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에어 M2 |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3751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맥북 에어 m2 –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당근조실험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598회 및 좋아요 3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맥북 에어 m2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 맥북 에어 m2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늘은 맥북에어 M2 입니다.
0:00 intro
0:31 오늘의 영상 소개
0:56 M2 Macbook Air 사지 마라. 그러나 구매한 이유
4:00 스펙읽기
13:46 오픈 박스
15:15 맥세이프 그리고 악세사리
16:00 맥북 에어 외형 비교 분석
17:20 새로운 맥북에어 시작하기
19:38 모니터 테스트
22:15 벤치마크 테스트
24:00 노치 화면 테스트
25:00 마무리…

맥북 에어 m2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발열? 속도 저하? 그래도 ‘M2 맥북에어’를 사야 하는 이유 – 테크M

그만큼 짧은 기간 내에 실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 애플실리콘은 2세대 ‘M2’까지 선을 보였다. 첫 제품은 역시 맥의 간판 ‘맥북에어’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techm.kr

Date Published: 4/28/2022

View: 7166

MacBook Air/역대 모델/2022년 – 나무위키

Apple M2 칩이 장착되었으며 폼팩터가 리비전됐다. MacBook Pro 14형 및 16형 제품과 비슷한 디자인 코드를 따르게 되었다. 팬이 달린 Intel 기반 MacBook Air 폼펙터 …

+ 여기를 클릭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7/25/2021

View: 4442

기획전 – [Apple] MacBook air M2 – 롯데하이마트

[Apple][Applecare+] 맥북에어13 M2 모아보기 / Apple 노트북. 1,969,000 원 1,844,860 원 최대혜택가. MacBook Air M2. MacBook Pro M2. MacBook M1. iPad Air5.

+ 여기를 클릭

Source: m.e-himart.co.kr

Date Published: 7/4/2022

View: 7904

M2 맥북에어, 전작과 어떤 점이 달라졌나 – 지디넷코리아

더버지는 새 M2 맥북에어의 장점에 대해 더 얇고 가벼운 디자인, 우수한 품질의 디스플레이, 화질이 크게 개선된 웹캠, 하루 종일 쓸 수 있는 긴 배터리 …

+ 여기에 표시

Source: zdnet.co.kr

Date Published: 6/14/2022

View: 2522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M2는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맥북 에어 2022년형 모델과 기존 하우징을 유지한 맥북 프로 2022년형에 각각 탑재되며, 8코어 CPU 및 8코어 GPU 모델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it.donga.com

Date Published: 6/3/2021

View: 6516

애플 맥북에어 M2 스타라이트 사용해보니 [백문이 불여IT견]

애플 맥북에어 M2 스타라이트 사용해보니 [백문이 불여IT견] – 매일경제, 작성자-김대은, 섹션-it, 요약-이달 중순, 애플은 신형 맥북에어를 출시했다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mk.co.kr

Date Published: 3/14/2021

View: 3801

애플 M2 맥북 에어 리뷰 | 혼란스럽고 복잡한 사양 선택 방정식

테스트한 M2 맥북 에어 모델. 필자는 16GB 메모리가 적용된 10코어 GPU와 앞서 언급한 1TB 플래시 스토리지가 탑재된 8코어 에어를 테스트했다. 표준 모델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itworld.co.kr

Date Published: 11/8/2022

View: 948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맥북 에어 m2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맥북 에어 m2

  • Author: 당근조실험실
  • Views: 조회수 1,598회
  • Likes: 좋아요 30개
  • Date Published: 2022. 8. 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S0QYd9jn7s

발열? 속도 저하? 그래도 ‘M2 맥북에어’를 사야 하는 이유

M2 맥북에어 /사진=테크M

2020년, 애플은 자체 개발 칩셋 ‘M1’을 발표하며 약 2년이면 모든 맥 제품이 ‘애플실리콘’으로 전환될 것이라 공언했다. 당시만 해도 ‘설마’ 하는 반응이었지만, 만 2년도 되지 않은 현재 ‘맥 프로’를 제외한 모든 라인업이 실제 애플실리콘으로 전환됐고, M1 칩은 ‘M1 프로’, ‘M1 맥스’에 이어 ‘M1 울트라’까지 확장됐다. 그만큼 짧은 기간 내에 실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 애플실리콘은 2세대 ‘M2’까지 선을 보였다. 첫 제품은 역시 맥의 간판 ‘맥북에어’다. 맥북에어는 맥 제품 중 가장 많이 판매된 베스트셀러 노트북이다. 얇고 가벼우며 적절한 성능까지 갖춘 높은 범용성으로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서류봉투에서 제품을 꺼내던 인상적인 프레젠테이션 덕에 맥북에어는 씬앤라이트 노트북의 아이콘으로 남아있다.

그만큼 이번 M2 맥북에어 신모델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M2 칩 최초 탑재 뿐만 아니라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완전히 디자인을 바꾼 첫번째 모델이라는 점에서도 많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의외로 출시 전부터 성능이나 가격 등에 있어 논란이 많은 모델이기도 하다. M1 맥북에어가 보여줬던 충격적인 성능 향상에 비하면 뭔가 임팩트가 모자란듯한 느낌도 있다. 과연 M2 맥북에어는 살 만 한 제품인지, 요모조모 따져봤다.

디자인은 역시 명품이다

M2 맥북에어의 가장 큰 매력은 디자인이다. 보는 순간 심장이 두근거릴 만큼 독보적인 매력을 뽐낸다. 최근 애플의 디자인 기조인 플랫한 형태에 맥북에어 특유의 슬림함이 더해져 한층 세련미를 더한 모습이다. 어찌 보면 단조로운 디자인이지만, 소재나 마감에서 “역시 애플”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M2 맥북에어 /사진=테크M

아노다이징 기법으로 처리된 알루미늄의 질감과 컬러감은 다른 노트북에선 느끼기 어려운 고급스러움을 담고 있다. 사과 마크를 전작보다 대폭 키운 데서부터 브랜드의 자부심을 느낄 수 있다.

이번 신모델은 기존 실버, 스페이스 그레이와 더불어 스타라이트와 미드나이트 컬러를 새로 선보였다. 현재 가장 인기가 많은 모델은 미드나이트 컬러로, 맥북으로는 드물게 진한 색상 모델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아무래도 기존에 없었던 색상이라 신제품 티가 가장 많이 난다는 점도 매력 요소로 꼽힌다.

M2 맥북에어 /사진=테크M

실제로 보면 빛의 각도에 따라 푸른빛에서 거의 블랙에 가까운 진한 색까지 다채로운 빛깔로 보인다는 게 미드나이트 색상의 가장 큰 매력이다. 다만 진한 색상이다보니 지문이 잘 묻는 단점이 있다. 검은 자동차가 관리하기 힘들 듯이, 미드나이트 컬러 제품도 지문 없이 깨끗한 모습을 유지하려면 부지런히 닦아줘야 한다.

스타라이트 같은 경우 골드 색상 계열로 소개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미색이 섞인 실버 정도의 느낌으로 오묘한 매력을 뽐낸다. 매장에서 실물로 보면 의외로 가장 예쁘다는 말을 많이 듣는 모델이라고 한다.

영상편집 성능 좋아졌다

두번째 매력은 성능이다. M1의 경우 처음 공개 당시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중앙처리장치(CPU)는 최대 3.5배, 그래픽처리장치(GPU)는 6배, 머신러닝 성능은 최대 15배 빠르다고 소개됐다. 그만큼 충격적인 성능이었다.

허나 M2는 그 정도로 파격적인 성능 향상이 이뤄지진 않았다. 애플에 따르면 M1에 비해 CPU는 18%, GPU는 35%, 뉴럴엔진은 40% 정도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한다. 이와 함께 메모리가 LPDDR4에서 LPDDR5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메모리 대역폭도 50% 향상됐다.

M1 맥북에어(위)과 M2 맥북에어 긱벤치5 테스트 결과/사진=테크M

전작인 M1이 지금 쓰기에도 일반적인 문서 업무나 웹서핑, 콘텐츠 소비 용도로는 여전히 우수한 성능이기 때문에, M2 역시 매끄러운 성능을 보여준다. 아무리 많은 작업창을 띄워 놓아도 전혀 버벅거리거나 반응이 늦는 경우가 없다. 노트북을 열면 거의 스마트폰 수준으로 빠르게 다시 시작된다는 점도 M1부터 내려온 장점이다.

M2의 성능 향상을 가장 크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영상편집이다. 맥북에어 자체가 무거운 작업을 하는 데 적절한 모델은 아니지만, 그래도 최근에는 영상이나 디자인 관련 작업들이 보편화되는 추세인 만큼 성능이 받쳐준다면 반가운 일이다. M2 맥북에어는 GPU 성능 향상과 더불어 ProRes 가속기를 지원하는 미디어엔진을 탑재해 이전보다 훨씬 많은 4K 및 8K 동영상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게 됐다.

디테일이 살아있다

마지막 매력은 ‘디테일’이다. M2 맥북에어는 디자인이 바뀌면서 세세한 부분들이 업그레이드 됐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변화는 ‘맥세이프’ 충전 커넥터의 부활이다. 자력으로 가져다 대기만 해도 찰싹 붙기 때문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누가 충전선을 밟고 지나가도 바로 떨어져 낙하 위험도 줄어든다. 무엇보다 USC-C 포트 2개를 충전 중에도 사수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다. 여기에 4가지 색상에 맞춰 맥세이프 색상도 ‘깔맞춤’을 한 점도 깨알 디테일이다.

M2 맥북에어 맥세이프 /사진=테크M

디스플레이에는 ‘노치’가 생긴 대신, 전면 카메라 화질이 1080P로 향상됐다. 노치는 메뉴바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크게 거슬리진 않지만, 메뉴바에 응용프로그램을 많이 띄워 놓는 사용자라면 노치 때문에 공간이 좁을 순 있다. 디스플레이 화질도 소폭 개선됐는데, 전작보다 100니트(nit) 밝아진 500니트 밝기와 10bit 컬러 지원으로 좀 더 선명한 화질을 보여준다.

M2 맥북에어 스피커 /사진=테크M

키보드 양쪽에 있었던 스피커 구멍이 사라진 점도 눈에 띄는 데, 노트북이 접히는 힌지 부위에 눈에 띄지 않는 곳으로 들어갔다. 그러면서 4스피커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돼 좀 더 입체감 있는 음질을 들려준다. 공간음향 음원을 들어보면 스테레오 분리 성능이 훨씬 좋아졌음을 바로 느낄 수 있다. 유사한 노트북 중 스피커는 톱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말입니다, 디스크 속도 반토막?

이쯤 되면 완벽해야 할 맥북에어인데, 의외로 비판적인 반응도 만만치 않다. 특히 성능과 가격 측면에서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첫번째 논란은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에 대한 이슈다. 이 논란은 256GB 저장용량 장치를 탑재한 모델에서 불거졌는 데, 읽기/쓰기 속도가 전 세대에 비해 반토막이 났다는 지적이다. 실제 벤치마크를 돌려보니 M1 맥북에어 256GB 모델의 경우 읽기 속도는 약 2500MB/s, 쓰기 속도는 약 2100MB/s 수준으로 측정됐됐으나, M2 맥북에어 256GB 모델의 경우 읽기 속도는 약 1500MB/s, 쓰기 속도는 약 1550MB/s 수준으로, 반토막까진 아니지만 성능이 확실히 낮아진 것이 사실로 드러났다.

M1 맥북에어(위)와 M2 맥북에어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 테스트 결과 /사진=테크M

해외에선 이 이슈가 먼저 출시된 M2 맥북프로를 분해하면서 원인이 밝혀졌는데, 전 세대의 경우 128GB 칩 2개를 달아 듀얼채널로 구성한 반면, 이번 M2 제품의 경우 256GB 칩 하나인 싱글채널로 구성해 읽기/쓰기 속도가 크게 떨어졌다는 설명이다. 혹자는 애플이 원가절감을 위해 이런 만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만 이런 읽기/쓰기 속도 저하가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 확대 해석이란 분석도 있다. 파일 입출력 외에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속도를 늦추는, 예를 들면 웹페이지가 늦게 열린다거나 하는 차이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것. 수십~수백 GB 단위의 고용량 파일을 옮겨가며 작업하는 환경이 아니라면, 차이를 느낄 일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맥북에어 같은 씬앤라이트 노트북의 주된 사용 목적인 문서작업, 웹서핑, 콘텐츠 소비, 가벼운 영상 편집이나 디자인 작업 등이라면 M2 맥북에어 256GB 모델의 디스크 속도 수준에서도 크게 손해 볼 일은 없다.

이유가 어찌됐든 비싼 새 모델을 샀는 데 저렴한 전 모델보다 부족한 점이 있다면 소비자 입장에선 분명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영 맘에 걸린다면 512GB 용량 모델을 고르는게 속 편하지만, 가격이 27만원이나 더 비싸진다는 점은 불편한 현실이다.

발열 때문에 전작 보다 성능 안나온다?

이번 M2 맥북에어는 여러모로 ‘가성비’가 전작보다 많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언제부터 애플에 가성비를 요구했나 싶긴 하지만, M1 맥북에어가 애플 제품 중엔 드물게 막강한 가성비를 보여줬기 때문에 이번 신제품의 가격 상승에 대한 압박이 유난히 크게 느껴진다. 미국 현지에서는 200달러가 올랐지만, 최근 환율이 크게 오른 탓에 국내에선 40만원이 상승했다. 참고로 환율 상승의 여파는 전 세대인 M1 맥북에어의 가격도 10만원 상승시켰다. 그래서 현재 가격 차이는 30만원.

가격이 너무 가파르게 오른 것도 신경쓰이는 데,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구매를 고려하던 소비자들을 주춤하게 만들고 있다. M2칩의 발열이 M1보다 심해 성능이 제대로 안나오고, 심지어 전 세대보다 떨어진다는 소문 때문이다.

M2 맥북에어(왼쪽)과 M1 맥북에어 발열 비교 /사진=테크M

실제 ‘시네벤치 R23’ 같은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M1은 CPU 온도가 약 90도 부근에서 꾸준히 머무는 반면, M2의 경우 100도를 바로 넘어간다. 보통 130도 이상을 넘어가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100도 수준이면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전 세대와 비교하면 열이 좀 더 발생하는 건 사실이다.

M1의 경우 애플실리콘의 첫 모델인 만큼 안정적인 전성비를 보여주기 위해 다소 보수적인 세팅값을 적용했다면, M2는 조금 더 성능에 욕심을 부린 흔적이 보인다. 트랜지스터 밀집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열이 좀 더 나고, 이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면 성능을 일시적으로 낮추는 ‘스로틀링’도 더 강하게 걸린다. 벤치마크 수치를 보면 M1의 성능 유지력이 더 좋고, 성능 차제는 M2가 좀 더 높다.

M1 맥북에어(왼쪽)과 M2 맥북에어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사진=테크M

결론적으로 M1 보다 M2이 더 뜨거운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전작보다 성능이 떨어진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아무래도 맥북에어가 방열팬이 없는 ‘팬리스’ 노트북이다보니 이런 발열에 취약하긴 하다. M2 맥북에어로 시스템 부하가 큰 작업을 장시간 연속해서 수행하려면 발열로 인한 성능 저하가 상당히 느껴질 수 있다. 허나 이런 무거운 작업을 하려면 애초에 팬이 있는 노트북을 쓰는 게 좋다.

살까? 말까? 결론은

애플팬 사이에는 “짝수 버전을 사라”는 격언이 있는데, 홀수 제품에서 도전적인 시도를 하고 짝수 제품에서 이를 가다듬어 완성형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M2 역시 M1의 도전이 성공하면서 이를 좀 더 가다듬은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적당하다. 지금 M1 제품을 쓰고 있다면 굳이 M2로 넘어가야 할 요인은 크지 않아 보인다. 다만 맥을 입문하거나 인텔 칩 모델을 쓰다 교체하려 한다면 기왕이면 M2로 넘어가는 게 좋겠다.

여러 이슈 때문에 찜찜한 마음도 있긴 하지만, 성능이 우수한 맥북프로 14인치로 넘어가기엔 100만원 정도 가격 차이가 나고, 얇고 가볍다는 맥북에어의 장점 또한 대체하기 어렵다. 방열팬이 있어 성능 유지력이 좋고 가격도 10만원 밖에 차이나지 않으며 휴대성도 괜찮은 맥북프로 13인치 모델도 있지만, 구형 폼팩터를 그대로 채택했기 때문에 디테일에선 오히려 맥북에어보다 못한 점이 많다. 결국 가볍게 들고 다니며 다양한 작업들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용도라면, 현재로는 M2 맥북에어가 가장 매력적인 선택지라고 볼 수 있다.

남도영 기자 [email protected]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남시현 [email protected]

[IT동아 남시현 기자] 2020년 6월, 애플은 2년 이내에 모든 매킨토시에 자체 설계한 프로세서를 탑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5개월이 지나 애플은 최초의 애플 실리콘 ‘M1’ 칩을 공개했고, 이어서 M1 프로와 M1 맥스, M1 울트라를 공개하며 라인업을 다져왔다. 2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최상급 데스크톱 ‘맥 프로’에 탑재할 초 고사양 프로세서에 대한 소식은 없지만 맥북 에어와 맥북 프로, 맥 미니, 아이맥, 맥 스튜디오까지 다양한 라인업의 매킨토시에 애플 실리콘을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13.5형 리퀴드 레티나 디스플레이와 새로운 M2 칩을 장착한 맥북 에어 2022. 출처=IT동아

2년 만에 이룬 성공에 자신감을 얻은 걸까. 애플은 M1 울트라를 내놓은 지 3개월 만에 2세대 애플 실리콘 ‘M2’ 칩을 공개했다. 지난 6월 WWDC22에서 공개된 M2는 1세대 M1보다 20% 빠른 성능과 40% 향상된 이미지 처리 속도, 그리고 최대 24GB의 통합 메모리 환경에서 50% 향상된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하는 등 다중 작업 시의 효율이 빨라졌다. M2는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맥북 에어 2022년형 모델과 기존 하우징을 유지한 맥북 프로 2022년형에 각각 탑재되며, 8코어 CPU 및 8코어 GPU 모델 혹은 10코어 CPU 및 10코어 GPU 모델 중 선택할 수 있다. 메모리는 8/16/24GB 통합 메모리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새로운 디자인과 색상, M2 칩을 갖춘 애플 맥북 에어 2022를 통해 M2 칩의 진가를 살펴보도록 하자.

아이폰 13처럼 각진 디자인, 전반적으로 향상된 하드웨어

일반적으로 매킨토시는 연식이 변경되더라도 내부 성능만 바꿀뿐 하드웨어와 디자인은 거의 변경하지 않는다. 디자인을 고정하면 대량생산이 쉬워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또 새 제품이 나와도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사양이 바뀜에 따라 몇 년에 한 번씩 디자인과 구성을 완전히 교체하는데, 이번에 출시된 맥북 에어에서 하드웨어와 디자인이 완전히 바뀌었다. 반대로 함께 출시된 맥북 프로 2022는 이전에 출시된 디자인과 하드웨어를 그대로 갖추고 내부 성능만 바뀌어서 오히려 스피커나 웹캠 등의 사양이 맥북 에어보다 떨어진다.

맥북 에어 2022는 앞서 출시된 다른 맥들과 다르게 제품 이름도, 하단의 각인도 없이 애플 로고만 있다. 출처=IT동아

맥북 에어 2022는 2560×1664 해상도의 13.5인치 리퀴드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맥OS 기반 노트북이다. 맥북프로 14/16형과 달리 LCD 기술 기반의 디스플레이지만 P3 색재현력과 500니트의 밝기를 제공해 타사 노트북과 비교하면 상위 등급의 화면 품질을 제공한다. 카메라도 이번에 새롭게 1080p 해상도 웹캠으로 변경됐고, 오디오도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4 스피커 사운드 시스템과 지향성 빔포밍이 적용된 3 마이크 어레이, 고출력 저항 헤드폰도 지원하는 3.5mm 오디오 잭 등 큰 폭으로 향상됐다.

상단의 사과 로고만 배치돼있는 게 특징이다. 출처=IT동아

크기는 두께 1.13cm에 가로 30.41cm, 세로 21.5cm로 전작보다 얇아졌고, 무게는 1.24kg으로 보편적이다. 외관은 100% 재활용 알루미늄이 사용됐고, 테두리로 갈수록 얇아지던 디자인 대신 전체 두께가 아이폰 13처럼 평평한 타입으로 바뀌어 안정감을 높였다. 이 때문에 전 세대 맥북 에어와 비교하면 조금 더 두꺼워진 느낌이나, 평탄화됐으므로 실제 두께는 1.61cm에서 1.13cm로 얇아졌다. 색상은 실버, 스타라이트, 스페이스 그레이, 미드나이트 네 가지 색상 중 선택할 수 있다.

좌측 2개의 썬더볼트 4 및 맥세이프3, 우측 오디오 단자로 구성된다. 출처=IT동아

인터페이스는 2개의 썬더볼트 4/USB 4 포트와 맥세이프3 단자, 고출력 헤드폰을 지원하는 3.5mm 오디오 단자를 갖췄다. 맥세이프3 단자는 커넥터 끝 부분이 자석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기기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분리된다거나 노후화됐을 때 쉽게 교체할 수 있다. 8코어 GPU 모델 구매 시 30W 어댑터가, 10코어 GPU 구매 시 듀얼 35W 어댑터가 탑재된다. 별매의 67W급 USB-PD 충전기를 활용하면 급속 충전 기능도 지원한다.

키보드는 전작과 동일하게 78키 백라이트 매직 키보드가 사용되며, 멀티 터치 제스처를 지원하는 트랙 패드가 탑재돼있다. 메모리는 전작인 LPDDR4에서 LPDDR5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초당 100GB의 통합 메모리 대역폭을 달성하게 됐고, 기본 8GB에서 16GB 및 24GB 메모리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 공간은 기본 256GB에 추가 사양으로 512GB, 1TB, 2TB 중 선택할 수 있다. 배터리는 52.6Wh가 탑재되며, 무선 인터넷 사용 시 최대 15시간 정도 연속 활용할 수 있다.

향상된 완성도, M1과 대단한 차이는 없어

내부에 쿨링팬은 없지만, 발열 해소를 위한 벤트 및 열전도 처리가 돼있다. 출처=IT동아

M2를 탑재한 맥북 에어 2022 역시 M1 맥북 에어와 마찬가지로 쿨링팬이 없다. 따라서 쿨링팬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지만, 반대로 열이 꾸준히 발생하는 고부하 작업 시에는 불리하다. 이는 맥북 에어 자체가 고부하 작업보다는 웹서핑이나 문서 작업 비중이 높고, 휴대성과 정숙함을 우선시하는 사용자를 겨냥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만약 고부하 작업을 원한다면 쿨링팬이 탑재된 맥북 프로를 선택하는 게 옳다.

한편, M2 맥북 에어의 성능은 전작대비 약 20% 정도 향상된 것으로 발표됐지만 그만큼 반도체 면적도 늘어났다. 즉 내부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사용에 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M1 맥북 에어와 M2 맥북 에어에 고부하 작업을 걸었을 때의 코어 온도, 그리고 장시간 작업을 걸었을 때 얼마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지 간단히 시험해봤다.

좌측이 M2칩 기반 맥북 에어 2022 결과, 우측이 M1 칩 기반 맥북 에어 2021, 최대 동작 시 온도가 10도 가량 차이난다. 출처=IT동아

우선 코어 온도 테스트는 3D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시네벤치 R23 버전을 실행하고, 그 직후 프로세서 온도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우선 M1 맥북 에어는 약 1분 간 진행한 테스트에서 전체 코어가 85도~100도 내외를 유지했고, M2 맥북 에어는 비슷한 조건에서 105~109도를 유지했다. 원래 반도체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는 보통 135도~150도 이하라서 100도를 넘는 건 심리적인 문제일 뿐 문제가 되는 수준은 아니다. 대신 무릎에 올려놓고 쓰면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수준인 점은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로 맥OS 12.4 버전과 12.5 버전의 온도 비교는 차이가 없었다.

좌측이 M2 맥북 에어 2022, 우측이 M1 맥북 에어 2021이다. 장시간 활용 시 맥북 에어 2022의 성능 유지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IT동아

온도가 높다는 의미는 장시간 사용 시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대다수 반도체는 발열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연산 성능을 줄여 온도를 낮추는데, 이를 쓰로틀링(Throttling)이라고 한다. 즉, 연산을 처리해 꾸준히 발열이 나면 그만큼 온도를 낮추기 위해 성능에 제약이 걸린다.

3D 렌더링을 20회 실행해 처리 속도를 비교하는 3D마크 : 와일드 라이프 익스트림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를 보자. M1 맥북 에어는 처음 시작 시 4502점을 획득했고, 마지막 회차에서 4031점까지 성능이 떨어졌다. 이때 초기 점수와 비교해 성능은 89.5%를 유지했다. 반면 M2 맥북 에어는 처음 6774점으로 시작했지만 3회차까지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다가 마지막 회차에서는 4427점에 불과했다. 성능 유지력은 65.3%로 발열을 해소하지 못해 성능에 제약이 걸린건데, 영상 편집이나 렌더링 등 부하가 꾸준히 가해지는 작업이라면 쿨링팬을 장착한 제품을 골라야 한다.

프로세서 자체의 성능은 보급형 데스크톱과 맞먹는 수준으로 확인된다. 출처=IT동아

온도 부분을 제외한 실질 성능은 인상적이다. 특정 3D 렌더링을 실행해 분당 처리하는 프레임 수로 프로세서 성능을 정량 평가하는 블렌더 3.1 벤치마크를 활용해 M2 맥북 에어의 처리 속도를 확인했다. 테스트의 총합은 CPU가 139.07점, GPU가 280.13점으로 확인된다. CPU 성능은 AMD 라이젠 5 3600과 비슷한 수준인데, 성능 유지력을 감안하면 인텔 코어 i5-8400 수준이다. 물론 팬리스 노트북으로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GPU는 280.13점으로 AMD 지포스 GTX 1050 Ti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다.

인텔 맥 보유라면 매력적··· 큰 변화는 없어

성능 유지력이 떨어지는 맥북 에어 라인업에서는 성능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다만 쿨링팬이 장착된 맥북 프로라면 격차가 제법 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IT동아

종합적으로 맥북 에어 2022에 탑재된 M2 칩은 기존 M1보다 발전된 프로세서지만, 맥북 에어만 가지고 성능을 판단하기는 어렵다. 일단 두 세대의 맥북 에어 모두 쿨링팬이 없어서 칩 자체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게다가 새 맥북 에어의 성능 유지력은 전 세대보다 훨씬 떨어진다. 순간적인 처리 속도와 반응력은 M2가 앞서지만, 장시간 활용 시에는 성능 유지력이 좋은 M1 맥북 에어가 오히려 좋은 결과를 낼 여지가 있다. 물론 쿨링팬이 장착된 맥북 프로라면 M2 맥북 프로가 M1 맥북 프로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성능 측면에서도 크게 진보한 점을 찾기 어려웠다. 우선 통합 메모리 대역폭이 향상된 부분은 LPDDR4에서 LPDDR5로 교체되면서 성능이 올라간 건데, 이미 M1 프로 이상 제품은 모두 LPDDR5를 사용하고 있어서 향후에 M2 프로나 울트라 버전 등이 나오더라도 메모리를 통한 성능 향상이 크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M2 칩 자체가 M1 칩과 동일한 TSMC 5나노미터 공정에서 조금 더 개선된 공정을 활용했기 때문에 칩 자체의 효율이 증가했기보다는, 트랜지스터가 늘어나서 성능이 향상됐다고 봐야 한다. 도로의 통행량을 늘릴 때 속도의 상한선을 높이지 않고, 차선을 하나 더 깔아 통행량을 늘린 셈이다. 만약 별 다른 공정 변화 없이 상위 버전 칩셋이 그대로 등장한다면 M1 상위 버전과 M2 상위 버전의 성능 차이는 예상보다 작을 수 있다.

하드웨어 완성도는 만족, 가격은 그만큼 올라

가격은 전작보다 30만 원 정도 올랐지만, 그만큼 하드웨어도 상당히 강화됐다. 출처=IT동아

맥북 에어 2022의 장점은 새로운 디자인과 색상, 보다 간결해진 활용도와 인터페이스다. 기존 M1 맥북 에어는 인텔 프로세서가 탑재되던 시기의 하드웨어를 그대로 사용한 보급형 노트북이라는 느낌이 있었는데, M2 맥북 에어는 애플실리콘에 최적화한 설계와 맥북 프로 14와 비슷한 사양의 하드웨어가 탑재돼 전 세대 맥북 프로보다 더 완성도가 좋아졌다. 우선 변화된 디자인은 아이폰 13나 아이패드 프로 등과 패밀리룩을 이루며, 색상도 훨씬 고급스러워졌다. 맥 세이프 3나 고속 충전 지원, 노치 스타일로 활용 영역을 넓힌 디스플레이와 FHD 웹캠, 4 스피커 사운드 시스템과 고출력 헤드폰 인터페이스는 타사의 상위급 제품과 맞먹는 수준을 보여준다.

그렇다 보니 가격은 8코어 CPU 및 GPU, 8GB, 256GB를 탑재한 기본 모델이 169만 원대로 전작인 139만원보다 30만 원이나 올랐고, 8코어 CPU 및 10코어 GPU 모델은 209만 원대로 동일한 코어가 사용된 M2 맥북 프로보다도 비싸다. M2 맥북 프로가 이전 세대 하드웨어를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에 상위 라인업인데도 가격이 역전됐다. M2 맥북 에어는 기존 맥북 사용자들보다는 인텔 맥 사용자에게 확실히 매력적이다. 그만큼 가격은 올랐지만 하드웨어 품질도 납득할 만큼 향상됐다. 다만 성능 유지력은 떨어지므로 간단한 작업과 휴대성이 필요하다면 M2 맥북 에어를, 고부하 작업이 따른다면 M2 맥북 프로를 추천한다.

글 / IT동아 남시현 ([email protected])

애플 맥북에어 M2 스타라이트 사용해보니 [백문이 불여IT견]

이달 중순, 애플은 신형 맥북에어를 출시했다. 이번 맥북에어는 지난달 열린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가장 주목받았던 제품이다.먼저 디자인의 변화가 가장 눈에 띈다. 맥북에어는 2008년 처음 만들어진 이래로 줄곧 동일한 디자인을 고수해 왔다. 화면이 있는 곳이 가장 두껍고 트랙패드 쪽으로 내려올 수록 얇아져, 옆에서 봤을 때 마치 긴 삼각형처럼 보였다.이제는 맥북프로와 디자인이 거의 같아졌다. 전 부위에 걸쳐 두께가 일정하고, 전반적으로 뭉툭한 느낌을 준다. 맥북의 트레이드마크인 전면의 애플 로고도 훨씬 커졌다.대신에 다양해진 색상으로 차별점을 뒀다. 기존에 있던 스페이스 그레이와 실버 외에도 미드나이트, 스타라이트가 추가됐다. 기자가 제공받은 스타라이트 색상의 경우 주위의 빛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곤 하는데, 대체로 금색과 상아색의 중간 정도 되는 빛깔을 나타낸다.디자인 외의 요소도 지난해 출시된 맥북프로의 요소를 차용했다.화면도 맥북프로와 같이 ‘노치’가 적용됐다. 13인치 맥북프로가 화면이 커지며 14인치가 됐지만, 맥북에어는 13.4인치 정도로 커지는 데에 그쳤다. 화면 모서리 부분도 더욱 둥글게 바뀌었는데, 어째서인지 위쪽 모서리는 둥글지만 아래쪽은 네모난 모서리 그대로다.가격도 올라갔다. 이번 맥북에어의 가격은 169만 원으로, 전작에 비해 40만 원 비싸졌다.무게는 전작에 비해 0.05kg 가벼워진 1.24kg이다. 삼성 갤럭시북 프로(0.88kg), LG 그램(0.99kg), 델 XPS 13(1.17kg) 등 경쟁 제품에 비하면 다소 무겁다. 애플의 본고장인 미국은 주로 자가용으로 이동하므로 노트북의 무게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서울에 살며 주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기자의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느껴졌다.성능은 애플이 자랑하는 ARM 기반 프로세서 M2가 탑재된 모델답게 훌륭한 수준이다. 긱벤치 점수는 멀티코어 8587점이 나와, 전작인 M1 맥북에어의 7420점에 비해 16% 가량 상승했다. SSD 속도는 기자가 제공받은 512GB 모델 기준으로 쓰기 2300MB/s, 읽기 2700MB/s가 나왔다. 다만 외신의 리뷰에 따르면 기본 모델의 256GB SSD 속도가 이의 절반 수준이라고 하므로 이에 민감한 사람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맥북에어로 게임을 할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그래픽 성능을 보기 위해 게임 몇 개를 실행해 봤다. 리그 오브 레전드를 실행해보니 약 180프레임이 나왔다. 스타크래프트 2의 경우 풀옵션에서 10프레임으로 구동됐다. 고사양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별도의 게이밍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을 마련하길 권한다.맥북프로와 마찬가지로 매그세이프(MagSafe) 포트가 돌아왔다. 충전을 위해 매그세이프를 연결할 때마다 ‘착’ 하고 달라붙는 느낌에서 미묘한 쾌감을 얻게 된다. 물론 기존과 같이 USB-C로 충전할 수도 있다. 한 가지 옥에 티는, USB-C 단자와 매그세이프 단자를 모두 맥북에어에 연결해도 충전 중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는 점이다. 심심할 때 한 번씩 해보면 마치 무한동력 기계를 발명한 듯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새로 생긴 구성품도 있다. 다름아닌 35W ‘멀티차저’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30W 충전기 외에, 2만 7000원을 추가하면 USB-C 포트가 한 개 더 달린 어댑터로 교체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충전기는 총 용량이 35W에 그쳐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의 비율)’는 물론이고 용량 대비 부피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선택이라 보기 어렵다.이미 시중에는 벨킨, 앵커, 베이스어스 등 많은 제조사에서 질화갈륨(GaN)이 적용된 충전기가 많이 나와 있다. 이들 제품은 애플의 멀티차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거나, 부피가 더 작거나, 충전 용량이 더 크다는 등 각각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특히 애플의 충전기는 접지가 되지 않아 충전 중에 맥북 표면에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면 볼렉스(Volex) 케이블이나 두들플러그 등 보조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 하지만 아트뮤, 바이퍼럭스 등에서 나온 충전기는 접지가 지원돼 이러한 노력을 따로 들일 필요가 없다.종합하면, 이번 맥북에어는 이전의 맥북에어와 맥북프로의 중간 정도에 놓을 수 있는 제품이다. 2020년에 출시된 M1 맥북에어에 비해 무게가 줄어들고 성능이 높아졌으며 화면이 커졌지만, 가격 역시 크게 올랐다. 2021년에 나온 맥북프로에 비해서는 훨씬 저렴하지만, 성능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따라서 신형 맥북에어의 다양한 색상과 높아진 성능, 매그세이프 충전 등이 마음에 든다면 구입을 고려할 만하다. 하지만 가성비 노트북이나 고성능 노트북을 찾는다면 아직 판매중인 M1 맥북에어나 맥북프로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김대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애플 M2 맥북 에어 리뷰 | 혼란스럽고 복잡한 사양 선택 방정식

Offcanvas

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키워드에 대한 정보 맥북 에어 m2

다음은 Bing에서 맥북 에어 m2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 맥북에어
  • 맥북에어 M2
  • M2
  • 신형 맥북에어
  • macbook air
  • apple
  • 애플
  • 노트북
  • 조재만
  • 당근조실험실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YouTube에서 맥북 에어 m2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가 사지 말래 좋기만 하구만 [가성비갑스] 맥북에어 M2 MacBook Air M2 | 맥북 에어 m2,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