부조직인 IEEE 802.3작업반은 이더넷 LAN의 규격을, IEEE 802.5 작업반은 토큰링 LAN의 규격을 담당하고 있다. 802.9 작업반은 IVD LAN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약자. 미국전기전자기술자협회. 세계 최대의 일렉트로닉스관련 학회.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LM: interim local management interface
InARP: in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ndex(인덱스): 인덱스는 일반적으로 한 권의 책에 수록된 내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해 놓은 찾아보기, 색인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며 지수나 지표로 풀이되는 수학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컴퓨터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범용 프로그램 중 데이터를 어떤 일정한 기준에 의해 보관함으로써 자료관리를 효율적으로 해 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 내에서 원하는 형태의 배열과 찾아보기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이 인덱스이다. 인덱스 기능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파일 내의 레코드들에 대해 이들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키값과 레코드 번호 등의 정보만을 따로 뽑아 수록한 인덱스 파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해 냄으로써 특정한 키값을 갖는 레코드들을 빠르게 검색해 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인덱스는 컴퓨터 주기억장치 내의 어떠한 상대적인 주소를 가리키는 값, 또한 그 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일컫기도 한다. 또한 어떤 시스템의 성능을 가늠하는데 있어 각 분야의 평가 척도인 수치를 말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CPU 성능 지수, 디스크 엑서스 속도 지수 등이 바로 그것이다.
information(정보): 인간이 식사를 함으로써 필요한 영양분을 얻듯이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하는 정보를 출력해 낸다. 여기에서의 데이터는 컴퓨터가 어떠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실 및 개념의 표현을 어떠한 조건, 값,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로 표현한 것을 가리키며, 정보는 이 데이터에서 원하는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여 생성되는 값 또는 문자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는 인간의 식사에 해당하며 정보는 식사를 통하여 얻게 되는 영양소와 같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목적은 대부분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Information Highway(정보고속도로): 광케이블을 근간으로 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교, 기업, 연구소, 정부기관, 일반인 간의 원활한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데이터및 음성, 영상자료 등을 수십 내지 수백 기가 BPS급의 초고속으로 유통시키려는 최첨단 통신 시스탬.
IN: intelligent network
initialize(초기화): 초기화는 어떠한 작업을 하고자 할 때 처음 사용하는 물건이 그 작업에 적합하도록 적응시켜 주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디스크를 사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먼저 빈 디스켓을 작업할 컴퓨터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디스크를 트랙과 섹터로 나누어 주는 포맷과 같은 작업을 초기화라 한다. 또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사용해야 하는 변수의 값을 계산하기 전에 적절한 값으로 미리 지정해 주는 작업도 초기화라 한다.
INS 넷: 일본 NTT가 1988년 4월부터 개시한 ISDN 서비스의 명칭. 기본 인터페이스(2B+D)인 INS넷 64와 1차군 인터페이스(23B+D)인 INS넷 1500이 있다. 양쪽 모두 회선교환 모드(INS-C)와 패킷교환 모드(INS-P)가 있다. INS-C는 통신시간에 준해 요금을 부과한다. INS-P는 통신한 패킷 수에 대해 요금이 부과되는 구조이다.
intel(인텔): 1968년 미국에서 봅 노이즈라는 사람에 의해 설립된 반도체 제조 회사로 창업시 기억소자(memory chip)의 생산에 주력했으나 1971년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에 성공하여 유명해졌다. 인텔사는 애플, 워크스테이션 계열의 컴퓨터에 부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는 모토롤라사와 세계 반도체 업계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인텔사에서 개발한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4비트용으로 4004라 불려졌으며, 그 후 16비트용인 8086을 만들고 이를 약간 변형하여 8088을 만들었다. 이 8088은 IBM사가 발표한 IBM PC에 채용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AT라 불리우는 PC에서 사용되는 80286은 8086 및 8088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가상기억장치 및 다중 작업을 위한 기능을 추가하여 발표하였으며, 32비트용인 80386과 80486도 개발하였다. 현재 PC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대부분이 바로 인텔사에서 개발된 것으로, 인텔 80XX라는 용어가 거의 일반화되어 있다.
interface(인터페이스): 컴퓨터는 본체(드라이브 포함)와 모니터 및 키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키보드 및 드라이브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입력시키고 모니터를 통하여 그 결과를 지켜보게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처럼 컴퓨터를 소극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프린터로 그림이나 도표를 그려내기도 하고 건반을 접속시켜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으며 조이스틱을 연결하여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이 때 프린터나 건반, 조이스틱 등의 연결 코드는 컴퓨터의 어디에도 끼울 곳이 없다. 이 때 확장 슬롯에 기판으로 만들어진 연결 매체 즉, 인터페이스를 끼우고 여기에 연결 코드를 끼우면 된다. 이처럼 인터페이스는 컴퓨터의 본체와 컴퓨터 사용을 유용하게 하는 여러 가지 주변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연결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Internet(인터넷): 전세계 130여개국에서 320여만대의 컴퓨터로 연결, 3000여만명의 가입자가 있는 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
Internet Chameleon: PC용 TCP/IP 소프트웨어. Chameleon NFS와는 LAN에 접속할 수 없다는 점서 다르다.
INTEROP: 미국 Interop사가 주최하는 인터넷 기술에 관한 세계 최대 전시회. 1994년부터는 연 5회 분산해 개최한다.
interpreter(해석기): 인터프리터(해석기)란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사실 컴퓨터는 기계어라고 하는 저급 언어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는 기계어가 아닌 고급 언어이다. 그러므로 컴퓨터가 이해하지 못하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바꾸는 작업은 프로그램 작성 후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모두 기계어로 바꾸는 방법과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한 줄씩 기계어로 바꾸는 방법이 있다.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것을 컴파일한다고 하며, 컴파일(compile)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compiler)라고 한다. 이에 비해 프로그램을 한 줄씩 번역(기계어로 바꾸는 작업)하는 프로그램도 있는데, 이것을 인터프리터라 한다. 다 같이 원시 프로그램(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면서도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컴파일러는 기계어로의 변환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앞서 이루어지는 데 비해,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변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인터프리터의 경우, 항상 프로그램의 수행과 기계어로의 번역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컴파일러에 비해 속도가 떨어진다. 기계어로의 변환 방식이 인터프리터 방식인 언어를 인터프리터 언어라 하는데 베이직이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interrupt(인터럽트): 우리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하던 일을 멈추고 급히 또 다른 일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대화에 급히 끼어 들어야 한다든지, 책을 읽다가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우리는 전화를 받은 후 계속해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읽고 있던 부분을 표시해 둔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는데, 미리 프로그램된 작업 뿐만 아니라 이의 수행 도중에 요구되는 또다른 작업을 우선적으로 긴급히 처리해 주는 것이 바로 인터럽트 기능이다. 인터럽트 기능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순서가 부여된 명령의 실행 순서를 어떠한 조건에 의하여 중단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밖의 다른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흐름의 변경을 말한다. 이러한 인터럽트의 형태에는 외부 인터럽트와 내부 인터럽트의 2가지가 있다. 외부 인터럽트란 프로그램을 실행중인 CPU에 외부로 부터 요구되는 일을 시키기 위해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을 중단시켜 놓고 또 다른 작업을 우선으로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드웨어 인터럽트라고 한다. 반면에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중의 명령에 의해서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의해 발생되는 일련의 작업과 비슷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인터럽트 기능으로 말미암아 컴퓨터는 예기치 않은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중단없이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IPCP: IP Control Protocol의 약자. PPP의 기능 가운데 통신에 앞서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IP: information provider. 정보제공자
IP: internet protocol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미국 노벨사의 네트워크 OS인 NetWare의 통신 프로토콜. 노벨의 독자 프로토콜이다.
IP 어드레스: TCP/IP로 접속선을 특정하기 위한 논리 어드레스. 데이터에 부여된 IP 헤더 중 32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유저 독자가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미국 SRI(SRI International)에서 관리하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도 있다. 글로벌 어드레스는 접속 가능한 호스트 수에 따라 A, B, C 등급이 있다. 또한 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쉽도록 SRI에서 부여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부외에 서브넷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로 나누어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P 접속: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접속, 인터넷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접속형태. 전용선에 의한 접속이 주류이다.
ISA: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의 약자. IBM PC/AT 호환기 메이커가 만든 버스 규격.
ISAM(아이삼): ISAM이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고, 또 저장된 파일을 찾아내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ISAM은 디스크를 블럭 단위로 나누어 한 블럭 안에서는 순차적으로 수록하고, 각 블럭별로 시작하는 위치를 기록한 차례(색인) 파일을 생성하여 찾고자 하는 파일의 키값을 주면 차례 파일을 살펴 원하는 파일을 빨리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검색 속도가 무척 빠르고, 삽입이나 삭제가 쉬워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ISDN이란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화를 이용한 음성통신은 물론 팩시밀리나 비디오텍스와 같은 비음성통신까지도 제공하는 종합적인 전기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즉, 현재 이용되고 있는 팩시밀리나 텔렉스 등은 별개의 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비스에 따른 별도의 회선 연결이 필요한 데 비해 종합정보통신망은 전화난 데이터 등의 정보를 하나의 형식으로 통일시켜 놓음으로써 하나의 번호만을 가지고도 여러가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종합정보통신망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여러가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에 따른 각각의 가입 절차를 밟을 필요없이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을 위한 한遁 번의 가입절차만 거치면 되며, 또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번호도 하나로 통일할 수 있어 여러개의 사용번호를 써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지금까지 전화나 텔렉스가 각각의 망을 구축할 수 없었던 것은 이들이 사용하는 정보 형태가 어떤 것은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고 어떤 것은 저속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사용하는 모든 신호를 이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이용, 디지털 방식으로 통일시켜 놓음으로써 하나의 망을 통해 모든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디지틀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전화, 전신, 텔렉스, 팩시밀리, 컴퓨터 통신 등의 각종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한 정보 통신망. 이는 현재 별개로 운영되는 전화망, 텔렉스망, 컴퓨터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는 것으로 음성이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나 화상을 모두 디지틀화하여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큰 대역 폭을 얻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cf. 다른 사전 – ISDN: 종합 디지털 통신망. 전화와 전신, 텔렉스, 팩시밀리, 비디오텍스 등 성격이 다른 서비스를 통합해 음성, 데이터,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국제 표준 규격의 통신망이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11개 도시 70개 전화국 관내에서 희망자에 한해 상용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ISDN 속도는 64Kbps에 불과해, 광 케이블을 기반으로 한 155Mbps 이상 속도의 B-ISDN(Broadband ISDN) 기술이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단체로서 공업 상품이나 서비스의 국제교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를 도모한다. 산하의 전문 분야에 따라 기술위원회(TC)가 있으며 그 밑에 각종 작업을 담당하는 소위원회(SC)가 있다. 컴퓨터및 정보처리 분야는 TC 97인데 그 밑에 15개의 SC와 60여개의 작업그룹이 있다. 이 위원회에서는 전문 용어, 프로그램 언어, 데이터 전송의 재특성 등에 관한 표준을 제정한다.
ISO 9000시리즈(국제품질인증제도): 일반품질인증과는 달리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설계, 생산시설, 시험검사, 사후관리 전반에 걸쳐 규격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인증해 주는 국제품질인증제도. 9001부터 9004까지 4종류가 있는데 9001이 가장 포괄적인 규격이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51개국이 ISO 9000에 의한 품질인증체제를 국가규격으로 채택하여 수입제한에 사용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ISO 9660 표준포맷: CD-ROM 드라이브, Title을 제조하는 회사는 여러 회사가 있다. 모두 각자의 지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창기 CD-ROM 드라이브는 호환성이 없었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범위를 제약하는 불편한 일로서 이를 우려하여 하이 시에라 그룹(High Sierra Group)으로 알려진 회사들의 모임에서 ISO 9660이라는 표준 형식을 만들었다. 이렇게 표준 방식이 있기 때문에 다른 CD-ROM 드라이브나 다른 회사에서 만든 타이틀도 읽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간혹 타이틀에 보면 “ISO 9660″을 지원한다는 마크가 붙어 있는데 이런 문구를 보게 되면 “표준규약 내지 표준규격”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 국제표준화기구. 각 분야마다 전문위원회(TC;Technical Committee)를 설치해 현재 170이상의 TC가 있다. TC97(제 97위원회)이 정보통신을 포함한 컴퓨터와 정보처리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RS ITU radio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ITU 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sector. = ITU-TS
IVD LAN: Integrated Voice and Data LAN의 약자. 음성/데이터 통합 LAN. 디지털 PBX (구내교환기)와 종래의 LAN을 공존시켰다.
JCSAT-3: 일본이 1995년 8월에 쏘아올릴 예정인 위성.적도 상공 동경 128도에서 쏘아올릴 예정(1,2호기는 150,154도)이다. ku밴드 28개, C밴드 12개의 트래폰을 탑재, 일본은 중국, 러시아로부터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 등 아시아 13개국을 중심으로 지구의 거의 1/3을 커버하게 된다. 대역폭은 54M, 36M, 27MHz를 탑재한다.
JPEG: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의 약자. 원래는 컬러 정지화상의 압축 부호화 방식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ISO(국제표준화기구), IEC(국제전기표준협회),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합동 조직 명칭. 그것이 컬러 정지화용 압축 부호화 방식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JUNET협회: UUCP 접속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의 실험연구 네트워크. 후에 JUNET에서 몇 개의 네트워크가 독립했을 때, 그것들의 어느쪽에도 속하지 않는 조직을 접속하기 위해 JUNET을 운영하는 JUNET협회가 필요했다. 그런데 협회는 오히려 94년 10월에 그 역할을 종료하고 해산했다.
kernel(커널): 커널은 과일의 속(가운데)을 뜻하는 말로 핵심이란 의미를 가진다.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인 운영체제 즉, OS(Operating System)의 여러 서브 프로그램 중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을 커널이라 한다. 이 커널에는 컴퓨터가 작동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초기화 프로그램과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터럽트 프로세스, 그리고 모니터의 상태를 살피는 모니터 프로그램, 키보드나 마우스를 관리해 주는 입출력 프로세스 등이 있다.
KB: 킬로 바이트(Kilo Bite). 천 바이트를 뜻한다.
KETEL(한국경제신문 텔리프레스): KETEL은 한국경제 신문사에서 1986년 11월 부터 시작한 전자 신문으로 이는 컴퓨터에 모뎀을 연결하여 신문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화선이있는 곳이면 하루 24시간 언제라도 KETE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KETE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반뉴스는 물론 증권정보, 투자정보, 기업정보, 외환정보, 상품가격 그리고 KETEL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우편 등이 있다.
keyword(키워드): 컴퓨터에서 자료를 검색할 때 컴퓨터는 우선 찾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된 키워드를 찾아낸 다음 원하는 내용을 얻어낸다. 이처럼 키워드는 산적되어 있는 많고도 복잡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통신망): 여러 대의 컴퓨터와 주변장치가 전용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그 규모가 한 사무실, 한 건물, 한 학교 등과 같이 비교적 가까운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컴퓨터(PC)끼리 접속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랜의 사전적인 의미는 “반경 수 Km이내에서 수Mbps에서 수백Mbps까지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사유기관에 속하는 통신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랜은 거리나 속도에 대한 한계를 지칭하기보다는 “철저히 오픈 시스템을 지향하며, 이 기종을 연결하고, 다양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연결성을 보장하는 환경”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랜을 구축했을 때의 장점은 1 각종 주변기기의 공유 2. 프로그램및 화일 공유 3. 데이터베이스 공유 4.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5. 사용자 관리의 용이성이다.
language(언어): 사람들은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말이나 글을 사용한다. 이 말이나 글로 표현되는 것을 언어라고 한다. 사람간의 의사소통의 경우처럼 인간과 컴퓨터 사이에도 서로의 의사를 전달해 줄 언어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언어를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구별짖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하며 흔히 줄여서 그냥 ‘언어’라고 하기도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0과 1로 이루어져 사람이 이해하기는 어려우나 컴퓨터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저급 언어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유사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가 편리한 고급 언어가 있다. 그러나 이 고급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으므로 마치 외국인과 이야기 할 때 통역관이 필요하듯이 컴파일러라는 번역기를 따로 사용해야 한다.
LAN 매니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PC-LAN용 네트워크 OS. LAN 매니저 2.1부터는, 서버 서비스의 하나로서 SNMP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있다.
LAN 보드: LAN에 PC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도 포함). 보통 PC 확장 슬롯에 꽂아 사용한다.
LAN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LAN 어댑터와 프로토콜을 독립적인 개발을 가능하도록 결정하는 인터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LAN 어댑터와 프로토콜 드라이버이면 타 제품끼리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LAPD: 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
lap top(랩탑): 무릎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랩탑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소형 컴퓨터는 카세트 녹음기 처럼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이다. 랩탑 컴퓨터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흔히 지적되는 전력공급 문제를 다각도로 해결해 준다. 니켈, 수은전지 등 크기가 축소되면서 사용 기간이 연장된 전지의 등장, 시스템 내부 기기 등에 최소한의 전력만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소프트웨어 등이 선보임으로써 이동시의 전력공급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다. 이 밖에도 작은 화면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전자빔을 주사하여 문자나 도형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 아닌, LCD라 불리는 액정표시 디바이스와 유리관 내에 네온과 아르곤 기체를 프라즈마 상태로 공급, 이곳에 전압을 통과시킴으로써 문자, 도형을 표시하는 가스 플라즈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자, 소설가, 회사 경영자 등을 주 사용자층으로 하고있는 랩탑 컴퓨터는 잦은 이동을 요구하는 직종의 사용자들에게 점차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LATA: Local Access and Transport Area의 약자. 미국에서 1984년 1월 AT&T 분할 당시, 분리된 22개 RBOC(벨계지역전화회사)의 서비스 제공지역을 정하는 것. LATA 내의 통신(시내, 시외 통화)은 지역계 전화회사의 독점서비스 구역으로, LATA간의 통신(LATA간 시외통화,주간통화)은 장거리계 전화회사의 경쟁서비스 구역으로 정했다. 미국 전역에 약 160개의 LATA가 있다.
LAT: local area transport
LCD(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어로서, 끝이 봉해진 두장의 유리 사이에 액체 수정을 넣어서 만든 화면 표시 장치이다. 이 장치의 원리는 유리판 안쪽의 투명한 전극판에 전압이 걸리면 그 사이에 있는 액정의 분자 운동 방향이 갈라져서 이것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변함에 따라 숫자나 문자 등이 표시되는 것이다. LCD는 랩탑,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전자계산기 등과 같이 크기가 작고 가벼운 기기의 화면 표시 장치로 적합하다.
LCR: Least Cost Routing의 약자. 최저 요금회선 자동선택 기능.
LD-CELP: Low Delay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의 약자. 저지연 부호여동형 선형 예측
LE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IFO: 후입 선출 방식(lost-in first-out).
link(링크:연결): 컴파일(베이직, 파스칼, C 등의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것)되거나 어셈블(어셈블리와 같은 저급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것)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모아서 하나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일을 ‘링크’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하나로 연결시키는 일이 링크이다. 링크를 하기 위해서는 ‘linkage editor(연결 편집기)’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결 편집기에 컴파일되거나 어셈블된 여러 개의 프로그램과 미리 만들어진 라이브러리 루틴을 입력시키면, 곧 바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로드 모듈)이 간단하게 출력된다.
LIPX: large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LISP(리스프): LISP는 1960년 미국 MIT 대학의 메카시라는 사람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LISt Processing의 약자이다. 이 언어는 람다라는 대수에 근거를 두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모두 같은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프로그램이 마치 데이터처럼 취급될 수 있고, 프로그램이 함수로 선언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핼할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인공지능과 그 응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LLC: Logical Link Control의 약자. LAN 상에서 SNA 환경을 실현하는 경우 등에 이용하는 프로토콜.
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load(로드): 으로드란 외부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읽어서 주기억장치에 옮겨 놓는 과정을 말한다. 컴퓨터에 요구되는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는 주기억장치에 올려져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만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처리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은 주기억장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보조기억장치에 있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이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을 주기억장치로 옮겨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로드라 한다.
LOGO(로고): 1960년대에 미국 MIT 대학의 세이버 파페르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 고안된 이 프로그래밍 언어는 원래 어린 아이들을 위한 컴퓨터 교육용 언어로 고안되어 컴퓨터를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이다.
MAC: media access control
macro(매크로): 매크로란 여러 개의 명령문을 하나의 명령어로 간단하게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같은 명령을 여러 번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매크로는 종종 함수와 비교되기도 하는데, 함수로 짜여진 프로그램은 기계어로의 번역시 함수가 사용된 위치에서 단 한 번 번역되므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으나, 메크로로 짜여진 프로그램은 매크로를 부르는 위치마다 번역되어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실행시 함수는 번역되어진 곳까지 제어를 이동 시켜야 하나 메크로는 그대로 순차적으로 실행해 나가면 되므로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메크로는 메모리를 좀 차지하더라도 빠른 시간안에 처리를 해야하는 프로그램 즉, 시스템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MAC 어드레스: LAN 단말기가 통신시에 이용하는 단말기 식별번호. 이더넷, 토큰 링, FDDI 등의LAN 프로토콜에 공통적인 어드레스. LAN 메이커가 LAN 제어 칩에 붙인 글로벌 어드레스(전세계에서 하나 밖에 없는 어드레스)가 일반적이지만 유저가 설정할 수 있는 로컬 어드레스를 채용하고 있는 LAN 보드도 있다.
Magic Cap: 미국 제너럴 머신사가 개발중인 휴대단말기용 오브젝트 지향 OS.
mainframe(메인프레임:대형 컴퓨터):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속도의 처리 속도를 지닌 멀티유저(여러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용 대규모 컴퓨터를 ‘메인프레임’이라고 한다. 이처럼 대규모 컴퓨터를 메인프레임이라고 칭하게 된 이유는 초창기의 ENIAC(에니악)과 같이 덩치 커다란 컴퓨터가 수 천개의 진공관을 설치한 회로기판을 철골로 된 뼈대인 프레임 안에 조립한 형태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메인프레임은 주기억 용량이 수 십 MB 이상이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100명 이상인 컴퓨터를 의미했는데, 1980년대 초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워크스테이션은 PC 크기의 컴퓨터이지만 대용량, 고속 처리, 고속의 통신망과 UNIX(유닉스:멀티유저를 위한 운영체제)의 사용이 가능해져서 여러분야에서 메인프레임과 같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
maintenance(메인터넌스:유지 보수):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예방과 대책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행동을 ‘유지 보수’라고 한다. 하드웨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정기적인 점검, 조정, 수리, 부품 교환 등이 있으며 소프트웨어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내고 고치는 디버깅 작업, 업무 변화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일부 수정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데이터의 손상 및 최근 논란이 되고있는 바이러스의 예방을 목적으로 사전에 백업을 받아두는 작업 역시 중요한 유지 보수의 하나이다. 첨단 컴퓨터의 등장과 업무의 고도화에 따라 근래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비용보다는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이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의 약자. 도시 레벨까지 확대시킨 일종의 LAN. mailslot데이터그람형(콘넥션리스형)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API. 데이터의 송달확인 기능은 없다.
manual(매뉴얼: 수동, 취급설명서): ‘매뉴얼’이란 수동을 의미하며, 자동이라는 의미의 ‘오토(auto)’와 상대적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매뉴얼은 취급 설명서의 영어 표기이기도 하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카메라를 살펴보면 A와 M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있는데 A는 auto(자동)를, M은 manual(수동)을 나타낸다. 이때 A를 선택하면 카메라의 모든 조절 장치가 자동으로 맞추어지지만, M을 선택하면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조리개, 촛점, 거리 등을 일일히 맞추어야만 한다. 또한 취급하기 복잡한 가전기기나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했을 때, 포장을 풀게 되면 취급설명서가 들어 있다. 취급설명서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한 사용자가 스스로 조작하는 방법, 즉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수동으로)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방법이 적혀 있다. 취급설명서를 흔히 매뉴얼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매뉴얼(수동)로 손수 조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MB: 메가 바이트(Mega Bite). 백만 바이트를 뜻한다.
MCA/JSMR: 일본에서 서로 다른 유저가 공동으로 중계국의 복수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MCA는 이동무선센터가, JSMR은 일본이동통신시스템협회(JAMTA)가 제공. 각각 국내 90개소 이상의 지역에서 국소적으로 이용 가능. 운송업 등의 업무이용이 중심.
MCA: Multichannel Access의 약자. 아날로그의 음성용 자영무선.
MDF: main distributing frame
memory(메모리:기억장치):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넣어두는 장소가 기억장치 즉 메모리이다. 메모리는 주로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뉘어진다. 주기억장치에는 램과 롬이 있다. 램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계산의 결과치를 저장하는 등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을 모두 잃어 버린다. 반면에 롬은 전원이 꺼저도 기억된 내용을 잃지 않으며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읽을 수 만 있고 새로 저장하지 못한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에는 디스켓을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을 수 있는 풀로피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라고도 하는 하드 디스크가 있다.
memory map(메모리 맵): 동회나 복덕방에 가보면 지적도라는 도표가 있어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집들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집이 얼만큼 큰가를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집을 찾는 사람들이 빠른 시간 안에 원하는 집을 찾을 수 있으며 주민을 관리하기에도 무척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지적도가 컴퓨터의 기억장치를 관리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역활을 하는 것이 메모리 멥이다. 메모리 멥은 데이터 또는 일련의 프로그램들이 기억장치의 어느 부분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merge(머지:합병): 일반적으로 같은 규칙에 의해
Google Play 앱
정보통신용어사전은 통신, 방송, 컴퓨터, 인터넷, 정보보호 등 ICT 용어를 표준화하고,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설을 제공합니다.
정보통신용어사전에 수록되지않은 용어를누구나 제안할 수 있으며, 제안된 용어는 검토된 후, 사전에 반영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원을 받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날짜 2020. 1. 22.
[논문]정보통신 용어해설
안내
> 총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다운받으실 자료의 인덱스를 입력하세요. (1-10,000) > 검색결과의 순서대로 최대 10,000건 까지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데이타가 많을 경우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최대 2~3분 소요) > 다운로드 파일은 UTF-8 형태로 저장됩니다. 파일의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실 때는 웹브라우저 상단의 보기 -> 인코딩 -> 자동선택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 ~ > Text(ASCII format)
Excel format
정보통신용어 en App Store
Privacidad de la app
El desarrollado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no ofreció detalles sobre sus prácticas de privacidad y el envío de datos a Apple.
컴퓨터 인터넷 정보통신용어사전
반품/교환 불가 사유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1) 해외주문도서 : 이용자의 요청에 의한 개인주문상품으로 단순변심 및 착오로 인한 취소/교환/반품 시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고객 부담 (해외주문 반품/취소 수수료 : ①서양도서-판매정가의 12%, ②일본도서-판매정가의 7%를 적용)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정보 통신 용어
다음은 Bing에서 정보 통신 용어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 네트워크
- 기술
- TCP
- IP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YouTube에서 정보 통신 용어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쉬움주의) 네트워크 기초 기술 모르시는 분들 이 정도만 알면 기술사만큼 됩니다. 책한권 뚝딱 누구나 알면 좋을 컴퓨터 상식 | 정보 통신 용어,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