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 비밀 보호법 |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177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영업 비밀 보호법 –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86회 및 좋아요 1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20년 신규제작된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을 안내드리오니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교육내용:
1. 기술소유권 사례
2. 영업비밀에 궁금한 점 Q\u0026A (업무상 지식과 영업비밀 구분)
3. 영업비밀의 개념
4. 영업비밀의 대상 및 사례
5. 영업비밀 성립요건
6. 영업비밀 보호제도 개념
7. 영업비밀보호법 위반행위 사례
8. 국내외 유출 시 민·형사 처벌
9. 회사와 직원 모두 피해자임을 강조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제도 영업비밀 보호와 관리는 영업비밀보호센터와 함께하세요.

영업비밀 보호제도 · 연혁 · 법령정보 · 영업비밀로 보호 가능한 대표적 정보 · 정의 및 성립요건 · 영업비밀 침해 구제수단 · 기술 유출 시 영업비밀 보호 가능성 간이 점검.

+ 여기에 보기

Source: www.tradesecret.or.kr

Date Published: 11/2/2021

View: 907

제10조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대한 금지청구권 등) > 법령 …

① 영업비밀의 보유자는 영업비밀 침해행위를 하거나 하려는 자에 대하여 그 행위에 의하여 영업상의 이익이 침해되거나 침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법원에 그 행위의 …

+ 더 읽기

Source: glaw.scourt.go.kr

Date Published: 3/26/2022

View: 3773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

[2021.11.18] 2021. 11. 1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이하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었고, 2022. 4.20.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lawtimes.co.kr

Date Published: 11/17/2021

View: 4850

영업비밀보호의 첫걸음 전사원을 교육하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 영업비밀 보호법 제1조(목적) : 국내에 널리 알려진 타인의. 상표ㆍ상호(商號) 등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등의 부정경쟁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kedu.kr

Date Published: 7/18/2022

View: 8031

산업기술보호법과 영업비밀보호법의 보호대상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보호법과 영업비밀보호법의 보호대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pe of 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

+ 더 읽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8/17/2021

View: 3588

영업 비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업비밀(Trade Secret)은 지식재산권의 일종이다. 영업비밀은 ‘기업·기관 등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비밀로 관리하고 있는 기술·경영 정보’를 말한다.

+ 여기에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0/11/2021

View: 733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영업 비밀 보호법

  • Author: 한국지식재산보호원
  • Views: 조회수 1,186회
  • Likes: 좋아요 15개
  • Date Published: 2020. 10. 2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wQALCplfpeY

정보가 비밀이라고 인식될 수 있는 표시를 하거나 고지를 하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대상자나 접근방법을 제한하고 비밀준수의무를 부과하는 등 객관적으로 정보가 비밀로 유지 및 관리되고 있다는 사실이 인식 가능한 상태를 의미

경쟁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정보의 취득이나 개발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나 노력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

공개된 간행물 등에 게재되지 않고 비밀 상태이며, 보유자를 통하지 않고서는 입수할 수 없는 것을 의미. 단, 비밀유지의무자(보안서약서)에 대한 공개는 제외

영업비밀이 침해된 경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은 [제10조에서 제12조]에 이르기까지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금지·예방청구권, 영업비밀이 담긴 노트, 연구노트 등 영업비밀의 침해행위를 조성한 물건에 대한 폐기청구권, 손해배상청구권, 신용회복청구권을 인정하고 있고, 제18조 및 제19조 에서는 침해자 및 배후의 법인 등에 대한 형사처벌까지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민사적 구제수단

법률 제10조 제1항 침해행위 금지 또는 예방청구권

법률 제10조 제2항 폐기 또는 제거청구권

법률 제11조 손해배상청구권

법률 제12조 신용회복조치청구권

형사적 제재수단

법률 제18조 제2항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억원 이하의 벌금

※ 위반행위로 인한 재산상 이득액의 10배에 해당하는 금액이 5억원을 초과하면 그 재산상 이득액의 2배 이상 10배 이하의 벌금, 국외 유출의 경우 가중

종합법률정보에서는 시행중인 법령중 가장 최근에 공포된 법령을 최신공포법령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공포일자의 법령이라도 개별 조문의 시행시기는 부칙에 따라 시행일이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조문별로 시행되고 있는 법령의 내역은 법령 본문화면 상단의 [법제처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법제처에서 제공하는 시행일별 “현행법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

[2021.11.18]

2021. 11. 1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이하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었고, 2022. 4.20. 시행될 예정입니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하면 데이터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및 유명인의 성명, 초상 등 해당 인물을 식별할 수 있는 표지를 무단 사용하는 행위를 각각 부정경쟁행위 유형으로 신설(제2조 제1호 카목 및 타목)하면서,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 금지청구, 손해배상 및 시정권고 등 민사적·행정적 구제조치의 대상이 되도록 하되, 데이터의 기술적 보호 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형사처벌까지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번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은 i) 빅데이터를 비롯한 전자적 방식으로의 데이터 수집, 이동 등이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공개된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권리 보호 규정을 추가한 점, ii)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퍼블리시티권이 인정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많았는데 퍼블리시티권에 관련된 법률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K-POP등 콘텐츠가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상황에서 연예인 등의 권리 보호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신설된 내용을 기존 저작권법 규정과 어떻게 조화롭게 해석할 것인지, 퍼블리시티권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 등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향후 판례나 학계의 논의를 지켜볼 필요가 있고, 특히 퍼블리시티권과 관련하여서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저작권법 전부개정안의 입법 추이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I. 개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1. 데이터 부정 사용 행위

카. 데이터(「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제2조제1호에 따른 데이터 중 업으로서 특정인 또는 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전자적 방법으로 상당량 축적·관리되고 있으며, 비밀로서 관리되고 있지 않은 기술상 또는 영업상의 정보를 말한다. 이하 같다)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

1) 접근권한이 없는 자가 절취·기망·부정접속, 그 밖의 부정한 수단으로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그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공개하는 행위

2) 데이터 보유자와의 계약관계 등에 따라 데이터에 접근권한이 있는 자가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데이터 보유자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데이터를 사용·공개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1) 또는 2)가 개입된 사실을 알고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그 취득한 데이터를 사용·공개하는 행위

4) 정당한 권한 없이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적용한 기술적 보호조치를 회피·제거 또는 변경(이하 “무력화”라 한다)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술·서비스·장치 또는 그 장치의 부품을 제공·수입·수출·제조·양도·대여 또는 전송하거나 이를 양도·대여하기 위하여 전시하는 행위. 다만, 기술적 보호조치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장치 또는 그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데이터산업법”)이 2022. 4. 20.부터 시행됨에 따라 해당 법령에서 정의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그 부정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내용을 부정경쟁방지법에 추가하였습니다(데이터산업법 제12조 참고). 1)에서 3)은 데이터를 부정하게 취득하거나 부정한 목적으로 이를 사용, 공개하는 등의 행위를, 4)에서는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위 카.목 위반 행위는 다른 부정경쟁행위와 같이, 금지청구(부정경쟁방지법 제4조), 손해배상청구(동법 제5조) 및 시정권고(동법 제8조)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카.목 중 4)에 대하여는 3년 이하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형사처벌을 규정하는 반면, 1) 내지 3)의 행위는 형사처벌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동법 제18조 제3항 제1호).

2. 유명인 식별표지에 대한 침해 행위

타.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타인의 성명, 초상, 음성, 서명 등 그 타인을 식별할 수 있는 표지를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

인격권으로서의 초상권과 별개로,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성명, 초상 등 식별표지, 이른바 퍼블리시티권에 대하여 그 침해 행위를 부정경쟁행위의 한 유형으로서 추가하였습니다.

위 타.목 위반 행위는 금지청구(부정경쟁방지법 제4조), 손해배상청구(동법 제5조) 및 시정권고(동법 제8조)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다만 형사처벌 대상에서는 제외하고 있습니다(동법 제18조 제3항 제1호).

II. 시사점

1. 데이터 부정 사용 행위

현행법상 비밀로 관리되는 비공개된 데이터는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해서 영업비밀로 보호될 수 있고, 또한 공개된 데이터 중 데이터의 선택과 배열에 창작성이 있거나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진 데이터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편집저작물 또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예컨대 IoT 데이터와 같이 공개된 비정형 데이터는 법적 보호기반이 분명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데이터가 원활하게 이용·유통되는 것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는 공개된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보호 규정을 추가하였는데, 그 규정에 따르면 “데이터 중 업으로서 특정인 또는 특정 다수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전자적 방법으로 상당량 축적·관리되고 있으며, 비밀로서 관리되고 있지 않은 기술상 또는 영업상의 정보”를 보호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는 일본 부정경쟁방지법상의 한정 데이터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예로 든 IoT 센서를 통해서 모아진 데이터의 경우 각 가정으로부터 특정 통신사에게 제공되는 것인데, 접근권한 없는 제3자가 해킹 등 부정한 수단으로 이를 취득하거나(1호)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경우(4호)가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도 개별 데이터보다는 ‘상당량 축적, 관리’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저작권법상 데이터베이스 관련 규정을 중첩적,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한편 형사처벌 적용 대상을 기술적 보호 조치의 무력화 행위로 한정한 것은 데이터 거래의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 보입니다.

2. 유명인 식별표지에 대한 침해 행위

그 동안 우리나라 법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의 근거가 되는 조항이 없어, 퍼블리시티권이 인정되는지 여부 및 그 근거가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으며, 판례마다 퍼블리시티권 인정 여부 및 법적 근거에 대해 조금씩 다르게 판단하기도 하였습니다. 그 와중에 현행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으로 기존 부정경쟁행위 유형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부정경쟁행위로 볼 필요가 있는 행위에 대한 보충적 일반조항이 도입되었고, 대법원에서는 2020. 3. 26.에 유명 아이돌 그룹인 BTS의 이름, 사진 등을 무단 사용하여 화보집을 제작, 판매하는 행위가 위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도 있었습니다(대법원 2020. 3. 26 자 2019마6525 결정).

이와 같이 퍼블리시티권 침해에 대해 현행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 위반을 주장할 수 있는 가능성은 생겼지만, 위 카.목은 보충적 일반조항이라는 점에서, 퍼블리시티권이라는 권리가 우리나라의 현행법에서 인정되는 권리라고 볼 수 있는지, 그 권리의 구체적인 태양이나 범위가 어떠한지 등에 대하여는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 퍼블리시티권 관련 조항이 신설되었는바, 퍼블리시티권에 관련된 법적 근거를 두고 연예인 등의 권리 보호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다만 개정 부정경쟁방지법 타.목이 인정되기 위한 각 요건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즉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갖는지 여부’나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지와 관련하여서는 선례의 축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현재 타.목 문구만으로는 퍼블리시티권이 예컨대 연예인과 소속사 중 누구에게 귀속되는 것인지, 퍼블리시티권을 제3자에게 라이선스하거나 양도할 수 있는 것인지, 존속기간이 있는 것인지 등 그 권리자나 보호 범위 등에 있어서는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한편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저작권법 전부개정안(2021. 1. 15.자, 도종환의원 대표발의)의 제123조 내지 제129조에서도 ‘초상등재산권’이라는 이름으로 퍼블리시티권에 대한 내용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저작권법 개정안에서의 ‘초상등재산권’의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2조 제22호: “초상등”이란 사람의 성명·초상·목소리 또는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 그 사람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

– 제123조: 대한민국 국민의 초상등 및 대한민국이 관련하여 가입 또는 체결한 조약에 따라 보호되는 외국인의 초상등은 저작권법에 따른 보호를 받음.

– 제124조: 초상등재산권은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함

– 제125조: 초상등 재산적 권리 보호에 관하여는 다른 법률에 우선하여 저작권법을 우선 적용함.

– 제126조: 초상등이 특정하는 사람은 자신의 초상등을 상업적 목적을 위하여 일반 공중에 널리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제127조: 초상등재산권에 대하여는 저작권법 제25조 내지 제48조의 저작권 제한 등 규정 중 일부가 준용됨.

– 제128조: 초상등재산권은 초상등재산권자의 일신에 전속하며, 타인에 양도, 압류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음.

– 제129조: 초상등재산권자는 타인에게 이용허락을 할 수 있음

저작권법 개정안 제2조 제22호에서는 초상등재산권에 대해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갖는지 여부’를 그 요건으로 하고 있지 아니하여 개정 부정경쟁방지법 타.목보다 그 보호범위가 넓다고 볼 수 있는데, 저작권법 개정안 제125조에서는 초상등 재산적 권리 보호에 대하여 저작권법을 우선 적용하도록 하고 있어, 저작권법 개정안이 현재 내용으로 국회에서 통과되는 경우 개정 부정경쟁방지법 타.목의 규정의 적용 범위가 상당히 좁아질 여지가 있습니다. 한편 저작권법 개정안에서는 초상등재산권의 권리자가 누구인지, 그 권리의 양도나 라이선스 가능 여부에 대해 규정을 두고 있어, 해당 개정안에 의하면 퍼블리시티권의 권리자나 보호 범위 등이 좀 더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 유명인 식별표지 관련 내용이 포함된 상황에서, 현재 국회 계류 중인 저작권법 개정안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에 관해서도 그 추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한편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6호에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경우로서 ‘저명한 타인의 성명·명칭 또는 상호·초상·서명·인장·아호(雅號)·예명(藝名)·필명(筆名) 또는 이들의 약칭을 포함하는 상표’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의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타인의 성명, 초상, 음성, 서명 등 그 타인을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위 상표법 규정과 함께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입니다.

김지현 변호사 ( [email protected])

염호준 변호사 ([email protected])

강태욱 변호사 ([email protected])

이재성 변호사 ([email protected])

산업기술보호법과 영업비밀보호법의 보호대상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보호법은 종래의 영업비밀보호법을 통해서는 국내 산업기술을 보호하고 기술유출 방지에 실효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아래 제정되었다. 양 법률은 기술보유자의 부정당한 기술침해를 보호한다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하나 입법목적과 적용대상 등에서 차이가 있다. 즉 양 법률은 기술의 보호·관리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그 보호원리나 침해요건 등에서는 차이가 있다. 즉 영업비밀보호법상 영업비밀은 그 보유자의 결정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에 반하여, 산업기술보호법상 산업기술은 제품 또는 용역의 개발·생산·보급 및 사용에 필요한 제반 방법 내지 기술상의 정보 중에서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소관 분야의 산업경쟁력 제고 등을 위하여 법률 또는 해당 법률에서 위임한 명령에 따라 지정·고시·공고·인증하는 기술을 말하며, 영업비밀보호법상의 요건인 비공지성, 비밀관리성, 경제적 유용성 등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영업비밀보호법과 산업기술보호법은 별개의 법 원리가 적용된다. 즉 영업비밀보호법은 영업비밀 보유자의 자력구제를 전제로 건전한 거래질서를 유지하는 한도에서 작용하는 반면에 산업기술보호법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민경제의 발전이라는 보다 큰 가치를 위하여 작용하며, 때로는 이러한 가치를 위하여 기술보유자의 선택을 제한할 수도 있다. 다만 산업기술보호법이 국내 산업기술의 유출을 규제하여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민경제의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불가피하게 국가핵심기술을 지정하는 경우에도 기술보유대상 기업의 자유로운 기업활동과 재산권침해에 대한 문제 또한 병존하므로 국가핵심기술의 지정은 공공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The Act on the Trade Secret Act had some limitations in preventing leakage of industrial technologies in that it only protects private businesses and the related regulations scattered by various law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on and eradic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Reflecting these problems,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Leakag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was enacted. With the enactment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national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es, public institutions, and institutions were managed as institutions for protection against illegal leaks of industrial technologies, regulating the outflow of core national security technologies through more effective national security. However, some argued that there could be confu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Act on Securing Operating Secrets and the Act on Securing Industrial Technology, even though the purpose and subject of the Act are different. However, I do not think that there will be any particular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law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ws. The Business Confidential Protection Act and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have in common the protection of technology. The Act on Secrets of Operation an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shall be applied separately, and considering the different purpose and protection logic of each Act, the problems of redundancy of the two laws will not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업비밀(Trade Secret)은 지식재산권의 일종이다. 영업비밀은 ‘기업·기관 등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비밀로 관리하고 있는 기술·경영 정보’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경영정보는 고객리스트, 제품원가 등이 있고, 기술정보는 특허로 출원하지 않은 연구개발정보, 제품배합비, 제품·설비 도면, 프로그램 소스코드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경영 정보를 영업비밀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정보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해당 정보가 비밀로 유지·관리되고 있다고 인식될 수 있도록 비밀관리조치를 취해야 한다.[1] 비밀관리조치로는 해당 문서·파일에 비밀표시, 접근자나 접근가능자에게 비밀유지의무, 시건장치나 비밀번호 설정 등으로 접근방법을 제한하는 조치 등이 있다. 한국영업비밀보호법에서 보호대상으로 정의하고 있는 ‘영업비밀’이란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아니하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비밀로 관리된 생산방법, 판매방법, 그 밖에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를 말한다.[2]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 UTSA 제1조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영업 비밀 보호법

다음은 Bing에서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YouTube에서 영업 비밀 보호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영업비밀보호센터 교육영상 (영업비밀의 개념 및 보호제도) | 영업 비밀 보호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