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 차 대전 요약 |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456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세계 1 차 대전 요약 –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쏨작가의지식사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78,752회 및 좋아요 10,54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은 20세기 최초의 대규모 국제 분쟁으로 기록된다. 1914년 6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가 후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 소피 배공비가 암살되면서 1914년 8월에 시작되어 이후 4년간 여러 국가로 확전되었다.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전쟁사 #1차세계대전요약 #다시제작함
1차 대전이 일어난 이유부터 전체 흐름까지 쉽게 이해하기 위한 영상!
과학기술의 산물이 살상을 위해 대량으로 동원된 인류 최초의 대량 학살전.
1914년에 발발한 ‘1차세계대전’은 특히 참호전으로 유명합니다.
수천km 이상 파 놓은 좁은 참호 속은
빗물이 고여 오물과 시체 썩는 냄새가 진동했고,
병사들은 그 속에서 4년 간 지겹도록 대치해야 했습니다.
이 소모적인 전쟁은 어떤 이야기들이 얽히며 터지게 됐을까요?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An Ambush – https://youtu.be/o4rTLgdz0X4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Theory of Relativity – https://youtu.be/sZM0bCdNR_s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제1차 세계 대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1차 세계 대전(第一次世界大戰, 영어: World War I,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4/5/2022

View: 8481

제1차 세계 대전 – 나무위키

제1차 세계 대전은 전사자 900만 명, 민간인 사망자 600만 명, 부상자 2700만 명, 불구자 600만 명, 미망인 400만 명, 고아 800만 명을 남겼다. 이런 인명 피해는 당연히 …

+ 여기를 클릭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7/28/2021

View: 8127

제1차 세계 대전 정리 – 네이버 블로그

(1)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 사라예보 사건. ​. ​ ① 배경 : 오스트리아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자, 같은 슬라브 족인 세르비아가 이에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9/19/2021

View: 6931

1차 세계 대전 원인 결과 요약정리

1차 세계 대전 원인 결과 요약정리 … by 짱신나^^ 2021. 5. 12. 반응형. 세계 1차 대전 (1914년~1918 … 1914년 7월 28일 세계 제1차 대전이 일어난다. 직, 간접적 …

+ 여기에 보기

Source: jangane.tistory.com

Date Published: 5/21/2021

View: 3534

제1차 세계대전

제1차 세계대전 [第一次世界大戰, First World War]. 대전의 개요. 1914년부터 18년까지 영국·프랑스·러시아 등의 연합국(처음에는 협상국으로 불림)과 독일·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oreasea.net

Date Published: 10/28/2021

View: 3678

세계1차대전 정리 – 세계사 이야기

세계1차대전 정리 · 1.전통유럽지배세력의 퇴조 · 2.해외 식민지의 독립또는 상실 · 3.전쟁보상비로 인하여 독일 국민 압박하여 애국심 고조 · 4.독일 애국심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irakirat.tistory.com

Date Published: 3/18/2021

View: 7721

[스크랩] 세계1차대전 요약 – Daum 블로그

1차 세계대전 第一次世界大戰 World War Ⅰ First World War, Great War라고도 함. 유럽 국가 대부분과 러시아, 미국, 중동 및 그밖의 지역에 있는 …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2/29/2022

View: 260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세계 1 차 대전 요약

  • Author: 쏨작가의지식사전
  • Views: 조회수 1,078,752회
  • Likes: 좋아요 10,547개
  • Date Published: 최초 공개: 2022. 3.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AJFJAHpR2Nc

제1차 세계대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

제1차 세계대전은 20세기 최초의 대규모 국제 분쟁으로 기록된다. 1914년 6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가 후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 소피 배공비가 암살되면서 1914년 8월에 시작되어 이후 4년간 여러 국가로 확전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국 및 동맹국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연합국인 영국, 프랑스, 세르비아, 러시아 제국(후에 이탈리아, 그리스, 포르투갈, 루마니아, 그리고 미국이 가세함)과 동맹국인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후에 오스만투르크와 불가리아가 가세함)가 서로 대항하여 전쟁 하였다.

교착 상태

특히 서부 전선의 전투와 참호전에서 큰 희생으로 인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신속하게 결정적인 승리를 올리겠다는 양측의 초기 열정은 희미해져 갔다. 서부 전선의 참호 및 요새는 대략적으로 북해에서 스위스 국경까지 최장 475마일까지 확대되었으며, 미국과 서유럽의 병사들이 가장 맣이 참전 하였다. 광범위한 동부 전선은 대규모 참호전이 불가능했지만 전투 규모는 서부 전선과 마찬가지였다. 북부 이탈리아, 발칸 및 오스만투르크에서도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해전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공중전도 벌어졌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

1917년 4월, 독일이 무제한 잠수함을 이용한 전쟁을 선언하자 고립주의를 표명하던 미국이 참전함에 따라 전쟁에 결정적인 변수가 발생했다. 존 J. 퍼싱(John J. Pershing) 장군의 지휘 아래 미원정군(AEF)의 새로운 병력과 군수물자가 공급되고 독일 항구에 대한 대대적 봉쇄가 강화되면서 전쟁의 균형이 연합국에 유리한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러시아 혁명

초기에는 이렇게 연합국에 유리한 상황은 동부지역에서 펼쳐진 사건들로 인해서 힘의 균형이 상쇄 되었다. 연합국의 주축이었던 러시아는 1917년 초부터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 해 2월, 제정 러시아 정부가 전쟁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함으로 인해 대중 폭동인 2월 혁명이 일어났다. 이 혁명으로 황제 니콜라스 2세가 물러나고 진보주의 및 사회주의 당의 임시 정부에게 권력이 넘어감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혁명적 사회주의 당원인 알렉산더 케렌스키의 통치 아래에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다원적 민주주의를 짧게 경험하는 것은 혼란을 가중시켰는데, 그해 여름동안 참전으로 인한 지속적인 악화와 심각해진 경제난은 러시아 노동자, 군인 및 선원들로 하여금 폭동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The July Days”).

1917년 10월 24-25일, 블라드미르 레닌의 지휘 아래에 있던 볼세비키(좌익 사회주의자) 군대는 주요 정부 건물들을 장악하고 겨울궁전을 급습한 다음, 러시아의 수도 페트로그라드(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신정부 청사를 장악했다. 역사상 최초로 성공한 마르크스주의자 쿠테타인 “사회주의 10월 대혁명”은 비효율적인 임시 정부를 없애고 레닌의 통치 하에 있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웠다. 새로운 소비에트 공화국의 급진적인 사회, 정치, 경제 및 농업 개혁은 전후 수년간 서방 민주주의 정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이들은 유럽 전역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너무 두려워한 나머지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우익 정권(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 정부 포함)과 타협하거나 유화 정책을 쓰는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이 유럽에 끼친 즉각적인 영향은 러시아 영토 내에서 오랜 기간동안 끔찍한 내전들이 지속되었다는 것과(1917-1922) 새로운 볼세비키 세력이 독일 카이저 제국과 별도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었다. 독일의 요구 사항 때문에 협상이 결렬되자, 독일군은 동부 전선에서 대대적인 공세를 펼쳤고, 이에 의해서 1918년 3월 6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연합군 진격, 동맹국 항복

독일군이 1918년 늦겨울에 볼세비키 러시아를 철수하게 만들고 여름에 파리의 문턱으로 진군하는 성과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마른강에서 독일군에 대한 반격을 시도했다. 연합군은 1918년 여름과 가을에 걸쳐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을 꾸준히 밀어냈다(“백일 공세”).

9월과 10월에 각각 불가리아와 오스만 제국이 항복하는 것을 시작으로 동맹국이 항복하기 시작했다. 11월 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이탈리아 파투아에서 휴전협정에 서명했다. 독일에서는 킬에서 발생한 선원 폭동이 독일 해안 도시와 하노버, 프랑크푸르트 및 뮌헨 등지의 주요 지자체 도시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폭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노동자 및 군인 의회는 소비에트 모델을 기반으로 소위 “독일 혁명”의 불을 당겼다; 바바리아에서는 독립 사회 민주주의자(USPD) 쿠르트 아이스너의 “공화국 위원회”(Räterrepublik)가 설립되었다. 프레드리히 에베르트가 수장으로 있는 강력한 독일 사회 민주주의당(SPD)은 새로 설립된 위원회를 불안정한 요소로 보고, 이것 대신에 의회 개혁 및 평화를 위해 독일 대중 의견의 필요성을 옹호했다.

휴전

1918년 11월 9일, 독일군 사령관에 의해 버림 받고 정치적인 불안감이 만연한 가운데 황제(카이저) 윌리엄 2세는 독일 왕좌에서 내려왔다. 같은 날, SPD 대표인 필리프 샤이데만은 독일을 공화국으로 선포했고 임시 정부를 프레드리히 에베르트가 이끌었다. 이틀후, 카톨릭 중앙당(Zentrum) 대표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가 이끄는 독일 대표단은 연합국 사령관인 프랑스 육군 원수 페르디낭 포슈의 지휘 아래에 있는 승전 연합국의 대표단과 콩피에뉴 숲의 열차에서 만나서 휴전 조항에 동의했다.

1918년 11월 11일(11/11) 오전 11시, 서부 전선의 전투가 중단 되었다. 그당시 사람들이 “대전”이라고 말하던 전쟁은 끝이 났지만, 국제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양상 전반에 가져온 파장은 향후 수십 년간 계속 남아 있게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피해

제1차 세계대전은 근대 역사에서 가장 파멸적인 전쟁 중 하나가 되었다. 전쟁 결과로 천만 명에 달하는 군인들이 죽었으며, 이는 이전 1백년간 벌어진 모든 전쟁의 군대 사망자 수를 훨씬 초과하는 수치였다. 정확한 사망자 통계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2,100만명의 군인이 전투에서 부상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모든 참전국에 발생한 엄청난 피해는 일부는 기관총 및 독가스전과 같은 새로운 무기에 기인했으며 점점 기계화되는 전쟁의 성격에 맞도록 전술을 구사하지 못한 군수뇌부에도 책임이 있었다. 특히 서부 전선에서의 소모전 정책은 수십만 병사의 생명을 앗아갔다. 1916년 7월 1일은 하루 만에 가장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날로써, 프랑스의 솜므(Somme)에서만도 영국군 5만 7,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독일과 러시아에서의 군 사망자수는 최고치였다: 각각 사망자 수가 1,773,700명과 1,700,000명으로 추산된다. 프랑스는 동원 병력의 16퍼센트를 잃었는데, 배치된 병력 역사상 가장 높은 사망률이었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민간인의 사망자수를 주의해서 집계한 공식적인 기관은 없지만, 학자들은 전쟁의 직접 및 간접적 결과로 1,300만명의 일반인들이 죽었다고 주장한다. 전쟁 말기에는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인플루엔자 전염병인 “스페인 독감”의 발병으로 많은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하였다. 전쟁의 결과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유럽과 소아시아에 있는 자신의 고향에서 쫓겨나서 난민들이 되었다. 재산 및 산업 손실도 치명적이었는데, 특히 전투가 치열했던 프랑스와 벨기에의 손실이 가장 컸다.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第一次世界大戰, 영어: World War I,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다. 1914년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하며 시작되었고, 1918년 독일의 항복으로 끝이 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순히 세계 대전(World War) 또는 대전쟁(Great War)이라고 불렸다.[5][6][7] 미국에서는 처음에 유럽 전쟁)라고 불렸다.[8]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병사 900만명 이상이 사망했다. 기술 및 산업의 고도화와 전술적 교착 상태로 인해 사상자 비율이 악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사망자가 많았던 전쟁 중 하나이며, 참전국의 수많은 혁명 등을 포함하여 주요한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9]

이 전쟁은 전 세계의 경제를 두 편으로 나누는 거대한 강대국들 동맹끼리의 충돌이다.[10] 한쪽 편은 대영제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의 삼국 협상을 기반으로 한 협상국이며, 다른 한편은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있는 동맹국이다. 이탈리아 왕국은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함께 삼국 동맹에 가입되어 있었지만 동맹국에 참여하지 않았고 나중에는 협상국으로 참가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침공했다.[11] 이러한 동맹은 재조직되었고 더 많은 국가가 전쟁에 참여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확장되었다.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미국이 연합국에 가입했으며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에 가담했다. 궁극적으로 유럽인 6천만 명을 포함한 군인 7천만 명이 전쟁에 가담하면서 역사적으로 가장 큰 전쟁 중 하나에 동원되었다.[12][13]

이 전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신제국주의때문이었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왕위 후계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세르비아 국민주의자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당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 왕국에게 최후 통첩을 내리면서 7월 위기가 시작되었고,[14][15] 지난 수십년에 걸쳐 형성된 국제적 동맹끼리 서로 연결되었다. 수주 이내에 강대국끼리 전쟁이 시작했고 이 분쟁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를 침공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16][17]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내리면서 독일군은 중립국인 룩셈부르크와 벨기에를 침공하면서 프랑스로 진격했고, 이로 인해 영국이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파리 앞에서 독일군이 진격을 멈춘 이후, 서부 전선은 1917년까지 참호전과 같은 소모전 양상으로 굳어지게 된다. 한편, 동부 전선에서는 러시아군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로 진격하는데는 성공했지만 동프로이센 침공은 독일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게 된다. 1914년 11월에는 오스만 제국이 참전하면서 전역이 코카서스, 메소포타미아, 시나이반도 등으로 확대되게 된다. 이탈리아와 불가리아는 1915년 참전했고, 루마니아 왕국은 1916년 참전했으며, 미국은 1917년 참전했다.

러시아 정부가 1917년 3월 붕괴된 이후 동부 전선이 해소되었으며 이후 10월 혁명으로 인해 동맹국이 러시아 영토를 획득했다. 1918년 11월 4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휴전에 합의했다. 1918년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의 춘계 공세 이후, 연합군은 일련의 공세를 방어하고 이후 진격하여 독일군 참호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독일 11월 혁명 이후, 독일이 1918년 11월 11일 휴전에 합의하면서 연합국이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 4개 주요 제국이 해체되게 되었다. 앞의 2개 제국은 승계국가가 탄생했지만 많은 영토를 잃었으며 후자의 2개 제국은 완전히 해체하게 되었다. 유럽 및 서남아시아 지도는 새로운 독립 국가가 생기면서 새롭게 그려지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끔찍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국제 연맹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목표는 유럽의 민족주의 부활과 독일에서 파시즘의 장악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며 실패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하게 되었다.

명칭 [ 편집 ]

1914년 10월 캐나다 잡지 맥클린스에서는 “어떤 전쟁은 스스로 이름을 붙인다. 그것이 대전(Great War)이다”라고 말했다.[18] 1914년 말 뉴욕에서 발행한 전쟁의 기원 및 초기 역사에 관한 책의 제목은 “세계 대전”(World War)라는 이름으로 붙여졌다.[19] 전간기 기간 동안, 영미권에서는 이 전쟁을 세계 대전(World war) 또는 대전(Great war)라고 불렀다.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용어는 1914년 9월 독일 철학자 에른스트 헤켈이 “‘유럽 전쟁’의 두려움에 관한 과정이나 성격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단어의 전체적 의미에서 이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이라고 불릴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시작되었다.[20]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말은 장교이자 저널리스트인 찰스 아 코르트 레핑턴(Charles à Court Repington)이 지은 1920년대 역사책 제목이기도 했다.[21]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으며 캐나다와 영국에서는 ‘First World War’이라는 용어를, 미국에서는 ‘World War I’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배경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입니다.

정치 및 군사적 동맹 [ 편집 ]

19세기 유럽 강대국들은 유럽 전역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며 그 결과 1900년에는 복잡한 정치, 군사적 동맹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었다.[11] 이 동맹은 1815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신성 동맹으로부터 시작했다. 1873년 10월에는 독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사이 삼제 동맹(Dreikaiserbund)을 체결했다. 이 동맹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러시아 간에 발칸반도에 대한 정책에 동의할 수 없었기 때문에 1879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삼제 동맹에 탈퇴하여 독오 동맹을 따로 만들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의 발칸반도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발칸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은 반대로 증가하게 되었다.[11] 이 독오 동맹은 1882년 이탈리아 왕국이 가입하면서 삼국 동맹으로 변화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군사 동맹 지도. 협상국 은 초록색으로 나타냈으며, 동맹국 은 갈색으로 나타냈다.

비스마르크는 프랑스와 러시아 두 나라간의 양면전선 전쟁을 피하기 위해 독일과 러시아간의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빌헬름 2세가 독일의 황제 지위에 오르면서 비스마르크는 퇴위를 강요당했고 비스마르크가 세운 동맹 시스템은 점차 해체되었다. 예를 들어, 빌헬름 2세는 1890년 러시아와의 재보장 조약 갱신을 거부했다. 4년 후인 1894년, 3제 동맹을 막기 위하여 러불 동맹이 공식적으로 체결되었다. 1904년, 영국은 프랑스와 함께 영불 협상(Entente Cordiale)을 맺었으며 1907년에는 영국이 영러 협상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공식적으로 영국-프랑스-러시아 동맹으로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프랑스나 러시아가 분쟁을 겪을 경우 영국이 참가하게 된다는 항목이 있었으며, 이러한 양자 연동 협정을 삼국 협상으로 알려졌다.[11]

군비 경쟁 [ 편집 ]

1871년 보불전쟁에서 독일이 승리하여 독일이 통일한 이후, 산업 및 경제력이 급상승하게 되었다. 1890년대 중반부터 빌헬름 2세는 중요한 경제 자원을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가 지휘하는 독일 제국해군에 투자하여 영국 해군과 해군 군비 경쟁을 하게 되었다.[23] 그 결과, 각 국가들은 주력함을 더욱 많이 건조하기 위해 노력했다. 1906년 HMS 드레드노트의 건조 이후 대영제국은 독일 제국과의 경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선점하게 되었다.[23] 영국과 독일 사이의 군비 경쟁은 모든 유럽 주요국이 유럽 전역의 분쟁에 필요한 장비와 무기를 생산하는 데 산업 기반을 기울이면서 유럽 전역으로 경쟁이 확장되었다.[24] 1908년부터 1913년까지 유럽 국가의 군비 지출은 50% 상승했다.[25]

발칸 반도의 분쟁 [ 편집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과거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1878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한 이후 1908년부터 1909년까지 보스니아 위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이 점령으로 세르비아 왕국 및 그 국가의 후원자인 범슬라브주의 동방 정교회의 러시아 제국을 화나게 했다.[26]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행보는 이미 “유럽의 화약고”로 널리 알려진 발칸반도의 균형을 붕괴시켜 평화 협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6] 1912년부터 1913년까지 발칸 동맹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쟁인 제1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 결과 체결된 런던 조약에서 알바니아는 독립했으며,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는 영토를 확대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감소했다. 1913년 6월 16일, 불가리아가 세르비아 및 그리스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33일간의 제2차 발칸 전쟁에서는 불가리아가 패배하여 세르비아와 그리스에게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루마니아에게 남도브루자를 빼앗기게 되었으며 발칸반도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7]

서막 [ 편집 ] [28][29] 사건 당시 방관자였던 페르디난드 베흐를 찍은 사진이라고 주장한다. 이 사진은 일반적으로 가브릴로 프린치프 가 체포당하는 사진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일부는사건 당시 방관자였던 페르디난드 베흐를 찍은 사진이라고 주장한다.

사라예보 사건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사라예보 사건 입니다.

1914년 6월 28일,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를 방문했다. 세르비아의 흑수단이 지원하는 청년 보스니아 민족주의 단체의 암살단 6명 쳬베코 포포비치(Cvjetko Popović), 가브릴로 프린치프(Gavrilo Princip), 무함마드 메메드바시치(Muhamed Mehmedbašić), 네델코 차브리노비치(Nedeljko Čabrinović), 트리프코 그라베츠(Trifko Grabež), 바소 쿠브릴로비치(Vaso Čubrilović)는 대공의 차량 행렬이 지나가는 거리에 서 있었다. 차브리노비치가 차에 수류탄을 던졌지만 차를 놓쳤다. 근처의 군중 몇몇이 부상을 입었고,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차는 계속 움직일 수 있었다. 다른 암살단은 차가 빠르게 지나쳐 암살할 수 없었다. 약 한시간 후, 페르디난트 대공이 사라예보 병원을 방문하고 돌아올 때 길을 잘못 들려 우연히 프린치프가 서는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프린치프는 권총을 발사해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그의 아내 호엔베르크 여공작 조피를 암살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내에서 사람들의 반응은 차가울 정도로 무관심한 수준이었다. 역사학자 즈비네크 제만(Zbyněk Zeman)은 나중에 “이 사건은 거의 어떠한 인상도 주지 못했다. 일요일과 월요일(6월 28일~29일)에 빈의 군중들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음악을 듣고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라고 전했다.[30][3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력 사태의 확대 [ 편집 ]

그러나 사라예보 내에서는 오스트리아 정부가[32][33] 세르비아 주민들에 대한 폭력을 하도록 부추겼고, 그 결과 사라예보의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세르비아인 두명을 죽이고 세르비아인 소유의 건물을 불태우는 사라예보 반세르비아 폭동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포그롬의 특성을 갖추었다. 작가 이보 안드리치는 “사라예보에서 증오의 열풍이 불었다”라면서 이런 폭력 사건에 대해 말했다.[34] 세르비아 민족에 대한 폭력 행위는 사라예보에서 뿐 아니라 현대의 크로아티아 및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에 위치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도시에서도 일어났다.[3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유명한 세르비아인 5,500명을 수감하고 송환했으며, 그 중 700명에서 2,2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다고 통계내렸다. 세르비아인 460명은 사형 선고가 내려졌고,[36][37][38] 이슬람교가 지배적이었던 지역에서는 슈츠크롭스(Schutzkorps)라는 민병대 집단이 형성되어 세르비아인들에 대한 핍박을 시작했다.[39]

7월 위기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7월 위기 입니다.

사라예보 암살 사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프랑스 제국, 대영제국 간 1달 간의 외교 기동으로 이끌어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의 관리(특히 검은 손 조직의 임원들)들이 이 사건과 관련되었다고 판단하고 보스니아 내에서 세르비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40] 세르비아에게 의도적으로 전쟁을 자극할 10가지 요구 사항으로 구성된 7월 최후통첩을 보냈다.[41] 세르비아가 10가지 요구사항 중 8가지만 수락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4년 7월 28일 전쟁을 선포했다. 군사역사가인 헤우 스트라첸은 “세르비아의 초기 모호한 응답에 관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행동에 차이를 주었을 것인지 아닌지는 의심해야 한다. 프란츠 페르디난드 대공은 그리 인기있는 성격은 아니였으며 제국은 그의 죽음에 그렇게 애도를 표하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4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발칸 반도의 영향력을 넓히는 것이 내키지 않았던 세르비아 왕국의 오랜 지원국인 러시아 제국은 7월 29일 부분 동원령을 명령했다.[22] 7월 30일 러시아 제국이 총동원령을 내리자, 같은 날 독일 제국은 동원령을 발동했다.[43] 독일은 베를린의 대사를 통해 러시아에게 12시간 내에 동원령을 해제하지 않으면 전쟁 상황이 올 것이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43] 러시아는 동원령을 해제하는 것에 협상하자는 응답을 보냈다. 그러나, 독일 제국은 협상을 거부하고 1914년 8월 1일 러시아에게 선전포고했다.[43]

독일의 전쟁계획인 슐리펜 계획은 러시아가 동부에서 진군하기 전에 프랑스 지역을 빠르고 대규모로 침공해서 서부를 미리 제압한다는 전략이었다. 따라서, 러시아의 동원령 선포와 동시에 독일 제국은 프랑스에게 중립을 유지하라는 요구를 보냈다. 프랑스 내각은 즉시 군사 동원령을 내리라는 군의 압박에 저항하여 사건을 막기 위해 프랑스 국경에서 10 km 밖으로 군대를 철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독일 제국은 8월 2일 룩셈부르크를 침공했으며, 8월 3일에는 독일 제국이 프랑스에게 선전포고했다.[43] 8월 4일, 벨기에가 자국의 영토를 통해 프랑스를 침공하려는 것에 대해 거부하자 독일 제국은 벨기에게도 선전포고했다.[43][44][45] 영국은 벨기에의 중립 상태를 유지하라는 최후통첩을 독일 제국이 무시하자,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게 선전포고했다.[46]

전쟁의 진행 과정 [ 편집 ]

개전 [ 편집 ]

동맹국 사이의 혼란 [ 편집 ]

동맹국의 전략은 잘못된 의사 소통으로 혼란을 빚었다. 독일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르비아 침공에 도움을 주기로 약속했지만,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해석에 따라 달랐다. 이전의 군사 전개 훈련 계획은 1914년 초 개정되었지만, 개정 이후의 훈련 계획은 진행된 적이 없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휘관들은 독일이 러시아와 전투하면서 북부 전선을 지원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47] 그러나, 독일은 프랑스를 침공하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러시아군의 대부분을 막을 것이라 구상하고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혼란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이 세르비아 전선과 러시아 전선으로 병력이 나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1914년 9월 9일 셉템베르프로그라암(Septemberprogramm)에서는 독일의 총리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가 독일의 전쟁 목적 및 승리할 경우 연합국에게 요구할 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세르비아 전역 [ 편집 ]

오스트리아가 침공하면서 8월 12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과 세르비아군 간에 체르 전투와 콜루바라 전투가 발발했다. 이후 2주일 동안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은 대량의 인명 손실로 그치면서 전쟁 기간 동안 첫 번째 연합군의 주요 승리로 기록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신속한 승리에 대한 희망이 없어지고 말았다. 그 결과, 오스트리아는 러시아 전선에 대한 방어를 약화시키고 대신 세르비아 전선에 상당한 병력을 유지시켰다.[48]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르비아 침공 실패는 지난 20세기동안 우월한 적을 상대로 승리한 전쟁 중 하나로 꼽힌다.[49]

이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어린 군인이 참전한 전역이다. 츠부스니카에 태어난 몸칠로 가브리치는 1914년 8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게 그의 부모, 할머니, 형제 7명이 죽은 이후 8살에 세르비아 육군 제6 포병 사단에 입대했다.[50][51][52] 10살때 그는 상병으로 승진했으며,[51][52] 11살에는 하사 대리 병장이 되었다.[52]

벨기에와 프랑스의 독일군 [ 편집 ]

서부전선의 영국군 야전병원.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독일군(제7 야전군의 서부군)은 개정된 슐리펜 계획에 따라 진군하기 시작했다. 이 독일군은 중립국인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 국경으로 진군, 독일 국경에서 프랑스군을 둘러싸 남쪽으로 포위하는 작전에 투입되었다.[14] 프랑스는 “독일과 러시아 사이에 전쟁이 발발할 경우, 우리는 완전히 자유로운 행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독일은 한 전선에서는 프랑스를 공격하는 동시에 다른 전선에서는 러시아를 공격할 것이라고 다짐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충족시키기 위해, 슐리펜 계획은 1870~1871년의 보불전쟁과 같이 최대한 빨리 프랑스로부터의 항복을 얻어내기 위한 계획으로 짜여졌다. 또한, 프랑스에서 빠른 승리를 위해 라인 강의 서부가 국경과 맞닿아 있는 알자스로렌의 험한 지형을 통해 공격하는 대신 영국 해협으로 진군하여 영국의 지원을 저지한 이후 파리를 공격한다는 작전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대부분의 군대를 러시아로 보냈다. 러시아는 동맹국에게 위협을 줄 수 있는 동원령을 완료하는데 오랜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1914년, 전선으로 가는 길에 있는 화차 에 있는 독일 군인. 전쟁 초기에는 양 측이 매우 짧은 전쟁으로 끝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기존의 모든 독일의 전쟁 계획은 독일군이 벨기에를 통해 행군하는 것이었다. 독일은 프랑스를 침공할 때 벨기에를 통한 자유로운 행군을 원했다(원래는 네덜란드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이를 거부했다). 중립국인 벨기에는 이를 거부했고, 따라서 독일은 벨기에를 침공하고자 했다. 프랑스 또한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군을 이동시키고 싶었지만, 벨기에는 자국 영토에서 전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독일의 제안 뿐 아니라 프랑스의 제안 또한 거절했다. 결국, 독일의 벨기에 침공 이후 벨기에는 프랑스군과 함께 전투하고 싶지 않았지만 결국에는 벨기에군 대부분이 지원에 대한 모든 희망을 잃고 안트베르펜으로 후퇴하여 항복했다.

이 계획은 독일의 우측이 프랑스군을 우회하기 위해 진군해야 했고(프랑스군의 대부분은 프랑스-독일 국경에 몰려 있었다) 이후 파리까지 남쪽으로 진군해야 했다. 8월 11일부터 24일까지 국경 전투에서 독일군은 승리를 거뒀다. 9월 12일, 프랑스군은 영국 원정군의 도움을 받아 9월 5일부터 12일까지 이루어진 1차 마른 전투에서 독일군이 파리 동부로 진격하는 것을 방어했고 다시 독일군을 전선에서 50 km 후퇴시켰다. 이 전투는 서부 전선에서 기동전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14] 프랑스군의 알자스 남부 공세는 8월 20일 뮐루즈 전투로 시작했지만 제한적인 성공만 거두었다.

동부전선에서는 독일 장교들이 예상한 것과는 달리 매우 일찍 2개 군으로 프랑스 침공을 시작했다. 프랑스 침공에 동원되기로 예정되었던 제8 야전군을 철도를 통해 재빨리 오스트프로이센 지역으로 이동시켰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이끄는 이 군은 8월 17일부터 9월 2일까지 이어진 일련의 타넨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다. 러시아의 침공을 좌절시켰지만, 지치지 않은 독일군을 동부로 이동시킨 결과 1차 마른 전투에서 연합국이 전술적 승리를 이끌었다. 동맹국은 프랑스에서 빠른 승리를 거두는 데 실패하고 2개 전선에서 전쟁을 시작해야 했다. 독일군은 프랑스 내의 방어하기 좋은 지역에서 전투를 했고, 영구히 잃어버린 것보다 더 많은 23만명의 프랑스군 및 영국군을 무력화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신 문제 및 납득하기 어려운 명령 결정은 독일군이 전쟁 초기 승리하는데 어려움을 주었다.[53]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 편집 ]

뉴질랜드는 1914년 8월 30일 독일령 사모아를 점령했다. 9월 11일,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및 군사파견군(AN&MEF)이 독일령 뉴기니의 뉴포메른섬(나중에 뉴브리튼섬이 됨)에 상륙했다. 10월 28일, 페낭 해전에서 독일 순양함 SMS 엠덴이 러시아 순양함 젬추크를 침몰시켰다. 일본군은 독일의 미크로네시아 식민지를 장악하고 칭다오 전투를 통해 중국 산둥 반도에 위치한 칭다오를 점령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정부가 칭다오에 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순양함 SMS 카이저린 엘리자베스의 철수를 거부하자, 일본은 독일 뿐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도 전쟁을 선포했다. 1914년 11월 이 함선은 칭다오 방어전에 참여했으며 나중에는 침몰했다.[54] 몇 달 이내에, 연합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지역을 장악했다. 오직 독일령 뉴기지 지역에서만 고립된 상선 기습 및 방어 태세만 있었다.[55][56]

아프리카 전구 [ 편집 ]

전쟁의 첫 번째 충돌로는 아프리카에서 영국, 독일, 프랑스 사이 식민지 세력의 충돌이었다. 8월 6일~7일에 프랑스와 영국군은 토골란드 및 독일령 카메룬 지역을 침공했다. 8월 10일,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독일군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산발적이고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다. 대령 파울 폰 레토우보르베크(Paul von Lettow-Vorbeck)가 이끄는 독일령 동아프리카 식민지군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유격전을 이끌었고 유럽에서 휴전이 이루어진 지 2주가 지나서야 항복하였다.[57]

인도의 연합국 지원 [ 편집 ]

영국 정부가 인도에서 반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두려움과는 달리, 인도에서는 영국에 대한 충성과 전례없는 호의가 나타나게 되었다.[58][59] 인도 국민 회의 및 기타 단체의 인도 정치 지도자들은 열심히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했으며, 영국에 대한 전쟁 지원이 인도 자치 운동을 이끌어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영국령 인도 제국군은 전쟁 초기에는 영국군보다는 열세였다. 인도 중앙 정부 및 인도 토후국이 많은 음식, 돈, 탄약 보급을 보내주는 동안 130만명 가량의 인도군 및 노동자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서 자원군으로 활동했다. 총 14만명이 유럽의 서부 전선으로 보내졌고, 70만명이 중동 전선으로 보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인도인 47,746명이 사망했고 65,126명이 부상을 입었다.[60] 전쟁 자체로의 고통 뿐 아니라, 전쟁 이후에도 영국 정부가 인도 자치에 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자 인도 자치 운동은 마하트마 간디가 주도하는 인도 독립 운동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서부 전선 [ 편집 ]

참호전의 시작 [ 편집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군사 전술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는데 실패하면서 구식이 돼버렸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강한 방어적 전략으로 이끄는 원인이 되었으며, 구식의 전술로는 더 이상 대부분의 전쟁에서 돌파가 힘들어지게 되었다. 철조망은 밀집보병의 진군에 심각한 방해물이 되었으며, 포병은 기관총과 결합하여 개방지를 횡단하는 데 매우 어렵게 만들어 1870년대보다 더욱 치명적으로 발전했다.[61] 양측 지휘관은 많은 사상자 없이 참호전 전략을 발전시키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이 때 기술 진보로 인해 화학 무기 및 전차가 발명되는 등 새로운 공격 무기를 개발하게 만들었다.[62]

1914년 9월 5일부터 12일까지 일어난 1차 마른 전투 이후 협상국 및 독일군은 서로 측면을 포위하기 위해 북부에서 기동전을 시도했다. 이러한 일련의 기동전을 바다로의 경주라고 부른다. 이러한 측면 포위 시도가 모두 실패하면서, 영국 및 프랑스는 곧 독일 제국이 벨기에 해안부터 로렌 지역까지 단단하게 구축한 방어선을 구축한 것을 보게 되었다.[14] 독일은 점령 지역을 방어하면서 영국 및 프랑스군에 대한 공격을 모색하고 있었다. 따라서, 독일군의 참호는 프랑스 및 영국군의 참호보다 더욱 많이 건설되었다. 영국-프랑스군의 참호는 독일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전까지 머무르는 “임시적인” 방어선에만 끝나 있었다.[63]

양측은 과학 기술의 진보를 이용하여 교착 상태를 깨려 시도했다. 1915년 4월 22일 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는 독일군이 서부 전선에서 처음으로 (만국 평화 회의의 헤이그 협정을 위반하는) 염소 가스를 이용했다. 곧 양측에서 여러 종류의 가스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결정적으로 증명되진 않았지만 전투를 겪은 군인들은 독가스 전쟁이 가장 두렵고 기억에 남는 공포가 되었다.[64][65] 1916년 9월 15일에는 전체적으로는 솜 전투의 일부인 플레르-쿠르슬레 전투에서 영국군이 처음으로 전차를 이용했고, 부분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전쟁이 진행되면서 전차의 효과는 커졌다. 독일군은 자신들이 디자인한 매우 적은 수의 전차를 사용했으며, 대부분은 연합국으로부터 노획한 전차를 전리품으로 이용했다.

1916년, 베르됭의 프랑스 87연대.

참호전의 지속 [ 편집 ]

양측 모두 2년 동안 서로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공격을 하지 못했다. 1915~1917년 동안, 대영제국 및 프랑스는 전략, 전술적 방향의 측면의 선택 때문에 독일보다 더 많은 사상자로 고통받았다. 독일은 오직 하나의 주요 공세만 시도했지만 연합군은 독일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한 여러 시도를 하였다.

1916년 2월 독일은 프랑스의 베르됭에서 프랑스 진지를 공격하면서 베르됭 전투가 시작되었다. 1916년 12월 프랑스의 반격으로 공세 시작 지점 이전까지 독일군을 퇴각시키기 전까지 전투는 독일군이 많은 이익을 보았다.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엄청났지만, 독일군의 사상자 또한 이에 못지 않게 높아서 양 측 교전국의 사상자는 70만명[66]에서 97만 5천명[67] 가까이 된다. 베르됭은 프랑스의 의지 및 희생의 상징이 되었다.[68]

1916년 7월부터 11월까지 영국-프랑스군은 솜 전투를 통해 독일군을 공격했다. 이 공격이 시작한 7월 1일 당시 영국 육군은 역사상 가장 큰 사상자가 발생해, 첫날 전투에만 19,240명이 사망하는 등 총 사상자가 75,470명이나 되었다. 솜 공세 전체 기간 동안 영국군의 사상자는 약 42만명이었다. 프랑스군 또한 대략 20만명의 사상자가 나왔으며, 독일군은 50만명의 사상자가 나왔다.[69]

1916년 전체 기간 동안 베르됭에서의 오래된 공격은[70] 솜 전투의 심각한 사상자와 합쳐져 프랑스군이 지쳐 붕괴 위기까지 달했다. 1917년 4월 5일 니벨 공세가 연합국의 실패로 끝난 이후 영국 및 프랑스군의 헛된 정면 공격 시도는 프랑스 병사(poilu)의 프랑스군 반란으로 이어졌다.[71] 동시에 일어난 영국의 아라스 전투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져 궁극적으로 전략적 가치는 떨어졌지만 더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72][73] 아라스 공세의 일부분으로 캐나다 군단이 비미 리지를 점령했고, 이는 해당 국가에게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캐나다의 국가정체성이 전투로 탄생되었다는 생각은 이후 캐나다의 군사 및 일반 사학계에서 널리 퍼지게 되는 의견이 되었다.[74][75]

1917년 7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진 파스샹달 전투는 이 기간 벌어진 영국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프랑스의 지원)가 되었다. 이 공세는 10월 전장이 진흙탕으로 되기 전까지 연합국 사이의 약속으로 진행되었다. 사상자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존재하지만 거의 20만명에서 40만명 사이로 추측한다.

서부 전선의 참호전은 몇 년 동안 많은 지역의 점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고, 그 결과 이 전선은 종종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 전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영국, 프랑스, 독일은 끊임없는 전술의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전장으로 나타났다.

해전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 대전의 해전 입니다.

전쟁이 시작했을 당시, 독일 제국의 순양함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연합국 상선을 공격하기도 했다. 영국 해군은 비록 연합국 선박을 보호하는 데는 무능력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그들을 패배시켰다. 예를 들어, 칭다오에 주둔한 독일의 동아시아 함대의 일부였던 경순양함 SMS 엠덴은 15척의 상선을 포획하거나 침몰시켰으며, 러시아 순양함 및 프랑스 구축함도 침몰시켰다. 그러나, 장갑순양함 SMS 샤른호르스트, SMS 그나이제나우, 경순양함 SMS 뉘른베르크, SMS 라이프치히, 수송함 2척으로 이루어진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선박을 습격하라는 명령을 받지 못했고 대신 영국 군함을 만났을 때 독일 영토로 항해했다. 독일 함대 및 SMS 드레스덴은 코로넬 해전에서 장갑순양함 2척을 침몰시켰지만, 1914년 12월 포클랜드 해전에서 탈출한 SMS 드레스덴 및 약간의 보조함을 제외한 모두가 파괴되었고, 탈출한 선박들도 마스아티에라 해전에서 대부분이 파괴되거나 포획되었다.[76]

전쟁 발발 이후, 영국은 독일의 봉쇄를 시작했다. 이 전략은 지난 2세기 동안 여러 국제법에 의해 성문화 된 원칙을 어기는 것이었지만 여러 중요한 군사적, 민간적 자원 공급 차단에 효과가 있었음이 밝혀진다.[77] 영국은 중립국 선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막기 위해 공해에서 바다로 들어오는 모든 함선의 이동을 막았다.[78] 이후 이 전술을 제한적으로 따라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도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79]

1916년 유틀란트 해전(독일어로 Skagerrakschlacht)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가장 거대했던 해전이었으며, 전쟁 중 유일한 전함 간의 전투였다. 이 해전은 1916년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북해의 윌란 반도 부근에서 일어났다. 독일의 대양함대는 라인하드 세어가 지휘했고, 영국의 대함대는 제독 존 젤리코가 지휘했다. 독일 함대가 해전에 돌입하기 시작하자 자기 함대보다 더 큰 영국 대함대를 피해 탈출하면서 영국 함대에게 많은 피해를 주었다. 그러나, 전략적으로는 영국이 여전히 제해권을 가지고 있었고, 독일 수상함대의 대부분은 전쟁 기간 내내 항구에만 있어야 했다.[80]

1918년 독일과의 휴전 당시 런던의 타워 브릿지 근처에 전시된 U-155

독일의 유보트는 북아메리카와 영국 사이의 보급선을 차단하려 시도했다.[81] 잠수함전의 성격은 공격이 자주 경고없이 왔으며 상선의 승무원들은 생존률이 희박했다.[81][82] 미국은 이에 대해 항의를 시작했고, 독일은 교전 규칙을 바꿨다. 1915년 여객선 RMS 루시타니아가 침몰한 이후, 독일은 여객선이 지나다니는 해로에서 공격하지 않겠다고 했으며, 영국은 “안전 장소”(구명보트와는 다른 표준)에 승무원을 배치하고 경고를 보내는 프라이즈 규칙 보호를 넘어서서 상선을 무장시켰다.[83] 마침내, 1917년 초 독일이 무제한 잠수함 작전 규칙을 도입하면서 미국이 선전포고했다.[81][84] 독일은 미국이 해외에서 많은 군대를 수송하기 전에 연합국 해로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지만, 장거리 유보트를 5척만 유지시킬수 있어서 실제 효과는 미미했다.[81]

1917년에는 상선들이 구축함들과 같은 호송선단을 보호를 받아 유보트의 피해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호송선단 전술은 유보트가 표적을 쉽게 찾지 못하게 하여 피해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후 하이드로폰과 폭뢰가 도입되면서 구축함이 수중에 있는 잠수함을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호송선단은 상선이 호송선단이 모일 때까지 기다려야 해서 보급 전송이 느려지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이러한 지연을 막기 위해 새로운 화물들을 구축하는 광범위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군인 수송선은 잠수함에게 너무 빨랐기 때문에 호송선단의 지원을 받지 않았다.[85] 유보트는 199척을 이용해 5,000척 이상의 연합군 함선을 침몰시켰다.[86]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은 항공모함이 처음으로 나온 시기로 HMS 푸리어스가 1918년 7월 톤데른 기습에서 소프위드 카멜을 발진시켜 체펠린 비행선 격납고를 성공적으로 공격했다. 또한, 대잠 순찰기로 소형 순찰선을 띄우기도 했다.[87]

남부 전구 [ 편집 ]

발칸반도의 전쟁 [ 편집 ] [88] 1917년, 포로로 잡은 세르비아 군인을 처형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인. 전쟁 기간 동안 세르비아 왕국 은 85만명이 사망하면서 전쟁 전에 비해 4분의 1의 인구가 감소했다.

러시아와 직면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를 공격한 군대의 3분의 1만 러시아 전선으로 보낼 수 있었다. 큰 손실을 입은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의 수도인 베오그라드를 점령했다. 그러나, 콜루바라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의 반격이 성공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말까지 원래 전선으로 후퇴해야 했다. 1915년의 첫 10개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대부분의 군사를 이탈리아 전선으로 보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관은 불가리아를 설득하여 세르비아를 공격하도록 유도했다.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지방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사는 세르비아 뿐 아니라 이탈리아와 러시아 전선 등지로도 향해졌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동맹을 맺었다.[89]

세르비아는 불가리아군이 60만명의 군대를 동원해 지원하면서 한 달 내에 정복했다. 세르비아군은 2개 전선에서 패배에 직면하면서 전쟁 초기에 침공했던 알바니아 공국 북부로 후퇴했다. 이후, 세르비아군은 코소보 전투에서 패배했다. 몬테네그로는 1916년 1월 6~7일에 있었던 모이코바츠 전투에서 아드리아 해안에서 후퇴하던 세르비아군을 보호하는 데 성공했지만, 결과적으로 몬테네그로도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점령당했다. 살아남은 세르비아 병사들은 배를 통해 그리스로 철수했다.[90] 정복 이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불가리아 왕국이 나눠 점령했다.

1915년 말, 프랑스와 영국군이 테살로니키에 상륙하면서 그리스 정부에게 동맹국에게 전쟁을 선포하라고 압박하였다. 그러나, 친독일 성향의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은 연합국 원정군이 상륙하고 친연합국인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이런 요구를 거부했다.[91] 그리스 국왕과 연합국 사이의 마찰은 국론 분열이 축적되어 왕당파와 테살로니키의 베니젤로스 임시 정부 간 분열로 이어졌다. 아테네에서 연합국파와 왕당파 간의 긴 협상과 노엠브리아나(Noemvriana)라고 부르는 무장 투쟁 끝에 왕이 폐위되었으며 그의 둘째 아들 알렉산드로스가 새로운 국왕이 되었다. 이후 그리스는 공식적으로 연합국 편에 참전했다.

비행기의 폭격을 피해 참호에 들어간 불가리아 군인.

처음에는 마케도니아 전선이 정적이었다. 프랑스군 및 영국군은 1916년 11월 19일 모나스티르 공세에서 큰 손실을 겪고 비톨라 주변의 마케도니아 영토 일부를 점령했으며, 전선의 안정을 가져왔다.

세르비아 및 프랑스군은 1918년 9월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대부분이 후퇴한 이후에야 전진할 수 있었다. 불가리아군은 전쟁에서 도브로 폴 전투에 큰 패배를 겪었다. 결국, 불가리아는 2주 후인 1918년 9월 29일 항복했다.[92] 독일 최고 사령부는 전선을 유지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이 군대는 전선을 유지하기에 너무 약했다.[93]

마케도니아 전선 자체가 붕괴되면서 연합군은 부다페스트 및 빈으로 향하는 도로를 확보했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드로프는 확실히 전략 및 작전상 균형이 확실히 무너졌다고 결론내리고 불가리아의 붕괴 이후 하루만에 즉각적인 평화를 요구했다.[94]

오스만 제국 [ 편집 ]

오스만 제국은 1914년 8월 비밀 조약인 오스만-독일 동맹을 맺은 이후 동맹국에 합류했다.[95] 오스만 제국의 참전은 러시아의 코카서스 영토 위협과 수에즈 운하를 통한 영국-인도 간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위협을 가지고 있었다.

아나톨리아 자체에 살고 있던 오스만 터키인은 그리스인,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등의 민족을 그리스인 집단 학살, 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 아시리아인 집단 학살 등 대량학살하며 러시아 및 영국 측에서 참전하는 영향을 주었다.[96]

이에 대해, 영국과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을 침공하여 갈리폴리 전역(1915년)과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개전했다. 갈리폴리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영국군, 프랑스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대조적으로,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쿠트 공방전(1915~1916년)에서 패배한 이후 영국군이 1917년 3월 바그다드를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은 쿠르드족 및 투르크맨족과 연합하여 전투한 데 반해 영국군은 아랍인 및 아시리아인과 연합하여 전투했다.

또한, 서쪽으로는 오스만 제국이 수에즈 운하에 대한 공격을 1915년, 1916년 두차례 했으나 점령하지 못했다. 8월에는 독일 제국-오스만 제국 연합군이 로마니 전투에서 ANZAC 산악 사단과 52 (로우랜드) 보병 사단에게 패배했다. 이 승리에 이어, 영국 육군과 이집트 원정군은 시나이반도를 횡단하여 12월에 마그드하바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을 후퇴시키고 1917년 1월 라파 전투에 승리하면서 이집트 시나이와 오스만령 팔레스타인 경계까지 진격했다.

1917년 바스라의 메소포타미아 파견군의 교전 목록이 적힌 크리스마스 카드.

러시아군은 코카서스에서 일방적인 전투를 치렀다. 오스만 군대의 최고 사령관인 엔베르 파샤는 러시아가 정복했던 중앙아시아 지역을 다시 점령하고자 하는 야심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지휘관으로써는 별로였다.[97] 그는 1914년 12월 10만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코카서스에서 러시아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겨울에 러시아군에 대한 정면공격을 하자고 주장했지만, 사리카미스 전투에서 86%의 병력을 잃고 오스만군이 패배했다.[98]

1914년 12월, 독일의 지원을 받은 오스만 제국군은 영국군과 러시아군 간의 연결을 끊고 카스피 해의 유층지대를 점령하기 위해 페르시아(현 이란)을 침공했다.[99] 페르시아는 표면상 중립국이었지만 실제로는 영국군과 러시아군의 영향 하에 있었다. 오스만군과 독일군은 쿠르드족 및 아제르바이잔인의 대규모 지원을 받았을 뿐 아니라 카슈카이인, 탕기스탄인, 루르인, 캄세흐인의 지원을 받았으며, 프랑스군 및 영국군은 그리스인과 아시리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의 지원을 받았다. 페르시아 전역은 1918년까지 지속되어 오스만 제국 및 동맹국의 패배로 끝났지만, 1917년 아르메니아와 아시리아인을 이끌며 오스만 제국에 대해 가장 강하게 공세를 하던 러시아가 휴전하면서 보급선이 끊기고, 무기 및 양에서 열세가 되면서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영국군이 후퇴해야 했다.[100]

1915년부터 1916년까지 러시아군의 지휘관이었던 니콜라이 유데니치는 남부 코카서스에서 대부분의 터키군을 몰아내면서 승리자로 자리잡았다.[98] 1917년, 대공 니콜라우스 니콜레비치는 코카서스 전선의 지휘관이 되었다. 니콜라우스는 정복한 지역에서 러시아-조지아 철도를 계획하여 1917년에 공세할 새로운 보급품을 얻으려고 했다. 그러나, 1917년 3월(러시아 혁명 이정 율리우스력으로는 1917년 2월) 러시아 2월 혁명을 통해 황제가 퇴위하자 러시아 코카서스 군은 붕괴하기 시작했다.

영국 외무부가 아랍인을 선동하면서 일어난 아랍 반란은 1916년 영국의 지원을 받은 메카의 후세인 빈 알리를 중심으로 일어난 메카 전투서부터 시작했으며, 다마스쿠스에서 오스만군이 항복하면서 끝났다. 메디나의 오스만군의 지휘관인 파흐리 파샤는 메디나 공방전에서 약 2년 반동안 저항했다.[101]

이탈리아령 리비아와 영국령 이집트 국경의 세누시족은 터키의 선동에 힘입어 무장하여 연합군과 소규모 게릴라전을 벌였다. 영국은 세누시 전역에서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12,000명이나 투입해야 했다. 이 반란은 1916년 중순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102]

오스만 제국이 고전을 면치 못하자, 독일 제국은 독일 아시아 군단을 파병하였다.

오스만 전선에서 연합국의 총 사상자는 65만명이다. 오스만군의 총 사상자는 75만명(325,000명 사망, 425,000명 부상)이다.[103]

이탈리아의 참전 [ 편집 ]

트롤 지방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1916년 8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이탈리아 사이 일어난 도베르도 전투 를 묘사한 그림.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의 일환으로 1882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가 가지고 있던 트렌티노, 오스트리아 연해 지대, 피우메 (현 리예카), 달마티아 지역을 확보하고 싶었다. 이탈리아는 1902년 프랑스와 비밀 조약을 맺어 삼국 동맹을 무효화시켰다.[104] 전쟁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은 방어적 조약이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공격자라는 이유로 참전을 거부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프랑스령 튀니지를 대가로 이탈리아의 중립을 이루기로 했다. 이에 대해, 연합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패배할 경우 남부 티롤, 오스트리아 연해 지대, 달마티아 연안 지대를 주는 조건으로 참전하게 했다. 연합국하고의 이 협상은 1915년 런던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또한, 1915년 4월 연합국의 터키 침공에 자극받아 이탈리아는 삼국 협상에 가입하고 5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했다. 다섯달 후, 이탈리아는 독일에게도 선전포고했다.

이탈리아의 참전은 국무총리 안토니오 사란드라, 외무부 장관 시드니 소니노,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비밀리에 추진했다.

1915년 2월 16일, 오스트리아와의 동시 협상에도 불구하고, 런던의 특사가 이탈리아가 협상국에 참여할 경우 좋은 거래를 해 주겠다는 제안을 했다. … 최종 선택에는 러시아군이 3월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승리했다는 뉴스의 도움을 얻었다. 사란드라는 협상국의 승리가 눈앞에서 보이기 시작한다고 생각했고, 그는 신속하게 합의를 하기 위해 몇 가지 요구 사항을 철회하라고 특사에게 지시했지만 이익 공유에 관해 너무 늦게 도착한다고 불안해했다. … 런던 조약은 4월 26일에 채결되었으며 이탈리아는 1개월 내에 전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5월 4일이 돼서야 사란드라는 삼국동맹을 폐기한다고 서명했다.[105]

군사적으로 이탈리아는 우월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은 전투가 일어나는 지형이 험하고 전략 및 전술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사라져버렸다. 정면 공격의 철저한 지지자였던 육군 원수 루이지 카도르나는 슬로베니아 고원으로 침입해 류블랴나를 점령하고 빈을 위협할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카도르나의 계획은 견고한 율리안알프스 산맥와 크라스의 험난한 지형, 참호전과 같은 기술적인 변화를 따라잡지 못한 계획이었으며 그 결과 엄청난 인명을 희생하고 교착 상태로 멈춰 버렸다.

트렌티노 전선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수비하기 유리한 산악 지형을 이용했다. 개전 초 전략적인 후퇴 이후 전선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오스트리아의 카이저쉬젠(Kaiserschützen)과 스텐드쉬젠(Standschützen)이 이탈리아의 알피니의 여름에 걸친 백병전을 막아냈다. 1916년 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아시아고 알토피아노에서 베로나와 파두아를 향해 공세를 시작했으나(트렌티노 공세), 별 소득이 없었다.

1915년 초, 이탈리아는 트리에스테 북동부의 소카 강(이손초 강)을 따라 11번의 공세를 진행했다. 11번의 공세는 모두 고지대에 위치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격퇴했다. 1916년 여름 도베르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승리하여 고리치아를 점령했다. 이 작은 승리 이후에는 이탈리아군이 고리치아 동부의 바니시스 플라티우와 카르스트 플라티우를 중심으로 공세를 진행했지만 1년 가까이 전선에 변화가 없었다. 1917년 가을에는 동부 전선이 동맹국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진행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군의 스톰트루퍼(Stormtrooper)와 알펜크롭스 엘리트원을 포함한 다수의 병력을 증원받았다.

동맹국은 1917년 10월 26일 독일 제국을 주도로 한 분쇄 작전을 시작했다. 코바리드 지역에서 일어난 카포레토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했다. 이탈리아군은 100 km 넘게 후퇴했으며, 피아베 강 전투에서야 전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군이 카포레토 전투에서 대규모의 손실을 입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는 소위 18세 이상의 모든 남성을 소집하는 “99 소년들”(Ragazzi del ’99)을 진행했다. 1918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피아베 강 전투에서 패배를 겪었으며, 결정적으로 그해 10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패배했다. 11월 1일, 이탈리아 해군은 새로운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주으로 전력을 넘기는 것을 막기 위해 풀라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의 대부분을 파괴했다. 11월 3일, 이탈리아군은 바다를 건너 트리에스테를 점령했다. 같은 날에 빌라 지우티 휴전을 체결했다. 1918년 11월 중반,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 연해 지대 전체를 장악하고 런던 조약에서 이탈리아에게 보장된 달마티아 전체를 점령했다.[106] 1918년 11월 전쟁이 끝날 무렵,[107] 제독 엔리코 밀로는 자신 스스로를 이탈리아령 달마티아의 총독으로 선포했다.[10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8년 11월 항복했다.[108][109]

루마니아의 참전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 대전과 루마니아 입니다.

루마니아는 1882년부터 동맹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이 시작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를 했기 때문에 루마니아가 참전할 의무가 없다고 말하면서 중립국을 선언했다. 협상국이 루마니아가 동맹국에게 선전포고하는 대가로 트란실바니아와 바나트와 같이 루마니아인이 많이 사는 큰 영토를 보장해주자, 1916년 8월 27일 루마니아 정부는 협상국에 가입하여 트란실바니아를 공격하여 러시아의 제한된 지원을 받고 참전했다. 루마니아의 공세는 초기에는 성공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밀어냈지만 이후 동맹국의 반격으로 인해 다시 루마니아-러시아 국경으로 후퇴해야 했다.[110] 동맹국이 부쿠레슈티 전투에 승리하면서 1916년 12월 6일에 루마니아의 수도가 함락되었다. 1917년에는 몰도바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되면서 동맹국은 지루한 교착 상태로 빠지게 되었다.[111][112] 1917년 말 10월 혁명으로 인해 러시아가 항복하자, 루마니아는 1917년 12월 9일 동맹국과 휴전해야 했다.

1918년 1월, 루마니아군은 러시아군이 포기한 베사라비아 지역을 점령했다. 비록 루마니아와 볼셰비키 러시아 정부 사이 1918년 3월 5일~9일에 2달 이내 베사라비아에서 철수한다는 조약을 맺었지만, 1918년 3월 27일 루마니아 통합 지역 의회가 루마니아로 합병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베사라비아를 자국 영토로 병합했다. 1918년 5월 7일에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맺으면서 동맹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서 루마니아는 동맹국과 종전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영토 할양이 이루어지고 카르파티아 산맥에 대한 통행권이 주어졌으며, 독일에게 석유 채굴권이 부여되었다. 그 대신 동맹국은 루마니아가 베사라비아를 장악하는 것을 인정했다. 이 조약은 1918년 10월 알렉산드루 마르힐로만 정부가 무효화하면서 1918년 11월 10일 명목상 전쟁이 재개되었다. 다음 날, 부쿠레슈티 조약은 콩피에뉴에서 휴전이 이루어지면서 무효화되었다.[113][114] 루마니아는 현대 국경을 기준으로 1914년에서 1918년동안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748,000명이 사망했다.[115]

동부 전선 [ 편집 ]

초기 전투 [ 편집 ]

1917년, 독일군의 공격을 기다리는 참호의 러시아군.

서부전선이 교착상태로 빠진 반면, 동부유럽의 전쟁은 계속되었다. 러시아군의 초기 계획은 오스트리아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과 독일의 동프로이센을 동시에 침공하는 계획이었다. 비록, 갈리치아를 향한 러시아군의 초기 공세는 성공적이었으나 동프로이센을 향한 공세는 1914년 8~9월에 일어난 타넨베르크 전투와 마수리아 호 전투에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에리히 루덴도르프의 분전으로 저지되었다.[116][117] 러시아의 덜 발달된 산업 기반과 비효율적인 군사 명령 체계가 이후 벌어진 사건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5년 봄에는 러시아군이 갈라치아 지역에서 후퇴했으며, 5월에는 동맹국이 폴란드 남부 지역에 돌파구를 만들었다.[118] 8월 5일에는 동맹국이 러시아군을 후퇴시키며 바르샤바를 점령했다.

러시아 혁명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러시아 혁명 입니다.

1916년 6월 러시아군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동부를 향한 브루실로프 공세가 성공했지만,[119] 러시아 정부의 전쟁에 관한 불만이 증가하고 있었다. 공세의 성공은 승리를 위해 지원해야 하는 다른 장군이 군사를 내주기 꺼려한 탓에 약화되었다. 연합군과 러시아군은 8월 27일 루마니아가 연합국으로 참전 할 때 일시적으로 소생했다. 독일군이 트란실바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지원하는 동안, 남쪽에서 독일-불가리아군이 공격하면서 12월 6일에는 부쿠레슈티가 동맹국에게 함락되었다. 한편,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가 전쟁을 계속 끌면서 러시아 내 불안 상황이 고조되었다. 알렉산드라 황후의 무능한 통치는 시위를 앞당기도록 했고, 1916년 말에는 황후가 좋아하는 그리고리 라스푸틴이 살해당했다.

1917년 3월, 페트로그라드에서 시위가 일어나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러시아 임시 정부가 뒤를 이었으나, 이 정부의 힘은 약했고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사회주의자와 연대하여 겨우 유지했다. 이러한 상황은 전선과 후방 모두에서 혼란을 가중시켰다. 육군은 점점 비효율적으로 변해갔다.[118]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과 취약함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당의 인기가 높아졌고, 이들은 전쟁을 그만둘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자 1917년 11월에는 볼셰비키의 무장 봉기가 성공하여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했고, 12월에는 독일과 휴전 협상을 맺었다. 처음에 볼셰비키는 독일의 요구를 거절했으나, 독일군이 무저항으로 우크라이나 전역을 장악하자 1918년 3월 8일 러시아와 동맹국 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맺어지게 된다. 이 조약에서는 핀란드, 발트 3국,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부분을 동맹국에게 할양하는 등 광대한 영토가 넘겨졌다.[120] 러시아 지역에서 독일군이 명백하게 승리했지만, 이전 러시아 지역에 주둔하기 위해 필요한 독일군의 인력이 너무 많아 이후 일어난 춘계 공세가 실패하고 식량과 물자 보급도 상당히 뒤처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맺어지면서 협상국은 해체되었다. 이후 연합국은 독일이 러시아의 자원으로 팽창하는 것을 저지하고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을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로의 소규모 침공을 단행했다.[121] 연합군은 러시아 북부 개입의 일환으로 아르한겔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에 상륙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 편집 ]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의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입니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위해 연합국에 동참하여 전쟁에 참여한 군단이다. 러시아 내의 군단은 1917년 만들어졌으며, 1917년 12월에는 프랑스(미국인 자원군 포함), 1918년 4월에는 이탈리아에서도 만들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1917년 7월 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일어난 즈보로프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을 이겼다. 이 승리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자원군 수가 늘어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주 군사가 되었다. 바흐마흐 전투에서는 독일 제국군에게 승리하면서 휴전 협정을 맺도록 강요했다.

러시아 지역에서는 볼셰비키에 대한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장악하고 시베리아의 모든 주요 도시를 점거했다. 이 군단이 예카테린부르크 근처까지 나타나면서 1918년 7월 볼셰비키는 로마노프 왕가의 처형을 단행하게 된다. 이 군단은 이 사건이 일어난 지 7일도 되지 않아 도시를 장악한다.

러시아의 유럽 지역 항구가 안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군단은 블라디보스토크로의 긴 우회로를 통해 대피했다. 1920년 9월 미국 선박 헤프론을 통해 마지막으로 군단이 떠나게 되었다.

동맹국의 평화 협상 제안 시작 [ 편집 ]

1916년 12월, 베르됭 전투가 10달 지나고 루마니아로 공세를 성공적으로 끝내자 독일은 연합군과의 평화 협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곧, 미국의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이 조정자로 개입을 시작하면서 양측의 조건을 듣기 시작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전쟁내각은 독일의 제안은 연합군 사이를 분열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초기의 분노와 숙고 이후, 윌슨에게는 별도의 노력으로 미국이 “잠수함 작전”으로 인해 독일과 전쟁하기 직전이라는 신호를 들었다. 연합군은 윌슨의 제안에 대해 논의하는 동안, 독일은 “서로의 직접적인 견해 교환”에 대해서 거부했다. 독일의 응답을 보고 연합군 정부는 1917년 1월 14일 자유롭게 명확한 요구를 제시했다. 그들은 피해를 보상받고, 점령 지역에서 독일군이 물려나며, 프랑스, 러시아, 루마니아, 기타 참전국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다. 이 요구에는 이탈리아인, 슬라브인, 루마니아인, 체코슬로바키아인에 대한 해방 및 “자유롭고 통일된 폴란드”를 건설하라는 요구도 했다. 안보에 대해서는 연합군은 평화를 유지할 제제방법으로 미래의 전쟁을 제한하거나 예방할 방법을 모색했다.[122] 독일이 어떠한 특정 제안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협상은 실패하고 협상국은 독일의 제안을 거부했다. 윌슨에게 협상국은 동맹국이 점령한 모든 연합군 영토에서 나오며 손해 배상금을 물 때까지 평화 협상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23]

미국의 참전 [ 편집 ]

미국은 전쟁 중 영국과 독일 간에서 중립적 입장을 표명하고 있었다.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계속적으로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공격에 대해서 방관하지 않겠다.”라는 의사를 표명했고, 독일은 이에 대해 이러한 공격을 중단할 것임을 몇 차례 약정했다.

그러나 1917년 1월 16일, 독일 외무 장관 아서 치머만이 멕시코 주재 독일 제국 대사 펠릭스 폰 에카르트에게 보냈던 암호 전문 치머만 전보에서 “멕시코가 미국을 공격할 경우, 멕시코가 1848년에 미국에 빼앗긴 모든 영토를 되찾을 수 있도록 해주겠다.”라는 내용 때문에 미국은 참전 쪽으로 기울어졌다. 얼마 후 독일이 유보트를 이용해 영국 배를 공격했는데, 그 배에 탔던 많은 미국인들이 죽었다. 따라서 윌슨 대통령은 의회에 독일에 선전 포고할 것을 1917년 4월 6일에 제의했다. 이는 미국 영토에 대한 독일의 공격에 한한다는 내용으로 하원 결의안 373:50, 상원 82:6으로 승인되었다. 12월 6일에는 오스트리아에도 선전 포고를 하여, 그 범위가 이탈리아 전선까지 확대되었다.

종전 [ 편집 ]

1917년, 미국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이래, 연합국은 반격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결국, 동맹국의 군대가 차례대로 투항했다. 불가리아가, 그 다음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순으로 항복했다. 오스트리아가 항복한 같은 날, 독일의 킬(Kiel) 군항에서는 해군 수병에 의한 폭동이 일어났다. 파급 효과는 엄청났는데, 곧바로 독일 각지에서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여 군경과 실랑이를 벌였다. 결국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제위를 포기하고 네덜란드로 망명했다. 독일은 군주제를 포기하고 공화정으로 전환하였으며, 1918년 11월 11일 연합국과 휴전을 맺었다. 이렇게 해서 약 9백만이 전사한 이 전쟁은 끝이 났다.

결과 [ 편집 ]

동맹국이 연합국에게 전쟁에 지면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 오스만 제국은 세브르 조약, 오스트리아는 생제르맹 조약,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 불가리아는 뇌이 조약을 맺으면서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고, 많은 영토와 인구를 잃었다. 이로 인해 발칸 반도와 중동 지방에서 많은 독립국들이 생겨났다.

독일의 경우 해외 식민지를 모두 포기하였고, 본토 손실은 알자스와 로렌을 프랑스에 넘겨주고 폴란드 지역을 독립시킬 정도의 적잖은 영토를 잃었다. 또한 장기간 전쟁수행으로 인하여 인플레이션이 일어났고, 실직자가 속출하였다. 더욱이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과다한 배상금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다.

전쟁 이후의 세계 [ 편집 ]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는 민주주의가 발전했다. 일본은 오세아니아의 군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말미암아 반성보다 지독한 가난과 배상금에 대한 것에 시달렸으며 오스만 튀르크도 세브르 조약을 맺음으로써 영토가 크게 줄어들었다(1922년 해체, 1923년 터키 공화국 수립).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도 각각 생제르맹 조약, 트리아농 조약을 맺음으로써 영토가 크게 줄어들었다. 불가리아는 뇌이 조약으로 남도브루자를 루마니아에 떼어주었다.

이탈리아는 승전국이었으나 연합국에게 영토를 보장받기는커녕 냉대를 받았다. 결국 1922년에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한 파시스트 정권이 수립된다.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중국은 연합국임에도 불구하고 산둥 반도에 대한 이권을 돌려받지 못하였다.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중앙유럽의 많은 국가는 독립하였으며, 독립을 조건으로 영국을 도왔던 인도는 그 약속이 무산되자 지속적인 투쟁 운동을 시작했다.

한편,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으며, 전쟁의 방지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국제 연맹을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국제 연맹이 설립되었으나, 정작 미국은 의회의 반대로 가입에 실패하였다. 결국 다시 고립의 길을 걸었다.

연표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 대전 연표 입니다.

1차 대전의 결과와 의의, 그리고 그 영향 [ 편집 ]

참호 건너기에 실패한 탱크

동맹국과 러시아의 전후 결과 [ 편집 ]

독일 제국 [ 편집 ]

바이마르 공화국 탄생

막대한 배상금 지불

독일의 일부 영토였던 폴란드 땅이 독립하게 됨

알자스-로렌: 프랑스에 병합

아프리카 식민지

– 르완다, 부룬디(벨기에 위임 통치령)

– 탄자니아(영국 위임통치령)

– 카메룬, 토고: 영국과 프랑스의 분할

– 산둥반도는 일본에 조차

– 독일 제국의 태평양 식민지는 미국과 일본이 분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편집 ]

폴란드(신생국), 이탈리아에 일부 영토 할양.

유고슬라비아 왕국: 크로아티아, 체코슬로바키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가 연합 왕국으로 독립한 후 유고슬라비아 왕국 건설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에서 독립한 왕국이 됨, 루마니아에 일부 영토 할양.

오스트리아 자체는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으로 탄생

러시아 제국 [ 편집 ]

발트 3국 및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폴란드, 핀란드 독립

루마니아에 일부 영토 할양

오스만 제국 [ 편집 ]

사상자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제1차 세계 대전 사상자 입니다.

독일, 러시아, 프랑스 순으로 희생자를 많이 냈다. 반대로 일본은 희생자를 가장 적게 냈다.

기술 [ 편집 ]

이 전쟁으로 인해 과학 기술이 발전했다. 그러나 독가스와 같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무기들도 개발되어 나왔다. 최초의 독가스는 독일군이 사용하였으며, 연합군도 같은 무기로 대응했다. 독가스에 대한 유일한 대응책은 양측 모두 방독면 외에는 없었다. 독가스가 사용된 것은 마른 전투 이래 기관총, 철조망, 참호선으로 고착화된 전선을 뚫기 위해서였다. 탱크도 참호선을 뚫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대포도 점점 대구경화되었다. 장거리 사격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열차포(독일의 크루프 열차가 유명하다)도 등장하였다.

기술의 개선은 전방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생리대를 들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여성의 사회 진출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러한 여성을 위해 생리대가 개발되었다.

명언 [ 편집 ]

“ 만일 불타는 꿈속에서

그가 실려가는 마차 뒤를 따라 걸을 수 있다면

……

독가스 찬 폐 속에서 쿨렁쿨렁 쏟아져 나오는 피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

친구여 영광의 이야기를 졸라대는 아이들에게

그렇게 진심으로 거짓말을 하지는 못할 테지

그 오래된 거짓말 말일세

“조국을 위해 몸바치는 것은 고귀한 영예라고.” ” [131] — 윌프레드 오언, 《고귀한 영예》, 인류이야기 현대편 1에서 재인용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벌어진 전쟁의 참상은 많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독일의 화가 오토 딕스(독일어: Otto Dix, 1891년 ~ 1969년)는 참호전의 참상을 그린 〈전쟁〉(1929년 작)에서 참호 속에 흩어진 사지와 흙더미에 거꾸로 박힌 시체, 피범벅이 된 진흙탕을 묘사하였다. 하필이면 왜 저렇게 끔찍하게 묘사하였느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딕스는 이렇게 대답했다. “바로 저랬다. 나는 보았다.”[132]

한편 영국의 시인 윌프레드 오언(영어: Wilfred Owen, 1893년-1918년)은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반전시 《고귀한 영예》를 발표하였다.

모병 포스터 [ 편집 ]

미국 [ 편집 ]

미국의 가장 유명한 모병 포스터 “샘 아저씨는 네가 육군에 지원하기를 원한다.” ( 1917년 작)

미국의 역대 신병 모집 포스터 중 가장 유명한 것으로, 미국을 상징하는 캐릭터인 엉클 샘이 그려진 포스터가 있다. 아래 글귀에는 “샘 아저씨는 네가 육군에 지원하기를 원한다.”라고 쓰여져 있다. 미국 해군에서도 육군 못지않게 모병 포스터를 많이 발행했다.

영국 [ 편집 ]

영국의 모병 포스터 “누가 빠졌습니까? 당신입니까?”

영국도 미국 못지않게 신병모집 포스터를 만들었다. 영국은 독일보다 인구가 부족하여 미성년자들까지 징집한 적이 있었다(주로 공부할 의지가 없는 남학생들이 해당되었다). 실제로 유틀란트 해전(1916년 덴마크 근처의 유틀란트 만에서 영국 해군과 독일 해군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투)에 참전한 어떤 수병의 나이는 만15세였다고 한다.

BE READY? JOIN NOW! : 준비가 되었습니까? 지금 참여하십시오!

TAKE UP THE SWORD OF JUSTICE : 정의의 칼을 잡으십시오.

WHO’S ABSENT? IS IT YOU? : 누가 빠졌습니까? 당신입니까?

THERE’S ROOM FOR YOU ENLIST TO-DAY : 당신이 오늘 지원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WOMEN OF BRITAIN SAY – “GO!” : 영국의 여성들은 말합니다. “가세요!”

DADDY, WHAT DID YOU DO IN THE GREAT WAR? : 아버지, 아버지는 1차 대전 때 무엇을 하셨나요?

미디어 [ 편집 ]

연합군이 독일의 방어선을 향해 폭격하는 모습 프랑스와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시대 전차

해리 폰 틸저와 피어레스 4중주단이 연주. 1918년 3월 컬럼비아 레코드의 빈센트 브라이언이 녹음. “The Makin’s of the U.S.A.”해리 폰 틸저와 피어레스 4중주단이 연주. 1918년 3월 컬럼비아 레코드의 빈센트 브라이언이 녹음.

아서 필즈와 피어레스 4중주단이 연주. 1918년 5월 에디슨 레코드의 제임스 A. 브레넌이 녹음. “We’re All Going Calling on the Kaiser”아서 필즈와 피어레스 4중주단이 연주. 1918년 5월 에디슨 레코드의 제임스 A. 브레넌이 녹음.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내용주

출처주

참고 문헌 [ 편집 ]

참고 문헌 목록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서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외부 링크 [ 편집 ]

제1차 세계 대전 정리

제1차 세계 대전

1.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1)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 사라예보 사건

① 배경 : 오스트리아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하자, 같은 슬라브 족인 세르비아가 이에 대해 크게 분개하였다.

② 사라예보 사건(1914) : 세르비아 청년이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를 방문 중이던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2) 제1차 세계 대전의 시작

① 오스트리아의 선전 포고 : 사라예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가 즉각 세르비아에 선전 포고를 하자 세르비아를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내렸다.

② 전쟁의 확대 :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내리자,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 포고하였으며, 프랑

스, 영국이 독일에 선전 포고하여 이탈리아를 제외한 삼국 동맹과 삼국 협상 양측은 모두 전쟁 상태에 들어갔다.

③ 불가리아와 투르크가 동맹국에 가담하고, 이탈리아가 삼국 동맹을 떠나 연합국으로 참전하였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 여러 나라들과 일본, 중국이 참전하여 전쟁은 전 세계로 확대되었다.

2. 전쟁의 경과

(1) 초기 주도권을 잡은 독일

① 초기의 전세 : 독일은 서부 전선에서 프랑스를 공격하여 승리한 후, 동부 전선에서 러시아와 싸워 전쟁을 단기간에 끝내고자 하였다.

② 독일의 전략 실패 : 연합군의 신속한 대응과 반격으로 전쟁을 빨리 끝내려는 독일의 전략은 실패하였다.

(2) 장기전으로 돌입한 전쟁

① 독일은 어느 곳에서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하여, 전쟁은 장기전의 양상을 띠게되었다.

② 전쟁의 형태 : 전선에서의 전투에 그치지 않고 모든 국민의 총력전으로 전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

1.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미국의 참전

(1)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① 영국의 해상 봉쇄 : 전쟁이 장기전으로 돌입하면서 영국은 해상 봉쇄를 통해 독일로 들어가는 물자를 통제하였다.

②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 해상 봉쇄를 뚫는 데 실패한 독일은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펴 중립국 선박까지 공격하였다.

③ 미국의 참전 : 독일이 중립국의 선박까지 공격하자, 미국은 연합국 편에 서서 참전하였고 이를 계기로 전세는 연합국에 유리해졌다(1917).

​(2) 독일과 러시아의 강화 조약 : 러시아는 전쟁 중 공산 혁명이 일어나 독일과의 전쟁을 중단하였다.

2. 전쟁의 종결

(1) 동맹국들의 항복 : 독일의 동맹국이었던 투르크와 불가리아, 오스트리아가 잇달아 항복하였다.

(2) 독일의 항복

① 독일 혁명 : 독일에서 혁명이 일어나, 황제가 물러나고 새로운 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② 항복 : 독일의 새로운 공화국 정부가 연합국에 항복함으로써 제1차 세계 대전은 연합국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피해

인류 역사상 최초의 세계 대전인 제1차 세계 대전은 인명 피해가 엄청났는데 미국 육군성의 발표(1924)에 따르면 약 6,500만 명이 전쟁에 동원되었는데, 이는 주요 교전국의 15세 이상 49세 이하 남성의 1/4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 가운데 사상자의 비율이 51.7%에 이르렀다. 이러한 피해는 새로운 살상 무기의 개발에도 큰 원인이 있었다. 탱크와 화학 무기, 비행기가 이 전쟁에서 새로 등장한 무기이다.

자료 인용

1차 세계 대전 원인 결과 요약정리

반응형

세계 1차 대전 (1914년~1918년: 총 4년)

1914년 7월 28일 세계 제1차 대전이 일어난다. 직, 간접적으로 1차 세계 대전에 참여한 인구만 약 15억 명이고 전사자(사망자) 약 천만명, 부상자 약 2,200만 명으로 1차 세계 대전은 일류 최초의 대량 살상 전쟁이었다. 1900년 당시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쟁탈전이 한창이었다. 그러나 전쟁의 시작은 단 두발의 총성에서 시작된다.

↓(벌거벗은 세계사 버전)

☞1차 대전 이전 독일의 상황과 연합국과 동맹국 형성과정 보기

1차 세계대전의 원인

사라예보 사건

1914년 6월 28일 육군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해 발칸반도(유럽의 화약고라 불림)에 위치한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에 방문한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는 세르비아 러시아계 한 청년이 쏜 총에 암살당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암살자는 세르비아계 청년 프린치프로 당시 19세였다.

당시 세르비아는 발칸반도에 흩어져있는 세르비아 민족들을 모아 더 큰 나라를 세우려했지만 오스트리아가 이를 막았다.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편을 드는 나라들 각각 두 진영으로 나눠졌다.

경제적 배경

19세기 이전은 식민지는 자원 약탈의 대상이었으나 19세기 이후 (자원 판매) 시장으로 바뀐다. 이때 독일은 1871년 1월 뒤늦은 통일로 열강보다 한발 늦게 산업화가 진행되며 시장에 뛰어들었더니 이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이 식민지를 독차지하고 있었던 상태였다. 이에 독일 제상 비스마르크는 화학과 과학 기술에 집중을 하게 되고 어느 열강보다 무서운 속도의 성장한다.

독일은 식민지와 자원에 대한 열망도 강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를 원했고 독일 통일 국가의 발전을 위해 전쟁을 일으킬 계기가 필요했다. 당시 러시아와 프랑스는 세계 최강의 육군 국가였고 영국은 세계 최강의 해군을 보유한 국가를 이기려면 자원이 필요했다.

삼국 협상, 삼국동맹

이 당시 러시아, 프랑스,영국은 삼국 협상을 통해 편을 이루고 있었고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는 삼국동맹(1882)을 통해 서로 간의 군사원조를 한다는 안전보장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오스트리아는 사라예보 사건으로 구실로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1914.7.28)한다. 이것이 제 1차 세계대전의 시작이다. 그 후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포고(1914.8.1), 이틀 뒤에는 프랑스에 선전포고(1914.8.3)를 한다. 독일 군이 중립국 벨기에를 통과하자 영국은 독일에 선전포고(1914.8.4)하며 이 전쟁은 점차 민족 간의 싸움으로 번지더니 결국 거대한 두 세력 독일계인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그리고 오스만 제국 등의 동맹국 과 다른 세력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이 뭉친 연합국 전쟁으로 확대된다.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전쟁을 선포(1914.7.28)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포고(1914.8.1) 독일이 프랑스에 선전포고(1914.8.3) 영국은 독일에 선전포고(1914.8.4)

♣선전포고문 ( 1차 세계대전 ) 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이유

슐리펜 계획

독일의 지정학적 위치는 서부전선에는 프랑스 , 동부전선에는 러시아 가 있어 양면 전쟁을 해야했다. 이에 최소의 전력으로 러시아 전선을 막고 모든 병력을 서부전선에 올인하는 것이었다.

물론 독일의 벨기에의 예상밖의 저항과 러시아의 발빠른 움직임으로 슐리펜 계획은 완벽하게 실패한다.

슐리펜 계획 내용 더보기

동부전선 타넨베르크 전투 (독:러 1914.8.26)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이 전투에서 독일이 승리한다. .

1914년 11월 오스만 제국 참전

1915년 이탈리아 불가리아 참전

1916년 루마니아 참전

서부 전선 가장 참혹한 베르됭 전투(독:프 1916.2-1916.12)

프랑스군의 전략적, 상징적 요충지였던 베르됭을 독일은 전투 첫 날 약 100만 발의 포탄을 퍼붓는다. 그렇게 10달 동안 양측에서 쏟아부은 포탄만 총 4000여 만 발이었다. 엄청난 포탄에 베르됭은 황무지로 변했고 지옥의 요새전이었다. 이곳에서 살아남은 병사들의 증언은 이곳이 뼈가 으스러지는 곳 살아남은 자보다 죽은 자가 더 많은 곳이라고 불렀다. 전투는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지만 승패를 떠나 참혹한 학살극으로 남은 전투였다.

베르됭 전투의 사상자는 프랑스군 약 37만7천명, 독일군 약 35만 7천 명으로 약 73만 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서부전선의 최악의 전투 파스샹달 전투 (독:영,프1917.7~1917.11)

벨기에 파스샹달 지방에서 일어난 파스샹달 전투에서는 30만 명에 달하는 병사들의 시체가 산을 이루었는데 인류 최초의 대량 살상 전으로 진행되는 전쟁이었고 이 참호전의 실상은 실로 지옥처럼 끔찍했다.

기관총이 낳은 대량살상의 비극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진보된 인류의 기술은 1차 세계 대전 때 사람을 죽이는 무기로 바뀌고 물량전이 진행되면서 기관총으로 1개 중대를 없애는데 단 15분이 걸렸고 폭격을 피하기 위해 참호를 대량으로 만들었으며 포탄과 기관총을 피해 4개월 동안 나아간 거리는 고작 8km였다.

악마의 3형제 참호, 철조망, 기관총

1차 세계 대전 때 파놓은 참호를 한 줄로 재면 약 4만 km로 무려 지구 한 바퀴의 길이로 1차 세계대전은 끔찍하고 무의미한 대량 학살의 진흙탕 속 참호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기관총으로 대량 학살이 계속되니 참호를 만들었고 참호를 깊게 파면 팔수록 기관총을 피할 확률이 높아졌다. 그래서 적의 참호를 빼앗기 위해서는 대규모 병력을 투입시킬 수밖에 없었고 이를 막기 위해 기본이 3겹~10겹까지 철조망을 설치했다.(성능이 부실한 지뢰를 대신해)

참호전 전쟁 참상 더보기

중립국이던 미국이 참전한 이유

‘루시타니아 호’ 침몰 사건 (1915.5.7)

1915년 5월 7일 영국의 대서양 정기선 ‘루시타니아 호’는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독일군이 쏜 어뢰에 격침당한다. 루시타니아 호가 침몰하게 되고 미국인 승선객 128명이 사망하면서 미국 내 참전 여론이 달아오르기 시작한다.

당시 독일은 영국 해군에 막혀 군수물자를 제대로 조달하지 못하게 되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펼쳐 닥치는 대로 연합군, 민간인 배 할 것 없이 보이는 데로 폭격을 했던 것이다.

치머만 전보 사건 (1917.1)

그러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치머만 전보( 1917.1) 사건 때문이었다. 독일의 외무 장관 치머만이 멕시코 주재 독일대사에게 보낸 비밀 전보문을 보냈고 이를 영국군이 감청해 해독한 내용은 독일의 제안으로 멕시코가 미국을 공격해 전쟁을 일으키도록 할 것. 그 대가로 미국 땅의 일부를 주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참전과 러시아의 종전 선언

1917년 4월 2일 중립을 지키고 있던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을 선언하게 된다. 막강한 물량의 미국 참전은 1차 세계대전의 판도가 바뀌게 된다. 1917년 10월에 러시아는 볼셰비키 혁명(=러시아혁명)이 일어난다. 전쟁에서 수많은 젊은이가 죽고 다치고 경제 위기가 심해졌으며 국민의 생활 고가 극심해지자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러시아의 급진 좌파 레닌이 등장하며 러시아 정권을 잡은 레닌은 독일과 단독 휴전협정을 체결하며 종전을 선언한다.

이후 브레스트 리톱스크 조약(1918년 3월 3일) :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세비키 정권과 동맹국 사이에 맺어진 강화 조약으로 이 조약 결과 러시아는 제 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고 동부 전선이 마무리 되었다.

이렇게 동부 전선이 마무리 되면서 독일은 모든 병력을 서부 전선으로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이 서부 전선으로 미군부대가 도착할 예정였기 때문에 시간을 끄는 것은 독일에게 불리해지니 독일은 총공세를 계획한다. 1918년 3월 21일 독일은 독가스 공격, 참호 공격를 하면서 승기를 잡게 되지만 약 4만 명의 병력 손실, 이중 약 1만명이 사망하게 된다.

100일의 전투

7월부터 100일간의 연합군의 반격이 시작된다. 연합군은 엄청난 양의 군수물자를 얻게 되면서 독일을 몰아갔고 1918년 9월 독일 편이던 불가리아 항복 선언, 10월 오스만 제국 항복, 11월 오스트리아가 항복 선언을 한다. 8월 8일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투에는 약 400 대가 넘는 탱크가 투입이 되었고 9월 26일 미군은 연합군과 함께 제 일1차 세계 대전을 끝내기 위한 마지막 공격을 시작 한다 .

연합군은 엄청난 양의 군수물자를 얻게 되면서 독일을 몰아갔고 약 1500대의 비행기가 투입되었고 이 비행기가 독일의 참호를 공격했고 퇴각하는 독일군에게 폭탄을 쏟아 부었으면 48시간 만에 독일군의 방어선이 돌파하기 시작한다. 1918년 9월 독일 편이던 불가리아 항복 선언, 10월 오스만 제국 항복, 11월 오스트리아가 항복 선언을 한다.

독일의 항복

방어선이 뚤린 독일은 1918년 11월 초 결국 정전 협정을 요청한다. 포탄과 식량의 물량 조달에 허덕이던 독일은 오랜 전쟁으로 궁핍해져 갔고 독일 해군의 항명 사태와 독일의 시민혁명(1918년 11월)으로 전쟁에 지친 독일의 군인과 국민들은 황제 빌헬름 2세의 퇴위를 요구하며 독일은 붕괴었고 새 정부는 종전협정에 서명하며 마침내 제1차 세계대전은 막을 내린다.

연합국 프랑스 대표와 독일이 맺은 콩피에뉴 휴전 협정 (1918년 11월 11일 )

콩피에뉴 숲에 사람들의 눈을 피해 열차에서 은밀하게 협정을 제안한다. 1918년 11월 11일 오전 11시에 제 1차 세계 대전은 종전된다.

패전 처리 과정에서 가장 먼저 전범으로 지목된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국민들의 원성을 피해 네덜란드로 망명한다.

베르사유조약 체결 (1919.6.28)

이후 패전국 독일에 책임을 묻는 베르사유조약이 체결되고 독일 영토 일부 및 식민지 포기(영토의 13% 상실), 군사력 제한(10만명으로), 엄청난 전쟁 배상금(1320억 마르크)까지 치러야 했다. 이 조약은 독일에게 가혹했고 이에 불만을 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프랑스는 보불전쟁의 치욕을 갚기 위해 조약 체결 서명을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진행했다. 보불전쟁 당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1.1.18) 독일은 종전 선언을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선포했고 독일 황제 빌헬름 1세의 대관식까지 이곳에서 열면서 프랑스인들에게 치욕을 안겼기 때문이다.

제 1차 세계대전 결과

유럽의 지도 변화

전쟁 이후 화폐 가치는 폭락하고 물가는 폭등 하게 되면서 제국들이 몰락 한다. 독일,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제국이 사라지게되고 신생국가들이 탄생하게 된다. 신생국가의 탄생으로 인해 유럽 지도에 변화가 생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이전의 유럽 지도와 이후의 지도는 많이 달라기게 된다. 또한 유럽의 경제 지배권 상실로 세계 경제의 주도권을 잡게 된 미국이었다.

독일은 -> 바이마르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헤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분리된다. (좌) 전쟁 전 (우) 전쟁 후

여성의 참정권 인정

1차 세계대전 이후 달라진 점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가속화 된다. 프랑스에서는 여성들이 전쟁 참여로 인한 남성인력의 부재로 포탄 공장에서 일을 하게 되었고 미국에서는 15,000 명이 넘는 여성들이 야전 병원에서 일을 했다. 이렇게 다양한 곳으로 사회 진출을 하게 된 여성의 공로가 인정되어 그 결과로 인해 1920년에 미국, 1928년에 영국에서 드디어 여성 참정권이 인정이 되었다. 참정권 인정의 여러요인 중에 1차 세계대전 중 여성들의 공로가 인정된 것이다.

20세기 초까지 유럽인들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으로 인류는 발달한다고 생각했었으나 이런 믿음이 완벽하게 깨진 것이 바로 제 1차 세계 대전이다. 절대성이 아닌 상대성, 확정성이 아닌 불확정성으로 인간의 사고방식에 변화가 일어났다.

의학기술의 발달

또한 종전 후에는 이른바 병사를 치료하기 위해 의학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하게 된다. 특히 성형수술 분야, 심리학 발달도 이루어 진다.

☞전쟁으로 인해 만들어진 발명품들 7가지

반응형

1차 세계대전 第一次世界大戰 World War Ⅰ First World War, Great War라고도 함.

유럽 국가 대부분과 러시아, 미국, 중동 및 그밖의 지역에 있는 나라들이 대거 참여한 국제적인 전쟁(1914~18).

동맹국(주도국은 독일·오스트리아-헝가리·터키)과 연합국(주도국은 프랑스·영국·러시아·이탈리아·일본이며 1917년부터 미국도 가담)이 맞서 싸운 이 전쟁은 동맹국의 패배로 끝났고, 4개의 거대한 제국(독일·러시아·오스트리아-헝가리·터키)의 몰락을 가져왔다. 그결과 러시아에서는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났고, 유럽의 불안정은 제2차 세계대전의 불씨가 되었다.

전쟁의 발발

1910년까지 유럽의 주요국가들은 독일·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3국동맹이나 프랑스·영국·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3국협상에 가맹함으로써, 잠재적 적대관계에 있는 2개의 세력으로 갈라져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 사건이 일어났다. 세르비아의 한 민족주의자 청년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남부 슬라브족의 ‘해방’을 위해 사라예보를 순방중인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한 것이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최후 통첩을 보내 굴욕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이를 수락하지 않을 경우 전쟁을 선포하겠다고 위협했다. 이같은 결정의 배후에는 독일이 러시아의 개입을 막아주리라는 믿음이 있었다. 7월 25일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의 요구를 거의 다 받아들였지만, 2가지만은 거부했다. 세르비아 관리 해임권을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넘기라는 요구와 세르비아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반(反)오스트리아-헝가리 저항조직을 오스트리아-헝가리 관리들이 직접 고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구가 그것이다.

세르비아는 이 문제를 국제 중재에 맡기자고 제의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와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부분동원령을 내렸다. 실제로 선전포고가 이루어진 것은 7월 28일이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군 포병은 이튿날 베오그라드에 대한 포격을 개시했다. 그러자 러시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대항하여 부분동원령을 내렸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러시아와의 접경 지역에 동원태세를 갖추자 7월 30일 총동원령을 내렸다.

7월 31일에 독일은 동원령 중지를 요구하는 24시간 시한의 최후 통첩을 러시아에 보냈고, 프랑스에는 러시아와 독일 사이에 전쟁이 일어날 경우 중립을 지키겠다고 약속할 것을 요구하는 18시간 시한의 최후통첩을 보냈다. 러시아와 프랑스는 예상대로 이 요구를 묵살했다. 8월 1일 독일은 총동원령을 내리는 한편, 러시아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그러자 프랑스도 총동원령을 내렸다. 8월 3일에 독일은 프랑스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8월 3~4일 밤, 독일군이 벨기에를 침공했다. 그러자 영국이 독일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영국은 세르비아와 아무 관계도 없었고 러시아나 프랑스를 위해 싸울 의무도 없었지만, 벨기에를 지키겠다는 뚜렷한 의지를 갖고 있었다. 8월말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러시아와 일본 및 벨기에에 대한 전쟁 선포를 끝냈고, 세르비아와 일본은 독일에 선전포고했으며, 프랑스와 영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대해, 그리고 몬테네그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독일에 대해 선전포고했다.

루마니아는 중립을 유지했다. 이탈리아는 1912년에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와 3국동맹을 맺었으나 침략전쟁일 경우에는 지원할 의무가 없을 뿐더러, 영국에 대항하는 경우에는 어떤 동맹에도 가담할 의무가 없었다. 1914년 9월 5일 러시아·프랑스·영국은 동맹국과 개별적으로 단독 강화조약을 맺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1914년 8월에 전쟁이 일어나자, 애국심의 물결이 유럽 전역을 휩쓸었다. 유럽 강대국들 사이에 벌어진 이 전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고 또 얼마나 엄청난 재난을 가져올 수 있는가를 상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다수는 이 전쟁을 국가적 필요성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참여한 방어전으로 생각했거나, 폭력에 맞서서 정의를 지지하고 조약의 신성함과 국제적 도덕성을 지키기 위한 전쟁이라는 이상주의적 견해를 갖고 있었다.

연합국은 전체 인구와 산업 및 군사적인 면에서 동맹국보다 훨씬 많은 자원을 갖고 있었으며, 대서양을 끼고 있어서 중립국(특히 미국)과 교역하는 데도 훨씬 유리했다. 반면에 동맹국은 독일의 우월한 군사기술 덕분에 초반의 수적 열세를 만회했다(연합군 병력은 통틀어 300만 명이 넘었지만, 동맹군의 총병력은 230만 명 정도였음). 따라서 1914년 8월에는 동맹국과 연합국 사이에 거의 세력 균형이 이루어져 어느 쪽도 신속한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해군력에서는 연합국이 동맹국보다 거의 2배나 우세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독일의 우수한 기술 덕분에 영국 해군의 수적 우세를 상쇄할 수 있었다. 독일은 거리측정기와 탄약고 방호물, 탐조등, 어뢰·수뢰 따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영국은 우세한 해군력으로 독일을 봉쇄할 수 있었고, 이 봉쇄는 해외물자 수입을 방해하여 독일의 군사력을 차츰 약화시켰다. 전쟁 기술의 발전은 양쪽의 작전 계획과 수행에 영향을 주었다. 1870~71년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전쟁 기술의 향상으로 개발된 주요무기는 기관총과 속사 야포였다.

▷상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표1. 교전국의 국력, 표2. 교전국의 지상군(1914.8) 도표를 참조하십시오.

전쟁의 초기 단계

초기 전략

슐리펜 계획

1914년에 전쟁이 일어나기 훨씬 오래전부터 독일은 동쪽(러시아)과 서쪽(프랑스)의 두 전선에서 동시에 전쟁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깨닫고 있었다. 러시아와 프랑스의 병력을 합치면 동맹국 전체의 병력보다 수적으로 우세했기 때문이다. 1891~1905년에 독일군 참모총장을 지낸 알브레히트 폰 슐리펜 백작은 러시아군의 느린 기동력과 비효율성을 이용한 독특한 전략을 개발했는데, 동부전선에서는 동원 속도가 느린 러시아군을 최소한의 병력으로 막는 방어전만 펴는 대신, 프랑스와 대치하고 있는 서부전선에 거의 모든 병력을 집중하여, 프랑스 북쪽의 중립국 벨기에를 뚫고 신속하고 결정적인 선제 공격을 취한다는 전략이었다.

서쪽과 남쪽으로 신속히 진격하면 독일은 몇 주일 만에 파리를 점령하여 프랑스를 굴복시킬 수 있을 것이고, 서부전선에서 안전을 확보한 다음에는 병력을 동쪽으로 이동하여 러시아를 쳐부술 수 있으리라는 것 이 전략의 주안점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개전 초기에는 순수한 형태로 적용되지 않았다. 슐리펜의 후임자인 헬무트 폰 몰트케는 공격력을 대폭 줄였기 때문에, 독일이 초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것이 그의 책임이라는 비난을 자주 받는다.

동부전선 전략

러시아령 폴란드는 서쪽의 독일령 폴란드와 남쪽의 오스트리아령 폴란드(갈리치아)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동맹국의 협공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독일은 그 취약한 지역을 서둘러 침공할 생각이 없었다. 반면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러시아의 공세를 제압하기 위해서는 선수를 쳐야 한다면서 당장 전투에 착수할 것을 요구했다. 그래서 몰트케는 오스트리아군과 독일군이 각각 동서 양쪽으로 양동작전(陽動作戰)을 편다는 데 동의했다.

독일군이 프랑스 쪽으로 공세를 취하는 동안 오스트리아군은 북동쪽의 러시아령 폴란드를 침공하여 러시아의 발목을 잡아둔다는 전략이었다. 러시아는 당장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을 오스트리아 전선에 집중하고, 동원을 끝낼 때까지는 독일에 대해 어떤 조치도 취하려 하지 않았다. 독일의 압력을 받고 있던 프랑스는 동프로이센의 독일군과 갈리치아의 오스트리아군에 대해 공세를 취하도록 러시아를 설득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런 공세를 벌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서부 연합국 전략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끝난 뒤 프랑스군 고위 사령부는 독일과 다시 싸우게 될 경우, 예기치 못한 침공에 대하여 초기에는 일단 방어 태세를 취한 다음 반격에 나선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있었다. 그러나 1911년에 참모총장에 임명된 J.-J.-C. 조프르 장군은 공세적 전략인 제17계획을 수립했고, 프랑스는 이 계획에 따라 1914년 전쟁에 임했다.

그러나 제17계획은 몇 가지 맹점을 지녔다.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할 경우 독일의 전력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했으며, 다가올 공격의 방향과 대상 지역도 잘못 판단했다. 또한 이 계획에 의하면,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할 경우 벨기에를 통해 들어올 것이며 아르덴을 지나는 경로를 택할 것이기 때문에 독일군의 병참선을 쉽게 공격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었다. 즉각적이고 전반적인 공세가 유리하다는 생각에 바탕을 둔 제17계획에 따르면 프랑스는 로렌 지방으로 들어가 자르 지방으로 진격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독일의 막대한 병력이 프랑스군의 왼쪽(북쪽) 날개 지역을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을 미처 헤아리지 못했다.

1914년의 서부전선

독일군은 8월 4일 아침에 국경을 넘어 벨기에로 쳐들어갔다. 프랑스와 독일 접경 및 프랑스와 벨기에 접경에서 초기에 벌어진 프랑스군과 독일군의 충돌을 통칭하여 국경전투라고 부른다. 8월 14일부터 9월 6일의 제1차 마른 전투까지 계속된 이 일련의 전투는 제1차 세계대전의 가장 규모가 큰 전투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상으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최대 규모의 전투였다. 이 전투에는 양쪽을 합하여 200만 명이 넘는 병력이 참가했다.

프랑스군이 초기에 로렌 지방의 모랑주-사르부르 전투에서 패배한 뒤, 9월초에 프랑스 정부는 보르도로 피난했고, 파리는 포위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으며, 군인들은 10~12일 동안 마른 강까지 퇴각하느라 기진맥진한 상태였다. 그러나 조프르 장군은 위험을 무릅쓰고 반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그결과 벌어진 것이 제1차 마른 전투이다.

그후 3년 동안 서부전선의 전형적 특징이 된 참호전이 시작되었다. 영국 원정군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군은 대규모 진격으로 신속하게 완승을 거둠으로써 프랑스를 분쇄하려는 독일의 계획을 좌절시켰다. 이 승리 덕분에 파리는 독일군의 점령을 피할 수 있었고, 독일군은 65~80km나 후퇴했으며, 전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는 프랑스의 자신감이 되살아났다.

서부전선에서 진정한 참호전이 시작된 것은 제1차 엔 전투 때였다. 양쪽은 당장 정면공격에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없었기 때문에, 정면공격 대신 병력을 옆으로(이 경우에는 북해와 영국해협 쪽으로) 전개하여 적군의 측면을 에워싸는 것이 유일한 대안임을 알아차렸다. 이리하여 ‘바다로의 경주’가 시작되었다. 양쪽의 참호망은 순식간에 북서쪽으로 뻗어나가 벨기에 해안 바로 안쪽에서 대서양에 이르렀다.

연합군과 독일군의 다음 번 격돌은 벨기에 서부의 이프르에서 벌어졌다. 이 대결은 교착상태에 빠진 채 1917년까지 계속되었다. 1914년말까지 프랑스는 38만 명의 전사자와 60만 명의 부상자를 냈고, 독일군은 그보다 약간 적은 수의 병력을 잃었다. 긴장과 피로에 시달린 양쪽은 참호전에만 전념했다.

▷상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표3. 영국과 독일의 해군(1914.8) 도표를 참조하십시오.

1914년의 동부전선과 그밖의 전선

동부전선

동부전선은 서부전선보다 길고 양쪽의 장비와 능력이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교착 상태에 빠진 서부전선과는 달리 전선이 유동적이었다. 독일군은 타넨베르크(지금의 폴란드 스텡바르크) 전투(1914. 8. 26~30)에서 일찌감치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는 독일군에 대해 공세를 취할 것을 러시아에 거듭 촉구했다. 러시아군 총사령관 니콜라이 대공은 이 요구에 충실히 따랐지만 시기가 너무 일렀다.

러시아의 복잡한 전쟁 기구가 미처 준비를 갖추기도 전에 동프로이센에 대한 협공을 시작했던 것이다. Ya. G. 질린스키 장군의 총지휘 아래 P. K. 렌넨캄프 장군과 A. V. 삼소노프가 이끄는 러시아의 2개 야전군이 8월에 독일의 동프로이센을 침공했다. 렌넨캄프는 8월 20일에 굼비넨(지금의 러시아 구세프)에서 공격에 성공했지만, 삼소노프와 연락을 유지하는 데는 실패했다.

독일군 사령관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막스 호프만 중령이 수립한 작전 계획에 따라 모든 병력을 투입하여 타넨베르크 바로 남쪽의 우즈도보 근처에 고립되어 있는 삼소노프를 공격했다. 삼소노프는 그후 며칠 동안 병력의 절반가량을 잃고 퇴각했으며, 9월 중순까지는 모든 러시아군이 동프로이센에서 쫓겨났다. 10만 명의 러시아군 병사가 포로로 붙잡혔고, 절망에 빠진 삼소노프는 총으로 자살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러시아가 동프로이센을 침공해준 덕분에 마른 강으로 다시 진격할 수 있었다. 러시아의 침공을 막기 위해 독일이 서부전선에서 2개 군단을 빼내어 동프로이센으로 보냈기 때문이다. 동프로이센에서 러시아의 위협이 사라지자 독일은 대다수 병력을 폴란드 서부로 돌릴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8월 20일에 선제 공격을 가한 오스트리아군이 러시아의 반격에 밀려 퇴각한 상태였다.

세르비아 전투

세르비아를 침공한 오스트리아군은 처음에는 수적으로 열세였고, 세르비아의 유능한 사령관 라도미르 푸트니크는 체르 산(8. 15~20)과 샤바츠(8. 21~24)에서 승리하여 오스트리아의 첫번째 침공을 초기에 막아냈다. 그후 푸트니크는 북쪽으로 진격을 계속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이 세르비아의 서부전선에 대한 2번째 공격을 개시했기 때문에 북진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몇 주일 동안 교착상태가 계속된 뒤 오스트리아군은 3번째 공격을 개시하여 콜루바라 전투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고, 결국 세르비아군은 11월 30일에 베오그라드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세르비아군은 반격에 나서 12월 15일에는 이미 베오그라드를 탈환했다. 오스트리아군은 후퇴했고, 세르비아는 그후 오랫동안 오스트리아의 공격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오스만 투르크의 공세

오스만 투르크(지금의 터키)가 독일의 동맹국으로 참전한 것은 독일의 전시 외교가 거둔 커다란 성공 가운데 하나였다. 청년 투르크당의 지도자 엔베르 파샤는 독일과 동맹을 맺는 것이 투르크에 가장 유리하고, 특히 보스포로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에 대한 러시아의 위협을 저지하는 보호막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8월에 투르크는 독일이 오스트리아-헝가리편에 가담해 러시아와 싸운다면 독일편에 가담하겠다고 은밀히 약속했다.

그러나 뜻밖에 영국이 독일에 맞서서 참전했기 때문에 투르크는 겁을 먹고 주춤거렸다. 그러다가 독일 전함 2척이 다르다넬스 해협에 도착하자 투르크는 영국 선박들을 억류하기 시작했고, 그밖에도 영국에 대한 도발에 가담했다. 이윽고 투르크 함대는 오데사를 비롯한 러시아 항구들을 포격했다(10. 29~30). 러시아는 11월 1일에 투르크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고, 11월 3일에 투르크가 다르다넬스 해협의 바깥쪽 요새들을 비효율적으로 포격하자 11월 5일에 연합국도 러시아의 뒤를 이어 투르크에 선전포고를 했다.

1914~15년의 해전

개전 당시 가장 막강한 해군력을 가진 두 나라는 영국과 독일이었다. 그러나 두 맞수는 어느 쪽도 상대와 직접 대결하기를 원치 않았다. 영국은 주로 교역로를 보호하는 일에 관심을 가졌고, 독일은 기뢰와 잠수함 공격으로 영국의 수적 우세를 차츰 파괴하여 동등한 조건에서 대결할 수 있게 되기를 원했다. 두 나라 해군이 처음으로 치른 중요한 교전은 1914년 8월 28일에 헬골란트 섬에서 벌어졌다.

영국의 해군 제독 데이비드 비티 경이 함대를 이끌고 독일 해역에 들어와 여러 척의 독일 경순양함을 침몰시키거나 파괴했다. 그후 몇 개월 동안 독일 해군은 유럽이나 영국 해역에서 잠수함 전투에만 의존했다. 독일 해군은 영국 교역로를 오가는 상선만이 아니라, 인도와 뉴질랜드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럽이나 중동으로 가는 병력 수송선도 위협했다. 교전국들은 전투만이 아니라 적국의 교역을 방해하는 데도 많은 해군력을 투입했다.

개전 직후 영국은 외국에서 독일에 공급되는 모든 물자를 차단하기 위해 독일에 대한 경제 봉쇄를 전개했다. 1915년 1월 30일 독일은 일본의 정기여객선 2척을 사전 경고 없이 어뢰로 공격하여 전투를 한 단계 더 진전시켰다. 2월 4일 독일은 이 해역 내의 모든 연합국 상선을 파괴할 것이며 이 해역에 들어오는 모든 선박은 적이든 아니든 상관 없이 무차별로 공격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서 독일은 영국의 주변 해역을 2월 18일부터 전쟁지역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초기에는 제한적인 성과밖에 거두지 못했다. 작전을 시작한 첫 주에 연합국 소속이나 연합국으로 향하는 선박 11척이 공격을 받아 그 가운데 7척이 침몰했지만, 1,370척이 무사히 항해했다. 영국의 광범위한 대잠수함 조치는 독일 해군의 U-보트 부대를 끊임없이 괴롭혔다. 독일의 잠수함 공격으로 독일에 대한 중립국들의 적개심이 차츰 높아졌다. 이것은 독일로서는 영국의 어떤 대책보다 더 나쁜 결과였다.

연합국의 정기여객선 2척이 침몰하고 미국이 여기에 항의한 뒤, 1915년 봄에 독일은 앞으로 정기 여객선을 공격할 경우에는 우선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겠다고 약속했다. 독일은 또다른 정기 여객선 1척을 어뢰로 공격한 뒤, 미국을 더이상 자극하지 않으려고 영국해협과 영국제도 서쪽에서의 잠수함 작전을 중단했다.

교착기

1915~16년의 전략 경쟁과 다르다넬스 작전

양쪽은 제각기 교착 상태를 타개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했고,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타개를 시도했다. 1914년 9월에 에리히 폰 팔켄하인이 의기소침한 몰트케의 후임으로 독일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1914년말 그는 최종 결전을 벌이게 될 무대는 서부전선이겠지만 가까운 장래에 실제로 작전을 벌일 수 있는 무대는 동부전선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소모전에 대비하여 팔켄하인은 독일의 자원을 개발하는 일에 착수했다.

그리하여 독일은 참호 파는 기술을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또한 예비병력의 측면 이동을 위해 군용철도를 확장했다. 독일은 군수품 보급문제와 군수품 제조를 위한 원료조달문제에 정력적·포괄적으로 달려들어 1915년 봄부터는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다. 이런 경제조직과 자원활용은 독일이 영국의 경제 봉쇄에 저항할 수 있었던 힘의 비결이었다.

연합국은 전략을 둘러싸고 두 진영으로 분열되었다. 조프르는 프랑스에 있는 독일 참호선을 계속 공격하자고 주장했다. 독일의 전략을 지배한 것은 점령한 땅을 계속 지키려는 욕망인 반면, 프랑스인들을 지배한 것은 잃은 영토를 되찾고 싶은 욕망이었다.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영국이 제안한 해결책은 전술적 목적과 전략적 목적으로 나뉘어 있었다.

전술적 목적의 해결책은 기관총의 공격에도 끄떡없이 참호를 넘어갈 수 있는 기계를 발명하여 참호 장벽을 뚫는 것이었다. 이런 기계를 발명하면 공격력에 대한 방어력의 새로운 우세 때문에 뒤집힌 전술적 균형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런 기계에 대한 착상은 1916년에 탱크라는 무기가 개발됨으로써 열매를 맺었다.

반면에 영국의 일부 전략가들은 난공불락인 독일의 서부전선을 돌파하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발칸 반도를 통해 공격하거나 독일의 발트 해안에 상륙함으로써 동맹국 군대의 배치를 바꾸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략을 둘러싼 논쟁은 결국 프랑스측의 승리로 기울어졌고, 연합국은 서부전선에 노력을 집중했다.

1915년의 서부전선

서부전선의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더글러스 헤이그 경이 이끄는 영국 제1군은 1915년 3월 10일에 뇌브샤펠에서 새로운 전략을 시도했다. 제1군 포병대가 우선 1,800m 전방에 집중 포격을 퍼부은 다음, 35분 뒤에 사정거리를 늘려 2번째 포격을 시작했다. 영국군 보병대는 이 2번째 포격의 엄호를 받으며 첫번째 포격으로 초토화된 참호를 공략할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확실한 전략적 잠재력을 갖고 있었지만, 탄약 부족으로 2번째 엄호사격이 불충분했기 때문에 실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보병대의 공격개시가 5시간이나 지연되는 바람에 독일군은 저항할 병력을 다시 모을 수 있었다. 독일군은 서부전선에서는 대체로 방어태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1915년 4월 22일 독일군은 이프르에서 서부전선에서는 처음으로 염소 가스를 사용했다. 이 공격은 제한된 성공밖에 거두지 못했다. 1915년에 이루어진 연합군의 공격은 대부분 실패로 끝나, 연합군에 막대한 손실을 안겨주었다. 실패한 이유는 주로 연합군이 오랫동안 포격을 퍼부은 다음에 기습할 기회를 놓쳤기 때문이고, 예비병력의 지원이 너무 늦게 도착했기 때문이다.

1915년의 동부전선

1915년에 러시아는 북쪽과 갈리치아 지역의 측면을 강화한 다음 서쪽의 슐레지엔으로 다시 진격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독일군 사령관 루덴도르프는 동프로이센에서 갑자기 동쪽으로 진격하여 아우구스토프 숲에서 러시아군 4개 사단을 포위했다. 오스트리아군은 갈리치아 전선에 대한 압력을 줄이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구했고, 팔켄하인은 전반적인 소모전 전략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오스트리아군을 기꺼이 지원하고자 했다.

그의 소모전 전략은 러시아에 끊임없는 공세를 취함으로써 결정적 승리를 거두고 싶어하는 루덴도르프의 야심과 이미 갈등을 일으키고 있었다. 최종 계획안은 고를리체에서 투추프까지 29km에 이르는 전선을 공격함으로써 갈리치아의 두나예츠 강 지역에 있는 러시아군의 중앙부를 강타한다는 것이었다.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원수가 지휘한 고를리체 공격은 5월 2일에 시작되어 예상밖의 대성공을 거두었다.

5월 14일에 독일군은 이미 우크라이나에 바로 인접한 폴란드 동남부의 산 강 유역에 이르러 있었다. 공세를 강화하기 위해 서부전선에서 빼돌린 지원 병력이 도착했고, 이들은 프셰미실과 렘베르크(지금의 우크라이나 리보프)를 공략하여 러시아 전선을 둘로 나누었다. 러시아군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 마켄젠을, 그리고 나레프 강 유역에는 힌덴부르크를 오랫동안 묶어놓았기 때문에 아직 봉쇄되지 않은 틈을 통해 러시아군의 주력부대는 동쪽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이리하여 동맹국은 러시아의 전투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밖의 전선(1915~16)

카프카스 전선

러시아와 투르크 사이에 형성된 카프카스 전선은 2개의 전투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나는 서쪽의 아르메니아였고, 또하나는 동쪽의 아제르바이잔이었다. 진격한 러시아군은 1915년 1월에 사라카미스와 아르다한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참패했다. 그러나 보급품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카프카스의 혹독한 겨울을 견디고 있던 투르크군은 전투보다 추위와 체력 소모로 훨씬 많은 병력을 잃었다.

1915년 9월에 러시아의 니콜라이 황제는 숙부 니콜라이 대공을 다시 러시아군 총사령관 자리에 앉혔다. 대공은 카프카스에 있는 부대를 지휘하러 떠났고, 1916년 1월에 N. N. 유데니치 장군과 함께 투르크령 아르메니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개시했다. 이 공격의 성공으로 러시아는 에르주룸과 트라브존 및 에르진잔을 점령했다.

메소포타미아 전선

영국군이 1914년 11월 페르시아 만으로 강물이 유입되는 곳에 위치한 투르크 항구 바스라를 점령한 것은 페르시아 남부의 유전과 아바단 정유소를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에 전략적인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영국군은 1915년 5, 6월에 티그리스 강을 거슬러 알쿠르나로 진격했다. 그러나 작전을 개시하기 전에 실제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결과를 충분히 계산했어야 했다. 영국군은 진격을 계속하여 바그다드로 향했지만, 11월말에는 진격을 중단하고 알쿠트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1916년 4월 29일, 영국군은 투르크군의 포위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마침내 항복하고 말았다.

이집트 전선

영국군은 갈리폴리에서 철수한 뒤에도 이집트에 25만 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국은 투르크가 팔레스타인에서 시나이 산맥을 가로질러 수에즈 운하를 위협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러나 T.E. 로렌스의 반격으로 투르크에 매우 중요한 헤자즈 철도가 끊길 위험에 처해졌다. 그러자 영국군은 1916년 12월에 대규모 공세를 취하여 시나이 사막에 있는 투르크의 전초 기지 몇 군데를 점령했다. 그러나 영국군은 투르크가 가자에서 항복하려던 때인 1917년 3월에 소심하게도 가자에서 철수해버렸다.

이탈리아 전선

영국·프랑스·러시아는 1915년 4월 26일에 이탈리아와 비밀리에 런던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을 통해 연합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토 일부를 이탈리아에 떼어주는 대신, 이탈리아는 3국동맹의 의무를 버리고 연합국편에 가담한다는 약속이 이루어졌다. 1915년 5월 23일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탈리아군 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 장군은 동쪽 공격에 모든 노력을 집중했다. 1915년 5월말의 첫번째 진격은 이손초 강의 홍수 때문에 곧 중단되었고, 참호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카도르나는 진격을 계속하기로 결심하고 끈질긴 공격을 거듭했다. 이 일련의 공격을 이손초 전투라고 부른다.

처음 4차례의 전투(6. 23~7. 7, 7. 18~8. 3, 10. 18~11. 4, 11. 10~12. 2)에서 이탈리아는 28만 명의 병력을 잃었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는 소득은 전혀 없었다. 8월 28일에 이탈리아는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 그후 3개월 동안 이손초 강에서는 아무 성과도 없는 3차례의 공격이 거듭되었다. 1916년말까지 이탈리아는 50만 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여전히 이손초 강에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살로니카 원정

오스트리아는 1914년에 세르비아 침공을 3차례 시도했지만, 세르비아의 반격으로 여지없이 격퇴당했다. 1915년 9월 6일 동맹국은 세르비아 영토를 일부 떼어준다는 미끼로 불가리아를 끌어들여 조약을 맺었다. 불가리아는 러시아의 최후 통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10월 11일에 세르비아 동부를 공격했다. 연합국은 중립국인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방에 있는 항구도시 살로니카를 통해 지원군을 보내기로 서둘러 결정했다.

그러나 불가리아군은 스트루마 강 동쪽에 있는 마케도니아 지방을 휩쓸었을 뿐만 아니라, 모나스티르(지금의 마케도니아 비톨라)를 거점으로 하여 마케도니아의 플로리나 지역을 침공했다. 연합군은 반격을 개시하여 1916년 11월에 모나스티르를 탈환했지만, 1917년 3~5월에 벌인 좀더 야심적인 작전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연합국은 살로니카 전선에 약 50만 명의 병력을 투입했음에도 실질적으로 동맹국을 전혀 괴롭히지 못했다.

1916년의 중요한 전개

서부전선

영국이 새로운 병력을 계속 보충하고 군수품 공급이 점점 늘어난 것은 그 어느 때보다도 대규모로 공세를 벌여 참호전의 교착 상태를 타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15년 12월에 프랑스·영국·벨기에·이탈리아의 군부 지도자들은 러시아군과 일본군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조프르의 사령부에서 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1916년에 프랑스·영국·러시아·이탈리아가 동시에 총공격을 개시한다는 원칙을 채택했다. 그러나 독일의 군사 행동 때문에 이 계획은 혼란에 빠졌고, 결국 영국군의 공격만이 제대로 시행되었다.

1915~16년 겨울에 이르자 팔켄하인은 러시아를 무력한 존재로, 그리고 이탈리아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존재로 여기게 되었다. 그는 마침내 프랑스에 대해 적극적인 군사 작전을 전개할 시기가 무르익었다고 판단했다. 프랑스가 무너지면 영국은 유럽 대륙에 효율적인 군사동맹국을 전혀 갖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육상 작전보다는 잠수함 작전으로 영국을 굴복시킬 수 있다는 계산이었다.

팔켄하인은 서부전선에서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전선을 돌파할 필요가 없고, 결정적인 공격 지점을 선택하여 프랑스군의 병력 손실을 노려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베르됭과 그 주변에 집결된 요새들을 선택했다. 베르됭은 독일군의 주요수송로를 위협하고 있었으며, 프랑스 전선의 돌출부로서 수비대의 행동 반경이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프랑스군 수뇌부는 독일의 작전 계획에 대한 경고를 무시했고, 1916년 2월 21일 개전 이래 최대의 독일군 포격이 베르됭 주변의 참호들을 초토화시켰다. 베르됭 전투는 제1차 세계대전중 가장 길고 가장 격렬하며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 가운데 하나였다. 독일군의 진격은 6월말까지 계속되었지만, 연합군은 1916년 7월 1일에 마침내 솜 강 연안에서 반격을 개시했다 (→ 색인:제1차 솜 강 전투).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이 솜 강 북쪽에 펼쳐진 34km의 전선에서 정면공격을 시작했을 때, 독일군은 안전하게 참호를 파고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1주일 동안 포격을 퍼부은 뒤 영국군 보병대는 ‘참호를 빠져나와’ 과감한 공격을 전개했지만, 사실상 난공불락인 독일군 진지를 공격하다가 차례로 총에 맞아 쓰러졌다. 영국군은 공격 첫날 6만 명에 가까운 사상자를 냈다.

9월에 영국은 새로운 무기인 탱크를 처음으로 전쟁에 도입했지만, 이 탱크는 전투에서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 솜 강 공격은 차츰 소모전으로 변했다. 그러나 연합군은 베르됭에 대한 독일군의 압력을 줄이는 데 성공했고, 덕분에 프랑스군은 반격을 준비할 수 있었다. 12월 중순까지 프랑스군은 포르두오몽과 포르보를 탈환했다.

유틀란트 전투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 함대와 독일 함대 사이에 벌어진 전투 중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1916년 여름 덴마크 유틀란트 반도 앞바다인 북해 어귀의 스카게라크 해역에서 벌어졌다.

영국 해군 정보국은 독일의 리하르트 셰어 제독이 5월 31일에 ‘대양함대’를 이끌고 출항했다는 사실을 영국 해군 제독 존 러슈워스 젤리코와 데이비드 비티에게 알렸다. 전투 순양함들로 구성된 정찰함대를 이끌던 비티는 프란츠 폰 히퍼 제독 휘하의 독일 정찰함대를 발견하고 추격했다. 독일 정찰함대는 주력 함대 쪽으로 달아났다. 오후 4시경 양쪽은 포격을 개시했다.

영국군은 심한 손실을 입고 주력 함대 쪽으로 후퇴했다. 독일 함대가 그 뒤를 추격했다. 오후 6시경, 양쪽의 주력 함대가 마주쳤다. 다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해질녘에는 영국군이 유리해졌고, 셰어는 곧 젤리코와 마찬가지로 뱃머리를 돌렸다. 그러나 독일 함대가 본국으로 가려고 다시금 뱃머리를 돌렸을 때, 영국 함대와 정면으로 맞닥뜨렸다.

양쪽 함대가 서로 엇갈려 지나갈 때 충돌이 일어나 더 많은 배가 침몰했다. 양쪽은 서로 승리했다고 주장했다. 독일이 승리를 주장한 것은 이 전투에서 영국의 손실이 더 컸기 때문이고, 영국이 승리를 주장한 이유는 북해의 제해권을 계속 장악했기 때문이다.

동부전선

1916년 7월 러시아군은 동부전선에서 공세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 공격은 사실상 제정 러시아 최후의 군사 작전이 되었다. 이 작전을 지휘한 A. A. 브루실로프의 이름을 따서 브루실로프 작전이라고 불린 이 공격은, 초기에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어떤 저항에도 끄떡없이 ‘증기 롤러’처럼 밀고 나아가는 러시아의 뚝심에 대한 연합국의 환상이 되살아났을 정도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공격은 러시아 제의 죽음을 알리는 종을 울린 것이었다. 6월 4일에 브루실로프는 우선 타르노폴과 체르노비츠 지구에서 오스트리아군의 허를 찌르는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체르노비츠를 점령했다. 그러나 전선의 다른 지역에 있는 무능한 지휘관들과 러시아 군부 내부의 빈약한 연락망 때문에 러시아군은 계속 승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렸다. 9월초에 이르자 여름에 거둔 승리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도 사라졌다. 브루실로프는 러시아군 병력 가운데 100만 명을 잃었다. 이 손실 때문에 러시아군의 사기와 전력이 크게 떨어졌다. 그러나 브루실로프의 공격은 간접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낳았다.

우선 이 공격 때문에 독일군은 서부전선에서 최소한 7개 사단을 빼낼 수밖에 없었고, 그결과 베르됭 전투와 솜 강 전투에 투입할 수 있는 병력이 크게 줄어들었다. 둘째, 이 공격은 루마니아의 불행한 참전을 촉진했다. 루마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토 일부를 떼어 주겠다는 연합국의 유혹에 넘어가 1916년 8월 27일에 오스트리아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했다. 또한 루마니아는 동맹국이 다른 전선에 몰두하느라 루마니아의 공격에 재빨리 대응하지 못하리라고 믿었다. 동맹국은 8월말에 루마니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트란실바니아 전선에서 공격을 개시하여 12월 6일에 부쿠레슈티를 함락했다.

강화교섭 노력과 미국의 정책

1916년에 이르자 평화가 찾아올 가장 큰 가능성은 오직 강대국의 두 지도자(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 독일 총리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태도에만 달려 있는 것처럼 보였다. 1916년 12월 8일, 윌슨은 교전중인 양대 진영에 대해 ‘전쟁의 목적’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이어서 1917년 1월 22일 윌슨은 국제화해와 ‘승리 없는 평화’를 호소했다. 영국은 윌슨의 중재를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은밀히 밝혔다. 오스트리아-헝가리도 역시 평화 제의에 귀가 솔깃했겠지만, 독일은 이미 잠수함 전투에 너무 깊이 말려들어가 있었다.

독일의 전략과 잠수함 전쟁

독일의 해군 전략은 군사 목적과 민간 목적으로 나뉘어 있었다. 셰어 제독과 팔켄하인 장군은 작전을 제한하는 한 잠수함 전투에서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했다. 강화 교섭에 기대를 걸고 있던 베트만을 비롯한 정치가들은 비록 짧은 기간이나마 무제한 잠수함 전투를 연기할 수 있었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군사적 승리에 집착했다. 그러나 영국 해군의 봉쇄 때문에 독일은 군사적 승리를 얻기 전에 굶주림으로 무너져버릴 위기에 놓여 있었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곧 자신의 뜻을 관철했다. 1917년 2월 1일 독일은 무제한 잠수함 전투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1917년의 전개

1917년 1~5월의 서부전선

1916년에 이루어진 연합군의 공격은 실망스러운 결과를 낳았고, 이때문에 요직에 있는 사람들의 얼굴이 바뀌었다. 영국에서는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H. H. 애스퀴스의 연립정부를 대신하여 영국 총리가 되었고, 프랑스에서는 로베르 조르주 니벨 장군이 조프르를 대신하여 총사령관이 되었다. 니벨은 1917년 봄에 아라스와 샹파뉴에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는데, 둘 다 참패로 끝났다. 5월에 니벨이 물러나고 필리프 페탱 장군이 프랑스군 총사령관 자리에 앉았다.

페탱은 상황이 바뀌어 공격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때까지는 방어에만 전념하는 것이 유일한 합리적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우리는 미국과 탱크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 그의 한결같은 충고였다. 탱크는 뒤늦게야 대량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는데, 페탱이 이처럼 탱크를 강조한 것은 기계가 대규모 보병 대신 전투의 주력으로 등장했다는 인식이 태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참전

윌슨은 1917년 2월초에 독일과 외교관계를 단절했다. 2월말에 ‘ 치머만 전보’ 사건이 발생하자, 독일과 싸우자는 요구가 미국 전역에서 불길처럼 일어났다. 독일 외무장관 아르투르 치머만은 1917년 1월 16일에 멕시코 주재 독일 대사에게 암호 전문을 보냈는데, 미국이 독일에 맞서 참전하면 멕시코도 독일의 동맹국으로 참전하여 텍사스 주와 뉴멕시코 주 및 애리조나 주를 되찾을 것을 멕시코 정부에 제의하라는 내용이었다.

영국 정보부는 이 전보를 가로채어 암호를 해독한 다음, 2월 24일에 윌슨에게 전보 내용을 전달했다. 3월에 윌슨은 독일 잠수함 U-보트 공격으로부터의 자위수단으로 미국 상선들의 무장을 지시했다. 독일 잠수함이 3월에 미국 상선 3척을 침몰시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4월 6일에 미국은 독일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의 참전은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것은 독일의 궁극적인 패배를 가능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연합국에 대한 미국의 경제원조(식료품·무기·보급품·신용대부)는 군사원조 못지 않게 중요했다. 존 J.퍼싱 장군은 유럽에 파견된 미국 지원군을 지휘했다. 미국이 참전했을 때 미국 해군은 세계에서 2번째로 막강했고, 독일 잠수함 U-보트의 공격으로부터 연합국 선박을 지켜야 할 필요성이 절박했기 때문에 잠수함을 추격하는 구축함과 구잠정(驅潛艇)을 만드는 일에 모든 노력을 집중했다. 미국의 선전포고에 뒤이어 쿠바·파나마·아이티·브라질·과테말라·니카라과·코스타리카·온두라스도 독일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그밖의 남아메리카 국가들은 독일과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러시아 혁명과 동부전선

1917년 3월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 러시아에서는 전제군주정이 끝나고 임시정부가 들어섰다 (→ 색인:1917년 혁명). 군사적으로 보면, 러시아 혁명은 연합국에는 재난이고 동맹국에는 천금 같은 기회처럼 보였다. 러시아군은 여전히 전쟁터에서 동맹국과 싸우고 있었지만, 사기는 크게 떨어져 있었다. 러시아 국민은 제정 러시아 정부가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아무 준비도 갖추지 않은 채 독단적인 이유로 시작한 전쟁에 싫증이 나 있었다.

그러나 임시정부 지도자들은 전쟁에 대한 인식이 분명했다. 독일이 승리할 경우 러시아에 불리하다고 생각했고, 연합국에 대한 의무를 자각했다. 한편 러시아 전역에는 무정부 상태가 확산되고 있었다. 일찍이 러시아 제국에 속해 있었지만 러시아인이 아닌 수많은 민족들이 잇따라 자치나 독립을 요구하고 나섰다. 그 요구는 자발적인 경우도 있었고, 그 지역을 점령한 독일인의 부추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1917년말에 이르자 핀란드인·에스토니아인·라트비아인·리투아니아인·폴란드인은 제각기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인·그루지야인·아르메니아인·아제르바이잔인도 제각기 민족주의 운동을 시작했다. 1917년의 혁명은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인 볼셰비키의 집권을 가져왔다.

이 혁명을 계기로 러시아는 전쟁에서 발을 뺐다. 11월 8일에 레닌은 모든 교전국에 대해 협상을 제의했지만 병합과 배상문제를 협상대상에서 제외시켰고, 전쟁에 관련된 모든 민족의 자결권을 강화 교섭의 조건으로 요구했다. 11월 26일 볼셰비키 정부는 마침내 동맹국과 투르크에 대한 적대행위를 중단하라는 일방적인 명령을 러시아 군부에 내렸다. 레닌의 러시아와 동맹국은 1917년 12월 15일에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휴전협정을 맺었다.

메소포타미아와 팔레스타인

1916년 8월에 프레더릭 스탠리 모드 경이 영국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리고 1년도 지나기 전에 그는 메소포타미아 전선을 절망의 무대에서 승리의 무대로 바꾸어놓았다. 1917년 2월에 그는 알쿠트를 탈환했고, 9월에는 바그다드를 점령했다. 모드가 11월에 세상을 떠나자 윌리엄 마셜 경이 후임자가 되었다.

영국군 사령관 에드먼드 앨런비 경은 투르크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전선으로 떠났다. 팔켄하인도 시나이 반도로 돌파할 계획을 세웠지만 영국군이 선수를 쳤다. 앨런비는 10월 20일에 가자를 맹렬히 포격하기 시작했고 베에르셰바를 장악했다. 그는 아부후레이라를 돌파했으며, 12월 9일에 영국군은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1917년 6~12월의 서부전선

1917년 6월에 영국군 원수인 더글러스 헤이그는 플랑드르 지방의 메신 능선에서 선제 공격을 전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자부심이 강한 헤이그는 진격을 계속했다. 그러나 8월 폭우로 이 지역은 거의 지나다닐 수 없는 늪지대로 변했다. 한편 독일군은 7월에 제3차 이프르 전투를 준비하고 있었다. 헤이그의 가을 공세는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한 채 32만 5,000명의 병력을 잃었지만, 독일은 그와 비교할 만한 손해는 입지 않았다.

8월에 M. L. A. 기요마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제2군은 마지막 베르됭 전투에서 1916년에 독일군에 빼앗겼던 영토의 나머지를 모두 되찾았다. 10월에 제10군은 말메종 전투에서 슈맹데담 능선을 빼앗았다. 11월에 영국군은 캉브레 근처에서 최초의 대규모 탱크 공격을 전개하여 독일군을 깜짝 놀라게 하고, 과거 어느 때보다도 더 깊숙이 적진 속으로 침투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줄리언 빙 경은 초기 공격에 모든 병력과 장비를 투입한 뒤 병력과 장비가 적절히 증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진격을 멈출 수밖에 없었다. 결국 영국군은 독일군의 반격에 밀려 얻은 땅의 3/4을 도로 빼앗겼다. 그러나 캉브레 전투는 기습과 탱크가 참호 장벽을 뚫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동아시아 지방

1917년에 중국이 연합국 쪽에 가담하여 참전한 것은 동맹국에 무슨 불만이 있어서가 아니라, 전쟁이 끝난 뒤 동아시아 문제가 협상 안건으로 상정될 때 1914년부터 참전하고 있는 일본이 연합국의 호의를 독점할지 모른다는 베이징 정부의 두려움 때문이었다. 1917년 3월에 중국은 독일과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리고 8월 14일에 중국은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그러나 중국이 전쟁에 이바지한 것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였다.

해군작전

이제 무제한 잠수함 전투에 전념하고 있는 독일의 U-보트들은 1917년 4월에 무려 430척의 배를 침몰시켰다. 연합국은 상선을 보호하기 위해 마침내 호송(護送)체제를 채택했다. 호송체제에서 상선단은 주위를 빙 둘러싼 구축함과 그밖의 해군 호위함의 엄호를 받으며 항해하게 되었다. 호위함을 갖춘 호송체제로 인해 U-보트가 상선을 침몰시키려면 반격당할 위험을 무릅써야 했고, 이로써 연합군은 U-보트의 수를 줄이는 기회를 맞았다. 연합국은 또한 대(對) 잠수함 기술(예를 들면 수중 청음기나 수중폭탄 따위)을 개발했고, 지뢰 부설 해역을 확대했다. 이런 모든 조치가 누적된 결과 U-보트 작전은 차츰 견제를 받았고 결국에는 실패했다.

공중전

항공기는 개전 초기에는 주로 정찰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1915년에는 기관총을 장착한 전투기가 등장했다. 전술 폭격과 적의 공군 기지에 대한 폭격도 차츰 도입되었다. 전략 폭격은 개전 초기에 이미 이용되었다. 영국은 폭격기를 대부분 U-보트 기지 공격에 이용했지만, 독일은 주로 잉글랜드 남동부를 폭격하는 데 이용했다. 그후 독일 고타 폭격기의 공습을 받은 영국인들은 전략 폭격을 좀더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독자적인 지휘 체계를 갖춘 별개의 공군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1918년에 창설된 영국 공군(RAF)은 세계 최초의 독립된 항공 부대가 되었다.

마지막 공세와 연합군의 승리

1918년 3~9월의 서부전선

독일은 동부전선에 배치했던 사단들을 서부전선으로 이동시켜 서부전선의 전력을 꾸준히 증강시키고 있었다(러시아가 전쟁에서 발을 뺐기 때문에 동부전선에는 더이상 병력을 배치할 필요가 없었음). 따라서 연합군의 주요문제는 미국에서 대규모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독일군의 임박한 공격을 어떻게 견디어내느냐 하는 것이었다.

루덴도르프의 관심은 미군 파병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형성된 우세를 이용하여 공격하는 것이 었다. 제2차 솜 강 전투, 또는 생캉탱 전투(1918. 3. 21~4. 5)라고 불리는 이 공격에서 독일군은 영국군의 허를 찔렀고, 1914년말 이후 서부전선에서 일시에 가장 많은 영토를 얻었다. 독일이 이처럼 많은 땅을 얻었는데도 연합군의 전선은 구부러졌을 뿐 돌파되지는 않았다. 4월에 독일군은 프랑스 영토를 가로질러 진격하기 시작했고, 마른 강변에서 성공적으로 진격을 끝냈다.

그러나 루덴도르프의 성공은 결국 값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는 공격을 전개할 때마다 너무 멀리 들어갔고 너무 오랫동안 강행했기 때문에, 군인들은 지치고 물자는 바닥나곤 했다. 그래서 다음 공격까지의 간격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게다가 루덴도르프는 선제 타격 부대를 이 공격에 다 써버렸고, 나머지 부대는 수준이 훨씬 떨어졌다. 독일군은 1918년의 이 대공세에서 80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그러나 연합군은 이제 매달 30만 명의 미군 병력을 보충받고 있었다. 독일의 다음 공격은 7월에 벌어진 제2차 마른 전투였다. 그러나 이 공격은 헛수고로 끝났다. 주도권을 되찾은 연합군은 이 우세를 잃지 않기로 작정하고, 다음 번 공격대상으로 다시 솜 강 주변의 전선을 택했다. 독일군 수개 사단이 연합군의 공격 앞에 맥없이 무너졌다. 따라서 이 아미앵 전투는 연합군 쪽에는 전력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눈부신 승리였다.

루덴도르프는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에 평화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와 정치 지도자들에게 알렸다. 독일군 수뇌부는 전쟁에서 승리하거나 빼앗은 영토를 그대로 보유할 수 있다는 희망을 버렸고, 이제는 그저 항복을 피할 수 있기만 바랄 뿐이었다. 이때부터 연합군 사령관 페르디낭 포슈는 여러 지점을 잇따라 재빨리 공격하면서 길게 뻗은 독일군 전선을 강타하기 시작했다. 연합군의 공격을 받은 지점은 초기의 반동력이 사라지자마자 무너졌다. 9월초에 독일군은 힌덴부르크 선(線) 뒤로 퇴각했다.

1918년의 발칸 전선

9월에는 살로니카에서 연합군의 승리가 계속되었다. 이 전투를 이끈 사람은 L. F. F. 프랑셰 데스페레였다. 영국군은 동쪽에서 밀고 들어가 9월 26일에 스트루미차를 점령했다. 그러자 불가리아는 평화 조약을 맺자고 요청했다. 프랑스 기병대가 발칸 전선의 가장 중요한 교통 요충지인 스코폐를 점령한 9월 29일, 불가리아는 살로니카 휴전협정에 조인하여 연합군이 내건 조건을 수정 없이 받아들였다.

제국들의 몰락

오스만 제국

팔레스타인에서 오스만 투르크와 대치해 있던 앨런비는 책략과 견제로 투르크를 유인하여 서부전선에 배치한 병력을 줄이게 한 다음, 1918년 9월 19일에 투르크군보다 10배나 많은 병력으로 서부전선을 강타했다. 이 메기도 전투에서 영국군 보병대는 혼비백산한 수비대를 옆으로 밀쳐내고 기병대가 나아갈 길을 열어주었다. 이튿날에는 아풀라와 베이산 및 나자렛이 영국군의 손에 들어왔다. 이 작전은 알레포와 바그다드 철도 접속점을 점령하는 것으로 끝났다.

투르크 동부가 무방비상태인 것을 알고 있는 오스만 정부는 불가리아가 무너진 뒤 이제 연합군이 서쪽에서 수도 이스탄불을 향해 진격해올 것을 두려워하여 항복했다.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협정이 조인되었다. 이 협정에 따르면 투르크는 연합군에 해협을 개방하고 군대를 해산하며, 연합군이 요구하는 전략 지점은 어디든 점령할 수 있도록 허락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투르크의 모든 항구와 철도를 이용할 권리를 주고, 아라비아와 시리아 및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있는 나머지 수비대에 항복을 명령하도록 되어 있었다. 수세기 동안 내려온 오스만 제국은 이리하여 막을 내렸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개전 초기부터 합스부르크 왕가의 이 군주국은 이중성을 뚜렷이 드러냈다. 오스트리아 의회는 1914년 3월에 활동이 정지되어 그후 3년 동안 한 번도 소집되지 않은 반면, 부다페스트에 있는 헝가리 의회는 전쟁중에도 회의를 계속하여 군부의 명령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과시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8년에 마침내 해체되었다.

10월 24일 오스트리아로부터의 분리·독립과 평화를 제창하는 헝가리 국민의회가 부다페스트에서 창설되었다. 10월 28일에 체코슬로바키아 위원회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을 ‘공인’했고, 이와 비슷한 폴란드 위원회는 갈리치아와 슐레지엔 지방을 통일된 폴란드로 통합했다. 10월 29일 자그레브의 크로아티아인들은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으로 이루어진 국가수립을 요구했다. 10월 30일 오스트리아 의회 의원들은 빈에서 게르만족의 독립국가 오스트리아의 수립을 선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연합국에 휴전 협정을 간청했고, 양측의 휴전 협정은 1918년 11월 3일에 빌라주스티에서 조인되어 11월 4일부터 발효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914년 8월 이후에 점령한 모든 영토만이 아니라 티롤 남부와 타르비시오, 이손초 계곡, 고리치아, 트리에스테, 이스트리아, 카르니올라 서부 및 달마치야에서도 철수할 것을 요구받았다. 모든 독일군은 15일 이내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영토에서 추방되거나 억류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또한 연합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국내의 모든 수송수단을 자유롭게 이용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전함을 대부분 소유하게 되었다.

대(對) 독일 전쟁의 종결

미국의 대통령 윌슨의 평화 캠페인은 독일 국민의 전의를 무너뜨리는 동시에, 독일 정부가 1918년 10월에 강화 교섭을 자청하게 만든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독일인들은 오로지 윌슨하고만 예비 강화 교섭을 가졌다. 그결과 맺어진 1918년 11월 11일의 최종적인 휴전협정은 형식에서 윌슨의 유명한 ’14개 조항’과 그밖의 선언에 바탕을 두고 있었지만, 공해에서의 자유항해권과 전쟁 배상금에 관해 영국과 프랑스가 제시한 조건이 딸려 있었다.

1917년부터 독일 총리였던 게오르크 폰 헤르틀링은 불가리아가 연합국과 휴전협정을 맺고 영국이 서부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편 날인 1918년 9월 29일에 사임했다. 루덴도르프와 힌덴부르크는 당장 강화 교섭을 시작해도 좋다는 황제의 동의를 얻어냈다. 10월 3일 온건하고 정직하기로 유명한 바덴의 막시밀리안 공이 독일의 신임 총리가 되었다. 그날 밤 독일은 ’14개 조항’에 바탕을 둔 휴전협정과 강화 교섭을 요청하는 각서를 윌슨에게 보냈다.

미국은 10월 8일에 회답을 보내어 독일이 우선, ① 윌슨의 원칙을 실행하는 협상을 수락할 것, ② 연합국 영토에서 독일군을 철수시키는 것에 동의할 것을 요구했다. 10월 20일에 독일은 다시 각서를 보내어, 윌슨이 독일의 자존심을 결코 모욕하지 않으리라 믿고 휴전협정과 군대 철수의 조건을 미국이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동의했다.

윌슨은 연합국에 기꺼이 휴전협정을 제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조건은 독일이 다시는 전쟁 행위를 되풀이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국은 2가지 조건을 붙여 휴전협정에 동의했다. 그 2가지 조건이란, 연합국은 윌슨의 ’14개 조항’ 가운데 2번째 조항(공해에서의 자유항해권)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민간인과 그들의 재산에 대한 손해 배상을 원한다는 것이었다.

한편 독일에서는 혁명이 일어나 나라 전체가 뒤흔들리고 있었다. 발단은 10월 29일에 킬에서 수병들이 일으킨 반란이었다. 이 소요 사태는 날로 확대되어 11월 4일에는 혁명으로 발전했다. 11월 7~8일 밤, ‘바이에른 민주사회주의공화국’이 선포되었다 (→ 색인:바이마르 공화국). 베를린에 있던 막시밀리안 공은 빌헬름 2세의 황제 칭호와 프로이센 왕의 칭호를 박탈당했다. 이리하여 호엔촐레른 군주국은 종말을 맞았다.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막시밀리안 공의 뒤를 이어 독일 총리가 되었다.

휴전협정

독일은 벨기에와 프랑스, 알자스로렌 지방 및 라인 강 서쪽 연안 전역에서 철수할 것과, 네덜란드와 스위스 사이에 있는 라인 강 우안을 중립화할 것을 요구받았다. 동아프리카의 독일군은 항복해야 했고, 동유럽의 독일군은 전쟁 이전의 위치로 후퇴해야 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과 부쿠레슈티 조약은 무효화해야 했다. 독일은 모든 전쟁 포로를 본국으로 송환하고, 막대한 양의 전쟁 물자를 연합국에 인도해야 했다.

한편 연합국은 독일에 대한 봉쇄를 계속할 작정이었다. 독일측 대표단은 붕괴 직전의 독일에서 볼셰비즘의 위협이 심각하다고 호소하여, 이런 조항을 어느 정도 완화하는 데 성공했다. 연합국은 봉쇄를 늦출 수도 있다고 암시했고, 인도해야 할 전쟁 물자를 줄여주었으며, 동유럽의 독일군은 당분간 현지에 주둔해도 좋다고 허락했다. 후방에서 혁명의 위협이 심각한데다 설상가상으로 서부전선에 포진해 있는 연합군의 공격이 임박하지 않았다면, 독일은 보다 많은 양보를 받아내기 위해 좀더 버텼을지도 모른다.

연합군은 11월 14일에 마지막 공세를 펼칠 계획이었다. 만약 이 계획이 실행되었다면, 휴전협상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었을지 여부는 결코 알 수 없는 일이다. 마지막 공세 전인 11월 11일에 휴전협정이 조인되어 제1차 세계대전이 드디어 막을 내렸기 때문이다.

군인이라기보다 민간 정치가인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가 독일측 대표단을 이끌었다는 사실은 ‘배반행위’의 소문을 낳게 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독일군은 ‘전쟁터에서 결코 패배하지 않았는데’ 민간인에게 배신당했다. 즉 전쟁에 싫증이 나고 패배주의에 젖은 민간인과 그 지도자들이 결정적인 순간에 군대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다는 것이 이 소문의 요점이다. 이는 독일 역사에 기록될 만큼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독일의 우익정치 선동가들은 전쟁의 막바지 단계에 연합국이 독일 국내에서 벌인 선전 때문에 민간인의 사기가 떨어졌다는 주장과 함께 이 소문을 퍼뜨렸다. 아돌프 히틀러는 이런 정치 선동가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그는 주장하기를, 독일이 군국주의와 팽창주의 정책을 채택하면 전쟁에서 당한 패배를 만회하고 적에게 원수를 갚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유럽을 지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참전국들이 낸 사상자수는, 그 이전의 전쟁에서 나온 사상자수와 비교할 때 엄청나게 많은 것이었다. 연합국은 500만 명의 전사자를 포함하여 2,20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고, 동맹국은 330만 명의 전사자를 포함하여 1,500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전쟁 때문에 죽은 민간인 사망자수는 군인 전사자보다 더 많아서 약 1,300만 명으로 추산된다. 민간인은 굶주림이나 헐벗음, 질병, 또는 대량 학살 등으로 목숨을 잃었다.

▷상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표4. 제1차 세계대전의 동원병력과 병력손실 도표를 참조하십시오.

J. G. Royde-Smith 글

참고문헌

제일차 세계대전 : 피에르 르느뱅 , 김용자 역, 탐구당, 1985

탄넨 베로히 쇠멸사 – 제일차 세계대전사 : 일본 육전사 연구보급회 편, 양창식 역, 삼성출판사, 1976

제일차 세계대전(대동아전사 3) : 호라 도미오, 유준수 역, 한양문화사, 1974

제일차 세계대전(세계전쟁사 9) :, 문희상 외 편역, 신한출판사, 1973

The World in the Crucible, 1914-1919 : Bernadotte E. Schmitt &Harold C. Vedeler, 1984

Britain and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 Zara S. Steiner, Macmillan, 1977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Causes and Responsibilities, 4th ed. : Dwight E. Lee (ed.), 1975

The Great War, 1914-1918 : Marc Ferro, 1973 (reprinted 1987)

Versailles Twenty Years After : Paul Birdsall, Shoe String Press, 1973

Socialism and the Great War::The Collapse of the Second International : Georges Haupt, Oxford Univ. Press, 1972

From the Dreadnought to Scapa Flow:The Royal Navy in the Fisher Era, 1904-1919, 5 vol. :, 1961-70

The Great War, 1914-1918 : A Pictorial History, John Terraine, 1965(reprinted 1978)

The Meaning of the First World War : Rene Albrecht-Carrie, Prentice Hall, 1965

World War:An Outline History : Hanson Baldwin, Harper &Row, 1962

The Origins of the War of 1914, 3 vol. : Luigi Albertini, Isabella M. Massey (trans.), Oxford Univ. Press, 1952

The Annexation of Bosnia, 1908-1909 : Bernadotte E. Schmitt, Howard Fertig Inc., 1937

A History of the World War, 1914-1918, enl. ed. : Basil Henry Liddell Hart, 1934(reprinted 1970)

A History of the Peace Conference of Paris, 6 vol. : H.W.V . Temperley (ed.), Oxford Univ. Press, 1920-24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6&dirId=60402&docId=884027&qb=7IS46rOEMeywqOuMgOyghA==&enc=utf8§ion=kin.ency&rank=27&search_sort=0&spq=0

출처 : 군대·무기

글쓴이 : 움직이고 활동하라 원글보기 : 움직이고 활동하라

메모 :

키워드에 대한 정보 세계 1 차 대전 요약

다음은 Bing에서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 역사
  • 1차대전
  • 전쟁사
  • 베르됭전투
  • 세계사
  • 킹스맨
  • 유럽 역사
  • 독일
  • 히틀러
  • 2차대전
  • 영국
  • 프랑스
  • 참호전
  • 1차세계대전 요약
  • 1차세계대전 이유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YouTube에서 세계 1 차 대전 요약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차 대전이 진짜 끔찍한 이유 l 역알못도 시간순삭 당하는 전쟁사 [1차세계대전 요약] | 세계 1 차 대전 요약,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